KR200267294Y1 - 탈착 가능한 다단식 음료용기 - Google Patents

탈착 가능한 다단식 음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7294Y1
KR200267294Y1 KR2020010039856U KR20010039856U KR200267294Y1 KR 200267294 Y1 KR200267294 Y1 KR 200267294Y1 KR 2020010039856 U KR2020010039856 U KR 2020010039856U KR 20010039856 U KR20010039856 U KR 20010039856U KR 200267294 Y1 KR200267294 Y1 KR 2002672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everage
containers
stopper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98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현
김용기
전근해
Original Assignee
(주)대호비투비
김재현
김용기
전근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호비투비, 김재현, 김용기, 전근해 filed Critical (주)대호비투비
Priority to KR20200100398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72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72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7294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여러 가지 형태의 음료용기 바닥에 수납부를 형성하여 하부에 배치되는 다른 음료용기의 마개를 삽입하여 적층할 수 있도록 하고, 이들 수납부 및 마개 근처에 구비된 걸림돌기나 걸림홈 등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상하의 음료용기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음료용기의 디자인성 및 제품의 다양성을 높이고, 서로 다른 색상의 용기를 다수개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어린이들에게는 색개념을 정립할 수 있도록 도와주면서 기차나 탑 등의 연결 및 적층구조 장난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탈착 가능한 다단식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고 그에 따른 공간활용의 효율성을 높이고, 타제품과의 차별을 통하여 소비자에게 호기심을 유발시키고 나아가 젊은층과 어린이층 등 다양한 소비층을 상대로 구매촉진을 유발시킬 수 있는 캐릭터 등을 용기 디자인에 적용하여 소비심리를 극대화 하는 탈착 가능한 다단식 음료용기를 그 목적으로 한다. 적층 가능한 다단식 음료용기의 구성을 보면, 내부에는 음료수가 충진되며 상부에는 마개(12)가 씌워져 있는 용기몸체(10)와, 인접하게 결합되는 다른 용기의 마개(12)부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용기몸체(10)의 바닥부에 형성된 수납부(16)와, 상기 용기몸체(10)상부의 마개(12)장착부 근처에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16)에 수납된 다른 용기와의 선택적인 결합 및 분리를 가능케 하는 수평회전 결합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탈착 가능한 다단식 음료용기{MULTI LAYER TYPE ATTACHABLE BEVERAGE BOTTLES}
본 고안은 탈착 가능한 다단식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여러 가지 형태의 음료용기 바닥에 수납부를 형성하여 하부에 배치되는 다른 음료용기의 마개를 삽입하여 적층할 수 있도록 하고, 이들 수납부 및 마개 근처에 구비된 걸림돌기나 걸림홈 등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상하의 음료용기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킨 구조의 탈착 가능한 다단식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음료용기는 알루미늄 또는 스틸재의 캔을 비롯하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재질의 페트(PET)병, 유리로 만들어진 병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 음료용기는 장기간 음료수를 저장할 수 있는 점과 대체로 취급이 용이한 점 때문에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 음료용기에는 탄산음료, 과일음료, 혼합음료등과 같은 다양한 음료를 저장 보관하고 있다.
이중에서 페트병으로 만들어진 음료용기의 경우에는 많은 양의 음료를 충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볍고 제조가 용이하므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음료용기로서 종래에 판매되고 있는 페트병의 경우에는 주로 대용량 용기로 만들어 판매하기 때문에, 콜라나, 사이다와 같이 탄산음료가 들어 있는 경우에는 마개를 개방한 후에 짧은 시간 안에 마셔야 하며, 시간이 지나게 되면 탄산가스가 휘산되어 음료의 맛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10778호에는 다단식 음료 패트병이 개시되어 있다. 이것은 한가지의 페트병 안에 작은량의 음료수가 들어 있는 여러개의 패트병을 집어넣을 수 있도록 하여, 패트병 내에 보관되어 있는 다수개의 음료용기로부터 각기 다른 음료의 맛을 느낄 수 있고, 필요한 음료만을 꺼내어 음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은 여러개의 음료를 집어넣을 수 있는 별도의 용기만을 추가한것에 불과하며, 음료용기 자체의 결합구조나 연결구조를 채용하고 있지 않고 있다.
한편, 국내 실용신안공개 제88-9329호 및 실용신안등록 제185943호 등에는 별도의 결합구를 이용하여 2개의 용기를 상하로 적층시킨 상태에서 결합할 수 있는 적층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들 실용신안에 개시되어 있는 음료용기의 적층구조는 복잡한 형상의 결합구를 추가로 구비하여야 하므로, 부품수가 많고 결합 구조가 복잡하며 코스트의 상승을 초래한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 별도의 결합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다수의 용기를 직접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음료용기가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179872호에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 개시되어 있는 음료용기는 뚜껑이 결합된 하부로 뚜껑보다 직경이 다소 큰 나사산이 형성된 뚜껑부가 구비되고 이 뚜껑부에서 연장 확대된 입체형의 용기몸체와, 이 용기몸체의 하부에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뚜껑부의 형상과 동일 형상으로 대응되게 형성되어 다른 뚜껑부가 나사 결합될 수 있게 내측 중앙으로 함몰 형성된 결합부가 구비된 받침대로 이루어진 음료용기로 형성되며, 상기와 같은 음료용기 다수개가 상호 대응되는 뚜껑부와 결합부를 통해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음료용기의 경우에는 리세스에 해당되는 받침대를 이용하여 다른 음료용기를 결합하기 때문에, 부품수의 추가로 인한 제조 코스트의 상승 및 제품 디자인성의 제한으로 인해 상품성이 저하되는 원인이 된다. 또한, 음료용기를 나사 결합에 의존하므로, 결합시킨 상태로 진열장에 진열하여 놓았을 때에 나사의결합정도에 따라 음료용기의 배치가 달라지게 되며 디자인 측면에서도 불리함과 동시에, 상하의 음료용기를 나사결합시키지 않은 상태로는 적층이 힘들며 불안정해지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수평회전 결합식 구조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다수의 용기본체에 직접적으로 결합 및 분리되는 구조의 탈착 가능한 다단식 음료용기를 제공하는데 주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자체 형상만으로도 다수의 용기를 쉽게 적층할 수 있으며, 적층시에 결합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진열효과 및 상품 디자인측면에서 우수한 탈착 가능한 다단식 음료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음료용기를 보인 결합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다단식 음료용기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다단식 음료용기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음료용기를 보인 결합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음료용기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음료용기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용기몸체 12:마개
14:걸림돌기 16:수납부
18:삽입홈 20:안착 플랜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탈착 가능한 다단식 음료용기는 2개의 음료용기를 차례대로 적층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다단식 음료용기에 있어서, 내부에는 음료수가 충진되며 상부에는 마개가 씌워져 있는 용기몸체와, 인접하게 결합되는 다른 용기의 마개부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용기몸체의 바닥부에 형성된 수납부와, 상기 용기몸체상부의 마개장착부 근처에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다른 용기와의 선택적인 결합 및 분리를 가능케 하는 수평회전 결합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탈착 가능한 다단식 음료용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음료용기를 보인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다단식 음료용기를 보인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다단식 음료용기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음료용기를 결합구나 받침대 등과 같은 별도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지 않고도 용기몸체(10)에 직접 다른 음료용기를 결합시킴으로써, 부품수를 줄이면서도 디자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예시하였다.
또한, 적층 및 결합상태에서도 항상 일정한 결합위치를 유지함으로서 여러개의 음료용기를 적층한 상태로 진열하여 놓아도 모든 용기의 동일한 면이 전방을 향해 배향되도록 함으로써 진열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서 상부용기와 하부용기(설명의 편의상 상하관계로 결합되는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이 이루어지지만, 수평상태로 놓고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며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보고 설명함)를 수평회전방식으로 결합하는 구조를 채용하였다. 종래와 같은 나사결합방식의 경우에는 사용자에 따라서 나사를 죄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각기 결합된 용기의 배향관계가 달라질 수 있으나, 본 고안의 수평회전방식에서는 일정한 각도만 회전시키면 고정되므로 모든 용기가 동일한 배향을 유지할 수 있다.
용기몸체(10)의 내부에는 통상의 음료수가 담기게 되며, 상부에는 마개(12)가 밀봉 결합되어 있다. 이때, 용기몸체(1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손으로 쥐기 편리하고 취급이 쉬운 원통형 구조가 좋다. 특히, 어린이들에게 색채개념을 심어주기 위해, 용기몸체(10)의 색깔을 다색, 가령, 블루나 옐로우, 그린, 오렌지, 핑크 등으로 만드는 것이 좋다.
한편, 용기몸체(10)의 하단에는 하부용기의 마개(12)부분이 삽입 배치되는 수납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납부(16)는 호환성을 높이기 위해 모든 음료용기에 동일한 크기와 형태를 적용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음료용기에 따라서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인접하는 2개의 용기를 수평회전 방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수평회전 결합수단으로서, 제 1실시예에서는, 마개(12)장착부 근처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 돌기(14)를 형성하였으며, 용기몸체(10)의 하단 수납부(16)에는 상기 걸림돌기(14)가 삽입되는 삽입홈(18)이 형성되어 있고, 이 삽입홈(18)을 통해 삽입된 다음 수평회전시키면 걸림돌기(14)의 이탈을 막아 용기몸체(10)의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안착 플랜지(20)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2개 또는 다수의 용기를 결합할 때에는 먼저, 하부용기의 마개(12)부분을 상부용기의 하단 수납부(16)에 삽입한 상태에서, 하부용기의 마개(12)장착부 근처에 형성된 걸림돌기(14)를 상부용기의 하단 수납부(16)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홈(18)을 통해 삽입 관통시킨다.
이 상태에서, 하부용기의 몸체(10)를 잡고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게 되면, 하부용기의 걸림돌기(14)가 상부용기의 하단 수납부(16)에 형성된 안착 플랜지(20)와 걸어맞춤된다. 그로 인해, 걸림돌기(14)의 이탈을 막아 상부용기와 하부용기를 결합시켜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도 1에서 보면, 2번째와 세 번째 용기는 수평회전되어 결합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때, 음료용기의 회전각도를 소정의 범위로 제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안착 플랜지의 크기를 일정하게 만들거나 스토퍼를 형성하여 일정각도 이상으로는 더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하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180°의 각도로 대향으로 배치된 2개의 걸림돌기(14)와 2개의 삽입홈(18)을 지닌 구조를 예시하였으나, 이들의 각도와 수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3개 또는 그 이상의 걸림돌기와 삽입홈을 형성할 수 있으며, 배치각도 역시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도 2와 도 3에는 각각, 도 1에 도시한 음료용기의 분리상태 및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용기의 걸림돌기와 상부용기의 삽입홈 및 안착 플랜지를 이용하여 본 고안의 음료용기를 동일한 배향을 유지하면서 결합 및 적층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도 4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음료용기를 보인 결합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걸림돌기(14)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원형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에 도시한 제 1실시예와 대체로 동일한 구성을 지닌다. 이와 같은 구조의 음료용기에서는 원형 플랜지로 인해 특히 적층시에 유리하며, 걸림돌기(14)의 돌출량이 작기 때문에 어린이들이나 유아들이 이용할 때에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도 작은 힘으로도 충분히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4에 도시된 상태는 다수의 용기를 단지 적층만 하여 놓고 수평회전 결합은 하지 않은 상태로 나타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음료용기는 나사결합 방식을 채용하지 않기 때문에, 간단히 적층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적층후에 수평회전 결합시키지 않아도 적층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여러개의 물통 등을 간단히 적층만시켜 놓을 때에 특히 유리하다. 적층 후에 결합시키는 과정은 제 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도 5는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음료용기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및 제 2실시예와 다른 수평회전 결합수단을 채용하였다. 즉, 본 실시예에서 채용한 수평회전 결합수단은 마개(12)장착부 근처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삽입홈(14')이 형성된 안착 플랜지(15)를 예시하였으며, 수납부(16)에는 삽입홈(14')을 통해 삽입된 다음, 수평회전시키면 상기 안착 플랜지(15)와 걸어맞춤되어 용기몸체(10)의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걸림돌기(18')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음료용기에 있어서, 2개 또는 그 이상의 용기를 결합할 때에는 먼저, 하부용기의 마개(12)를 상부용기의 하단 수납부(16)에 삽입한다. 다음에, 상부용기의 수납부(16) 내벽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18')가 하부용기의 마개(12)근처에 형성된 삽입홈(14')을 관통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게 되면, 걸림돌기(18')가 하부용기의 안착 플랜지(15)와 걸어맞춤됨으로써, 양 음료용기의 결합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필요한 경우에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수평회전구조와 도 5에도시한 수평회전구조를 겸용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용기몸체의 마개근방의 외벽상에, 일측에는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삽입홈을 형성함과 동시에, 용기몸체 하단의 수납부의 내벽상에, 일측에는 상기 걸림돌기와 대응되는 삽입홈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상기 삽입홈과 대응되는 걸림돌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다음에, 도 6은 본 고안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음료용기를 보인 분리사시도로, 수평회전 방식의 결합구조를 사각형상의 용기에 적용한 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용기몸체의 형상이 사각형인 점을 제외하고는 전체적인 적층 및 결합구조가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며,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지금까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수평회전 구조를 예시하였으나, 2개의 용기를 수평회전 시키거나 수평결합시켜 연결할 수 있는 구조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용이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과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수평회전구조로서, 음, 양 형태의 돌기와 홈, 리세스, 후크, 걸림편, 똑딱이 형태의 결합구 등의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요크루트 병과 같이 마개부분 없이 접착시일 만을 구비한 병 역시, 본 고안과 같이 상하로 적층 가능하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여러 가지 형태의 음료용기 바닥에 수납부를 형성하여 하부에 배치되는 다른 음료용기의 마개를 삽입하여 적층할 수 있도록 하고, 이들 수납부 및 마개 근처에 구비된 걸림돌기나 걸림홈 등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상하의 음료용기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음료용기의 디자인성 및 제품의 다양성을 높이고, 서로 다른 색상의 용기를 다수개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어린이들에게는 색개념을 정립할 수 있도록 도와주면서 기차나 탑 등의 연결 및 적층구조 장난감으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3)

  1. 2개의 음료용기를 차례대로 적층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다단식 음료용기에 있어서,
    내부에는 음료수가 충진되며 상부에는 마개(12)가 씌워져 있는 용기몸체(10)와,
    인접하게 결합되는 다른 용기의 마개(12)부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용기몸체(10)의 바닥부에 형성된 수납부(16)와,
    상기 용기몸체(10)상부의 마개(12)장착부 근처에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16)에 수납된 다른 용기와의 선택적인 결합 및 분리를 가능케 하는 수평회전 결합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다단식 음료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회전 결합수단은 마개(12)장착부 근처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돌기(14)이며,
    상기 수납부(16)에는 상기 걸림돌기(14)가 삽입되는 삽입홈(18)과, 이 삽입홈(18)을 통해 삽입된 다음 수평회전시키면 걸림돌기(14)의 이탈을 막아 용기몸체(10)의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안착 플랜지(2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가능한 다단식 음료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회전 결합수단은 마개(12)장착부 근처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삽입홈(14')이 형성된 안착 플랜지(15)이며,
    상기 수납부(16)에는 삽입홈(14')을 통해 삽입된 다음, 수평회전시키면 상기 안착 플랜지(15)와 걸어맞춤되어 용기몸체(10)의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걸림돌기(18')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다단식 음료용기.
KR2020010039856U 2001-12-22 2001-12-22 탈착 가능한 다단식 음료용기 KR2002672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856U KR200267294Y1 (ko) 2001-12-22 2001-12-22 탈착 가능한 다단식 음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856U KR200267294Y1 (ko) 2001-12-22 2001-12-22 탈착 가능한 다단식 음료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7294Y1 true KR200267294Y1 (ko) 2002-03-12

Family

ID=73071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9856U KR200267294Y1 (ko) 2001-12-22 2001-12-22 탈착 가능한 다단식 음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7294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282B1 (ko) * 2002-01-29 2005-01-13 김동환 두 가지 음료가 보관되는 음료용기
KR101366097B1 (ko) * 2011-11-30 2014-02-26 염지원 물 분리 보관용 물병
KR101552372B1 (ko) 2008-03-03 2015-09-10 유니레버 엔.브이. 적층가능한 화장품 병
KR101676399B1 (ko) * 2015-07-21 2016-11-15 이종석 이중 보틀
KR200483708Y1 (ko) * 2016-04-26 2017-06-16 하수복 적층되는 결합구조를 갖는 용기
KR101893184B1 (ko) * 2018-01-03 2018-08-30 임기순 다단으로 결합되는 물병
KR20200144008A (ko) 2019-06-17 2020-12-28 장미화 커스터마이징 모듈형 텀블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282B1 (ko) * 2002-01-29 2005-01-13 김동환 두 가지 음료가 보관되는 음료용기
KR101552372B1 (ko) 2008-03-03 2015-09-10 유니레버 엔.브이. 적층가능한 화장품 병
KR101366097B1 (ko) * 2011-11-30 2014-02-26 염지원 물 분리 보관용 물병
KR101676399B1 (ko) * 2015-07-21 2016-11-15 이종석 이중 보틀
KR200483708Y1 (ko) * 2016-04-26 2017-06-16 하수복 적층되는 결합구조를 갖는 용기
KR101893184B1 (ko) * 2018-01-03 2018-08-30 임기순 다단으로 결합되는 물병
KR20200144008A (ko) 2019-06-17 2020-12-28 장미화 커스터마이징 모듈형 텀블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66272B1 (en) Stackable container system
US9642497B2 (en) Container facilitating mixed beverage preparation
US20060102581A1 (en) Multiple chamber bottle and method of filling and assembling same
US20010022304A1 (en) Container
US7699184B2 (en) Bottle carrier
US20100102086A1 (en) Dispenser for containing and dispensing a liquid or pourable solid product
EP1321370B1 (en) Modular bottle
US11737606B2 (en) Cup
KR200267294Y1 (ko) 탈착 가능한 다단식 음료용기
JP6440190B2 (ja) 多段ボトル
US20180237186A1 (en) Individual beverage bottle accessory
US20150090712A1 (en) Fractionally proportioned, nesting container bottles, with joining and carrying means
JP7442232B1 (ja) 飲料容器
JP3084603U (ja) 携帯用飲料容器
US20070023429A1 (en) Container
KR200357016Y1 (ko) 다단 적층용기
KR20130038079A (ko) 수직 적층형 액체용기
KR102290769B1 (ko) 병마개
KR102220212B1 (ko) 직렬 또는 병렬 결합이 가능한 조립식 음료 용기
KR200339852Y1 (ko) 한 개의 병에 두 가지 음료를 담는 페트병.
WO2018035580A1 (en) A container structure for detachable coupling of containers and system including same
KR200244222Y1 (ko) 액체용기
KR200331710Y1 (ko) 용기
KR200314066Y1 (ko) 이중 분할 공간 구조의 음료수병 및 그 뚜껑
KR200326267Y1 (ko) 음료수 용기의 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