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6267Y1 - 음료수 용기의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음료수 용기의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6267Y1
KR200326267Y1 KR20-2003-0020437U KR20030020437U KR200326267Y1 KR 200326267 Y1 KR200326267 Y1 KR 200326267Y1 KR 20030020437 U KR20030020437 U KR 20030020437U KR 200326267 Y1 KR200326267 Y1 KR 2003262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everage
present
vessel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04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성사
Original Assignee
백성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성사 filed Critical 백성사
Priority to KR20-2003-00204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62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62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62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28Containers joined together by screw-, bayonet-, snap-fit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5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료수 용기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맛과 색상의 음료수가 수용된 두 개의 음료수병을 연결구를 통해 착탈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의 다양한 음용 취향을 만족시키도록 하고, 용기 외부로 투시되는 서로 다른 내용물의 색상을 통해 시각적인 미감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체결 상태를 더욱 견고히 하도록 하는 사용의 폭 및 사용성이 향상된 음료수 용기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서로 다른 맛과 색상의 음료수를 수용한 두 개의 음료수 용기를 체결함에 있어서, 제 1용기 및 제 2용기의 외주연 하단을 단턱지도록 하되, 단턱 외주연에 수나사를 형성하고, 원통형상의 본체 양단 내주연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암나사를 형성하여서 된 별도의 체결구를 통해 나사 결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료수 용기의 체결구조{coupling structure of a double bottle}
본 고안은 음료수 용기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맛과 색상의 음료수가 수용된 두 개의 음료수 용기를 연결구를 통해 착탈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의 다양한 음용 취향을 만족시키도록 하고, 용기 외부로 투시되는 서로 다른 내용물의 색상을 통해 시각적인 미감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체결 상태를 더욱 견고히 하도록 하는 사용성 및 사용의 폭이 향상된 음료수 용기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를 저장하여 유통 판매하기 위한 용기로서 캔, 유리 병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은 제조원가가 높기 때문에 맥주 캔이나 고급 음료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제조원가 면에서나 실용성 면에서 유리한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음료수 용기가 전 세계적으로 제일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음료수 용기는 일체형의 용기 상부의 외주연에 수나사가 형성된 병목 개구부를 형성하고,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뚜껑을 이용하여 병목 개구부와 체결하도록 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용기를 지지하면서 세울 수 있도록 별도의 받침이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은 종래의 음료수 용기는 컵이 준비되지 못한 곳에서 여러 사람이 음료를 마실 경우 입으로 병의 입구를 감싸고 마셔야 하는 불편함과 캡이 작아서 돌려 열때 엄지와 검지만을 사용하여 열어야 하기 때문에 잘 열리지 않아 힘이 들게 되며, 특히, 병 통체가 일체형으로 단일화 되어있어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서로 다른 종류의 음료수를 분리 저장할 수 없는 선택의 한계성에 결점이 있는 것이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음료수 용기의 결점을 보완하고자 최근에는 이중 분할공간 구조의 음료수 용기들이 다양하게 소개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이중 분할 공간 구조의 음료수 용기는 상, 하부 또는 세로로 이중 공간(다수개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차단판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그 사출 성형이 매우 복잡하고 이에 따라 제조 원가가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높이를 조절해야하는 경우, 일체로 이루어져 있어 사용성에서 한계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원인은 이와 같은 종래의 이중 분할 공간 구조의 음료수 용기를 개선시키고자 두 개의 음료수 용기를 암수로 나사 결합 또는 끼움 결합 가능하도록 하는 음료수 용기를 선출원한 바 있으나, 이는 결합력이 약하여 불안정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은 서로 다른 맛과 색상의 음료수가 수용된 두 개의 음료수 용기를 연결구를 통해 착탈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의 다양한 음용 취향을 만족시키도록 하고, 용기 외부로 투시되는 서로 다른 내용물의 색상을 통해 시각적인 미감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체결 상태를 더욱 견고히 하도록 하는 사용의 폭 및 사용성이 향상된 음료수 용기의 체결구조를 제공함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서로 다른 맛과 색상의 음료수를 수용한 두 개의 음료수 용기를 체결함에 있어서, 제 1용기 및 제 2용기의 외주연 하단을 단턱지도록 하되, 단턱 외주연에 수나사를 형성하고, 원통형상의 본체 양단 내주연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암나사를 형성하여서 된 별도의 체결구를 통해 나사 결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외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상세한 구성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상세한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제 1용기 20 : 제 2용기
11,21 : 단턱 12,22 : 나사홈
13,23 : 끼움홈 14,24 : 환홈
15,25 : 슬라이스홈 30 : 체결구
32 : 나사홈 33,33': 끼움돌기
34,34': 환턱 35,35': 슬라이스돌기
본 고안을 설명하는데 이해를 돕기 위한 첨부도면 도 1은 본 고안의 외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상세한 구성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상세한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로서, 이중 도면 부호 10은 본 고안인 음료수 용기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은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맛과 색상의 음료수를 수용한 두 개의 음료수 용기를 체결함에 있어서, 제 1용기(10) 및 제 2용기(20)의 외주연 하단을 내측으로 단턱(11)(21)지도록 하되, 단턱(11)(21) 외주연에 나사홈(12)(22)를 형성하고, 원통형상의 본체 양단 내주연에 나사홈(12)(22)에 대응하여 나사 결합 가능하도록 나사홈(32)를 형성하여서 된 별도의 체결구(30)를 통해 나사 결합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서 된 본 고안은 상기의 첨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음료수를 수용한 제 1용기(10)와 제 2용기(20)의 나사홈(12)(22)에 체결구(30)의 나사홈(32)을 대응시켜 결합함으로써, 제 1용기(10)와 제 2용기(20)에 수용된 서로 다른 맛과 색상이 대조를 이루는 음료수를 동시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소비자가 취향에 따라 음료수를 선택적으로 결합시켜 보관하거나 외부 특히, 야외로 나가 선택적으로 음용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음료수 용기(10)(20)에 담겨진 음료수의 이중 색상이 소비자의 시각과 호기심을 자극하는 등 상품에 대한 선호도를 높여 상품 소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특히, 본 고안은 종래의 이중 분할 공간 구조의 음료수 용기과는 달리 착탈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분리 또는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음으로 해서 사용의 폭이 확대된 것으로, 보관 장소의 높이가 높거나, 공간이 협소한 경우에는 제 1용기(10)와 제 2용기(20)를 결합하여 하나의 음료수 용기로 보관이 가능하며, 보관 장소의 높이가 낮으나, 공간이 넉넉한 경우에는 제 1용기(10)와 제 2용기(20)로 분리하여 각각 보관할 수 있는데, 본 고안에서는 체결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별도의 체결구(30)가 구비되어 있어 제 1용기(10)와 제 2용기(20)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하게 되며, 여기서, 체결구(30)는 음료수 용기(10)(20) 보다 비교적 단단한 경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있어 제 1용기(10) 또는 제 2용기(20) 중 선택적으로 각각의 받침으로 사용 가능한 것이다.
또한, 2가지의 음료수(예컨대, 콜라와 사이다, 콜라와 오렌지 쥬스, 오렌지 주스와 포도 주스 등)가 수용된 제 1용기(10)와 제 2용기(20)를 결합하여 하나의 음료수 용기로 이용하게 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특히, 야외 나들이 때 배낭의 부피를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가정에서도 냉장고의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빈 용기(10)(20)는 다시 생수와 보리차 등을 충진시켜 냉장고에 보관하면서 음용하는 등 재활용이 가능하여 자원 낭비를 줄이고, 환경에 도움을 주게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첨부 도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용기(10)와 제 2용기(20)의 단턱(11)(21) 외주연에 끼움홈(13)(23)을 형성하고, 체결구(30)의 양단 내주연에 끼움홈(13)(23)에 대응하는 돌기(33)(33')를 형성하여 제 1용기(10)와 제 2용기(20)가 체결구(30)와 끼움 결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더욱 제 1용기(10)와 제 2용기(20)와의 체결이 용이하면서도 견고해지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며, 첨부 도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용기(10)와 제 2용기(20)의 단턱(11)(21) 외주연에 환홈(14)(24)을 형성하고, 체결구(30)의 양단 내주연에는 환홈(14)(24)에 대응하는 환턱(34)(34')을 형성하여 제 1용기(10)와 제 2용기(20)가 상호 끼움 결합 가능하도록 할 수 도 있는 것이다.
또한, 첨부 도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용기(10)와 제 2용기(20)의 단턱(11)(21) 외주연에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슬라이드홈(15)(25)을 형성하고, 체결구(30)의 양단 내주연에는 슬라이드홈(15)(25)에 대응하는 슬라이스 돌기(35)(35')를 형성하여 제 1용기(10)와 제 2용기(20)가 상호 슬라이드 결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손쉽게 제 1용기(110)와 제 2용기(150)를 결합하면서도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것도 바람직한 것이다.
이밖에도, 체결구(30)를 원통형 자체로 구성하여 제 1용기(10)와 제 2용기(20)의 단턱(11)(21) 부분과 억지 끼움식으로 결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첨부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40은 음료수 용기(10)(20) 각각의 뚜껑이다.
이와 같이 되는 본 고안은 서로 다른 맛과 색상의 음료수가 수용된 두 개의 음료수 용기를 연결구를 통해 착탈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의 다양한 음용 취향을 만족시키도록 하고, 용기 외부로 투시되는 서로 다른 내용물의 색상을 통해 시각적인 미감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체결 상태를 더욱 견고히 하도록 하여 사용성 및 사용의 폭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서로 다른 맛과 색상의 음료수를 수용한 두 개의 음료수 용기를 체결함에 있어서, 제 1용기(10) 및 제 2용기(20)의 외주연 하단을 내측으로 단턱(11)(21)지도록 하되, 단턱(11)(21) 외주연에 나사홈(12)(22)를 형성하고, 원통형상의 본체 양단 내주연에 나사홈(12)(22)에 대응하여 나사 결합 가능하도록 나사홈(32)를 형성하여서 된 별도의 체결구(30)를 통해 나사 결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용기의 체결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제 1용기(10)와 제 2용기(20)의 단턱(11)(21) 외주연에 끼움홈(13)(23)을 형성하고, 체결구(30)의 양단 내주연에 끼움홈(13)(23)에 대응하는 돌기(33)를 형성하여 제 1용기(10)와 제 2용기(20)가 체결구(30)와 끼움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용기의 체결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제 1용기(10)와 제 2용기(20)의 단턱(11)(21) 외주연에 환홈(14)(24)을 형성하고, 체결구(30)의 양단 내주연에는 환홈(14)(24)에 대응하는 환턱(34)을 형성하여 제 1용기(10)와 제 2용기(20)가 상호 끼움 결합 가능하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용기의 체결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제 1용기(10)와 제 2용기(20)의 단턱(11)(21) 외주연에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슬라이드홈(15)(25)을 형성하고, 체결구(30)의 양단 내주연에는 슬라이드홈(15)(25)에 대응하는 슬라이스 돌기(35)를 형성하여 제 1용기(10)와 제 2용기(20)가 상호 슬라이드 결합 가능하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용기의 체결구조.
KR20-2003-0020437U 2003-06-27 2003-06-27 음료수 용기의 체결구조 KR2003262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437U KR200326267Y1 (ko) 2003-06-27 2003-06-27 음료수 용기의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437U KR200326267Y1 (ko) 2003-06-27 2003-06-27 음료수 용기의 체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6267Y1 true KR200326267Y1 (ko) 2003-09-13

Family

ID=49414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0437U KR200326267Y1 (ko) 2003-06-27 2003-06-27 음료수 용기의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626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25262A1 (ko) * 2022-07-26 2024-02-01 주식회사 포디크리에이터 복층 구조를 갖는 다기능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25262A1 (ko) * 2022-07-26 2024-02-01 주식회사 포디크리에이터 복층 구조를 갖는 다기능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00866A1 (en) Dual cavity sports bottle with source selecting closure
US20060016819A1 (en) Bottle assembly with removable container assembly
US8746475B2 (en) Multi-chambered bottles for separating content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080011748A1 (en) Portable Beverage Container And Method Of Use
EP1072532A1 (en) Combination container
US20070119727A1 (en) Bottle
KR200326267Y1 (ko) 음료수 용기의 체결구조
JP2006321540A (ja) 飲料用ボトル
CN2771115Y (zh) 螺接式组合瓶子
KR200267294Y1 (ko) 탈착 가능한 다단식 음료용기
KR200325536Y1 (ko) 착탈 가능한 이중 음료수병
KR200314066Y1 (ko) 이중 분할 공간 구조의 음료수병 및 그 뚜껑
JP2000153841A (ja) 飲料容器
JP2008150101A (ja) 二種飲料用容器
US20050155974A1 (en) Drinking vessel designed to incorporate an alcoholic beverage container
KR200339852Y1 (ko) 한 개의 병에 두 가지 음료를 담는 페트병.
KR200203011Y1 (ko) 다중 용기
KR20130038079A (ko) 수직 적층형 액체용기
KR200398052Y1 (ko) 복수의 음료 저장 공간을 갖는 음료수 병
KR200237745Y1 (ko)
KR200475233Y1 (ko) 주류 용기
KR101893184B1 (ko) 다단으로 결합되는 물병
US11452393B2 (en) Bottle convertible to a glass
KR100496630B1 (ko) 음료 용기
KR20000036991A (ko) 다중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