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4008A - 커스터마이징 모듈형 텀블러 - Google Patents

커스터마이징 모듈형 텀블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4008A
KR20200144008A KR1020190071816A KR20190071816A KR20200144008A KR 20200144008 A KR20200144008 A KR 20200144008A KR 1020190071816 A KR1020190071816 A KR 1020190071816A KR 20190071816 A KR20190071816 A KR 20190071816A KR 20200144008 A KR20200144008 A KR 20200144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mbler
receiving
blocks
block
variable capa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1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6176B1 (ko
Inventor
장미화
Original Assignee
장미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미화 filed Critical 장미화
Priority to KR1020190071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6176B1/ko
Publication of KR20200144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4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6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6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28Containers joined together by screw-, bayonet-, snap-fit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04Level indi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량가변 텀블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량가변 텀블러는 음료수를 수용하는 복수 개의 수용블록들 및 상기 수용블록들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수용블록들을 상하로 연결하는 연결블록들을 포함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 및 하부에 결합하여 상기 몸체를 밀봉하는 두 개의 마개들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블록들 및 상기 연결블록들은 상호 연결을 위한 결합부들을 구비한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관 형상이고, 상기 몸체를 구성하는 상기 수용블록들 및 상기 연결블록들의 수에 따라 수용 용량을 변경할 수 있다.

Description

용량가변 텀블러{Variable Capacity Tumbler}
본 발명은 텀블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음료수의 종류 또는 용량에 따라 텀블러의 용량을 변경할 수 있는 용량가변 텀블러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오염의 심각성이 대두됨에 따라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강구되고 있다. 특히 정부의 일회용품 규제 대책이 강화되면서 커피전문점과 패스트푸드점 등은 일회용 컵 사용량을 감소하기 위하여, 소비자가 텀블러를 사용하는 경우 가격 할인 혜택이나 리필 혜택 등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텀블러를 휴대하며 다양한 종류의 음료수를 마시는 경우, 음료수의 종류에 따라 필요로 하는 텀블러의 용량이 다르며, 음료수를 교체하는 경우 폭이 좁고 길이가 긴 텀블러의 형태로 인해 세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침출차 또는 커피를 음용하는 경우, 찻잎 또는 커피 가루를 여과하기 위한 티백, 거름망과 같은 부가적인 구성요소를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 또한 존재한다.
이에 더하여, 기존의 텀블러의 경우 일체형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부분적 파손이 발생할 경우 텀블러 자체를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하나의 텀블러에 하나의 음료수만을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두 종류 이상의 음료수를 보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텀블러가 필요한 문제점이 존재하며, 텀블러와 별도로 머들러나 빨대와 같은 보조 물품들을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한국등록실용실안 제20-0267294(2002.03.12.)호는 탈착 가능한 다단식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여러 가지 형태의 음료용기 바닥에 수납부를 형성하여 하부에 배치되는 다른 음료용기의 마개를 삽입하여 적층할 수 있도록 하고, 이들 수납부 및 마개 근처에 구비된 걸림돌기나 걸림홈 등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상하의 음료용기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음료용기의 디자인성 및 제품의 다양성을 높이고, 서로 다른 색상의 용기를 다수 개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어린이들에게는 색개념을 정립할 수 있도록 도와주면서 기차나 탑 등의 연결 및 적층구조 장난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탈착 가능한 다단식 음료용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다단식 음료용기는 하부 용기의 마개가 삽입되는 수납부가 용기 몸체의 내부에 요철을 형성하여 세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28669(2014.08.04.)호는 휴대용 드립 커피 메이커에 관한 것으로, 텀블러, 커피 필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텀블러의 상부 내면에 삽입되는 드립퍼, 내부에 커피빈을 수납하여, 수납된 커피빈을 그라인딩하도록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는 회전파지부와, 그라인딩된 커피빈이 상기 드립퍼에 수집되도록 상기 텀블러의 상면에 나사결합되는 본체부로 구성된 그라인더; 및 상기 그라인더의 상부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을 포함하는 휴대용 드립 커피 메이커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휴대용 드립 커피 메이커는 별도의 종이 필터를 필요로 하며, 다양한 구성으로 인하여 세척이 어렵고 부피가 큰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다양한 텀블러 사용자의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용량가변 텀블러로서 구성요소들의 모듈화를 통해 일회용품 사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이러한 구성 및 효과는 기존의 텀블러들과는 차별화된 요소에 해당한다.
한국등록실용실안 제20-0267294(2002.03.12.)호 한국등록특허 제10-1428669(2014.08.04.)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음료수의 종류 또는 용량에 따라 텀블러의 용량을 변경할 수 있는 용량가변 텀블러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음료수를 수용하는 복수 개의 수용블록들 및 상기 수용블록들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수용블록들을 상하로 연결하는 연결블록들을 포함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 및 하부에 결합하여 상기 몸체를 밀봉하는 두 개의 마개들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블록들 및 상기 연결블록들은 상호 연결을 위한 결합부들을 구비한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관 형상이고, 상기 몸체를 구성하는 상기 수용블록들 및 상기 연결블록들의 수에 따라 수용 용량을 변경하는 용량가변 텀블러를 제공한다.
상기 연결블록은 연결된 상부 수용블록과 하부 수용블록을 구획하는 분리판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분리판은 상기 상부 수용블록으로부터 하부 수용블록으로 음료수를 여과하는 통공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통공은 분리판에 고르게 분포하는 복수 개의 통공일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리판은 메시망일 수 있다.
상기 수용블록들은 내측 벽면에 용량을 표시하는 눈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개들은 상기 몸체 내측으로 결합하는 면에 탈부착이 가능한 머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개들은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무선충전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량가변 텀블러는 복수 개의 수용블록들 및 상기 수용블록들을 상하로 연결하는 연결블록들을 포함하는 몸체를 구비하여, 수용블록들과 연결블록들의 수에 따라 텀블러 몸체의 용량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수용블록들 및 연결블록들은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관 형상으로, 각각 분리하여 세척솔 없이도 손이 닿지 않는 곳 없이 손쉽고 깨끗하게 세척 가능하다.
수용블록의 내측 벽면에는 용량을 표시하는 눈금이 형성되어 별도의 계량 도구 없이도 정확한 양의 음료를 수용할 수 있고, 종이컵보다 편하게 음용할 수 있어 일회용 컵의 사용을 줄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연결블록들은 상부 수용블록과 하부 수용블록을 구획하기 위한 분리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분리판이 상부 수용블록과 하부 수용블록의 액체를 차단하는 경우, 하나의 텀블러에 다양한 종류의 음료수를 휴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일회용 컵의 사용을 자제할 수 있고, 텀블러를 두 개 이상 들고 다니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라, 상기 분리판은 상부 수용블록으로부터 하부 수용블록으로 음료수를 여과하기 위한 통공을 포함하거나, 메시망일 수 있다. 상부 수용블록에서 찻잎 또는 커피 가루 등을 침출하여 하부 수용블록으로 음료수를 여과함으로써 거름망, 종이필터 또는 티백과 같은 부가적인 구성을 대신할 수 있다.
몸체의 상부 및 하부에 결합하여 몸체를 밀봉하는 마개들은 몸체 내측으로 결합하는 면에 머들러 또는 빨대를 더 포함하여 외출 시에도 찻잎이나 커피 가루 등을 물과 효과적으로 혼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회용 머들러 또는 빨대의 사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마개들은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무선충전기를 더 포함할 수 있어 텀블러를 이용하여 휴대 전자기기들을 충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량가변 텀블러는 다양한 구성들이 독립적인 형태로 모듈화되어 있다는 점에서, 사용자가 필요한 기능만을 선택하여 조립 가능하고 상황에 따라 기능의 추가 및 변경이 편리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량가변 텀블러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용량가변 텀블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연결블록의 단면도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분리판을 구비한 연결블록의 평면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머들러를 포함하는 마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충전기를 포함하는 마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용량가변 텀블러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와 용량가변 텀블러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빨대를 포함하는 마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수용블록의 내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마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량가변 텀블러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용량가변 텀블러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량가변 텀블러는 복수 개의 수용블록들(111a, b) 및 상기 수용블록들(111a, b)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수용블록들(111a, b)을 상하로 연결하는 연결블록(113)들을 포함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상부 및 하부에 결합하여 상기 몸체(110)를 밀봉하는 두 개의 마개들(130a, b)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수용블록들(210a, b)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관 형상의 수용블록 케이스(211), 음료를 수용하는 수용부(213) 및 마개(250) 또는 연결블록(230)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215)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블록 케이스(211)는 음료수 용기로 사용되는 공지의 재료를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며, 단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용블록 케이스(211)의 내측 벽면에 용량을 표시하는 눈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215)는 수용블록들(210a, b)과 연결부(230), 및 수용블록들(210a, b)과 마개들(250a, b)을 음료수의 유출이 없도록 결합한다. 결합부(215)는 음료수의 유출이 없는 공지된 결합구조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결합부(215)는 나선결합 구조를 가지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결블록(230)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관 형상의 연결블록 케이스(231), 수용부(213)들을 연결하는 연결부(233) 및 수용블록들(210a, b)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235)를 포함한다.
연결블록(230)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내부가 구획되지 않은 관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연결블록(230)은 상부 수용블록(210a)과 하부 수용블록(210b) 내부의 수용부(213)들을 연결하여 텀블러의 용량을 변경할 수 있다. 이 때 용도에 따라서 사용되는 수용블록들(210)의 수와 연결블록들(230)의 수를 달리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연결블록(230)은 연결부(233)를 상하로 구획하는 분리판(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분리판은 상부 수용블록(210a)과 하부 수용블록(210b)의 음료수가 혼합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막일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분리판은 상부 수용블록(210a)에 수용된 찻잎 또는 커피 가루 등의 고체를 거르고 침출된 액체만을 하부 수용블록(210b)으로 여과하는 메쉬망 또는 통공을 포함하는 차단막일 수 있다.
마개들(250a, b)은 마개 케이스(251)와 수용블록들(210)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253)를 포함한다. 마개들(250a, b)는 상기 수용블록들(210)의 개방된 양단부에 결합하여 몸체를 밀봉한다. 마개들(250a, b)는 디자인을 달리하여 텀블러의 상하를 구별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블록(230)이 분리판을 구비하여 텀블러 상하의 구성이 달라지는 경우에도 마개(250)를 열어보지 않고 텀블러의 상하를 구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마개들(250a, b)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몸체 내측으로 결합하는 면에 탈부착이 가능한 머들러 또는 빨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마개들(250a, b)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무선충전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탈부탁이 가능한 GPS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텀블러의 용도에 따라 수용블록들(210)의 개수 및 연결블록들(230)의 구성을 달리하여 텀블러의 용량 및 기능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필터, 머들러, 빨대, 커피 스틱 및 무선충전기 등을 별도로 휴대할 필요 없이 텀블러만을 휴대함으로써 소지품을 간소화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마개들(250a, b)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무선충전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온도 센서 또는 무게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마개들(250a, b)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온도 센서 또는 무게 감지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텀블러 내부에 수용된 음료수의 온도 또는 용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센서는 마개들(250a, b)의 내부에 포함될 수 있고, 몸체 내측으로 결합하는 면에 부착되어 텀블러 내부에 수용된 음료수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무게 감지 센서는 마개들(250a, b)의 내부에 포함될 수 있고, 텀블러 내부에 수용된 음료수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 또는 상기 무게 감지 센서에 의해 측정된 용량을 표시할 수 있고, 마개들(250a, b)의 외부에 부착되어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측정된 온도 또는 용량을 수치화하여 직접 표시할 수 있고, 특정 온도 또는 용량의 구간에 따라 변화하는 색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텀블러 내부의 음료수 온도 또는 용량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마개들(250a, b)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무선충전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전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열 모듈은 전류를 공급받아 발열하는 발열부재, 상기 무선충전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발열부재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전송부재 및 상기 발열부재와 전류전송부재의 동작을 제어하여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열 모듈은 마개들(250a, b)의 내부에 포함될 수 있고, 텀블러 내부에 수용된 음료수를 가열할 수 있다. 이 경우, 텀블러는 내열성의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전열 모듈은 상기 온도 센서와 결합하여 음료수의 온도를 특정 범위 내에서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고, 상기 휴대용 무선충전기의 충전량이 임계기준 이하로 떨어질 경우 자동으로 동작을 중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마개들(250a, b)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무선충전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알람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람 모듈은 동작 명령을 입력하는 스위치부재, 시간을 측정할 수 있는 타이머부재와 특정 사운드를 재생하는 사운드부재 및 상기 타이머부재와 사운드부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재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즉, 알람 모듈은 스위치부재의 동작에 따라 타이머부재를 통해 특정 시간의 경과를 측정할 수 있고,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경우 사운드부재를 통해 알람음을 재생함으로써 특정 시간이 경과되었음을 외부에 알릴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마개들(250a, b)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무선충전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GPS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GPS 모듈은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휴대용 무선충전기와 결합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GPS 모듈은 외부 시스템과 무선 통신이 가능한 통신 기능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텀블러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GPS 모듈은 사전에 설정된 데이터 수집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텀블러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데이터 수집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텀블러로부터 위치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생산 및 가공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수집 서버는 스마트폰, 노트북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과 블루투스, WiFi, 통신망 등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과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또한, GPS 모듈은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텀블러의 위치 데이터를 전송함과 동시에 스마트폰과의 거리를 산출하여 기 설정된 임계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통해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계 거리가 10m로 설정된 경우 GPS 모듈은 사용자의 스마트폰과의 거리가 10m를 초과한 것으로 검출되면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푸시(push)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
또한, GPS 모듈은 상기 알람 모듈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스마트폰과의 거리가 임계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알람 모듈을 통해 알람음을 재생할 수 있고, 스마트폰과의 거리가 길어질수록 알람음의 세기를 더 크게 설정하여 재생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연결블록의 단면도들이다.
도 3 (a)를 참조하면, 연결블록(310)은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관 형상의 연결블록 케이스(311), 상부 수용블록(미도시)과 하부 수용블록(미도시)의 수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313) 및 수용블록들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315)를 포함한다. 연결블록(310)은 내부를 구획하지 않은 뚫린 관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연결블록(310)은 상부 수용블록과 하부 수용블록을 단순히 연결하여 텀블러 몸체의 용량을 변경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3 (b)를 참조하면, 연결블록(310)은 연결부(313)를 상하로 구획하는 분리판(317)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분리판(317)은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블록(310)의 길이를 이등분하는 지점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결블록 케이스(311) 내의 어느 곳이든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분리판(317)은 평판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분리판(317)은 깔대기 형이거나 반구형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분리판을 구비한 연결블록의 평면도들이다.
도 4 (a)를 참조하면, 연결블록(400)은 상부 수용블록과 하부 수용블록에 각각 수용된 음료수가 혼합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분리판(410)을 포함할 수 있다. 분리판(410)은 음료수 용기에 사용되는 공지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리판(410)이 상부 수용블록과 하부 수용블록의 음료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여 서로 다른 종류의 음료를 하나의 텀블러를 이용하여 휴대하거나, 상하 수용블록에 수용된 음료를 사용 시간대 또는 사용자에 따라 보다 위생적으로 음용할 수 있다.
도 4 (b)를 참조하면, 연결블록(400)의 분리판(410)은 분리판(410)을 관통하는 하나의 통공(4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판(410)은 더치커피의 추출에 사용할 수 있다. 분리판(410)의 중앙에 위치하는 한 개의 통공(411)은 상부 수용블록에 수용되는 커피 가루와 물을 혼합한 혼합액이 여과되어 하부 수용블록으로 3시간 내지 8시간에 걸쳐 이동하기에 적합한 크기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4 (c)를 참조하면, 연결블록(400)의 분리판(410)은 분리판(410)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통공들(4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통공들(413)은 분리판(410) 전 면에 고르게 분포할 수 있으며, 용도에 따라 크기, 형태 및 수를 달리 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통공들(413)을 포함하는 분리판(410)은 상부 수용블록에 수용되는 커피 가루 또는 찻잎 등에서 차를 침출한 침출액을 하부 수용블록으로 여과하는 필터로 사용될 수 있다.
도 4 (d)를 참조하면, 연결블록(400)의 분리판(410)은 그물 모양의 조직을 갖는 메시망(415)일 수 있다.
상기 메시망(415)은 식품 용기에 사용되는 공지된 다양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스테인레스 망일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메시망(415)인 분리판(410)은 마찬가지로 커피 가루 또는 찻잎 등에서 차를 침출하기 위한 필터로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머들러(610)를 포함하는 마개(600)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마개(600)는 머들러(610)를 고정하기 위한 머들러 고정부(601)를 몸체 내측으로 결합하는 면에 구비하고, 상기 머들러 고정부(601)에 탈부착 가능한 머들러(6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머들러(610)는 머들러 고정부(601)에 탈부착 가능한 핸들(611), 상기 핸들(611)로부터 연장되는 스틱(613) 및 상기 스틱(613)의 하부에 형성되는 헤드(615)를 포함한다.
상기 머들러 고정부(601) 및 머들러 핸들(611)은 머들러(610)를 마개(600)로부터 쉽게 탈부착 가능하도록 공지의 고정 결합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
상기 머들러(610)는 수용블록보다 짧은 길이를 가져 마개와 수용블록이 결합된 상태에서 수용블록 내에 수납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스푼, 스틱 또는 머들러를 휴대하지 않고도 손쉽게 찻잎, 커피 가루 등을 물과 손쉽게 혼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충전기(703)를 포함하는 마개(700)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마개(703)은 오목 홈이 형성된 마개 케이스(701) 및 상기 케이스(701)에 끼움 결합 가능한 무선충전기(703)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충전기(703)는 마개(700)가 몸체와 결합하는 면의 반대 방향에 형성되어 충전을 요하는 휴대용 전자기기들과의 접촉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다. 무선충전기(703)는 마개 케이스(701)와 탈부착이 용이하여 마개(700)의 세척 시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다.
무선충전기(703)가 텀블러 마개(700)에 부착됨으로써 텀블러를 무선충전 가능한 휴대용 전자기기 위에 올려놓거나 접촉시킴으로써 손쉽게 휴대용 전자기기들을 충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용량가변 텀블러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그림 (a))와 용량가변 텀블러의 단면도(그림 (b))이다.
도 7의 그림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량가변 텀블러는 3개의 수용블록들(811a, b, c) 및 상기 수용블록들(811a, b, c)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수용블록들(811a, b, c)을 상하로 각각 연결하는 2개의 연결블록들(813a, b)을 포함하는 몸체(810)와 상기 몸체(810)의 상부 및 하부에 결합하여 상기 몸체(810)를 밀봉하는 두 개의 마개들(830a, b)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블록들(813a, b)은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분리판(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분리판은 상부 수용블록(811a)과 하부 수용블록(811b) 또는 상부 수용블록(811b)과 하부 수용블록(811c)의 음료수가 혼합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막일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분리판은 상부 수용블록(811a)에 수용된 찻잎 또는 커피 가루 등의 고체를 거르고 침출된 액체만을 하부 수용블록(811b)으로 여과하는 메쉬망 또는 통공을 포함하는 차단막일 수 있다.
상기 몸체(810)는 수용블록의 개수에 따라 복수 개의 연결블록들(813a, b)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만약 2개 이상의 연결블록들(813a, 813b)을 포함하는 경우 각각의 연결블록들(813a, 813b)은 음료수의 혼합을 차단하는 차단막과 음료수를 여과하는 메시망 또는 통공을 포함하는 차단막을 포함하는 연결블록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단, 중단 및 하단 수용블록들(811a, b, c)에 대해 상단 수용블록(811a)과 중단 수용블록(811b) 사이에 개재되는 연결블록(813a)은 음료수의 혼합을 차단하는 차단막을 포함하고, 중단 수용블록(811b)와 하단 수용블록(811c) 사이에 개재되는 연결블록(813b)은 음료수를 여과하는 메시망 또는 통공을 포함하는 차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만약 2개 이상의 연결블록들(813a, 813b)을 포함하는 경우 각각의 연결블록들(813a, 813b)은 음료수의 혼합을 차단하는 차단막을 포함하는 연결블록들 만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음료수를 여과하는 메시망 또는 통공을 포함하는 차단막을 포함하는 연결블록들 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음료수를 여과하는 메시망 또는 통공을 포함하는 차단막을 포함하는 연결블록들 만으로 구성되는 경우, 각 연결블록들에 포함되는 차단막의 메시망 또는 통공의 크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에 결합되는 연결블록일수록 차단막의 메시망 또는 통공의 크기가 하부에 결합되는 연결블록에 포함된 차단막의 메시망 또는 통공의 크기보다 더 클 수 있다. 또한, 반대의 경우에 해당할 수도 있다.
도 7의 그림 (b)를 참조하면, 상기 수용블록들(811a, b, c)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관 형상의 수용블록 케이스, 음료를 수용하는 수용부 및 마개(830a, b) 또는 연결블록(813a, b)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를 포함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빨대를 포함하는 마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마개(900)는 빨대(910)를 고정하기 위한 빨대 고정부(901)를 몸체 내측으로 결합하는 면에 구비하고, 상기 빨대 고정부(901)에 탈부착 가능한 빨대(9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의 그림 (a)에서, 상기 빨대(910)는 빨대 고정부(901)에 인입되어 결합되는 원통형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빨대 고정부(901)에 형성된 홈에 결합되어 부착된다.
도 8의 그림 (b)에서, 상기 빨대(910)는 빨대 고정부(901)에 탈부착 가능한 빨대 핸들(911), 상기 빨대 핸들(911)로부터 연장되는 빨대 스틱(913)을 포함한다.
상기 빨대 고정부(901)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빨대(910)의 형태에 따라 빨대(910)를 마개(900)로부터 쉽게 탈부착 가능하도록 공지의 고정 결합구조를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빨대(91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수용블록보다 짧은 길이를 가져 마개와 수용블록이 결합된 상태에서 수용블록 내에 수납될 수 있다. 따라서 텀블러와 별도로 빨대를 휴대하지 않고도 텀블러 내에 수용된 음료를 손쉽게 음용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수용블록의 내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용량가변 텀블러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블록(1010)을 포함할 수 있고, 수용블록(1010)은 음료를 수용하는 수용부(1013)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수용블록(1010)은 수용부(1013)의 내측 벽면에 용량을 표시하는 눈금을 표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별도의 계량 도구 없이도 정확한 양의 음료를 수용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마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마개(1110)는 머들러(1111)를 고정하기 위한 머들러 고정부를 몸체 내측으로 결합하는 면에 구비하고, 상기 머들러 고정부에 탈부착 가능한 머들러(11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마개(1110)의 반대쪽에 결합하는 제2 마개(1130)는 빨대(1130)를 고정하기 위한 빨대 고정부를 몸체 내측으로 결합하는 면에 구비하고, 상기 빨대 고정부에 탈부착 가능한 빨대(1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머들러(1111) 및 상기 빨대(1130)는 수용블록보다 짧은 길이를 가져 마개와 수용블록이 결합된 상태에서 수용블록 내에 수납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스푼, 스틱 또는 머들러를 휴대하지 않고도 손쉽게 찻잎, 커피 가루 등을 물과 손쉽게 혼합할 수 있고, 별도의 빨대를 휴대하지 않고도 텀블러 내에 수용된 음료를 손쉽게 음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몸체 111a, b: 수용블록
113: 연결블록 130a, b: 마개
210a, b: 수용블록 211: 수용블록 케이스
213: 수용부 215: 수용블록 결합부
230: 연결블록 231: 연결블록 케이스
233: 연결부 235: 연결블록 결합부
250a, b: 마개 251: 마개 케이스
253: 마개 결합부
310: 연결블록 311: 연결블록 케이스
313: 연결부 315: 연결블록 결합부
317: 분리판
400: 연결블록 410: 분리판
411, 413: 통공 415: 메시망
600: 마개 601: 머들러 고정부
610: 머들러 611: 핸들
613: 스틱 615: 헤드
700: 마개 701: 마개 케이스
703: 무선충전기
810: 몸체 811a, b, c: 수용블록
813a, b: 연결블록 830a, b: 마개
900: 마개 901: 빨대 고정부
910: 빨대 911: 빨대 핸들
913: 빨대 스틱
1010: 수용블록 1011: 수용부
1110: 제1 마개 1111: 머들러
1130: 제2 마개 1131: 빨대

Claims (8)

  1. 음료수를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블록들(111a, 111b) 및 상기 복수의 수용블록들(111a, 111b)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복수의 수용블록들(111a, 111b)을 상하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블록(113)을 포함하는 몸체(110); 및
    상기 몸체(11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몸체(110)를 밀봉하는 2개의 마개들(130a, 130b)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수용블록들(111a, 111b)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블록(113) 각각은 상호 연결을 위한 결합부(215, 235, 253)를 구비한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관 형상이고,
    상기 복수의 수용블록들(111a, 111b)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블록(113)의 연결에 따라 수용 용량을 변경하는 용량가변 텀블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블록(113)은 연결된 상부 수용블록(111a)과 하부 수용블록(111b)을 구획하는 분리판(31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가변 텀블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317)은 상기 상부 수용블록(111a)으로부터 상기 하부 수용블록(111b)으로 음료수를 여과하는 통공(411, 4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가변 텀블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317)은 상기 분리판(317) 전체에 고르게 분포하는 복수개의 통공들(4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가변 텀블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317)은 메시망(4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가변 텀블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용블록들(111a, 111b)은 내측 벽면에 용량을 표시하는 눈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가변 텀블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마개들(130a, 130b)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몸체 내측으로 결합하는 면에 탈부착이 가능한 머들러(610) 또는 빨대(9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가변 텀블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마개들(130a, 130b) 중 적어도 하나는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무선충전기(703) 또는 GPS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가변 텀블러.

KR1020190071816A 2019-06-17 2019-06-17 커스터마이징 모듈형 텀블러 KR102386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816A KR102386176B1 (ko) 2019-06-17 2019-06-17 커스터마이징 모듈형 텀블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816A KR102386176B1 (ko) 2019-06-17 2019-06-17 커스터마이징 모듈형 텀블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008A true KR20200144008A (ko) 2020-12-28
KR102386176B1 KR102386176B1 (ko) 2022-04-13

Family

ID=74087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1816A KR102386176B1 (ko) 2019-06-17 2019-06-17 커스터마이징 모듈형 텀블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617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68762U (ko) * 1988-11-11 1990-05-24
KR200267294Y1 (ko) 2001-12-22 2002-03-12 (주)대호비투비 탈착 가능한 다단식 음료용기
JP2009056069A (ja) * 2007-08-31 2009-03-19 Shizuoka Chasho Kogyo Kyodo Kumiai 飲料用容器及び飲料用容器の使用方法
JP3179810U (ja) * 2012-06-26 2012-11-22 隆弘 末國 収納用容器
KR101428669B1 (ko) 2012-12-17 2014-08-11 한국과학기술원 휴대용 드립커피 메이커
JP2015048145A (ja) * 2013-09-04 2015-03-16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保温ボトル
JP2016041108A (ja) * 2014-08-14 2016-03-31 美恵子 井ノ上 食品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20765A (en) * 1990-09-28 1992-06-09 Shell Oil Company Block copolymer dispersions and process to prepare block copolymer dispersion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68762U (ko) * 1988-11-11 1990-05-24
KR200267294Y1 (ko) 2001-12-22 2002-03-12 (주)대호비투비 탈착 가능한 다단식 음료용기
JP2009056069A (ja) * 2007-08-31 2009-03-19 Shizuoka Chasho Kogyo Kyodo Kumiai 飲料用容器及び飲料用容器の使用方法
JP3179810U (ja) * 2012-06-26 2012-11-22 隆弘 末國 収納用容器
KR101428669B1 (ko) 2012-12-17 2014-08-11 한국과학기술원 휴대용 드립커피 메이커
JP2015048145A (ja) * 2013-09-04 2015-03-16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保温ボトル
JP2016041108A (ja) * 2014-08-14 2016-03-31 美恵子 井ノ上 食品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6176B1 (ko) 2022-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696983U (zh) 泡扭杯
CN100482140C (zh) 饮料保存和分发罐,也可用于通过提取和/或浸入临时制备饮料
US8467670B2 (en) Portable hot beverage maker
US20150366395A1 (en) Brewing and Filtering Device for Coffee and Tea
US20110089180A1 (en) Thermos with two chambers
CN103892656A (zh) 智能水杯
CN202843357U (zh) 快速定量装置
US8734874B1 (en) Beverage brewing lid and system and method incorporating such a lid
CN104379461A (zh) 上推式的谷物杯
US20170099978A1 (en) Combination cup and brewer
KR102386176B1 (ko) 커스터마이징 모듈형 텀블러
CN206507845U (zh) 一种旋转识别的多腔体调味瓶
CN206043813U (zh) 滴漏式随行杯
CN105310412A (zh) 一种监测茶水浓度并自动下水的智能茶杯
CN211066031U (zh) 一种多功能水杯
KR101610588B1 (ko) 커피 압출기
CN202489436U (zh) 一种具有储藏功能的摇杯
JP3166261U (ja) ポータブルコーヒー研磨飲用装置
CN2930549Y (zh) 便携式饮茶机
CN209965961U (zh) 分隔式储物饮水杯
WO2000072735A2 (en) Receptacle for a beverage
KR101787271B1 (ko)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
CN219147276U (zh) 一种多功能保温杯
JPH11216065A (ja) 一杯立て紅茶の抽出器具および抽出方法
CN210727530U (zh) 一种循环式水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