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7271B1 -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7271B1
KR101787271B1 KR1020160081694A KR20160081694A KR101787271B1 KR 101787271 B1 KR101787271 B1 KR 101787271B1 KR 1020160081694 A KR1020160081694 A KR 1020160081694A KR 20160081694 A KR20160081694 A KR 20160081694A KR 101787271 B1 KR101787271 B1 KR 101787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communication control
coffee
stat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1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Priority to KR1020160081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7271B1/ko
Priority to PCT/KR2017/006555 priority patent/WO201800418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7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7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5Portable or compact beverage making apparatus, e.g. for travelling, for use in automotive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52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to by-pass a quantity of water, e.g. to adjust beverage str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5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는, 원두 분쇄물에 물이 주입되어 제조되는 커피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주입된 상기 원두 분쇄물이 저장되고 드립핑을 위한 제1 공간을 제공하는 제1 본체; 및 상기 제1 공간에 주입된 물이 상기 원두 분쇄물을 통과한 후, 드립핑된 커피가 저장되기 위한 제2 공간을 제공하는 제2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본체는, 상기 제1 본체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2 공간에 저장된 상기 드립핑된 커피가 상기 제1 공간을 경유하지 않고 음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Portable coffee drinking tumbler}
본 발명은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풍미와 고급성으로 인하여 인스턴트커피 대신 원두커피가 널리 음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원두커피 전문 매장과 원두커피 애호가들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가정이나 일반 사무실 등에서 원두커피를 마시고자 할 경우에는 별도의 분쇄장치를 이용하여 원두를 가루로 만든 후, 이를 여과장치에 투입하여 커피액을 추출함으로써 원두커피를 마시거나, 별도의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을 구입하여 원두커피를 마실 수 있다.
그러나, 분쇄장치 및 여과장치 또는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이 구비된 장소에서는 원두커피 전문매장을 이용하지 않아도 원두커피를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나, 상기 분쇄장치 및 여과장치 또는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이 구비되지 않은 장소에서는 원두커피 전문매장을 이용하지 않고서는 원두커피를 섭취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즉, 인스턴트커피의 경우에는 인스턴트커피와 컵 및 뜨거운 물을 구비함으로서 여행시나 그 외 실외의 공간에서도 간편하게 인스턴트커피를 섭취할 수 있으나, 원두커피는 인스턴트커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분쇄장치 및 여과장치 또는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을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여행시나 기타 실외의 공간에서 원두커피를 섭취하는 것은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분쇄장치와 여과장치가 소형으로 제작되어 원두커피 애호가들이 휴대하기 편리하도록 시중에 판매 - 분쇄장치에 의해 분쇄된 원두분쇄물은 별도로 시중에 판매되고 있음 - 되고 있으나, 여전히 커피 섭취자는 상기 분쇄장치와 여과장치 그리고 커피잔 및 뜨거운 물이 담겨 진 보온병을 별도로 준비하고 다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또한, 상기 분쇄장치와 여과장치를 거친 원두액을 커피잔에 옮겨 담는 과정에서 원두커피의 맛과 향이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은 그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개인의 취향에 따라 원두커피농도를 조절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원발명의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20-2009-000673호 '거름망용기를 구비한 텀블러'가 있다.
본 발명은 목적은, 드립 커피를 제조하기 위한 여과장치와 드립 커피의 음용을 위한 용기를 별도로 준비하고 다녀야 하는 번거로움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는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는, 원두 분쇄물에 물이 주입되어 제조되는 커피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주입된 상기 원두 분쇄물이 저장되고 드립핑을 위한 제1 공간을 제공하는 제1 본체; 및 상기 제1 공간에 주입된 물이 상기 원두 분쇄물을 통과한 후, 드립핑된 커피가 저장되기 위한 제2 공간을 제공하는 제2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본체는, 상기 제1 본체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2 공간에 저장된 상기 드립핑된 커피가 상기 제1 공간을 경유하지 않고 음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는, 상기 제2 본체가 상기 제1 본체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의 연통 여부를 조절하는 연통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의 상기 연통조절부는, 상기 제2 본체가 상기 제1 본체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을 연통시키는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을 비연통시키는 제2 상태로 상태 변화되며,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는, 각각 상기 드립핑을 위한 시간 및 음용을 위한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의 상기 연통조절부는, 제1 연통조절부 및 제2 연통조절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연통조절부 및 상기 제2 연통조절부 중 적어도 하나는, 나머지 하나를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위치 변화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의 상기 제1 연통조절부는,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공간과 연결되는 제1 연결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연통조절부는,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2 공간과 연결되는 제2 연결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제1 연결공간과 상기 제2 연결공간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이고,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제1 연결공간과 상기 제2 연결공간이 어긋난 위치에 배치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의 상기 제1 연통조절부는, 상광하협의 상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연결공간은, 상기 상면의 중앙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의 상기 제1 연통조절부 및 상기 제2 연통조절부 중 적어도 하나는, 나머지 하나를 기준으로 슬라이딩 되어 위치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는, 상기 제2 본체가 상기 제1 본체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의 연통 여부를 조절하는 연통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본체는, 상기 연통조절부에 의해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의 연통이 차단되면, 상기 제2 공간에 저장된 상기 드립핑된 커피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는,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제2 본체가 연결되고 상기 연통조절부에 의해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이 연통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본체가 상기 제1 본체를 기준으로 중력 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제1 공간에 주입된 물이 상기 원두 분쇄물을 통과한 후, 드립핑된 커피가 상기 제2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며,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제2 본체가 연결되고 상기 연통조절부에 의해 상기 제1 공간과 제2 공간의 연통이 차단되면, 상기 제1 본체가 상기 제2 본체를 기준으로 중력 방향에 위치하도록 위치 변화되어 상기 배출부를 통해 상기 드립핑된 커피가 음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의 상기 제2 본체는, 상기 제2 공간에 저장된 상기 드립핑된 커피의 양이 외부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윈도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의 상기 윈도우는, 상기 제2 본체가 상기 제1 본체의 중력 방향에 위치한 경우를 기준으로, 상기 제2 본체의 상측에 치우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는, 원두 분쇄물에 물이 주입되어 제조되는 커피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주입된 상기 원두 분쇄물이 저장되고 드립핑을 위한 제1 공간을 제공하는 제1 본체; 및 상기 제1 공간에 주입된 물이 상기 원두 분쇄물을 통과한 후, 드립핑된 커피가 저장되기 위한 제2 공간을 제공하는 제2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은, 선택적으로 연통 여부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는, 상기 제1 본체가 상기 제2 본체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의 연통 여부를 조절하는 연통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에 의하면, 드립 커피를 제조하기 위한 여과장치와 드립 커피의 음용을 위한 용기를 별도로 준비하고 다녀야 하는 번거로움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드립 커피를 커피잔에 옮겨 담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맛과 향의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세척을 용이하게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 및 청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를 도시한 개략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를 도시한 내부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에 제공되는 연통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내지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의 상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를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를 도시한 개략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를 도시한 내부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에 제공되는 연통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P, 도 6 참조)는, 원두 분쇄물(P)에 뜨거운 물(W, 도 6 참조)을 부어 걸러낸 후 제조되는 드립 커피를 음용할 수 있는 용기로, 드립퍼와 음용용기가 구현된 신개념의 텀블러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100)는, 원두 분쇄물(P)에 물(W)이 주입되어 제조되는 커피를 음용할 수 있는 것으로, 제1 본체(110) 및 제2 본체(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본체(110)는 원두 분쇄물(P)에 주입된 뜨거운 물(W)을 걸러 낼 수 있는 필터(F)가 배치되기 위한 제1 공간(S1)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필터(F)는 드립핑을 구현하기 위한 공지의 필터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1 공간(S1)에 상기 필터(F)가 배치되면, 외부로부터 상기 필터(F)에 원두 분쇄물(P)이 적정량 주입될 수 있으며, 이후에는 드립핑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제2 본체(120)는 상기 제1 공간(S1)에 주입된 물(W)이 상기 원두 분쇄물(P)을 통과하여 추출되는 드립핑된 커피가 저장되기 위한 제2 공간(S2)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본체(110)와 상기 제2 본체(120)는 착탈 가능하게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방식에 대해서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본체(110)와 상기 제2 본체(120)는 나사 체결 방식에 의해 서로 연결되거나, 어느 하나에 돌기를 구현하고, 다른 하나에 상기 돌기를 수용할 수 있는 홈 등을 구현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본체(110)와 상기 제2 본체(120)는 억지끼움 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도 있으나, 분리가 불가능한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2 본체(120)는 상기 제1 본체(110)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2 공간(S2)에 저장된 상기 드립핑된 커피가 상기 제1 공간(S1)을 경유하지 않고 음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100)는 상기 제2 본체(120)가 상기 제1 본체(110)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공간(S1)과 상기 제2 공간(S2)의 연통 여부를 조절할 수 있는 연통조절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공간(S1)과 상기 제2 공간(S2)은 상기 연통조절부(130)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통 여부가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연통조절부(130)는 상태 변화에 의해 상기 제1 공간(S1)과 상기 제2 공간(S2)의 연통 여부를 조절할 수 있는 일종의 구획부재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통조절부(130)는 상기 제2 본체(120)가 상기 제1 본체(110)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공간(S1)과 상기 제2 공간(S2)을 연통시키는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1 공간(S1)과 상기 제2 공간(S2)을 비연통시키는 제2 상태로 상태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태는 드립핑이 가능하여 제2 공간(S2)에 드립핑된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상태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상태는 드립핑이 완료된 후, 상기 제2 공간(S2)에 추출된 드립핑된 커피가 상기 제1 공간(S1)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상태일 수 있다.
결국,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드립핑을 위한 시간 동안 유지되는 상태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상태는 드립핑이 완료된 후 음용을 위한 시간 동안 유지되는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연통조절부(130)는, 2개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연통조절부(132)와 제2 연통조절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통조절부(132) 및 상기 제2 연통조절부(134) 중 적어도 하나는, 나머지 하나를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위치 변화가 가능할 수 있으며, 위치 변화에 의해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또는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상태 변화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연통조절부(132)는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공간(S1)과 연결되는 제1 연결공간(S3)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연결공간(S3)은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통조절부(134)는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2 공간(S2)과 연결되는 제2 연결공간(S4)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연결공간(S4)은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1 연결공간(S3) 및 상기 제2 연결공간(S4)은, 대략 방사상으로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1 상태는 상기 제1 연결공간(S3)과 상기 제2 연결공간(S4)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드립핑이 가능하여 제2 공간(S2)에 드립핑된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제1 연결공간(S3)과 상기 제2 연결공간(S4)이 어긋난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더 이상의 드립핑이 진행될 수 없는 상태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연통조절부(132)는 상광하협의 상면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필터(F)로부터 걸러져 생산되는 드립핑된 커피는 상기 제1 연통조절부(132)의 중앙으로 수렴하게 된 후, 상기 상면의 중앙에 형성된 상기 제1 연결공간(S3) 및 상기 제2 연통조절부(134)의 대략 중앙에 형성된 상기 제2 연결공간(S4)을 통과하여 상기 제2 공간(S2)에 유입되게 된다.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로의 상태 변화는, 상기 제1 연통조절부(132) 및 상기 제2 연통조절부(134) 중 적어도 하나가 나머지 하나를 기준으로 한 슬라이딩 위치 변화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구제적으로, 드립핑이 완료되어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상태 변화하기 위해, 상기 제1 연통조절부(132)는 제2 연통조절부(134)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연결공간(S3)은 상기 제2 연결공간(S4)과 어긋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1 공간(S1)과 상기 제2 공간(S2)은 서로 완벽하게 분리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100)를 회전시킨 후, 상기 제2 공간(S2)에 저장된 드립핑된 커피를 음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100)의 사용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의 상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5(a)를 참조하면, 드립핑을 위해 제1 본체(110)의 제1 공간(S1)의 개폐를 조절하는 일종의 커버인 제1 개폐부(112)를 상기 제1 본체(110)로부터 분리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1 개폐부(112)는 상기 제1 본체(110)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개폐부(112)에는 실링 및 견고한 장착을 위해 탄성 재질의 고무링(R, 도 2 참조)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개폐부(112)는 일부가 상기 제1 본체(110)의 내면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본체(110)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본체(110)의 내면 및 상기 제1 개폐부(112)의 일부의 외면에는 견고한 장착을 구현하기 위해 요철 형상의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개폐부(112)와 상기 제1 본체(110)의 연결은 억지끼움 방식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나사체결 방식 등 다양한 공지의 방식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도 5(a)와 같이 제1 개폐부(112)를 제1 본체부(110)로부터 분리시키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공간(S1)에 배치되는 필터(F)의 커버(C)를 오픈한다.
상기 필터(F)의 커버(C)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커버(C)가 없어도 무방하다.
상기 필터(F)의 커버(C)가 오픈되면, 상기 필터(F)에 원두 분쇄물(P)을 적정량 투입한다.
이때, 제1 공간(S1)과 제2 공간(S2)은 서로 연통된 상태일 수 있으며, 즉, 제1 상태로, 제1 연결공간(S3)과 제2 연결공간(S4)이 서로 연통된 상태일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적정량의 원두 분쇄물(P)이 필터(F)에 투입되면, 뜨거운 물(W)을 상기 필터(F)에 주입한다.
주입된 물(W)은 상기 원두 분쇄물(P)을 통과하기 시작하며, 드립핑된 커피는 필터(F)를 통과한 후, 제1 연결공간(S3)으로 모이게 되고, 상기 제1 연결공간(S3) 및 상기 제1 연결공간(S3)과 연통된 제2 연결공간(S4)을 통해 제2 공간(S2)으로 유입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공간(S1)으로부터 상기 제2 공간(S2)으로의 드립핑된 커피의 유입은 제2 본체(120)가 제1 본체(110)를 기준으로 중력 방향에 위치하므로,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드립핑 공정이 완료되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통조절부(130)를 회전시켜 상기 제1 연결공간(S3)을 제2 연결공간(S4)과 어긋나게 하여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상태 변화시킨다.
그리고, 제1 공간(S1)을 폐쇄하기 위해 제1 개폐부(112)를 제1 본체(110)에 삽입시킨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본체(110)와 상기 제2 본체(120)가 연결되고 상기 연통조절부(130)에 의해 상기 제1 공간(S1)과 제2 공간(S2)의 연통이 차단되면, 상기 제1 본체(110)가 상기 제2 본체(120)를 기준으로 중력 방향에 위치하도록 위치 변화되어 배출부(124)를 통해 상기 드립핑된 커피가 음용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배출부(124)는 상기 연통조절부(130)에 의해 상기 제1 공간(S1)과 상기 제2 공간(S2)의 연통이 차단되면, 상기 제2 공간(S2)에 저장된 상기 드립핑된 커피가 배출되도록 하는 구성요소로, 공지의 방식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배출부(124)를 통한 드립핑된 커피의 음용을 위해 제2 개폐부(122)를 제2 본체부(12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개폐부(122)는 상기 제2 본체(120)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개폐부(122)에는 실링 및 견고한 장착을 위해 탄성 재질의 고무링(R)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개폐부(122)는 일부가 상기 제2 본체(120)의 내면에 삽입되어 상기 제2 본체(120)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본체(120)의 내면 및 상기 제2 개폐부(122)의 일부의 외면에는 견고한 장착을 구현하기 위해 요철 형상의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 개폐부(122)와 상기 제2 본체(120)의 연결은 억지끼움 방식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나사체결 방식 등 다양한 공지의 방식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본체(120)는 상기 제2 공간(S2)에 저장된 상기 드립핑된 커피의 양이 외부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투명한 윈도우(12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126)는 상기 제2 본체(120)가 상기 제1 본체(110)의 중력 방향에 위치한 경우를 기준으로, 상기 제2 본체(120)의 상측에 치우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음용 시 잔존하는 커피의 양을 보다 정확하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 윈도우(126)는 음용 시 제2 본체(120)의 하측에 치우치게 배치됨 - .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 - 예를 들면, 제1 공간(S1)과 제2 공간(S2)의 실링을 위한 탄성 재질의 실링부재 추가 등 - 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
110: 제1 본체
120: 제2 본체
130: 연통조절부

Claims (13)

  1. 원두 분쇄물에 물이 주입되어 제조되는 커피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에 있어서,
    주입된 상기 원두 분쇄물이 저장되고 드립핑을 위한 제1 공간을 제공하는 제1 본체;
    상기 제1 공간에 주입된 물이 상기 원두 분쇄물을 통과한 후, 드립핑된 커피가 저장되기 위한 제2 공간을 제공하는 제2 본체; 및
    상기 제2 본체가 상기 제1 본체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의 연통 여부를 조절하는 연통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본체는,
    상기 제1 본체와 연결되고 상기 연통조절부에 의해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이 연통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본체를 기준으로 중력 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제1 공간에 주입된 물이 상기 원두 분쇄물을 통과한 후, 상기 드립핑된 커피가 상기 제2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연통조절부에 의해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의 연통이 차단되면, 상기 제2 공간에 저장된 상기 드립핑된 커피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본체는,
    상기 제2 본체와 연결되고 상기 연통조절부에 의해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의 연통이 차단되면, 상기 제2 본체를 기준으로 중력 방향에 위치되도록 위치 변화되어 상기 배출부를 통해 상기 드립핑된 커피가 음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조절부는,
    상기 제2 본체가 상기 제1 본체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을 연통시키는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을 비연통시키는 제2 상태로 상태 변화되며,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는,
    각각 상기 드립핑을 위한 시간 및 음용을 위한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조절부는,
    제1 연통조절부 및 제2 연통조절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연통조절부 및 상기 제2 연통조절부 중 적어도 하나는,
    나머지 하나를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위치 변화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통조절부는,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공간과 연결되는 제1 연결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연통조절부는,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2 공간과 연결되는 제2 연결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제1 연결공간과 상기 제2 연결공간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이고,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제1 연결공간과 상기 제2 연결공간이 어긋난 위치에 배치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통조절부는,
    상광하협의 상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연결공간은,
    상기 상면의 중앙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통조절부 및 상기 제2 연통조절부 중 적어도 하나는,
    나머지 하나를 기준으로 슬라이딩 되어 위치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본체는,
    상기 제2 공간에 저장된 상기 드립핑된 커피의 양이 외부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윈도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상기 제2 본체가 상기 제1 본체의 중력 방향에 위치한 경우를 기준으로, 상기 제2 본체의 상측에 치우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
  12. 삭제
  13. 삭제
KR1020160081694A 2016-06-29 2016-06-29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 KR101787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694A KR101787271B1 (ko) 2016-06-29 2016-06-29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
PCT/KR2017/006555 WO2018004189A1 (ko) 2016-06-29 2017-06-22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694A KR101787271B1 (ko) 2016-06-29 2016-06-29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712A Division KR20180002552A (ko) 2017-09-22 2017-09-22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7271B1 true KR101787271B1 (ko) 2017-10-17

Family

ID=60297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1694A KR101787271B1 (ko) 2016-06-29 2016-06-29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72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51837A1 (ko) * 2018-02-05 2019-08-08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4596A (ja) * 2004-02-13 2005-08-25 Tall & Stout Industrial Corp コーヒーおよび水のディスペンサ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4596A (ja) * 2004-02-13 2005-08-25 Tall & Stout Industrial Corp コーヒーおよび水のディスペンサ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51837A1 (ko) * 2018-02-05 2019-08-08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
KR20190094616A (ko) * 2018-02-05 2019-08-14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
KR102071046B1 (ko) * 2018-02-05 2020-01-28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
US11013359B2 (en) 2018-02-05 2021-05-25 Innodesign Co., Ltd Drip container and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8882B1 (ko) 핸드드립커피 텀블러
US6797304B2 (en) French press coffee maker with assembly to selectively reduce contact of grounds with liquid coffee
CN102215725B (zh) 用于制备咖啡饮料的系统以及相关方法
KR100897948B1 (ko)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
KR101428669B1 (ko) 휴대용 드립커피 메이커
RU267657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лива напитка
US9320383B2 (en) French press blender
US20080199580A1 (en) Tea maker with timer
KR20100069615A (ko) 커피드립장치와 이에 사용되는 커피 포드
CA3186424A1 (en) Coffee making system
KR101787271B1 (ko)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
US11553813B2 (en) Infusion assembly, containment vessel provided with such an infusion assembly, kit for assembling the same, and corresponding methods of manufacturing, operating and use associated thereto
KR200469512Y1 (ko) 드립 커피 제조용 커피 바스켓
KR20180002552A (ko)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
KR20160069947A (ko) 휴대용 드립 커피 추출기
KR102062169B1 (ko)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
KR101544308B1 (ko) 캐니스터 그라인더
KR101894843B1 (ko) 커피 드립퍼
KR102071046B1 (ko)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
KR20180129043A (ko) 추출 음료 음용 용기
KR102221396B1 (ko)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음용 용기
KR20170129418A (ko) 휴대용 원두커피 드립용기세트
KR102057924B1 (ko) 보틀 타입의 휴대용 핸드드립 기구
KR101584181B1 (ko) 핸드드립커피 텀블러
KR20160002220U (ko) 멀티형 핸드 커피드립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