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1396B1 -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음용 용기 - Google Patents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음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1396B1
KR102221396B1 KR1020190038249A KR20190038249A KR102221396B1 KR 102221396 B1 KR102221396 B1 KR 102221396B1 KR 1020190038249 A KR1020190038249 A KR 1020190038249A KR 20190038249 A KR20190038249 A KR 20190038249A KR 102221396 B1 KR102221396 B1 KR 102221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main body
opening
filter
drin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8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6644A (ko
Inventor
김영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Priority to KR1020190038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1396B1/ko
Publication of KR20200116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6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1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1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2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for securing the filter holder to the beverag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6Filter holding means; Attachment of filters to beverage-mak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음용 용기는, 드립 커피를 제조하기 위한 여과장치와 드립 커피의 음용을 위한 용기를 별도로 준비하고 다녀야 하는 번거로움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드립 커피를 커피잔에 옮겨 담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맛과 향의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세척을 용이하게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 및 청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음용 용기{Dripper and portable drinking tumbler}
본 발명은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음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음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풍미와 고급성으로 인하여 인스턴트커피 대신 원두커피가 널리 음용 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원두커피 전문 매장과 원두커피 애호가들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원두커피를 가정이나 일반 사무실 등에서 마시고자 할 경우에는 별도의 분쇄장치를 이용하여 원두를 가루로 만든 후, 이를 여과장치에 투입하여 커피액을 추출함으로써 원두커피를 마시거나, 별도의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을 구입하여 원두커피를 마실 수 있다.
이때, 분쇄장치 및 여과장치 또는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이 구비된 장소에서는 원두커피 전문매장을 이용하지 않아도 원두커피를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나, 분쇄장치 및 여과장치 또는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이 구비되지 않은 장소에서는 원두커피 전문매장을 이용하지 않고서는 원두커피를 섭취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즉, 인스턴트커피의 경우에는 인스턴트커피와 컵 및 뜨거운 물을 구비함으로서 여행시나 그 외 실외의 공간에서도 간편하게 인스턴트커피를 섭취할 수 있으나, 원두커피는 인스턴트커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분쇄장치 및 여과장치 또는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을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여행시나 기타 실외의 공간에서 원두커피를 섭취하는 것은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분쇄장치와 여과장치가 소형으로 제작되어 원두커피 애호가들이 휴대하기 편리하도록 시중에 판매(분쇄장치에 의해 분쇄된 원두분쇄물은 별도로 시중에 판매되고 있음)되고 있으나, 여전히 커피 섭취자는 분쇄장치와 여과장치 그리고 커피잔 및 뜨거운 물이 담겨진 보온병을 별도로 준비하고 다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또한, 분쇄장치와 여과장치를 거친원두액을 커피잔에 옮겨 담는 과정에서 원두커피의 맛과 향이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더불어,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은 그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개인의 취향에 따라 원두커피농도를 조절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원발명의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20-2009-000673호 '거름망용기를 구비한 텀블러'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드립 커피를 제조하기 위한 여과장치와 드립 커피의 음용을 위한 용기를 별도로 준비하고 다녀야 하는 번거로움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는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음용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드립핑 용기는, 식품 원료를 드립핑하기 위한 제1공간(S1)이 제공되고, 드립핑이 완료되어 제조되는 추출 음료를 제2공간(S2)으로 배출하기 위한 유출구(H1)가 구비되며, 상기 제1공간(S1)을 형성하는 내벽의 일 영역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부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제1공간(S1)의 개폐 여부가 조절되도록,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개폐부; 상기 제1공간(S1)에 배치되되, 드립핑이 가능하도록 하는 거름망이 구비되며, 외벽의 일 영역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구비되는 필터; 및 상기 본체와 상기 필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개폐부의 장착 시 상기 돌출부에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며, 상기 돌출부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개폐부와 상기 탄성부재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필터의 위치가 변화됨에 따라 상기 유출구(H1)의 개폐 여부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핑 용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용 용기는, 식품 원료를 드립핑하기 위한 제1공간(S1)과 상기 제1공간(S1)에서 제조되는 추출 음료가 수용되는 제2공간(S2)이 제공되고, 드립핑이 완료되어 제조되는 상기 추출 음료를 제1공간(S1)에서 제2공간(S2)으로 배출하기 위한 유출구(H1)가 구비되며, 상기 제1공간(S1)을 형성하는 내벽의 일 영역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부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제1공간(S1)의 개폐 여부가 조절되도록,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개폐부; 상기 제1공간(S1)에 배치되되, 드립핑이 가능하도록 하는 거름망이 구비되며, 외벽의 일 영역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구비되는 필터; 및 상기 본체와 상기 필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개폐부의 장착 시 상기 돌출부에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며, 상기 돌출부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개폐부와 상기 탄성부재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필터의 위치가 변화됨에 따라 상기 유출구(H1)의 개폐 여부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용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음용 용기에 의하면, 드립 커피를 제조하기 위한 여과장치와 드립 커피의 음용을 위한 용기를 별도로 준비하고 다녀야 하는 번거로움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드립 커피를 커피잔에 옮겨 담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맛과 향의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세척을 용이하게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 및 청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핑 용기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핑 용기를 도시한 개략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핑 용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핑 용기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도 7은 도 2의 개략 단면도에 대한 일부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용 용기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9는 드립핑을 위해 제1개폐부가 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용 용기를 도시한 개략 분해사시도,
도 10는 드립 커피의 음용을 위해 제2개폐부가 음용부로부터 분리된 상태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용 용기를 도시한 개략 분해사시도,
도 11은 도 8의 B-B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용 용기를 도시한 개략 분해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용 용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개략단면도,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용 용기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음용 용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핑 용기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핑 용기를 도시한 개략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핑 용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핑 용기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도 7은 도 2의 개략 단면도에 대한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립핑 용기(100)는, 원두 분쇄물(P) 또는 말린 찻잎 등의 식품 원료를 드립핑하기 위한 제1공간(S1)이 제공되고, 드립핑이 완료되어 제조되는 드립 커피(DC) 또는 추출 음료를 제2공간(S2)으로 배출하기 위한 유출구(H1)가 구비되며, 제1공간(S1)을 형성하는 내벽의 일 영역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부(132)가 구비되는 본체(130); 제1공간(S1)의 개폐 여부가 조절되도록, 본체(13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개폐부(140); 제1공간(S1)에 배치되되, 드립핑이 가능하도록 하는 거름망(164)이 구비되며, 외벽의 일 영역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62)가 구비되는 필터(160); 및 본체(130)와 필터(160) 사이에 배치되어 제1개폐부(140)의 장착 시 돌출부(162)에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지지부(132)에 지지되며, 돌출부(162)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재(110);를 포함하되, 제1개폐부(140)와 탄성부재(110)의 상호 작용에 의해 필터(160)의 위치가 변화됨에 따라 유출구(H1)의 개폐 여부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탄성부재(110)는, 내벽의 일 영역에 돌출부(162)가 끼워지는 끼움홈(112)이 구비되는 밀착부(114); 및 돌출부(162)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 변형되거나 돌출부(162)에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밀착부(114)의 하부에 돌출 연장되어 지지부(132)에 지지되는 탄성 변형부(116);를 포함한다.
또한, 드립핑 용기(100)는, 필터(160)의 하부에 구비되며, 제1개폐부(140)와 탄성부재(110)의 상호 작용에 의해 필터(160)의 위치가 변화됨에 따라 유출구(H1)를 개폐시키는 밀폐부재(120);를 더 포함한다.
또한, 필터(160)는, 상부에 상측으로 돌출 연장되는 누수 방지부(163);를 포함하며, 본체(130)는, 제1개폐부(140)와 결합되는 상부에 상측으로 돌출 연장되는 누수 방지단(133);을 포함하고, 제1개폐부(140)는, 본체(130)에 장착 시, 누수 방지부(163)에 접촉하여 필터(160)의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제1링부재(142); 및 본체(130)에 장착 시, 누수 방지단(133)에 접촉하여 본체(130)의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제2링부재(14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드립핑 용기(100)는 제1공간(S1)에서 원두 분쇄물(P) 또는 말린 찻잎 등을 드립핑하고, 드립핑이 완료되어 제조된 드립 커피(DC) 또는 추출 음료를 제2공간(S2)으로 배출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원두 분쇄물(P)을 드립핑하기 위한 제1공간(S1)이 제공되고, 드립핑이 완료되어 제조되는 드립 커피(DC)를 제2공간(S2)으로 배출하기 위한 유출구(H1)가 구비되며, 제1공간(S1)을 형성하는 내벽의 일 영역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부(132)가 구비되는 본체(130)와, 제1공간(S1)의 개폐 여부가 조절되도록, 본체(13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개폐부(140)와, 제1공간(S1)에 배치되되, 드립핑이 가능하도록 하는 거름망(164)이 구비되며, 외벽의 일 영역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62)가 구비되는 필터(160) 및 본체(130)와 필터(160) 사이에 배치되어 제1개폐부(140)의 장착 시 돌출부(162)에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지지부(132)에 지지되며, 돌출부(162)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재(1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공간(S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핑 용기(100)의 외부 공간을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드립핑 용기(100)로부터 배출되는 드립 커피를 수용하는 일종의 컵(C, 도 5, 6 참조)의 내부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본체(130)는 원두 분쇄물(P)을 드립핑하기 위해 상측이 개구된 제1공간(S1)이 제공되고, 드립핑이 완료되어 제조된 드립 커피(DC)를 제2공간(S2)으로 배출하기 위한 유출구(H1)가 구비되며, 제1공간(S1)을 형성하는 내벽의 일 영역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부(132)가 구비된다.
유출구(H1)는 제1공간(S1)의 하측에 형성되어 드립핑이 완료되어 제조된 드립 커피(DC)를 제2공간(S2)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때, 유출구(H1)는 복수개가 방사상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130)는 드립핑이 완료되어 제조되는 드립 커피가 자연스럽게 유출구(H1)를 통과할 수 있도록 상광하협의 형상, 예를 들어,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130)는 제1개폐부(140)를 장착 시, 제2링부재(144)에 접촉하여 내부 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제1개폐부(140)와 결합되는 상부에 상측으로 돌출 연장되는 누수 방지단(133)이 형성된다.
제1개폐부(140)는 본체(130)의 개구된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원두 분쇄물(P)이 저장되기 위한 제1공간(S1)의 개폐 여부 조절하게 된다.
여기서, 제1개폐부(14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30)에 나사 체결 방식에 의해 장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억지끼움 방식에 의해 본체(130)에 장착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제1개폐부(140)는, 본체(130)에 장착 시, 누수 방지부(163)에 접촉하여 필터(160)의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제1링부재(142); 및 본체(130)에 장착 시, 누수 방지단(133)에 접촉하여 본체(130)의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제2링부재(14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드립핑 용기(100)는 제1개폐부(140)가 본체(130)에 장착되면, 제1개폐부(140)가 필터(160)를 가압하게 되는데, 제1링부재(142)는 제1개폐부(140)가 필터(160)를 부드럽게 가압하여 필터(160)의 내부 공간을 밀폐하도록 제1개폐부(140)의 하측 누수 방지부(163)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또한, 제2링부재(144)는 제1개폐부(140)를 본체(130)에 장착 시, 제1개폐부(140)와 본체(130) 사이의 간극을 체워 액체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제1개폐부(140)의 하측 누수 방지단(133)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이때, 제2링부재(144)는 제1링부재(142)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제1링부재(142)의 외측에서 제1링부재(142)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드립핑 용기(100)는 제1링부재(142)와 제2링부재(144)를 통해 제1공간(S1)을 밀폐시켜 액체의 누수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필터(160)는 제1공간(S1)에 배치되되, 드립핑이 가능하도록 하는 거름망(164)이 구비되며, 외벽의 일 영역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62)가 구비되고, 상부에 상측으로 돌출 연장되는 누수 방지부(163)가 형성된다.
이때, 필터(160)는 상광하협의 형상, 예를 들어,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탄성부재(110)는 본체(130)와 필터(160) 사이에 배치되어 제1개폐부(140)의 장착 시, 돌출부(162)에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지지부(132)에 지지되며, 돌출부(162)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 변형된다.
이러한 탄성부재(110)는 내벽의 일 영역에 돌출부(162)가 끼워지는 끼움홈(112)이 구비되는 밀착부(114); 및 돌출부(162)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 변형되거나 돌출부(162)에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밀착부(114)의 하부에 돌출 연장되어 지지부(132)에 지지되는 탄성 변형부(116);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탄성부재(110)는 탄성을 구비하는 재질로 구현되는 고무 재질의 고무링일 수 있으며,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형성되어야 함은 자명한 사실이다.
이때, 탄성부재(110)는 제1개폐부(140)가 본체(130)에 장착되면 탄성 변형되고, 제1개폐부(140)가 본체(130)로부터 분리되면,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필터(160)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면 형상 및 재질에 제한 없이 모두 적용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성부재(110)는 필터(160)의 외곽을 둘러싸는 금속 재질의 스프링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드립핑 용기(100)는 제1개폐부(140)와 탄성부재(110)의 상호 작용에 의해 필터(160)의 위치가 변화됨에 따라 유출구(H1)의 개폐 여부가 조절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드립핑 용기(100)는 제1개폐부(140)가 본체(130)에 장착되는 경우, 돌출부(162)가 탄성부재(110)를 가압함에 따라, 필터(160)와 배출부(150) 사이의 간격이 감소하여 유출구(H1)를 폐쇄시킬 수 있게 되고, 제1개폐부(140)가 본체(13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탄성부재(110)의 복원력이 돌출부(162)에 작용함에 따라, 필터(160)와 배출부(150) 사이의 간격이 증가하여 유출구(H1)를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밀폐부재(120)는 필터(160)의 하부에 구비되며, 제1개폐부(140)와 탄성부재(110)의 상호 작용에 의해 필터(160)의 위치가 변화됨에 따라 유출구(H1)를 개폐시키게 된다.
즉, 밀폐부재(120)는 제1개폐부(140)가 본체(130)에 장착되는 경우, 필터(160)와 함께 유출구(H1) 방향으로 하강하여 유출구(H1)를 폐쇄시키게 되고, 제1개폐부(140)가 본체(13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탄성부재(110)의 복원력에 의해 필터(160)와 함께 원위치로 복귀하여 유출구(H1)를 개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밀폐부재(120)는 상부에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필터(160)의 하단부가 끼워지는 체결홈(124); 및 하부에 하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며, 배출부(150)에 접촉되어 유출구(H1)를 폐쇄시키는 만곡부(122);를 포함한다.
이때, 밀폐부재(120)는 탄성을 구비하는 재질로 구현되는 일종의 고무링 또는 고무판 일 수 있으며,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형성되어야 함은 자명한 사실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핑 용기(100)는 제1개폐부(140)와 필터(160)의 상호 작용에 의해 유출구(H1)의 개폐 여부가 조절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로 후술하기로 한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드립 커피(DC)의 제조를 위해 본체(130)로부터 제1개폐부(140)를 분리하고, 필터(160)를 제1공간(S1)에 삽입한다.
다만, 제1개폐부(140)를 본체(130)로부터 분리하기 이전부터 제1공간(S1)에 필터(160)가 이미 배치된 경우라면, 필터(160)의 삽입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이때, 필터(160)는 돌출부(162)에 결합된 탄성부재(110)를 통해 본체(130)의 내면에 형성된 지지부(132)에 안착되는데, 탄성부재(110)에 의해 제1공간(S1)의 소정 위치에 편심되지 않게 배치할 수 있게 된다.
필터(160)가 제1공간(S1)에 삽입되고 탄성부재(110)가 지지부(132)에 안착되고 나면, 필터(160)에 원두 분쇄물(P)을 적정량 투입하고 뜨거운 물(W)을 원두 분쇄물(P)에 주입한다.
이때, 유출구(H1)는 개방된 상태로, 시간이 지나면, 컵(C)에 의해 제공되는 제2공간(S2)에 드립 커피(DC)가 저장된다.
드립핑 공정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드립 커피(DC)를 음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제1개폐부(140)를 본체(130)에 장착한다.
이때, 드립핑 용기(100)는 제1개폐부(140)와 탄성부재(110)의 상호 작용에 의해 필터(160)의 위치가 변화되어 유출구(H1)의 개폐 여부를 조절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1개폐부(140)가 본체(130)로부터 분리되면 유출구(H1)가 개방되고, 제1개폐부(140)가 본체(130)에 장착되면 유출구(H1)가 폐쇄된다.
이는 제1개폐부(140)와 탄성부재(110)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밀폐부재(120)의 위치가 필터(160)와 함께 변화되기 때문이다.
다시말해, 제1개폐부(140)가 본체(130)에 장착되는 경우, 돌출부(162)가 탄성부재(110)를 가압함에 따라, 필터(160)와 배출부(150) 사이의 간격이 감소하여 유출구(H1)를 폐쇄시킬 수 있고, 제1개폐부(140)가 본체(13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탄성부재(110)의 복원력이 돌출부(162)에 작용함에 따라, 필터(160)와 배출부(150) 사이의 간격이 증가하여 유출구(H1)를 개방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제1개폐부(140)가 본체(130)에 장착되어 유출구(H1)를 폐쇄시키는 원리에 대해 이하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개폐부(140)가 본체(130)에 장착되면, 제1개폐부(140)는 필터(160)와 접촉하여 필터(160)를 가압하게 된다.
필터(160)와 접촉되는 제1개폐부(140)에는 탄성을 구비하는 제1링부재(142) 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1개폐부(140)가 본체(130)에 장착되는 경우, 부드럽게 필터(160)를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제1개폐부(140)가 필터(160)를 가압하면, 필터(160)의 돌출부(162)는 탄성부재(110)를 가압하게 되며, 이로 인해 필터(160)는 위치가 변하게 된다.
필터(160)의 위치가 변하게 되면, 필터(160)와 배출부(150) 사이의 간격이 감소하게 되며, 이를 통해, 필터(160)에 장착된 밀폐부재(120)는 필터(160)와 함께 배출부(150)를 향하여 이동되게 되고, 최종적으로 배출부(150)에 접촉되게 된다.
이때, 배출부(150)에 접촉되는 밀폐부재(120)는 제1공간(S1)과 제2공간(S2)을 구획하는 일종의 격벽으로 작용하게 되며, 결국, 유출구(H1)를 폐쇄하게 된다.
여기서, 드립 커피(DC)의 제조를 반복하거나 세척을 위해 제1개폐부(140)를 본체(130)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탄성부재(110)의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필터(160)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자연스럽게 유출구(H1)를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용 용기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9는 드립핑을 위해 제1개폐부가 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용 용기를 도시한 개략 분해사시도, 도 10는 드립 커피의 음용을 위해 제2개폐부가 음용부로부터 분리된 상태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용 용기를 도시한 개략 분해사시도, 도 11은 도 8의 B-B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용 용기를 도시한 개략 분해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용 용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개략단면도,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용 용기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용 용기(200)는, 원두 분쇄물(P) 또는 말린 찻잎 등의 식품 원료를 드립핑하기 위한 제1공간(S1)과 제1공간(S1)에서 제조되는 드립 커피(DC) 또는 추출 음료가 수용되는 제2공간(S2)이 제공되고, 드립핑이 완료되어 제조되는 드립 커피(DC) 또는 추출 음료를 제1공간(S1)에서 제2공간(S2)으로 배출하기 위한 유출구(H2)가 구비되며, 제1공간(S1)을 형성하는 내벽의 일 영역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부(232)가 구비되는 본체(230); 제1공간(S1)의 개폐 여부가 조절되도록, 본체(23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개폐부(240); 제1공간(S1)에 배치되되, 드립핑이 가능하도록 하는 거름망(264)이 구비되며, 외벽의 일 영역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62)가 구비되는 필터(260); 및 본체(230)와 필터(260) 사이에 배치되어 제1개폐부(240)의 장착 시 돌출부(262)에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지지부(232)에 지지되며, 돌출부(262)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재(210);를 포함하되, 제1개폐부(240)와 탄성부재(210)의 상호 작용에 의해 필터(260)의 위치가 변화됨에 따라 유출구(H2)의 개폐 여부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탄성부재(210)는, 내벽의 일 영역에 돌출부(262)가 끼워지는 끼움홈(212)이 구비되는 밀착부(214); 및 돌출부(262)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 변형되거나 돌출부(262)에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밀착부(214)의 하부에 돌출 연장되어 지지부(232)에 지지되는 탄성 변형부(216);를 포함한다.
또한, 휴대용 음용 용기(200)는 필터(260)의 하부에 구비되며, 제1개폐부(240)와 탄성부재(210)의 상호 작용에 의해 필터(260)의 위치가 변화됨에 따라 유출구(H2)를 개폐시키는 밀폐부재(220);를 더 포함한다.
또한, 필터(260)는, 상부에 상측으로 돌출 연장되는 누수 방지부(263);를 포함하며, 본체(230)는, 제1개폐부(240)와 결합되는 상부에 상측으로 돌출 연장되는 누수 방지단(233);을 포함하고, 제1개폐부(240)는, 본체(230)에 장착 시, 누수 방지부(263)에 접촉하여 필터(260)의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제1링부재(242); 및 본체(230)에 장착 시, 누수 방지단(233)에 접촉하여 본체(230)의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제2링부재(244);를 포함한다.
또한, 휴대용 음용 용기(200)는 본체(23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제2공간(S2)에 유입된 드립 커피(DC) 또는 추출 음료가 외부로 배출되는 음용구(282) 및 음용구(282)로 드립 커피(DC) 또는 추출 음료가 배출되도록 제2공간(S2)의 압력을 조절하는 밴트구(284)를 구비하는 음용부(280); 및 음용부(28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음용구(282) 및 밴트구(284)의 개폐여부를 조절하는 음용조절부(29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음용조절부(290)는,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며, 음용부(280)에 장착 시, 음용구(282)와 밴트구(284)에 밀착되어 음용구(282)와 밴트구(284)를 폐쇄하는 밀착부(292);를 포함한다.
또한, 제1개폐부(240)는, 본체(230)로부터 분리되어 드립 커피(DC) 또는 추출 음료가 유출구(H2)를 통해 제2공간(S2)으로 유입되도록 한 후, 본체(230)에 장착되어, 유출구(H2)를 폐쇄하고, 본체(230)는, 제2공간(S2)이 제1공간(S1)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가 되도록 하여, 제2공간에 유입된 드립 커피(DC) 또는 추출 음료가 음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용 용기(200)는 제1공간(S1)에서 원두 분쇄물(P) 또는 말린 찻잎 등을 드립핑하고, 드립핑이 완료되어 제조된 드립 커피(DC) 또는 추출 음료를 제2공간(S2)으로 배출하며, 제2공간(S2)이 제1공간(S1)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가 되도록 하여, 제2공간에 유입된 드립 커피(DC) 또는 추출 음료가 음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8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용 용기(200)는, 도 1 내지 도 7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핑 용기(100)를 이용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용 용기(200)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핑 용기(100)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휴대용 음용 용기(200)는, 원두 분쇄물(P)에 뜨거운 물을 부어 걸러낸 후 제조되는 드립 커피(DC)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용기로, 드립퍼와 음용용기가 구현된 신개념의 텀블러일 수 있다.
즉, 휴대용 음용 용기(200)는 원두 분쇄물(P)에 물이 주입되어 제조되는 드립 커피(DC)를 음용할 수 있는 용기로, 제1공간(S1)과 제2공간(S2)이 제공되는 본체(230), 제1개폐부(240), 필터(260) 및 탄성부재(210)를 포함한다.
본체(230)는 원두 분쇄물(P)을 드립핑하기 위한 제1공간(S1)과 제1공간(S1)에서 제조되는 드립 커피(DC)가 수용되는 제2공간(S2)이 제공되며, 드립핑이 완료되어 제조된 제1공간(S1)의 드립 커피(DC)가 제2공간(S2)으로 배출되기 위한 유출구(H2)가 구비된다.
본체(230)는 원두 분쇄물(P)을 드립핑하기 위한 제1공간(S1)과 제1공간(S1)에서 제조되는 드립 커피(DC)가 수용되는 제2공간(S2)이 배출부(250)에 의해 구획되며, 드립핑이 완료되어 제조된 제1공간(S1)의 드립 커피(DC)가 제2공간(S2)으로 배출되기 위한 유출구(H2)가 배출부(250)에 형성된다.
이때, 본체(230)는 제1공간(S1)이 형성되는 제1본체부와, 제2공간(S2)이 형성되는 제2본체부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제1본체부와 제2본체부 각각에 유출구가 형성되어 서로 연통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본체부와 제2본체부로 이루어진 경우, 본체는 외관을 이루는 커버에 의해 포위될 수 있다.
제1개폐부(240)의 구체적인 구성 및 제1개폐부(240)가 본체(230)에 장착되면 유출구(H2)가 폐쇄되는 원리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휴대용 음용 용기(200)는 제2공간(S2)에 저장된 드립 커피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음용부(280)를 포함한다.
음용부(280)는 본체(230)의 개구된 하측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제2공간(S2)에 유입된 드립 커피(DC)가 외부로 배출되는 음용구(282) 및 음용구(282)로 드립 커피(DC)가 배출되도록 제2공간(S2)의 압력을 조절하는 밴트구(284)를 포함한다.
음용부(28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30)에 나사 체결 방식에 의해 장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억지끼움 방식에 의해 본체(23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음용구(282) 및 밴트구(284)는 음용부(28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음용조절부(290)에 의해 개폐 여부가 조절된다.
음용조절부(290)는 음용부(28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음용구(282) 및 상기 밴트구(284)의 개폐여부를 조절하게 된다.
즉, 음용조절부(290)가 음용부(280)에 삽입되면, 음용조절부(290)는 음용구(282)와 밴트구(284)에 밀착되며, 이로 인해 음용구(282)와 밴트구(284)는 폐쇄된다.
구체적으로, 음용조절부(290)는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며, 음용부(280)에 장착 시, 음용구(282)와 밴트구(284)에 밀착되어 음용구(282)와 밴트구(284)를 폐쇄하는 밀착부(292); 및 밀착부(292)를 지지하는 지지부(294);를 포함한다.
밀착부(292)는 탄성을 구비하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음용구(282) 및 밴트구(284)와 대응되는 부분이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된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음용조절부(290)를 음용부(280)에 삽입하는 경우,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밀착부(292)에 의해 음용구(282) 및 밴트구(284)를 안정적으로 폐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음용조절부(290)는 음용부(280)에 나사 체결 방식 등으로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개폐부(270)와 연동될 수 있다.
음용조절부(290)는 제2개폐부(270)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제2개폐부(270) 및 음용조절부(290)는 각각 걸림부(276) 및 피걸림부(296)를 구비할 수 있다.
걸림부(276)와 피걸림부(296)는 홈과 홈에 삽입되는 돌기 구조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할 수 있고, 그 외 연결을 위한 공지의 수단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개폐부(270)가 음용부(280)에 나사 체결 방식 등으로 장착되면, 음용조절부(290)도 음용부(280)에 삽입되어 자연스럽게 음용구(282) 및 밴트구(284)를 폐쇄하게 된다.
이때, 지지부(294)에 형성된 돌출부(298)가 제2개폐부(270)에 형성된 함입부(272)에 삽입됨에 따라, 제2개폐부(270)를 음용부(280)에 나사 체결하는 경우, 음용조절부(290)도 제2개폐부(270)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용 용기(200)의 사용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4와 도 16를 참조하면, 드립 커피(DC)의 제조를 위해 본체(230)로부터 제1개폐부(240)를 분리하고, 필터(260)를 제1공간(S1)에 삽입한다.
다만, 제1개폐부(240)를 본체(230)로부터 분리하기 이전부터 제1공간(S1)에 필터(260)가 이미 배치된 경우라면, 필터(260)의 삽입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이때, 필터(260)는 돌출부(262)에 결합된 탄성부재(210)를 통해 본체(230)의 내면에 형성된 지지부(232)에 안착되는데, 탄성부재(210)에 의해 제1공간(S1)의 소정 위치에 편심되지 않게 배치할 수 있게 된다.
필터(260)가 제1공간(S1)에 삽입되고 탄성부재(210)가 지지부(232)에 안착되고 나면, 필터(260)에 원두 분쇄물(P)을 적정량 투입하고 뜨거운 물(W)을 원두 분쇄물(P)에 주입한다.
이때, 제1개폐부(240)가 본체(230)에서 분리됨에 따라 유출구(H2)는 개방된 상태가 되며, 시간이 지나면 유출구(H2)를 통해 제2공간(S2)에 드립 커피(DC)가 저장된다.
드립핑 공정이 완료되면, 유출구(H2)을 폐쇄한 후, 제2공간(S2)에 저장된 드립 커피를 음용하면 된다.
여기서, 유출구(H2)를 폐쇄하기 위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개폐부(240)를 회전시켜 본체(230)에 장착한다.
제1개폐부(240)가 본체(230)에 장착되면, 제1개폐부(240)는 탄성부재(210)와 상호 작용에 의해 유출구(H2)를 폐쇄시키게 된다.
제1개폐부(240)가 본체(230)에 장착됨으로 인하여, 유출구(H2)를 폐쇄시키는 원리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로 자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생략한다.
제1개폐부(240)가 본체(230)에 장착되어 유출구(H2)가 폐쇄되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30)를 회전시켜 제1공간(S1)과 제2공간(S2)의 위치를 서로 바꾸게 된다.
즉, 제1개폐부(240)는, 본체(230)로부터 분리되어 드립 커피(DC)가 유출구(H2)를 통해 제2공간(S2)으로 유입되도록 한 후, 본체(230)에 장착되어, 유출구(H2)를 폐쇄하고, 본체(230)는, 제2공간(S2)이 제1공간(S1)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가 되도록 하여, 제2공간에 유입된 드립 커피(DC)가 음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가압된 탄성부재(210)의 복원력에 의해 필터(260)의 상단이 제1링부재(242)에 밀착되고, 제1개페부(240)의 체결에 의해 본체(230)의 상단이 제2링부재(244)에 밀착됨에 따라 제1개페부(240)와 필터(260) 그리고, 제1개페부(240)와 본체(230)가 제1링부재(242)와 제2링부재(244)를 통해 기밀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액체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2공간(S2)이 제1공간(S1)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면, 제2개폐부(270)를 음용부(280)로부터 분리한 후 사용자는 음용구(282)를 통해 드립 커피(DC)를 음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용조절부(290)는 제2개폐부(270)를 음용부(280)로부터 분리하면, 제2개폐부(270)와 함께 음용부(280)로부터 분리된다.
본 발명에 따른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음용 용기에 의하면, 드립 커피를 제조하기 위한 여과장치와 드립 커피의 음용을 위한 용기를 별도로 준비하고 다녀야 하는 번거로움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드립 커피를 커피잔에 옮겨 담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맛과 향의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세척을 용이하게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 및 청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음용 용기에 의하면, 커피 뿐만 아니라, 다양한 식품 원료 즉, 녹차, 홍차, 허브차, 과일차 등의 말린 찻잎을 드립핑하여 녹차, 홍차, 허브차, 과일차 등의 추출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드립핑 용기 110 : 탄성부재
120 : 밀폐부재 130, 230 : 본체
132 : 지지부 133, 233 : 누수 방지단
140, 240 : 제1개폐부 142, 242 : 제1링부재
144, 244 : 제2링부재 150 : 배출부
160 : 필터 162, 262 : 돌출부
163, 263 : 누수 방지부 164 : 거름망
270 : 제2개폐부 272 : 함입부
276 : 걸림부 280 : 음용부
282 : 음용구 284 : 밴트구
290 : 음용 조절부 292 : 밀착부
294 : 지지부 296 : 피걸림부
298 : 돌출부 H1, H2 : 유출구
S1 : 제1공간 S2 : 제2공간

Claims (11)

  1. 식품 원료를 드립핑하기 위한 제1공간(S1)이 제공되고, 드립핑이 완료되어 제조되는 추출 음료를 제2공간(S2)으로 배출하기 위한 유출구(H1)가 구비되며, 상기 제1공간(S1)을 형성하는 내벽의 일 영역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부(132)가 구비되는 본체(130);
    상기 제1공간(S1)의 개폐 여부가 조절되도록, 상기 본체(13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개폐부(140);
    상기 제1공간(S1)에 배치되되, 드립핑이 가능하도록 하는 거름망(164)이 구비되며, 외벽의 일 영역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62)가 구비되는 필터(160); 및
    상기 본체(130)와 상기 필터(16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개폐부(140)의 장착 시 상기 돌출부(162)에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지지부(132)에 지지되며, 상기 돌출부(162)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재(110);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110)는,
    내벽의 일 영역에 상기 돌출부(162)가 끼워지는 끼움홈(112)이 구비되는 밀착부(114); 및
    상기 돌출부(162)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 변형되거나 상기 돌출부(162)에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밀착부(114)의 하부에 돌출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132)에 지지되는 탄성 변형부(116);
    를 포함하되,
    상기 제1개폐부(140)와 상기 탄성부재(110)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필터(160)의 위치가 변화됨에 따라 상기 유출구(H1)의 개폐 여부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핑 용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16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개폐부(140)와 상기 탄성부재(110)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필터(160)의 위치가 변화됨에 따라 상기 유출구(H1)를 개폐시키는 밀폐부재(12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핑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160)는,
    상부에 상측으로 돌출 연장되는 누수 방지부(163);
    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130)는,
    상기 제1개폐부(140)와 결합되는 상부에 상측으로 돌출 연장되는 누수 방지단(133);
    을 포함하고,
    상기 제1개폐부(140)는,
    상기 본체(130)에 장착 시, 상기 누수 방지부(163)에 접촉하여 상기 필터(160)의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제1링부재(142); 및
    상기 본체(130)에 장착 시, 상기 누수 방지단(133)에 접촉하여 상기 본체(130)의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제2링부재(14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핑 용기.
  5. 식품 원료를 드립핑하기 위한 제1공간(S1)과 상기 제1공간(S1)에서 제조되는 추출 음료가 수용되는 제2공간(S2)이 제공되고, 드립핑이 완료되어 제조되는 상기 추출 음료를 제1공간(S1)에서 제2공간(S2)으로 배출하기 위한 유출구(H1)가 구비되며, 상기 제1공간(S1)을 형성하는 내벽의 일 영역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부(232)가 구비되는 본체(230);
    상기 제1공간(S1)의 개폐 여부가 조절되도록, 상기 본체(23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개폐부(240);
    상기 제1공간(S1)에 배치되되, 드립핑이 가능하도록 하는 거름망(264)이 구비되며, 외벽의 일 영역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62)가 구비되는 필터(260); 및
    상기 본체(230)와 상기 필터(26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개폐부(240)의 장착 시 상기 돌출부(262)에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지지부(232)에 지지되며, 상기 돌출부(262)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재(210);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210)는,
    내벽의 일 영역에 상기 돌출부(262)가 끼워지는 끼움홈(212)이 구비되는 밀착부(214); 및
    상기 돌출부(262)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 변형되거나 상기 돌출부(262)에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밀착부(214)의 하부에 돌출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232)에 지지되는 탄성 변형부(216);
    를 포함하되,
    상기 제1개폐부(240)와 상기 탄성부재(210)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필터(260)의 위치가 변화됨에 따라 상기 유출구(H1)의 개폐 여부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용 용기.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26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개폐부(240)와 상기 탄성부재(210)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필터(260)의 위치가 변화됨에 따라 상기 유출구(H1)를 개폐시키는 밀폐부재(22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용 용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260)는,
    상부에 상측으로 돌출 연장되는 누수 방지부(263);
    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230)는,
    상기 제1개폐부(240)와 결합되는 상부에 상측으로 돌출 연장되는 누수 방지단(233);
    을 포함하고,
    상기 제1개폐부(240)는,
    상기 본체(230)에 장착 시, 상기 누수 방지부(263)에 접촉하여 상기 필터(260)의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제1링부재(242); 및
    상기 본체(230)에 장착 시, 상기 누수 방지단(233)에 접촉하여 상기 본체(230)의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제2링부재(24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용 용기.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3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2공간(S2)에 유입된 상기 추출 음료가 외부로 배출되는 음용구(282) 및 상기 음용구(282)로 상기 추출 음료가 배출되도록 상기 제2공간(S2)의 압력을 조절하는 밴트구(284)를 구비하는 음용부(280); 및
    상기 음용부(28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음용구(282) 및 상기 밴트구(284)의 개폐여부를 조절하는 음용조절부(29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용 용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조절부(290)는,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며, 상기 음용부(280)에 장착 시, 상기 음용구(282)와 상기 밴트구(284)에 밀착되어 상기 음용구(282)와 상기 밴트구(284)를 폐쇄하는 밀착부(29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용 용기.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폐부(240)는,
    상기 본체(230)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추출 음료가 상기 유출구(H1)를 통해 상기 제2공간(S2)으로 유입되도록 한 후, 상기 본체(230)에 장착되어, 상기 유출구(H1)를 폐쇄하고,
    상기 본체(230)는,
    상기 제2공간(S2)이 상기 제1공간(S1)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가 되도록 하여, 상기 제2공간에 유입된 상기 추출 음료가 음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용 용기.
KR1020190038249A 2019-04-02 2019-04-02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음용 용기 KR102221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249A KR102221396B1 (ko) 2019-04-02 2019-04-02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음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249A KR102221396B1 (ko) 2019-04-02 2019-04-02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음용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6644A KR20200116644A (ko) 2020-10-13
KR102221396B1 true KR102221396B1 (ko) 2021-03-02

Family

ID=72884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8249A KR102221396B1 (ko) 2019-04-02 2019-04-02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음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139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377Y1 (ko) * 2001-07-04 2001-11-17 황성철 농도조절이 가능한 커피추출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0673U (ko) 2007-07-19 2009-01-22 (주)아모레퍼시픽 거름망용기를 구비한 텀블러
KR102062169B1 (ko) * 2017-09-22 2020-01-03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377Y1 (ko) * 2001-07-04 2001-11-17 황성철 농도조절이 가능한 커피추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6644A (ko) 2020-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64684B2 (en) Single-serve refill pod
AU2013200926B2 (en) Basket assembly for beverage bottle
CN203987629U (zh) 用于冲泡咖啡或类似物的装置
US6797304B2 (en) French press coffee maker with assembly to selectively reduce contact of grounds with liquid coffee
US20140072684A1 (en) French press beverage maker
US20100263548A1 (en) Drink extracting apparatus
KR200459398Y1 (ko) 드리퍼가 구비된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EP3064100A1 (en) Hand drip coffee tumbler
KR20060107839A (ko) 적층가능 컵을 위한 커피 침적 프레스
US8012523B2 (en) Permanent filtering pod for brewing beverages
US20130233177A1 (en) Single Cup Coffee and Tea Brewing Mug
KR101301178B1 (ko) 필터가 구비된 분리형 음료 용기
KR200469512Y1 (ko) 드립 커피 제조용 커피 바스켓
KR102221396B1 (ko)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음용 용기
KR101919108B1 (ko) 차 추출용 텀블러
KR102071046B1 (ko)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
RU2761273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ы на основе настаивания для заваривания напитка
KR102062169B1 (ko)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
CN213993167U (zh) 一种双饮杯及其杯盖
KR101804326B1 (ko) 휴대용 원두커피 드립용기세트
KR101610588B1 (ko) 커피 압출기
KR102057924B1 (ko) 보틀 타입의 휴대용 핸드드립 기구
KR200458422Y1 (ko) 차 음용을 위한 물병 마개형 휴대용 인퓨저
KR101787271B1 (ko)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
JP3220482U (ja) 飲料用ドリッパ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