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9418A - 휴대용 원두커피 드립용기세트 - Google Patents

휴대용 원두커피 드립용기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9418A
KR20170129418A KR1020160060076A KR20160060076A KR20170129418A KR 20170129418 A KR20170129418 A KR 20170129418A KR 1020160060076 A KR1020160060076 A KR 1020160060076A KR 20160060076 A KR20160060076 A KR 20160060076A KR 20170129418 A KR20170129418 A KR 20170129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filter paper
coffee
drip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0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4326B1 (ko
Inventor
김영래
Original Assignee
김영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래 filed Critical 김영래
Priority to KR1020160060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4326B1/ko
Publication of KR20170129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9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4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4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5Portable or compact beverage making apparatus, e.g. for travelling, for use in automotive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8Paper filter inlays therefor to be disposed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6Filter holding means; Attachment of filters to beverage-mak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대한 휴대용 원두커피 드립용기세트는 여과지를 장착한 후 온수를 흘려보내며 커피액을 추출하는 드립퍼와, 드립퍼의 내부에 보관되는 보관케이스와, 온수를 받아 따라주는 역활과 함께 드립퍼와 보관케이스를 덮어주는 온수통케이스로 이루어져 3개의 요소로 구성된 드립용기세트를 온수통케이스의 크기에 맞춰 결합시켜 그 크기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원두커피 드립용기세트 { Portable dripping set of coffee }
본 발명은 휴대용 원두커피 드립용기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3개의 요소로 구성된 드립용기세트를 1개의 요소에 대한 크기에 맞춰 결합되도록 커피액을 추출하는 드립퍼와, 드립퍼의 내부에 보관되는 보관케이스와, 온수를 받아 따라주는 역활과 함께 상기 드립퍼와 보관케이스를 함께 덮어주는 온수통케이스로 구성된 휴대용 원두커피 드립용기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립 커피(Drip Coffee)란, 커피 원두를 잘게 빻은 커피 가루를 종이로 된 필터지에 담아 깔때기 모양의 드립 커피 제조기에 올려놓은 후 주전자에 담겨진 끓는 물을 상기 드립 커피 제조기의 중앙으로부터 원을 그리며 부어주어 커피 가루를 통해 추출액을 뽑아내어 음용하는 커피를 말한다.
여기서, 드립 커피는 그 풍미와 고급성으로 인하여 종래의 인스턴트 커피를 대신하여 널리 음용되고 있으며 음용자의 기호에 따라 자기만의 커피를 직접 드립하여 음용하는 커피 애호가들도 많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가정이나 일반사무실 등에는 볶은 원두와, 그 원두를 분쇄하는 그라인더, 여과지, 여과지받침대 및 주전자 등과 같은 드립 커피 제조기를 비치하여 음용자들의 기호에 따라 직접 커피를 내려 음용할 수 있도록 준비해 놓고 있다.
또한, 최근들어 건강 및 레저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캠핑 또는 운동과 같은 야외 활동이 많아지고 있는데 이때에도 커피의 음용은 끊이지 않아 미리 드립한 커피를 텀블러등에 담아 운동 또는 캠핑시 음용하거나 드립 커피 제조기를 휴대하여 직접 드립하여 음용하는 사용자들도 많이 발생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종래의 드립 커피 제조기는 그라인더, 여과지, 여과지받침대 및 주전자 등과 같이 다수의 구성품을 한번에 휴대하기는 매우 번거로워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등록특허 제10-1428669호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종래의 휴대용 드립커피 제조기를 살펴보면 추출된 커피를 담는 텀블러와, 커피 필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텀블러의 상부 내면에 삽입되는 필터삽입부와, 상기 텀블러의 상부에 안착되는 드립퍼와, 커피빈을 그라인딩하는 그라인더와, 그라인더의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으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드립커피 메이커는 필터삽입부와 드립퍼, 그라인더등의 구성요소가 겹쳐지지 못하고 자기 구역을 구분하며 결합되는 것으로 그 크기가 불필요하게 커지게 되어 휴대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휴대용 드립커피 메이커는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성이 매우 어려워 생산단가가 불필요하게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장시간 외부에 있을 경우가 아닌 단시간 외출할 경우에는 가정 또는 회사에서 커피빈을 분쇄하여 이를 휴대하는 것이 효율적으로 종래의 휴대용 드립커피 메이커에는 휴대에 불필요한 그라인더가 구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여과지를 장착한 후 온수를 흘려보내며 커피액을 추출하는 드립퍼와, 드립퍼의 내부에 보관되는 보관케이스와, 온수를 받아 따라주는 역활과 함께 드립퍼와 보관케이스를 덮어주는 온수통케이스로 이루어져 3개의 요소로 구성된 드립용기세트를 온수통케이스의 크기에 맞춰 결합시키는 휴대용 원두커피 드립용기세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원두커피 드립용기세트는 컵 또는 텀블러와 같은 음용용기에 원두커피를 추출하는 드립용기세트로서 상기 음용용기의 상부에 안착되는 원반형상의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상면에 여과지가 안착되도록 상광하협으로 형성된 원통형상의 여과지안착부와, 상기 여과지안착부의 바닥면에 상하면이 천공된 추출공으로 이루어진 드립퍼와; 분쇄된 커피가루가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여과지안착부의 내부에 안착되도록 상기 여과지안착부의 내주면과 동일한 외주면으로 형성된 박스형상의 보관케이지와; 상기 커피가루가 옮겨진 여과지에 온수가 부어지도록 내부에 온수가 수용되는 온수저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여과지안착부가 내부에 수용되며 결합되도록 상기 온수저장부의 상면이 거꾸로 회전되어 상기 플랜지부의 상면에 안착되는 원통형상의 온수통케이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온수통케이스의 상부 일면에는 상기 여과지의 내부에 수용된 온수가 일지점으로 모여 낙하되도록 하측방향으로 요입된 온수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온수배출구의 외측면에는 낙하되는 온수가 직선상으로 낙하될 수 있도록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온수낙하유도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관케이지의 상부에는 상기 커피가루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상기 보관케이지의 상단부에 끼워지는 원판형상의 케이지커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랜지부의 상부 일측면에는 상기 여과지안착부의 일측 외경과 평행하게 돌출된 여과지끼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온수통케이스의 상부 외주면에는 정해진 각도로 경사진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의 양측 상면에는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편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편의 일측 단면에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도록 정해진 각도로 경사진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원두커피 드립용기세트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과지를 장착한 후 온수를 흘려보내며 커피액을 추출하는 드립퍼와, 드립퍼의 내부에 보관되는 보관케이스와, 온수를 받아 따라주는 역활과 함께 드립퍼와 보관케이스를 덮어주는 온수통케이스로 이루어짐으로써, 3개의 요소로 구성된 드립용기세트를 온수통케이스의 크기에 맞춰 결합할 수 있어 휴대시 그 크기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둘째, 온수통케이스의 일면에 온수낙하유도돌기가 형성된 온수배출구를 형성함으로써, 여과지의 일부분으로 온수를 흘려보낼 경우 정밀하게 흘려보낼 수 있어 음용자의 기호에 맞는 드립방법을 구사할 수 있으며,
셋째, 드립퍼의 일면에 여과지가 끼워지는 여과지낌움돌기를 형성함으로써, 드립용기세트의 휴대시 여과지가 내부에서 유동되며 내부 벽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에 오염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넷째, 온수통케이스의 외주면에 최소한의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드립퍼의 일면에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최소한의 걸림홈을 형성함으로써, 금형을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어 생산단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립용기세트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립용기세트를 나타내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립용기세트의 결합구조를 나타내 보인 분해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드립용기세트의 사용방법을 나타내 보인 공정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온수통케이스가 결합되는 작용을 나타내 보인 일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원두커피 드립용기세트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 또는 텀블러와 같은 음용용기(C)에 원두커피를 추출하는 드립용기세트(1)로서 상기 음용용기(C)의 상부에 안착되는 원반형상의 플랜지부(11)와, 상기 플랜지부(11)의 상면에 여과지(P)가 안착되도록 상광하협으로 형성된 원통형상의 여과지안착부(12)와, 상기 여과지안착부(12)의 바닥면에 상하면이 천공된 추출공(13)으로 이루어진 드립퍼(10)와; 분쇄된 커피가루(G)가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여과지안착부(12)의 내부에 안착되도록 상기 여과지안착부(12)의 내주면과 동일한 외주면으로 형성된 박스형상의 보관케이지(20)와; 상기 커피가루(G)가 옮겨진 여과지(P)에 온수(W)가 부어지도록 내부에 온수(W)가 수용되는 온수저장부(31)가 형성되고, 상기 여과지안착부(12)가 내부에 수용되며 결합되도록 상기 온수저장부(31)의 상면이 거꾸로 회전되어 상기 플랜지부(11)의 상면에 안착되는 원통형상의 온수통케이스(3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플랜지부(11)의 하면에는 상기 드립퍼(10)가 상기 음용용기(C)의 일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도도록 정해진 직경으로 돌출된 드립퍼안착돌기(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온수통케이스(30)는 컵 또는 텀블러와 같은 음용용기(C)가 준비되지 못하고 온수(W)를 따를 수 있는 주전자만이 준비될 경우에는 상기 음용용기(C)의 역활 즉, 상기 드립퍼(10)를 상부에 안착하여 커피를 추출한 후 음용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온수통케이스(30)의 상부 일면에는 상기 여과지(P)의 내부에 수용된 온수(W)가 일지점으로 모여 낙하되도록 하측방향으로 요입된 온수배출구(3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온수배출구(32)의 외측면에는 낙하되는 온수(W)가 직선상으로 낙하될 수 있도록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온수낙하유도돌기(3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관케이지(20)의 상부에는 상기 커피가루(G)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상기 보관케이지(20)의 상단부에 끼워지는 원판형상의 케이지커버(2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11)의 상부 일측면에는 상기 여과지안착부(12)의 일측 외경과 평행하게 돌출된 여과지끼움돌기(1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온수통케이스(30)의 상부 외주면에는 정해진 각도로 경사진 걸림돌기(34)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11)의 양측 상면에는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편(15)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편(15)의 일측 단면에 상기 걸림돌기(34)가 삽입되도록 정해진 각도로 경사진 걸림홈(16)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걸림홈(16)은 상기 걸림편(15)의 일측 단면의 중심부 즉, 그 단면형상이 "ㄷ"으로 형성되도록 요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원두커피 드립용기세트의 작용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원두커피 드립용기세트는 컵 또는 텀블러와 같은 음용용기(C)에 원두커피를 추출하는 기구로서 간편한 구조로 조립되어 휴대가 용이한 드립용기세트(1)이다.
여기서, 상기 드립용기세트(1)의 사용법을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상기 온수통케이스(30)를 분리한 후 그 내부 즉, 온수저장부(31)에 온수(W)를 충만하는 온수충만단계(S10)와, 내부에 구비된 여과지(P)를 펼쳐 상기 여과지안착부(12)에 안착 후 보관케이지(20)에 있는 커피가루(G)를 상기 여과지(P)에 옮겨 담는 커피가루공급단계(S20)와, 상기 여과지(P)가 안착된 드립퍼(10)를 상기 음용용기(C)의 상부에 안착한 후 상기 온수통케이스(30)의 온수(W)를 따라 커피액을 추출하는 드립단계(S30)로 진행된다.
이때, 본 발명의 드립용기세트(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용용기(C)의 상부에 안착되며 상기 커피가루(G)가 옮겨진 여과지(P)를 장착한 후 온수(W)를 흘려보내며 커피액을 추출하는 드립퍼(10)와, 상기 드립퍼(10)에 삽입되는 커피가루(G) 보관케이스(20)와, 온수(W)를 받아 따라주는 역활과 함께 상기 드립퍼(10)와 보관케이스(20)를 내부에 수용시키며 결합하는 원통형상의 온수통케이스(30)로 이루어짐으로써, 3개의 요소로 구성된 상기 드립용기세트(1)를 상기 온수통케이스(30)의 크기에 맞춰 결합할 수 있어 휴대시 그 크기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온수통케이스(30)의 상부 일면에는 상기 여과지(P)의 내부에 수용된 온수(W)가 일지점으로 모여 낙하되도록 하측방향으로 요입된 온수배출구(32)가 형성되고, 상기 온수배출구(32)의 외측면에 낙하되는 온수(W)가 직선상으로 낙하될 수 있도록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온수낙하유도돌기(33)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여과지(P)의 일부분으로 온수(W)를 흘려보낼 경우 정밀하게 흘려보낼 수 있게 되어 음용자의 기호에 맞는 드립방법을 구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부(11)의 상부 일측면에는 상기 여과지안착부(12)의 일측 외경과 평행하게 돌출된 여과지끼움돌기(14)가 형성됨으로써, 드립용기세트(1)의 휴대시 상기 여과지(P)가 내부에서 유동되며 내부 벽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에 오염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온수통케이스(30)의 상부 외주면에는 정해진 각도로 경사진 걸림돌기(34)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편(15)의 일측 단면에는 상기 걸림돌기(34)가 삽입되도록 정해진 각도로 경사진 걸림홈(16)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걸림홈(16)의 형상을 상기 걸림편(15)의 일단면에 형성시키는 것으로 금형작업을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어 생산단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C : 음용용기 P : 여과지
G : 커피가루 1 : 드립용기세트
10 : 드립퍼 11 : 플랜지부
12 : 여과지안착부 13 : 추출공
14 : 여과지끼움돌기 15 : 걸림편
16 : 걸림홈 20 : 보관케이지
21 : 케이지커버 30 : 온수통케이스
31 : 온수저장부 32 : 온수배출구
33 : 온수낙하유도돌기 34 : 걸림돌기

Claims (6)

  1. 컵 또는 텀블러와 같은 음용용기(C)에 원두커피를 추출하는 드립용기세트(1)에 있어서,
    상기 음용용기(C)의 상부에 안착되는 원반형상의 플랜지부(11)와, 상기 플랜지부(11)의 상면에 여과지(P)가 안착되도록 상광하협으로 형성된 원통형상의 여과지안착부(12)와, 상기 여과지안착부(12)의 바닥면에 상하면이 천공된 추출공(13)으로 이루어진 드립퍼(10)와;
    분쇄된 커피가루(G)가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여과지안착부(12)의 내부에 안착되도록 상기 여과지안착부(12)의 내주면과 동일한 외주면으로 형성된 박스형상의 보관케이지(20)와;
    상기 커피가루(G)가 옮겨진 여과지(P)에 온수(W)가 부어지도록 내부에 온수(W)가 수용되는 온수저장부(31)가 형성되고, 상기 여과지안착부(12)가 내부에 수용되며 결합되도록 상기 온수저장부(31)의 상면이 거꾸로 회전되어 상기 플랜지부(11)의 상면에 안착되는 원통형상의 온수통케이스(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원두커피 드립용기세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통케이스(30)의 상부 일면에는 상기 여과지(P)의 내부에 수용된 온수(W)가 일지점으로 모여 낙하되도록 하측방향으로 요입된 온수배출구(3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원두커피 드립용기세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배출구(32)의 외측면에는 낙하되는 온수(W)가 직선상으로 낙하될 수 있도록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온수낙하유도돌기(3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원두커피 드립용기세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케이지(20)의 상부에는 상기 커피가루(G)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상기 보관케이지(20)의 상단부에 끼워지는 원판형상의 케이지커버(2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원두커피 드립용기세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11)의 상부 일측면에는 상기 여과지안착부(12)의 일측 외경과 평행하게 돌출된 여과지끼움돌기(1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원두커피 드립용기세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통케이스(30)의 상부 외주면에는 정해진 각도로 경사진 걸림돌기(34)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11)의 양측 상면에는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편(15)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편(15)의 일측 단면에 상기 걸림돌기(34)가 삽입되도록 정해진 각도로 경사진 걸림홈(1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원두커피 드립용기세트.
KR1020160060076A 2016-05-17 2016-05-17 휴대용 원두커피 드립용기세트 KR101804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076A KR101804326B1 (ko) 2016-05-17 2016-05-17 휴대용 원두커피 드립용기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076A KR101804326B1 (ko) 2016-05-17 2016-05-17 휴대용 원두커피 드립용기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9418A true KR20170129418A (ko) 2017-11-27
KR101804326B1 KR101804326B1 (ko) 2017-12-04

Family

ID=60810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0076A KR101804326B1 (ko) 2016-05-17 2016-05-17 휴대용 원두커피 드립용기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43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8520B1 (ko) * 2018-04-12 2019-04-15 주식회사지티빈스 휴대용 커피 그라인더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2528B1 (ko) 2019-05-09 2021-04-30 유한책임회사 미맥 핸드 드립식 여과 방법의 커피 추출용 3단 기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1811Y1 (ko) * 2000-12-11 2001-04-16 박명진 휴대용 원두커피 섭취용기세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8520B1 (ko) * 2018-04-12 2019-04-15 주식회사지티빈스 휴대용 커피 그라인더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4326B1 (ko) 2017-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8133B2 (en) Cold brew coffee maker
US8720321B2 (en) Apparatus for extracting cold-brewed coffee concentrate
US11659952B2 (en) Cold brew beverage brewing systems
JP6319431B2 (ja) ハンドドリップコーヒータンブラー
US10674858B2 (en) Pour over beverage system
US20100263548A1 (en) Drink extracting apparatus
KR200459398Y1 (ko) 드리퍼가 구비된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US8671826B2 (en) Brew through lid, assembly of a thermal carafe and a brew through lid as well as a coffee maker including such an assembly
KR200470218Y1 (ko) 보온용기
US20130101715A1 (en) Pump coffee brewer
KR101453921B1 (ko) 더치커피 제조용 휴대용기
KR101804326B1 (ko) 휴대용 원두커피 드립용기세트
KR200469512Y1 (ko) 드립 커피 제조용 커피 바스켓
KR101543151B1 (ko) 온도 차이를 최소화한 상태로 물을 내려 줄 수 있는 드립퍼
CN206043813U (zh) 滴漏式随行杯
US11013359B2 (en) Drip container and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CN203953164U (zh) 多功能随身杯
KR200482067Y1 (ko) 멀티형 핸드 커피드립기
KR200458422Y1 (ko) 차 음용을 위한 물병 마개형 휴대용 인퓨저
KR102062169B1 (ko)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
CN219895382U (zh) 过滤装置和咖啡机
KR102057924B1 (ko) 보틀 타입의 휴대용 핸드드립 기구
US20230301456A1 (en) Cold brew beverage brewing systems
CN204889647U (zh) 饮料过滤装置
KR102221396B1 (ko)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음용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