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0769B1 - 병마개 - Google Patents

병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0769B1
KR102290769B1 KR1020210096781A KR20210096781A KR102290769B1 KR 102290769 B1 KR102290769 B1 KR 102290769B1 KR 1020210096781 A KR1020210096781 A KR 1020210096781A KR 20210096781 A KR20210096781 A KR 20210096781A KR 102290769 B1 KR102290769 B1 KR 102290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inner cap
protrusion
cap body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6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도용
Original Assignee
정도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도용 filed Critical 정도용
Priority to KR1020210096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07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5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6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the element being a plug or like element closing a passage between the auxiliary container and the main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25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16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 B65D81/3222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with additional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캡슐이나 정제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가 형성된 인너캡과 캡본체를 원터치 방식으로 강제 끼움 결합하여 1차 조립한 후 인너캡과 캡본체가 조립된 상태로 인너캡의 하단부를 병의 개구에 원터치 방식으로 강제 끼움 결합하여 조립성 및 밀폐성을 향상시키고, 개봉시에는 캡본체를 회전시켜 인너캡으로 분리 개봉하도록 하여 개봉후 인너캡이 병의 개구에 남아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갖도록 한 병마개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수용부를 밀봉하도록 캡본체가 조립된 상태에서 하단부를 언더컷 구조로 병의 개구에 끼움 조립되는 인너캡; 및 상기 인너캡에 끼움 조립되며, 개봉시에는 회전에 의해 개봉되는 캡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캡본체의 내부에 하부로 돌출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링 형상의 하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120도의 각도로 등분되는 제1 경사면이 형성된 작동돌부; 및 상기 작동돌부에 대면하도록 상기 인너캡에 상부로 돌출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링 형상의 상면에는 제1 경사면에 맞물리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120도의 각도로 등분되는 제2 경사면이 형성된 베이스돌부;로 이루어지는 회전개봉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병마개{bottle cap}
본 발명은 음료와 영양제 또는 기능성 건강 식품(캡슐이나 정제) 등을 따로 따로 섭취해야 되는 불편을 해소하고자 병마개의 내부에 음료와 별도로 캡슐이나 정제을 보관하도록 하고 음료의 음용시 캡슐이나 정제를 동시에 섭취할 수 있도록 한 병마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부에 캡슐이나 정제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가 형성된 인너캡과 캡본체를 원터치 방식으로 강제 끼움 결합하여 1차 조립한 후 인너캡과 캡본체가 조립된 상태로 인너캡의 하단부를 병의 개구에 원터치 방식으로 강제 끼움 결합하며, 개봉시에는 캡본체를 회전시켜 인너캡으로부터 분리 개봉할 수 있도록 한 병마개에 관한 것이다.
차나 음료는 일정한 형상의 음료 용기(병)에 담겨져 판매되고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음료 용기에는 마실 수 있는 액상의 음료나 차가 들어있고, 용기마개를 개봉하여 음용하게 된다.
하지만, 건강보조식품이나 비타민제와 같은 복용제(캡슐이나 정제)를 먹을 때 음료(이 경우는 건강보조음료)와 같이 마시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러한 것을 고려하여 캡슐이나 정제를 용기마개에 수용하였다가 용기 내용물과 함께 마시는 방식의 용기마개(병마개)가 국내 특허등록 10-1342876호 및 국내 특허등록 10-1499752호로 개시된바 있다.
국내 특허등록 10-1342876호는 알루미늄실로 실링하는 구조로서, 음용시 마개를 개봉 후 알루미늄실을 제거해야 되는 불편함 있고, 또 별도의 조립장치를 추가 하여야 하므로 조립성이 나쁘고 외부 충격에 약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국내특허등록10-1499752호는 부품수의 증가로 구조가 복잡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부품과 결합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현실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병마개에 관한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특허 등록번호 10-1342876호, 과립체와 음료수를 동시에 마시도록 하는 캡. 국내 특허 등록번호 10-1499752호, 과립체와 용기내용물을 동시 음용토록 하는 용기마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캡슐이나 정제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가 형성된 인너캡과 캡본체를 원터치 방식으로 강제 끼움 결합하여 1차 조립한 후 인너캡과 캡본체가 조립된 상태로 인너캡의 하단부를 병의 개구에 원터치 방식으로 강제 끼움 결합하여 조립성 및 밀폐성을 향상시키고, 개봉시에는 캡본체를 회전시켜 인너캡으로 분리 개봉하도록 하여 개봉후 인너캡이 병의 개구에 남아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갖도록 한 병마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캡슐이나 정제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된 수용부가 형성되며, 수용부를 밀봉하도록 캡본체가 조립된 상태에서 하단부를 언더컷 구조로 병의 개구에 강제 끼움 조립되는 인너캡; 및 상기 인너캡의 수용부를 밀봉하도록 언더컷 구조로 인너캡에 강제 끼움 조립되며, 개봉시에는 인너캡으로부터 회전되면서 개봉되는 캡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캡본체의 내부에 하부로 돌출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링 형상의 하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120도의 각도로 등분되는 제1 경사면이 형성된 작동돌부; 및 상기 작동돌부에 대면하도록 상기 인너캡에 상부로 돌출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링 형상의 상면에는 제1 경사면에 맞물리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120도의 각도로 등분되는 제2 경사면이 형성된 베이스돌부;를 포함하며, 상기 캡본체와 인너캡의 결합시에는 상기 작동돌부의 제1 경사면과 상기 베이스돌부의 제2 경사면이 맞물리도록 언더컷 구조로 강제 끼움 조립되고, 개봉시에는 상기 캡본체가 회전되면서 상기 작동돌부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1 경사면이 상기 베이스돌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2 경사면을 타고 회전되면서 캡본체가 상승되어 개봉되도록 하는 회전개봉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은 10~15도의 경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부를 밀봉시키도록 상기 캡본체의 내부에 하부로 돌출 형성되는 링 형상의 제1 밀봉돌부에 하부가 개구되도록 상기 수용부의 상단부가 억지끼움 결합되는 제1 밀봉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밀봉홈부에 상기 수용부의 상단이 억지끼움 결합되어 수용부가 밀봉되는 제1 끼움밀봉부와, 상기 제1 끼움밀봉부의 외측으로 소정 거리를 두고 수용부와 동일 높이로 인너캡의 외주면이 형성되며, 상기 인너캡의 외주면 상단부가 밀봉 결합되도록 상기 캡본체의 내부에 하부로 돌출 형성되는 링 형상의 제2 밀봉돌부에 하부가 개구되도록 상기 인너캡의 외주면 상단부가 억지끼움 결합되는 제2 밀봉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 밀봉홈부에 상기 인너캡의 외주면 상단이 억지끼움 결합되어 인너캡이 밀봉되는 제2 끼움밀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끼움밀봉부와 제2 끼움밀봉부는 상기 캡본체와 인너캡이 언더컷 구조로 강제 끼움 조립될 때 상기 수용부의 상단부와 상기 인너캡의 외주면 상단부가 상기 제1 밀봉홈부와 제2 밀봉홈부에 억지끼움 조립되어 밀봉시키는 밀봉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밀봉돌부와 제2 밀봉돌부는 상기 제1 밀봉홈부와 제2 밀봉홈부가 형성되는 하단에 내측으로 소정 곡면을 이루게 형성되어 수용부의 상단부와 인너캡의 외주면 상단부가 제1 밀봉홈부와 제2 밀봉홈부로 끼움되도록 결합을 유도할 수 있는 결합유도곡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밀봉돌부와 제2 밀봉돌부에 하부가 개구되게 형성되는 제1 밀봉홈부와 제2 밀봉홈부는 소정 깊이로 갖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1 밀봉홈부와 제2 밀봉홈부의 내면은 수직면을 이루게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의 상단부와 인너캡의 외주면 상단부에 면접촉되도록 결합되어 밀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본체의 상부에 120도의 각도를 이루며 요입되게 형성되되, 상기 캡본체와 인너캡의 결합시 상기 작동돌부의 제1 경사면과 상기 베이스돌부의 제2 경사면이 맞물리도록 셋팅된 위치에 형성되는 방향성 조립홈부; 및 상기 방향성 조립홈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인너캡의 안쪽에 120도의 각도를 이루게 형성되되, 상기 인너캡의 중앙에 수용부가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방향성 지지돌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본체의 외주면 하단부에는 하부링부재가 브릿지들로 연결되어 상기 캡본체의 개봉시 브릿지들이 절단되어 하부링부재가 인너캡에 남아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부링부재의 내주면에는 상기 인너캡의 외주면에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자유단을 갖는 가압돌부들이 형성되며, 상기 가압돌부들은 개봉시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자유단이 형성되어 상기 캡본체의 회전시 하부링부재를 견고하게 고정시켜 캡본체만이 회전개봉수단에 의해 작동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에 의하면, 결합시에는 언더컷 강제 조립으로 조립성 및 밀폐성을 향상시키고, 개봉시에는 회전시켜 분리 개봉하도록 하여 개봉의 편의성을 갖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충전된 내용물을 일정 기간 동안 원할하게 품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인너캡과 병의 개구와의 밀폐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턱 형상의 강제 조립 방법을 적용하여 밀폐성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음용시 용기와 내캡이 분리가 안되는 형태로 밀폐성 증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캡본체를 개봉시에만 회전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며, 위치에서 밀려 올라가는 형태로 음용시 쉽게 개봉할 수 있도록 기능이 개선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캡본체를 디자인 목적으로 오버 캡 형태를 가지게 되어 제품 디자인을 다양화시킬 수 있고, 캡본체의 외형 디자인을 120도 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디자인을 적용하여, 인너캡과 조립시 일정한 방향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는 캡본체를 개봉시 쉽게 열릴 때 수 있게 하는 기능을 갖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에 구비되는 인너캡과 캡본체과 병의 개구와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에 구비되는 인너캡과 캡본체와 병의 개구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에 구비되는 인너캡과 캡본체와 병의 개구에 결합된 상태로서, 방향성 지지돌부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에 구비되는 인너캡과 캡본체와 병의 개구에 결합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에 구비되는 캡본체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에 구비되는 캡본체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표시를 그림 형태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에 구비되는 인너캡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에 구비되는 인너캡의 저면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표시를 그림 형태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에 구비되는 인너캡의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들은 직접적인 접촉이나 연결뿐만 아니라 구성과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통해 접촉이나 연결된 것도 같은 범위로 해석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에 구비되는 인너캡과 캡본체과 병의 개구와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에 구비되는 인너캡과 캡본체와 병의 개구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에 구비되는 인너캡과 캡본체와 병의 개구에 결합된 상태로서, 방향성 지지돌부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에 구비되는 인너캡과 캡본체와 병의 개구에 결합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에 구비되는 캡본체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에 구비되는 캡본체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표시를 그림 형태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에 구비되는 인너캡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에 구비되는 인너캡의 저면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표시를 그림 형태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에 구비되는 인너캡의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는 언더컷 구조로 강제 끼움 조립되는 인너캡(110)과 캡본체(1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너캡(110)의 중앙부에는 캡슐이나 정제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된 수용부(11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용부(112)를 밀봉하도록 캡본체(120)가 인너캡(110)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인너캡(110)의 하단부를 언더컷 구조로 병의 개구(12)에 강제 끼움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캡본체(120)가 인너캡(110)에 조립될 때에는 인너캡(110)의 수용부(112)를 밀봉하도록 언더컷 구조로 인너캡(110)에 강제 끼움 조립되고, 개봉시에는 인너캡(110)으로부터 회전되면서 개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캡본체(120)를 인너캡(110)에 강제 끼움 조립하는 언터컷 구조는 상기 인너캡(110)의 외주면에 제1 걸림돌부(116)를 형성하고, 상기 제1 걸림돌부(116)에 걸려 결합되도록 상기 캡본체(120)의 내주면에 제1 걸림홈부(121)를 형성하여, 상기 캡본체(120)를 인너캡(110)에 강제적으로 끼워 상기 제1 걸림돌부(116)가 제1 걸림홈부(121)에 걸려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캡본체(120)와 인너캡(110)이 강제 끼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인너캡(110)의 하단부를 병의 개구(12)에 강제 끼움 조립하는 언더컷 구조 역시 상기 병의 개구 외주면에 제2 걸림돌부(14)를 형성하고, 상기 제2 걸림돌부(14)에 걸려 결합되도록 상기 인너캡(110)의 내주면에 제2 걸림홈부(114)를 형성하여, 상기 캡본체(120)가 결합된 인너캡(110)을 병의 개구에 강제적으로 끼워 제2 걸림돌부(14)가 제2 걸림홈부(114)에 걸려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걸림돌부와 걸림홈부가 결합되는 언더컷 구조에 의한 강제 끼움 결합은 조립시간을 단축하는 등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에는 회전개봉수단(13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회전개봉수단(130)에 의해 상기 인너캡(110)과 캡본체(120)가 언터컷 구조에 의해 강제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캡본체(120)를 회전시켜 인너캡(110)으로부터 개봉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조립시에는 언더컷 구조에 의해 강제적으로 끼워 결합하고, 개봉시에는 회전시켜 개봉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회전개봉수단(130)은 상기 캡본체(120)의 내부에 하부로 돌출되도록 작동돌부(132)가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작동돌부(132)의 하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120도의 각도로 등분되도록 제1 경사면(13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작동돌부(132)에 대면하도록 상기 인너캡(110)에 상부로 돌출되도록 베이스돌부(136)가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베이스돌부(136)의 상면에 상기 제1 경사면(134)에 맞물리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120도의 각도로 등분되는 제2 경사면(138)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호 맞물리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작동돌부(132)와 베이스돌부(136)에 의해 캡본체(120)를 회전시켜 개봉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캡본체(120)와 인너캡(110)의 조립시에는 상기 작동돌부(132)의 제1 경사면(134)과 상기 베이스돌부(136)의 제2 경사면(138)이 맞물리도록 언더컷 구조로 강제 끼움 결합하고, 개봉시에는 상기 캡본체(120)를 회전시키면 상기 작동돌부(132)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1 경사면(134)이 상기 베이스돌부(136)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2 경사면(138)을 타고 회전되면서 캡본체(120)가 상승되어 개봉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경사면(134)과 제2 경사면(138)은 10~15도의 경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 경사면(134)과 제2 경사면(138)이 10도 이하의 경사로 이루어지면 상기 캡본체(120)를 회전시 상승되는 높이가 낮게 되어 개봉이 어렵게 되고, 상기 제1 경사면(134)과 제2 경사면(138)이 15도 이상의 경사로 이루어지면 상기 캡본체(120)를 회전시 상승되는 높이가 높게 되어 회전이 이루어지지도 않았는데 개봉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에는 밀봉수단(14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밀봉수단(140)에 의해 상기 인너캡(110)에 형성되어 캡슐 및 정제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112)를 밀봉하고, 상기 인너캡(110)에 결합되는 캡본체(120)를 밀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밀봉수단(140)은 상기 수용부(112)를 밀봉시키도록 상기 캡본체(120)의 내부에 하부로 돌출되도록 링 형상의 제1 밀봉돌부(142a)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밀봉돌부(142a)에는 수용부(112)의 상단부가 억지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부가 개구되는 제1 밀봉홈부(142b)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밀봉홈부(142b)에 상기 수용부(112)의 상단부가 억지끼움 결합되어 수용부(112)가 밀봉되도록 하는 제1 끼움밀봉부(14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밀봉수단(140)은 상기 제1 끼움밀봉부(142)의 외측으로 소정 거리를 두고 수용부(112)와 동일 높이로 인너캡(110)의 외주면이 형성되며, 상기 인너캡(110)의 외주면 상단부가 밀봉 결합되도록 상기 캡본체(120)의 내부에 하부로 돌출되도록 링 형상의 제2 밀봉돌부(144a)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밀봉돌부(144a)에는 인너캡(110)의 외주면 상단부가 억지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부가 개구되는 제2 밀봉홈부(144b)가 형성되어, 상기 제2 밀봉홈부(144b)에 상기 인너캡(110)의 외주면 상단이 억지끼움 결합되어 인너캡이 밀봉되도록 하는 제2 끼움밀봉부(144)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끼움밀봉부(142)와 제2 끼움밀봉부(144)는 상기 캡본체(120)와 인너캡(110)이 언더컷 구조로 강제 끼움 조립될 때 상기 수용부(112)의 상단부와 상기 인너캡(110)의 외주면 상단부가 상기 제1 밀봉홈부(142b)와 제2 밀봉홈부(144b)에 억지끼움 조립되어 밀봉시키도록 함으로서,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인너캡(110)과 캡본체(120)를 억지끼움 결합하면 자연적으로 밀봉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밀봉수단(140)에는 결합유도곡면부(146)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유도곡면부(146)는 제1 밀봉돌부(142a)와 제2 밀봉돌부(144a)의 하단에, 즉 상기 제1 밀봉홈부(142b)와 제2 밀봉홈부(144b)가 형성되는 하단에 내측으로 소정 곡면을 이루게 형성되어 수용부(112)의 상단부와 인너캡(110)의 외주면 상단부가 제1 밀봉홈부(142b)와 제2 밀봉홈부(144b)로 끼움되도록 결합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결합유도곡면부(146)에 의해 상기 인너캡(110)과 캡본체(120)를 강제 끼움 조립시 수용부(112)의 상단부와 인너캡(110)의 외주면 상단부가 상기 결합유도곡면부(146)에 안내되어 제1 밀봉홈부(142b)와 제2 밀봉홈부(144b)로 끼워져 밀봉됨으로, 조립성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 제1 밀봉돌부(142a)와 제2 밀봉돌부(144a)에 하부가 개구되게 형성되는 제1 밀봉홈부(142b)와 제2 밀봉홈부(144b)는 소정 깊이로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 밀봉홈부(142b)와 제2 밀봉홈부(144b)의 내면은 수직면을 이루게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112)의 상단부와 인너캡(110)의 외주면 상단부에 면접촉되도록 결합되어 밀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에는 인너캡(110)과 캡본체(120)의 조립시 방향을 맞출 수 있도록 방향성 조립홈부(152)와 방향성 지지돌부(154)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성 조립홈부(152)는 캡본체(120)의 상부에 120도의 각도를 이루며 요입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빅하다. 즉, 상기 방향성 조립홈부(152)는 캡본체(120)와 인너캡(110)의 결합시 상기 작동돌부(132)의 제1 경사면(134)과 상기 베이스돌부(136)의 제2 경사면(138)이 맞물리도록 셋팅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향성 지지돌부(154)는 방향성 조립홈부(152)에 대응하도록 상기 인너캡(110)의 안쪽에 120도의 각도를 이루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방향성 지지돌부(154)에 의해 상기 인너캡(110)의 중앙에 수용부(112)가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방향성 지지돌부(154)에 수용부(112)가 연결되어 인너캡(110)의 중앙에 수용부(112)가 배치되도록 하며, 상기 방향성 지지돌부(154)의 사이 공간을 통해 병의 내용물(음료)가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방향성 조립홈부(152)와 방향성 지지돌부(154)는 상기 작동돌부(132)와 베이스돌부(136)가 맞물려 결합되는 위치에 형성되므로, 인너캡(110)과 캡본체(120)를 조립시 조립용 지그(미도시)에 캡본체(120)와 인너캡(110)을 셋팅시 방향성 조립홈부(152)와 방향성 지지돌부(154)를 정위치에 셋팅시키면 작동돌부와 베이스돌부가 맞물리도록 결합할 수 있어 조립 방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조립용 지그를 이용하여 인너캡과 캡본체를 조립 시 방향성 조립홈부와 방향성 지지돌부를 지그에 설정된 위치로 간편하게 위치시킬 수 있음으로 인너캡과 캡본체의 조립시 간편하게 작동돌부와 베이스돌부가 맞물리도록 조립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는 상기 캡본체(120)의 외주면 하단부에 하부링부재(122)가 브릿지(124)들로 연결되어 상기 캡본체(120)의 개봉시 브릿지(124)들이 절단되어 하부링부재(122)가 인너캡(110)에 남아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하부링부재(122)의 내주면에는 상기 인너캡(110)의 외주면에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자유단을 갖는 가압돌부(126)들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압돌부(126)들은 개봉시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자유단이 형성되어 상기 캡본체(120)의 회전시 하부링부재(122)를 견고하게 가압 고정시켜 캡본체(120)만이 회전개봉수단(130)에 의해 작동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는, 상기 인너캡(110)의 수용부(112)에 캡슐 혹은 정제를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인너캡(110)과 캡본체(120)를 조립용 지그를 이용하여 강제 끼움 조립한 후, 캡본체(120)와 인너캡(110)이 조립된 상태에서 병의 개구(12)에 인너캡(110)의 하단부를 강제 끼움 결합하여 조립하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캡본체(120)를 회전시키게 되면 작동돌부(132)의 제1 경사면(134)이 베이스돌부(136)의 제2 경사면(138)을 타고 상승하면서 인너캡(110)으로부터 분리 개봉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립시에는 강제 끼움 방식으로 조립하고, 개봉시에는 회전시켜 분리 개봉할 수 있으며, 개봉 후 수용부(112)에 수용된 캡슐 혹은 정제는 병의 내용물(음료)을 음용시 함께 섭취할 수 있다. 통상, 언더컷 구조에 의해 강제 끼움 조립하게 되면 분리 개봉에 어려움이 있게 되는데, 본 발명은 간편하게 회전시켜 분리 개봉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있다. 즉, 120도 3면 방향성 조립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은 병의 개구에 강제 끼움 조립함으로서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충진 공정 및 조립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너캡(110)의 수용부(112)에 캡슐이나 정제를 투입하는 제1 공정과, 캡슐이나 정제가 투입된 인너캡(110)에 캡본체(120)를 언터컷 강제 조립하는 제2 단계와, 병(용기)에 내용물(음료)를 충진하고, 제2 단계에서 인너캡(110)과 캡본체(120)가 조립된 상태로 병의 개구에 언터컷 강제 조립하는 제3 단계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은 총 3개의 공정만으로 조립이 완료되며, 본 발명은 밀폐성 향상을 위한 강제 조립 구조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개봉시 캡본체(120)를 회전시켜 개봉할 수 있다. 통상 언터컷 강제 조립의 경우 개봉에 어려움이 있으나 본 발명은 캡본체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간단하게 분리 개봉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개봉후에는 내용물과 함께 캡슐 혹은 정제를 섭취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110 - 인너캡 112 - 수용부
120 - 캡본체 122 - 하부링부재
130 - 회전개봉수단 132 - 작동돌부
134 - 제1 경사면 136 - 베이스돌부
138 - 제2 경사면 140 - 밀봉수단
142 - 제1 끼움밀봉부 144 - 제2 끼움밀봉부
152 - 방향성 조립홈부 154 - 방향성 지지돌부

Claims (7)

  1. 캡슐이나 정제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된 수용부(112)가 형성되며, 수용부(112)를 밀봉하도록 캡본체(120)가 조립된 상태에서 하단부를 언더컷 구조로 병의 개구에 강제 끼움 조립되는 인너캡(110);
    상기 인너캡(110)의 수용부(112)를 밀봉하도록 언더컷 구조로 인너캡(110)에 강제 끼움 조립되며, 개봉시에는 인너캡(110)으로부터 회전되면서 개봉되는 캡본체(120); 및
    상기 캡본체(120)를 회전시켜 상기 인너캡(110)으로부터 분리 개봉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개봉수단(130);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개봉수단(130)은:
    상기 캡본체(120)의 내부에 하부로 돌출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링 형상의 하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120도의 각도로 등분되는 제1 경사면(134)이 형성된 작동돌부(132); 및
    상기 작동돌부(132)에 대면하도록 상기 인너캡(110)에 상부로 돌출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링 형상의 상면에는 제1 경사면(134)에 맞물리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120도의 각도로 등분되는 제2 경사면(138)이 형성된 베이스돌부(136);를 포함하며,
    상기 캡본체(120)와 인너캡(110)의 결합시에는 상기 작동돌부(132)의 제1 경사면(134)과 상기 베이스돌부(136)의 제2 경사면(138)이 맞물리도록 언더컷 구조로 강제 끼움 조립되고, 개봉시에는 상기 캡본체(120)가 회전되면서 상기 작동돌부(132)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1 경사면(134)이 상기 베이스돌부(136)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2 경사면(138)을 타고 상승되면서 캡본체(120)가 개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돌부(132)와 베이스돌부(136)에 상호 맞물리게 형성되는 제1 경사면(134)과 제2 경사면(138)은 10~15도의 경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112)를 밀봉시키도록 상기 캡본체(120)의 내부에 하부로 돌출 형성되는 링 형상의 제1 밀봉돌부(142a)에 하부가 개구되도록 상기 수용부(112)의 상단부가 억지끼움 결합되는 제1 밀봉홈부(142b)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밀봉홈부(142b)에 상기 수용부(112)의 상단이 억지끼움 결합되어 수용부(112)가 밀봉되는 제1 끼움밀봉부(142);
    상기 제1 끼움밀봉부(142)의 외측으로 소정 거리를 두고 수용부(112)와 동일 높이로 인너캡(110)의 외주면이 형성되며, 상기 인너캡(110)의 외주면 상단부가 밀봉 결합되도록 상기 캡본체(120)의 내부에 하부로 돌출 형성되는 링 형상의 제2 밀봉돌부(144a)에 하부가 개구되도록 상기 인너캡(110)의 외주면 상단부가 억지끼움 결합되는 제2 밀봉홈부(144b)가 형성되어 상기 제2 밀봉홈부(144b)에 상기 인너캡(110)의 외주면 상단이 억지끼움 결합되어 인너캡(110)이 밀봉되는 제2 끼움밀봉부(144);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끼움밀봉부(142)와 제2 끼움밀봉부(144)는 상기 캡본체(120)와 인너캡(110)이 언더컷 구조로 강제 끼움 조립될 때 상기 수용부(112)의 상단부와 상기 인너캡(110)의 외주면 상단부가 상기 제1 밀봉홈부(142b)와 제2 밀봉홈부(144b)에 끼움 조립되어 밀봉시키는 밀봉수단(1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밀봉돌부(142a)와 제2 밀봉돌부(144a)는 상기 제1 밀봉홈부(142b)와 제2 밀봉홈부(144b)가 형성되는 하단에 내측으로 소정 곡면을 이루게 형성되어 수용부(112)의 상단부와 인너캡(110)의 외주면 상단부가 제1 밀봉홈부(142b)와 제2 밀봉홈부(144b)로 끼움되도록 결합을 유도할 수 있는 결합유도곡면부(14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밀봉돌부(142a)와 제2 밀봉돌부(144a)에 하부가 개구되게 형성되는 제1 밀봉홈부(142b)와 제2 밀봉홈부(144b)는 소정 깊이로 갖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1 밀봉홈부(142b)와 제2 밀봉홈부(144b)의 내면은 수직면을 이루게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112)의 상단부 측벽부와 인너캡(110)의 외주면 상단부 측벽부가 면접촉되도록 결합되어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본체(120)의 상부에 120도의 각도를 이루며 요입되게 형성되되, 상기 캡본체(120)와 인너캡(110)의 결합시 상기 작동돌부(132)의 제1 경사면(134)과 상기 베이스돌부(136)의 제2 경사면(138)이 맞물리도록 셋팅된 위치에 형성되는 방향성 조립홈부(152); 및
    상기 방향성 조립홈부(152)에 대응하도록 상기 인너캡(110)의 안쪽에 120도의 각도를 이루게 형성되되, 상기 인너캡(110)의 중앙에 수용부(112)가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방향성 지지돌부(154);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성 조립홈부(152)와 방향성 지지돌부(154)를 조립용 지그에 셋팅시켜 인너캡(110)과 캡본체(120)를 끼움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본체(120)의 외주면 하단부에는 하부링부재(122)가 브릿지(124)들로 연결되어 상기 캡본체(120)의 개봉시 브릿지(124)들이 절단되어 하부링부재(122)가 인너캡ㅍ에 남아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부링부재(122)의 내주면에는 상기 인너캡(110)의 외주면에 밀착 가압할 수 있도록 자유단을 갖는 가압돌부(126)들이 형성되되, 상기 가압돌부(126)들은 캡본체(120)의 개봉시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자유단이 형성되어 상기 캡본체(120)의 회전시 하부링부재(122)를 견고하게 가압 고정시켜 캡본체(120)만이 회전개봉수단(130)에 의해 작동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KR1020210096781A 2021-07-23 2021-07-23 병마개 KR102290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781A KR102290769B1 (ko) 2021-07-23 2021-07-23 병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781A KR102290769B1 (ko) 2021-07-23 2021-07-23 병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0769B1 true KR102290769B1 (ko) 2021-08-18

Family

ID=77464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6781A KR102290769B1 (ko) 2021-07-23 2021-07-23 병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076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2024A (ko) * 2004-04-20 2005-10-25 노희권 실링 처리된 용기의 입구에 장착된 뚜껑을 개방할 때에 그뚜껑에 의해 자동으로 실링 부재를 커팅 또는 개봉하는 2Pieces로 구성된 뚜껑
KR101317556B1 (ko) * 2012-05-18 2013-10-11 김준희 액상음료와 고체보조제의 분리 저장 및 함께 음용이 가능한 용기
KR101342876B1 (ko) 2012-09-14 2013-12-18 (주)삼화피앤티 과립체와 음료수를 동시에 마시도록 하는 캡
KR101499752B1 (ko) 2013-08-06 2015-03-10 제이씨텍(주) 과립체와 용기내용물을 동시 음용토록 하는 용기마개
KR101503798B1 (ko) * 2014-01-03 2015-03-19 최재구 액상과 고체제의 분리 저장 및 동시 음용이 가능한 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2024A (ko) * 2004-04-20 2005-10-25 노희권 실링 처리된 용기의 입구에 장착된 뚜껑을 개방할 때에 그뚜껑에 의해 자동으로 실링 부재를 커팅 또는 개봉하는 2Pieces로 구성된 뚜껑
KR101317556B1 (ko) * 2012-05-18 2013-10-11 김준희 액상음료와 고체보조제의 분리 저장 및 함께 음용이 가능한 용기
KR101342876B1 (ko) 2012-09-14 2013-12-18 (주)삼화피앤티 과립체와 음료수를 동시에 마시도록 하는 캡
KR101499752B1 (ko) 2013-08-06 2015-03-10 제이씨텍(주) 과립체와 용기내용물을 동시 음용토록 하는 용기마개
KR101503798B1 (ko) * 2014-01-03 2015-03-19 최재구 액상과 고체제의 분리 저장 및 동시 음용이 가능한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02581A1 (en) Multiple chamber bottle and method of filling and assembling same
EP2882657B1 (en) Resealable beverage container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8887905B2 (en) Plastic closure having a capsule for dispensing active ingredients
US9327881B1 (en) All-in-one lid dispenser
KR101317556B1 (ko) 액상음료와 고체보조제의 분리 저장 및 함께 음용이 가능한 용기
CN102482008A (zh) 杯子和用于杯子的盖组件
KR101916400B1 (ko) 액상과 고체제의 분리 저장 및 동시 음용이 가능한 용기
KR20150017105A (ko) 과립체와 용기내용물을 동시 음용토록 하는 용기마개
KR101631438B1 (ko) 과립체와 용기내용물을 동시 음용토록 하는 용기마개
JP4340313B2 (ja) ボトルキャップ
JP2014061949A (ja) 密封装置
KR101503798B1 (ko) 액상과 고체제의 분리 저장 및 동시 음용이 가능한 용기
KR102290769B1 (ko) 병마개
ES2803755T3 (es) Tapa de cierre para un contenedor
KR101752364B1 (ko) 용기 캡 구조체
JP3115142U (ja) 飲料用容器
TWM550720U (zh) 飲料杯及其杯蓋
KR102619274B1 (ko) 음료 용기용 마개 조립체
JP2020045114A (ja) オーバーキャップおよびオーバーキャップ付き容器
CN216333978U (zh) 一种具有内容物的饮料瓶盖
JP3117995U (ja) 多機能キャップ構造
CN114751079B (zh) 储料装置及具有其的盖体和容器
JP3146619U (ja) 市販ボトル装着容器
KR102280945B1 (ko) 호환식 결합용기
CN211076979U (zh) 一种分体式瓶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