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0945B1 - 호환식 결합용기 - Google Patents

호환식 결합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0945B1
KR102280945B1 KR1020190039023A KR20190039023A KR102280945B1 KR 102280945 B1 KR102280945 B1 KR 102280945B1 KR 1020190039023 A KR1020190039023 A KR 1020190039023A KR 20190039023 A KR20190039023 A KR 20190039023A KR 102280945 B1 KR102280945 B1 KR 102280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upling
holder
locking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9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7220A (ko
Inventor
일 남
Original Assignee
일 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 남 filed Critical 일 남
Priority to KR1020190039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0945B1/ko
Publication of KR20200117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7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0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0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3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provided with a recess in order to be seated on the neck or similar protrusion of a larger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사용편의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상부가 개구되어 수용공간이 함몰 형성되는 용기; 상기 용기의 바닥 테두리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되, 걸림용기의 상단 외주에 구비된 걸림돌기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결합부가 내주에 단차지게 형성된 걸림홀더부; 및 상기 수용공간을 상기 용기의 하부에 형성되는 결합공간과 구획하도록 상기 걸림홀더부의 중앙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돌출되되, 상단면에 스트로 관통구가 형성되며, 내주에 페트병의 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결합나사부가 돌출 형성된 페트홀더부를 포함하는 호환식 결합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호환식 결합용기{compatible coupling vessel}
본 발명은 호환식 결합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편의성이 개선되는 호환식 결합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라 함은 액체 형태의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음료용기와 고체 형태의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그릇 형태의 용기로 분류된다. 여기서, 음료용기로는 통상적으로 PET나 유리병, 금속캔, 종이컵 등 다양한 재질과 디자인을 갖는 용기가 이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음료용기는 음료의 수용이 가능한 음료용기와 상기 음료용기의 상부를 나사결합으로 마감할 수 있는 마개로 구성되어, 음료를 섭취시 마개를 제거하고 컵 등에 따라 섭취할 수 있는 용기가 제공된 바 있다. 또한, 음료의 수용이 가능 한 상부 개방형 용기와, 상기 용기의 상부를 마감하는 캡이 형성되고, 상기 캡에는 스트로를 꽂아 사용할 수 있도록 스토로 홀이 구비된 용기가 사용되고 있다.
한편, 근래에는 영화나 운동경기 등의 관람을 취미로 하는 인구가 늘고 있으며, 이러한 관람시 팝콘이 담긴 팝콘용기와 음료가 담긴 음료용기 등을 휴대하며 즐기는 이들이 많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음료용기 및 팝콘용기는 각각의 종류의 음식을 섭취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각각의 용기를 휴대하여야 하며, 이에 따라 양손이 자유로울 수 없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음료와 팝콘과 같은 음식물을 함께 섭취할 수 있도록 제작된 용기가 개발된 바 있다.
한편, 상부둘레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음료용기와 병목 관통홀을 갖는 그릇, 암나사부가 형성된 마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 이중용기는 한국 공개특허 제10-2015-0055824호에 개시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이중용기에 음료와 음식물을 함께 담아 섭취하는 경우 음료를 섭취하려면 상기 마개를 열어야만 하며 상기 마개가 제거된 경우 음식물이 음료 안으로 혼입되어 음료의 맛을 해칠 위험을 내포하고 있었다.
또한, 상기 이중용기를 사용하는 도중 음식물이 남아있는 상황에서 상기 음료용기 내의 음료를 모두 섭취 한경우 상기 음료용기를 변경하거나 상기 음료용기 내부로 음료를 채워넣어야만 하며, 상기 음료용기를 변경할 경우 추가 음료용기를 소지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용화된 음료는 모두 음료용기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기 음료용기를 상용화된 음료로 채울시 번거로움이 있으며, 주위에 휴지통이 없는 경우 상용화된 음료용기를 계속 소지해야 하는 문제점이 뒤따르고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5-0055824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편의성이 개선되는 호환식 결합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가 개구되어 수용공간이 함몰 형성되는 용기; 상기 용기의 바닥 테두리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되, 걸림용기의 상단 외주에 구비된 걸림돌기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결합부가 내주에 단차지게 형성된 걸림홀더부; 및 상기 수용공간을 상기 용기의 하부에 형성되는 결합공간과 구획하도록 상기 걸림홀더부의 중앙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돌출되되, 상단면에 스트로 관통구가 형성되며, 내주에 페트병의 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결합나사부가 돌출 형성된 페트홀더부를 포함하되, 상기 페트병이 나사결합되도록, 상기 결합나사부는 상기 페트병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선 프로파일을 따라 상기 페트홀더부의 내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설되되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분할되어 복수개로 돌출되고, 상기 페트홀더부의 내주에는 음료병의 상단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의 요철부가 상하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병결합후크부가 구비되되, 상기 병결합후크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개 돌출 형성된 상기 결합나사부의 이격간격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식 결합용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다양한 타입의 걸림용기가 결합되도록 상기 걸림결합부가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걸림결합부의 상기 직경이 작아지고 다단 단차지게 복수개로 형성되는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한편, 상기 걸림결합부는 수직으로 배치된 수직면부와, 상기 수직면부의 상단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수평 돌출된 수평면부와, 상기 수직면부의 내주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돌출된 후크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후크돌기의 상단과 상기 수평면부 사이의 폭은 상기 걸림돌기의 두께에 대응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직경이 작아지고 다단 단차지게 복수개로 형성되는 상기 걸림결합부가 구비되므로 다양한 타입의 상기 걸림용기 등을 호환할 수 있어 시판되는 대부분의 음료용기 등을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둘째, 상기 페트홀더부 내주에 구비되되, 상기 페트병의 나사산과 대응되어 형성된 상기 결합나사부와 상기 상단돌기와 대응되어 형성된 상기 병결합후크부가 교번 형성되므로 부족한 상기 페트홀더부 내부공간에 상기 페트병이나 상기 음료병 등 복수개의 결합구조를 컴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다.
셋째,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페트홀더부에 의해 상기 용기의 하부에 형성되는 결합공간과 구획되므로, 상기 음식물이 상기 음료용기 측으로 누설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결합부의 상기 후크돌기에 의해 걸림결합되어 상기 걸림용기와 결합된 상기 음료용기 결합장치가 고정되므로, 외부 요동 내지 충격에 의해 상기 걸림용기에서 상기 음료용기 결합장치가 분리되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환식 결합용기를 나타낸 단면투영도.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나타낸 확대도.
도 3은 도 1의 B부분의 내부구성이 일부분 투영된 확대도.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환식 결합용기에서 걸림홀더부와 걸림용기가 결합된 예시도 및 확대도.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환식 결합용기에서 페트홀더부의 결합나사부와 페트병이 결합된 예시도 및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환식 결합용기에서 페트홀더부의 병결합후크부와 음료병이 결합된 예시도 및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라 분리되어 형성된 결합용기 및 걸림홀더부와 이들을 고정할 수 있도록 추가된 클램프부를 나타낸 단면투영도.
도 9는 도 8의 A부분의 결합커넥터와 결합용기 및 클램프부의 결합을 나타낸 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호환식 결합용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환식 결합용기의 단면투영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걸림홀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1의 B부분의 내부구성이 일부분 투영된 확대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환식 결합용기에서 걸림홀더부와 걸림용기가 결합된 예시도 및 확대도이며,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환식 결합용기에서 페트홀더부의 결합나사부와 페트병이 결합된 예시도 및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환식 결합용기에서 페트홀더부의 병결합후크부와 음료병이 결합된 예시도 및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호환식 결합용기(100)는 용기(10), 걸림홀더부(20), 페트홀더부(30), 결합나사부(33), 병결합후크부(34)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용기(10), 상기 걸림홀더부(20), 상기 페트홀더부(30), 상기 결합나사부(33), 상기 병결합후크부(34)가 일체형으로 구성되나, 분리되어 결합식 구성을 가지게 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용기(10)는 상부가 개구되어 수용공간(11)이 함몰 형성된다. 이때, 상기 용기(10)의 수용공간(11)에는 음식물이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식물은 고체형상의 팝콘이나 치킨 등일 수 있으며, 액체형상의 스프나 죽 등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11)은 하나 이상의 상기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10)의 반경방향이나 원호부분에 상기 수용공간(11)을 구획할 수 있는 칸막이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칸막이를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10) 내부에 상기 칸막이의 테두리에 대응되는 프로파일을 따라 돌출 형성된 칸막이설치부가 구비되어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칸막이가 상기 용기(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칸막이설치부 없이 상기 수용공간(11)을 구획하여 각 상기 수용공간(11) 간의 기밀성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용기(10)는 상기 용기(10)의 바닥 테두리(12) 외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측벽부(13)가 형성되어 상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을 가지게 된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용기(10)의 바닥 테두리(12)가 라운드지게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용기(10)가 오목한 형상을 하게 될 수 있으며, 상술한 형상 이외에도 여러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홀더부(20)는 상기 용기(10)의 바닥 테두리(12)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결합부(21,22,23,24,25)가 내주에 단차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결합부(21,22,23,24,25)는 걸림용기의 상단 외주에 구비된 걸림돌기(41,51)가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용기(40,50)는 상단 외주에 걸림돌기(41,51)가 구비되는 용기로 컵 또는 캔 등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걸림용기(40,50)는 상단부 테두리를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갖는 용기라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걸림홀더부(20)는 다양한 타입의 상기 걸림용기(40,50)가 걸림결합되도록 상이한 직경을 가지되, 상측으로 갈수록 각 상기 걸림결합부(21,22,23,24,25)의 상기 직경이 작아지고 다단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각 상기 걸림결합부(21,22,23,24,25)는 상기 걸림돌기(41,51)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세히,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걸림결합부(21)는 수직으로 배치된 수직면부(21a)와, 상기 수직면부(21a)의 상단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수평 돌출된 수평면부(21b)와, 상기 수직면부(21a)의 내주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돌출된 후크돌기(21c)가 형성된다. 한편, 각 상기 걸림결합부는 각각의 직경이 상이하되, 각각의 걸림결합부(21,22,23,24,25)를 형성하는 세부구조의 기본적인 형상은 대응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페트홀더부(30)는 상기 걸림홀더부(20)의 중앙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용공간(11)을 상기 용기(1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결합공간(26,31)과 구획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음식물이 상기 음료용기 측으로 누설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료용기는 상기 걸림용기(40,50)와 페트병(60) 및 음료병(70) 등을 포함하되, 상기 페트홀더부(30)와 상기 걸림홀더부(20)에 결합될 수 있는 모든 용기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결합공간(26,31)은 페트홀더부(30) 내부의 페트결합공간(31)과 상기 걸림홀더부(20) 내부의 걸림결합공간(26)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페트결합공간(31)은 내부에 상기 페트병(60)이나 상기 음료병(70) 등을 결합할 수 있고, 상기 걸림결합공간(26)은 내부에 상기 걸림용기(40,50) 등을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페트홀더부(30) 상단면에 상기 스트로 관통구(32)가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스트로 관통구(32)에 스트로를 삽입하여 상기 걸림홀더부(20)나 상기 페트홀더부(30)에 결합된 상기 음료용기 내부의 음료를 섭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로 관통구(32)는 상기 페트홀더부(30) 상단면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스트로의 직경에 비해 큰 직경을 가지도록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흔들림이나 외부 충격에 의해 상기 음식물이 상기 스트로 관통구(32)를 통하여 상기 음료용기의 내부로 혼입되어 상기 음료의 맛이 변질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호환식 결합용기(100)의 사용을 위해 상기 페트병(60)이나 상기 음료병(70)을 상기 페트홀더부(30)의 상기 페트결합공간(31) 내부로 삽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페트홀더부(30)의 하단과 상기 걸림홀더부(20)의 상단 사이에는 단면이 확장되는 형태의 페트홀더넥(35)이 연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페트홀더넥(35)이 상기 페트병(60)을 상기 페트결합공간(31) 내부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페트홀더넥(35)은 상기 페트홀더부(30)의 하단과 상기 걸림홀더부(20)의 상단으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선접촉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페트홀더부(30)의 하단 직경과 상기 걸림홀더부(20)의 상단 직경에 의해 기울기가 형성되어 깔때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나사부(33)에 상기 페트병(60)이 결합시 상기 페트병(60)의 입구로부터 하부에 라운드지게 연장 형성된 페트숄더부가 상기 페트홀더넥(35) 내주에 가압 밀착된다. 이를 통해, 상기 결합나사부(33)의 상기 페트병(60)에 대한 구속효과가 증대되어 진동 등의 외부요인에도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페트홀더부(30) 내주에는 상기 페트병(60)의 나사산(61)과 나사결합되는 결합나사부(33)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나사부(33)는 상기 나사산(61)과 대응되는 나선 프로파일을 따라 배열되어 이와 대응되는 기울기를 가지게 됨으로써 상기 페트병(60)이 상기 결합나사부(33)에서 원활하게 나선회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페트홀더부(30)는 상기 걸림홀더부(20)로부터 상측으로 하광상협의 단면을 가지게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결합나사부(33)에 상기 페트병(60)이 나사결합시 페트병입구(62)의 상단부에 비해 협소한 단면으로 인해 상기 페트병(60)이 구속되는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나사부(33)는 상기 페트홀더부(30) 내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고 상하방향으로 복수개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페트홀더부(30) 내주에는 상기 음료병(70)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음료병(70)의 상단돌기(7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하방향을 따라 요철부(34a)가 형성된 병결합후크부(34)가 상기 결합나사부(33) 사이의 이격간격에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결합나사부(33)와 상기 병결합후크부(34)가 상기 페트홀더부(30) 내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교번배치된다.
더욱이, 상기 결합나사부(33)는 상기 페트병(60)과 결합되는 것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상세히, 상기 병결합후크부(34)에 상기 음료병(70)을 고정 시 복수개 돌출된 상기 결합나사부(33)가 상기 상단돌기(71)에 대응되어 상기 음료병(70)이 상기 페트홀더부(30) 내부에 고정되는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호환식 결합용기(100)의 사용 예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세히,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호환식 결합용기(100)에서 상기 걸림홀더부(20)와 상기 걸림용기(40,50)가 결합된 예시도이다.
먼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컵 형상의 걸림용기(40)가 상기 걸림홀더부(20)의 상기 걸림결합부(23)에 걸림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수평면부(23b)의 하면과 상기 후크돌기(23c)의 상단 사이의 폭이 상기 걸림돌기(41)의 두께에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걸림돌기(41)가 상기 걸림결합부(23)의 후크돌기(23c)에 의해 걸림결합되어 상기 컵 형상의 걸림용기(40)와 결합된 상기 호환식 결합용기(100)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에 따라, 외부 요동이나 충격에 의해 상기 컵 형상의 걸림용기(40)에서 상기 호환식 결합용기(100)가 분리되어 상기 수용공간(11)내의 상기 음식물이 유실되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는, 상기 걸림결합부(23)와 상기 수평면부(23b) 및 상기 후크돌기(23c)만을 예시로 설명 하나, 상기 걸림결합부(21,22) 또한 상술한 상기 컵 형상의 걸림용기(40)가 상기 걸림결합부(21,22)의 상기 수평면부(21b,22b)및 상기 후크돌기(21c,22c)와 동일한 구조로 걸림결합될 수 있으므로 상기 걸림결합부(21,22)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캔 형상의 걸림용기(50)가 상기 걸림홀더부(20)의 상기 걸림결합부(24)에 걸림결합된다. 즉, 상기 걸림결합부(24)의 상기 수평면부(24b)와 상기 후크돌기(24c)에 걸림결합시 상기 컵 형상의 걸림용기(40)가 상기 걸림돌기(41)의 두께에 대응되는 상기 수평면부(23b)와 상기 후크돌기(23c) 사이에 걸림결합되어 상기 컵 형상의 걸림용기(40)와 결합된 상기 호환식 결합용기(100)의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캔 형상의 걸림용기(50)와 상기 컵 형상의 걸림용기(40)는 그 형상이 일부 다르다. 이로 인해, 상기 캔 형상의 걸림용기(50)와 상기 걸림결합부(24)가 결합시 상기 후크돌기(24c)의 두께가 상기 캔 형상의 걸림돌기(51) 하측에 위치한 오목하게 함몰된 캔요홈부(52)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후크돌기(24c)의 두께가 상기 캔요홈부(52)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면 상기 걸림결합부(24)와 상기 캔 형상의 걸림돌기(51)가 이격되어 상기 걸림결합부(24)의 상기 캔 형상의 걸림용기(50)에 대한 구속효과가 감소될 수 있다. 여기서는, 상기 걸림결합부(24)만을 예시로 설명하나, 상기 걸림결합부(25) 또한 상술한 캔 형상의 걸림용기(50)가 동일한 구조로 걸림결합될 수 있으므로 상기 걸림결합부(25)에 대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호환식 결합용기(100)에서 상기 페트홀더부(30)의 상기 결합나사부(33)와 상기 페트병(60)이 결합된 예시도이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페트병(60)이 상기 페트결합공간(31)의 상기 결합나사부(33)에 나사결합된다. 상세히, 마개가 제거된 상기 페트병입구(62)는 상기 걸림홀더부(20)의 중앙부를 따라 상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페트결합공간(31)에 이르렀을 때 나선회전되어 상기 결합나사부(33)에 나사결합된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호환식 결합용기(100)에서 상기 페트홀더부(30)의 상기 병결합후크부(34)와 상기 음료병(70)이 결합된 예시도이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음료병(70)이 상기 페트홀더부(30)의 상기 병결합후크부(34)와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페트결합공간(31)까지의 삽입 과정은 상기 페트병(60)의 결합 예시와 같으나, 삽입 후 상기 병결합후크부(34)에 상기 상부돌기와 대응되어 형성된 상기 요철부(34a)의 형상에 의해 상기 음료병(70)이 상기 페트홀더부(30) 내부에 결합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호환식 결합용기(100)에 상기 걸림용기(40,50)나 상기 페트병(60) 및 상기 음료병(70) 등의 다양한 상기 음료용기를 결합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수용공간(11) 내부에 상기 음식물 등을 수용할 수 있어 음료와 상기 음식물 등을 함께 섭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분리되어 형성된 결합용기(210) 및 걸림홀더부(220)와 이들을 고정할 수 있도록 추가된 클램프부(280)를 나타낸 단면투영도이다.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호환식 결합용기(200)는 상기 걸림홀더부(220)와 페트홀더부(230)를 포함한 호환식 결합커넥터(C)와 결합용기(210) 및 상기 클램프부(280)가 분리되어 결합되는 구성을 가진다.
한편, 상기 걸림홀더부(220)의 적어도 하나의 공간에 길게 돌출된 수평면부(223b)에 상기 결합용기(210)가 안착된다. 한편, 상기 결합용기(210)는 상기 걸림홀더부(220)의 상면부에 테두리가 안착되는 관통홀(212a)이 중앙부에 형성되며 내측에 수용공간(21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용기(210)는 종이 등으로 형성되되, 내부가 음식물에 의해 상기 결합용기(210)가 젖어 형태가 변형되는것을 방지하도록 방수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용기(210)는 한번 사용하고 폐기할 수 있도록 일회용 용기가 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용기(210)는 상기 수용공간(211) 하부에 결합용기바닥(212)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용기바닥(212)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상기 관통홀(212a)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관통홀(212a)은 상기 걸림홀더부(220)의 길게 돌출된 수평면부(223b) 내주 테두리의 반경방향 상측으로 돌출된 수직면부(224a)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통홀(212a)은 상기 걸림홀더부(220)의 길게 돌출된 수평면부(223b) 외주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결합용기(210)의 상기 관통홀(212a) 테두리에서 연장된 상기 결합용기바닥(212) 상면에 클램프부(280)가 안착된다. 여기서, 상기 클램프부(280)의 하부에 상기 결합용기바닥(212)이 배치되고 상기 결합용기바닥(212) 하부에 상기 걸림홀더부(220)가 배치된다. 즉, 아래에서부터 상기 걸림홀더부(220), 상기 결합용기바닥(212), 상기 클램프부(280) 순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클램프부(280)는 상기 걸림홀더부(220)에 후크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걸림홀더부(220)의 길게 돌출된 수평면부(223b) 내주 테두리의 반경방향 상측으로 돌출된 수직면부(224a) 외주에 클램프결합후크(224d)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홀더부(220)와 결합되기 위해, 상기 클램프부(280)에 상기 클램프결합후크(224d)와 대응되는 클램프결합요홈(281)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클램프부(280)는 상기 걸림결합부(224)와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걸림홀더부(220)의 다단 단차지게 형성된 상기 걸림결합부(224)에 대응되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클램프부(280)에는 상기 수직면부(224a)의 외주와 반향되도록 상기 클램프결합요홈(281)이 함몰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클램프결합후크(224d)부와 상기 클램프결합요홈(281)이 후크결합되어 상기 걸림홀더부(220)와 상기 클램프부(280)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클램프결합후크(224d)부는 상기 수직면부(224a) 외주를 따라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클램프결합요홈(281)은 상기 클램프부(280) 내주를 따라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클램프부(280)가 상기 걸림홀더부(220)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클램프결합후크(224d)와 상기 클램프결합요홈(281)만을 예시로 설명하나, 동일한 구조로 걸림결합될 수 있는 상기 걸림결합부(225)와 상기 클램프부(280)의 세부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클램프부(280)는 상기 페트홀더부(230)가 내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고리형상으로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클램프부(280)의 내주 직경은 상기 페트홀더부(230)의 최대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클램프부(280)에는 상기 클램프부(280)의 테두리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되, 상기 관통홀(212a) 테두리 상부에 면접촉되어 실링하도록 실링부(28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실링부(282)는 상기 관통홀(212a) 테두리와 대응되는 내주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링부(282)는 상기 걸림홀더부(220)의 길게 돌출된 수평면부(223b)의 최대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클램프부(280)가 상기 걸림홀더부(220)에 결합시, 상기 실링부(282)와 상기 수평면부 사이에 상기 관통홀(212a) 테두리가 가압 밀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링부(282)와 상기 걸림홀더부(220)의 길게 돌출된 수평면부(223b) 사이의 상하간격이 상기 관통홀(212a) 테두리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관통홀(212a) 테두리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상기 결합용기바닥(212)이 가압 밀착되어 실링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프부(280)는 상기 호환식 결합커넥터(C)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평면부(223b)를 상기 걸림홀더부(220)의 길게 돌출된 수평면부(223b)로 설명한다. 그러나, 상기 걸림홀더부(220)의 길게 돌출된 수평면부(223b)는 각 상기 걸림결합부(221,222,223,224,225) 간의 직경 차이에 따라 변경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용기(210), 상기 걸림홀더부(220) 및 상기 클램프부(280)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호환식 결합용기 10: 결합용기
11: 수용공간 12: 바닥테두리
13: 측벽부 20: 걸림홀더부
21~25: 걸림결합부 21a~25a: 수직면부
21b~25b: 수평면부 21c~25c: 후크돌기
26: 걸림결합공간 30: 페트홀더부
31: 페트결합공간 32: 스트로 관통구
33: 결합나사부 34: 병결합후크부
34a: 요철부 40: 컵 형상의 걸림용기
50: 캔 형상의 걸림용기 41,51: 걸림돌기
52: 캔요홈부 60: 페트병
61: 나사산 62: 페트병입구
70: 음료병 71: 상단돌기

Claims (5)

  1. 상부가 개구되어 수용공간이 함몰 형성되는 용기;
    상기 용기의 바닥 테두리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되, 걸림용기의 상단 외주에 구비된 걸림돌기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결합부가 내주에 단차지게 형성된 걸림홀더부; 및
    상기 수용공간을 상기 용기의 하부에 형성되는 결합공간과 구획하도록 상기 걸림홀더부의 중앙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돌출되되, 상단면에 스트로 관통구가 형성되며, 내주에 페트병의 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결합나사부가 돌출 형성된 페트홀더부를 포함하되,
    상기 페트병이 나사결합되도록, 상기 결합나사부는 상기 페트병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선 프로파일을 따라 상기 페트홀더부의 내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설되되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분할되어 복수개로 돌출되고,
    상기 페트홀더부의 내주에는 음료병의 상단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의 요철부가 상하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병결합후크부가 구비되되, 상기 병결합후크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개 돌출 형성된 상기 결합나사부의 이격간격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식 결합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다양한 타입의 걸림용기가 결합되도록 상기 걸림결합부가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걸림결합부의 직경이 작아지고 다단 단차지게 복수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식 결합용기.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결합부는
    수직으로 배치된 수직면부와,
    상기 수직면부의 상단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수평 돌출된 수평면부와,
    상기 수직면부의 내주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돌출된 후크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후크돌기의 상단과 상기 수평면부 사이의 폭은 상기 걸림돌기의 두께에 대응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식 결합용기.
KR1020190039023A 2019-04-03 2019-04-03 호환식 결합용기 KR102280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023A KR102280945B1 (ko) 2019-04-03 2019-04-03 호환식 결합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023A KR102280945B1 (ko) 2019-04-03 2019-04-03 호환식 결합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220A KR20200117220A (ko) 2020-10-14
KR102280945B1 true KR102280945B1 (ko) 2021-07-23

Family

ID=72847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9023A KR102280945B1 (ko) 2019-04-03 2019-04-03 호환식 결합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094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67352A (en) 1997-03-28 1999-10-19 Portola Packaging, Inc. Interrupted thread cap structure
US20160355298A1 (en) * 2015-06-04 2016-12-08 Highplus International Co., Ltd. Dual-use Lid and Containing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25480B1 (en) * 1999-09-27 2002-07-30 Sparks International, Inc. Mobile-dining mealholder with bottle-supported plate-lid
KR20150055824A (ko) 2013-11-14 2015-05-22 주식회사 훌랄라 이중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67352A (en) 1997-03-28 1999-10-19 Portola Packaging, Inc. Interrupted thread cap structure
US20160355298A1 (en) * 2015-06-04 2016-12-08 Highplus International Co., Ltd. Dual-use Lid and Containing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220A (ko) 2020-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5644B2 (en) Combination glass and bottle package
RU2397933C2 (ru) Колпачок для бутылок
US20060016819A1 (en) Bottle assembly with removable container assembly
US9162810B2 (en) Device for attaching a figurine onto a beverage bottle, combination of a figurine and a device, and a combination of a figurine and device attached to a beverage bottle
CA2689003A1 (en) Single serving beverage container
US7467726B1 (en) Combination beverage container and drinking vessel
KR20150017105A (ko) 과립체와 용기내용물을 동시 음용토록 하는 용기마개
KR101515423B1 (ko) 첨가물 투입 병마개
KR20150017317A (ko) 과립체와 용기내용물을 동시 음용토록 하는 용기마개
KR102280945B1 (ko) 호환식 결합용기
US8177059B2 (en) Closure arrangement
KR20130061060A (ko) 음료 및 주류 용기
KR20180041634A (ko) 보온병
KR20190091840A (ko) 보조 수용 기구 및 이를 장착한 용기
KR200494058Y1 (ko) 음료용기 결합장치
KR101546530B1 (ko) 캡 용기
KR101538373B1 (ko) 이종물질 보관 병뚜껑
KR20150055824A (ko) 이중용기
JP5526380B2 (ja) コップ一体型ペットボトル
TWM557721U (zh) 容器及容器組合
KR200491579Y1 (ko) 페트병 결합용 식품 용기
KR200398052Y1 (ko) 복수의 음료 저장 공간을 갖는 음료수 병
KR102353170B1 (ko) 기능성 입자 보관용 수용체를 구비한 음료용기
KR20130038079A (ko) 수직 적층형 액체용기
KR101893184B1 (ko) 다단으로 결합되는 물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