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1840A - 보조 수용 기구 및 이를 장착한 용기 - Google Patents
보조 수용 기구 및 이를 장착한 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91840A KR20190091840A KR1020180010907A KR20180010907A KR20190091840A KR 20190091840 A KR20190091840 A KR 20190091840A KR 1020180010907 A KR1020180010907 A KR 1020180010907A KR 20180010907 A KR20180010907 A KR 20180010907A KR 20190091840 A KR20190091840 A KR 2019009184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uxiliary
- lid
- receiving
- container
- content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1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said element being a film or a foi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3—Neck construction
- B65D1/0246—Closure retaining means, e.g. beads, screw-threa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16—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조 수용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제1 측면, 상기 제1 측면과 외측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하는 제2 측면, 그리고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과 연결되어 있고, 가운데 부분에 빈 공간을 구비하는 상부면을 구비하는 결합부, 및 상기 빈 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고 가운데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보조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수용 부분, 그리고 상기 수용 부분의 개방된 하부에 부착되어 상기 수용 공간을 밀봉하는 제1 기밀부를 구비하는 보조 내용물 수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보조 수용 기구 및 이를 장착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조 내용물을 수용하는 보조 수용 기구 및 이를 장착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용기에 성분이 다른 두 개의 내용물을 각각 별개의 공간에 보관할 경우, 서로 다른 성분을 혼합할 때보다 관 기간이 훨씬 증가하게 된다.
또한, 액상 형태 등의 주 내용물과 파우더 형태 등의 보조 내용물로 이루어진 식음료 등의 경우 주 내용물과 보조 내용물이 별개로 보관되어 먹기 직전에 혼합되는 경우, 맛의 성분 등이 변하지 않게 되므로 주 내용물과 보조 내용물이 서로 혼합되어 보관되는 경우보다 식음료의 맛과 영양이 훨씬 좋아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보관 기간을 늘리고 맛을 높이기 위해 하나의 용기에 주 내용물과 보조 내용물을 각각 분리하여 수납한 후 유통시켜, 사용자가 섭취하기 직전에 주 내용물과 보조 내용물은 서로 혼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하나의 용기에 주 내용물과 보조 내용물을 각각 분리하여 보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용기 속에 담겨 있는 내용물의 보존 기간과 맛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보조 수용 기구는 제1 측면, 상기 제1 측면과 외측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하는 제2 측면, 그리고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과 연결되어 있고, 가운데 부분에 빈 공간을 구비하는 상부면을 구비하는 결합부, 및 상기 빈 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고 가운데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보조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수용 부분, 그리고 상기 수용 부분의 개방된 하부에 부착되어 상기 수용 공간을 밀봉하는 제1 기밀부를 구비하는 보조 내용물 수용부를 포함한다.
상기 특징에 따른 보조 수용 기구는 상기 제1 기밀부에 일면이 접착되어 있는 분리막, 및 상기 분리막의 타면에 접착되어 있는 제2 기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의 제2 측면의 내부면은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측면의 연장 길이는 상기 제1 측면의 연장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보조 수용 기구는 상기 제1 측면의 하단에 위치하고 있는 결합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내용물 수용부는 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밀부는 상기 수용 공간을 한정하는 기밀부 몸체, 및 상기 기밀부 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수용 공간의 외부에 위치하는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는 상기 기밀부 몸체의 가장자리 부분 또는 가운데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는 상기 기밀부 몸체에 결합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연장되되 상기 기밀부 몸체와 분리되어 있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용기는 주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구비하고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주 내용물 수용부, 상기 주 내용물 수용부와 결합되어 개방된 상기 상부를 폐쇄하는 뚜껑, 및 상기 뚜껑의 상부면 위에 위치하여 상기 뚜껑과 결합되는 제1항 및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보조 수용 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뚜껑은 상기 주 내용물 수용부와 결합되는 측면, 및 상기 측면과 연결되어 있고 위치에 무관하게 동일한 높이를 갖는 상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뚜껑은 상기 주 내용물 수용부와 결합되는 측면, 및 상기 측면과 연결되어 있고 제1 높이에 위치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높이보다 낮은 제2 높이에 위치하는 제2 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용기는 주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구비하고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주 내용물 수용부, 및 상기 주 내용물 수용부와 결합되어 개방된 상기 상부를 막는 제2항 또는 제3항에 따른 보조 수용 기구을 포함한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주 내용물과 보조 내용물이 서로 다른 수용 공간 내에 보관되므로, 동일한 공간 내에 주 내용물과 보조 내용물을 함께 보관할 때보다 주 내용물과 보조 내용물의 보존 기간이 훨씬 증가하여 해당 제품의 유통 기간이 늘어난다.
또한, 사용자의 섭취 직전 주 내용물과 보조 내용물을 서로 혼합하여 섭취하므로, 사용자는 제1 및 제2 내용물의 고유의 맛과 향을 느끼면 섭취할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가 증가한다.
또한, 보조 내용물을 보관하는 수용 공간은 기밀부에 의해 완전히 밀봉되어 있으므로, 외부 공기와의 접촉으로 인한 변질 위험성이 감소한다.
본 특징에 따른 보조 수용 기구에 의해, 간단한 삽입 동작을 통해 완제품으로 제조된 용기의 뚜껑과 보조 수용 기구의 결합 동작이 이루어지므로 보조 수용 기구와의 결합을 위해 뚜껑의 구조를 변경할 필요가 없어 비용 절감이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수용 기구의 사시도로서, 일부분이 절단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수용 기구를 장착한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에 사용된 기밀부의 예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 수용 기구의 사시도로서, 일부분이 절단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 수용 기구를 장착한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 수용 기구의 사시도로서, 일부분이 절단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 수용 기구를 장착한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수용 기구를 장착한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에 사용된 기밀부의 예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 수용 기구의 사시도로서, 일부분이 절단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 수용 기구를 장착한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 수용 기구의 사시도로서, 일부분이 절단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 수용 기구를 장착한 용기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수용 기구 및 이를 장착한 용기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수용 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예의 보조 수용 기구(300)는 음료나 물 등과 같은 내용물(이하, 이 내용물을 '주 내용물'이라 함)이 보관되어 있는 용기의 뚜껑(200)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주 내용물과 다른 내용물(이하 이 내용물을 '보조 내용물'이라 함)(500)을 수용하는 보조 내용물 수용 기구이다.
이러한 본 예의 보조 수용 기구(300)는, 도 1를 참고로 하면, 결합부(310) 및 결합부(310)에 연결되어 있는 보조 내용물 수용부(320)를 구비한다.
결합부(310)는 보조 수용 기구(300)의 가운데에 위치하며 보조 내용물 수용부(320)가 위치하는 빈 공간을 구비하고 있고 하부는 개방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부(310)는 제1 측면(311), 제1 측면(311)과 외측으로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는 제2 측면(312), 제1 측면(311)과 제2 측면(312)에 연결되어 있고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상부면(313), 상부면(313)의 내부면(즉, 용기에 인접한 면)에서 용기(1)의 하부면(110) 쪽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있는 제1 결합 돌기(314) 및 제1 측면(311)의 하단에 위치하는 제2 결합 돌기(315)를 구비한다.
제1 측면(311)은 뚜껑(200)과의 결합을 행하는 결합 부분으로서, 상부면(313)의 내부면 해당 지점에서부터 정해진 길이만큼 상부면(313)의 둘레를 따라서 용기(1)의 하부면(110) 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1 측면(311)은 가운데 빈 공간을 구비하고 있고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원기둥 형상을 갖고 있다.
이로 인해, 제1 측면(311)의 내부면과 보조 내용물 수용부(320)의 측면 사이에는 빈 공간(S310)이 형성되고, 제1 측면(311)의 아래쪽 단부에 위치한 제2 결합 돌기(315)를 통해 이 공간(S310)으로 삽입된 용기(1)의 뚜껑(200)과 결합된다.
제2 측면(312)은 상부면(313)의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외측 가장자리에서 용기(1)의 하부면(110) 쪽으로 정해진 길이만큼 연장되어 있다.
이때, 이러한 제2 측면(312)의 연장 길이는 제1 측면(311)의 연장 길이 보다 길다.
따라서, 제2 측면(312)과 제1 측면(311) 사이에는 이격 거리만큼의 폭을 갖는 빈 공간이 위치하며, 제1 측면(311)은 제2 측면(312)에 의해 에워싸여져 있어 외부로부터 노출되지 않는다.
이러한 제2 측면(312) 역시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원기둥 형상을 갖는다.
상부면(313)은 가운데 부분에 원형의 빈 공간을 갖고 있어, 이 공간에 보조 내용물 수용부(320)가 위치한다.
제1 결합 돌기(314)는 상부면(313)의 내측 가장자리 즉, 외측 가장자리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보조 내용물 수용부(320)가 장착되는 빈 공간과 접해 있는 가장자리에서 용기(10)의 하부면(110) 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보조 내용물 수용부(320)가 장착되는 빈 공간과 접해 있는 내측면에 결합홈이 내측면을 따라서 위치한다.
따라서, 이 결함홈을 통해 보조 내용물 수용부(320)가 상부면(314)의 내측 가장자리에 결합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보조 내용물 수용부(320)는 레이저 조사나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결합부(310)의 상부면(314)의 해당 부분과 융착시키거나 접합될 수 있다. 또는 보조 내용물 수용부(320)는 결합부(310)와 일체의 구조로 성형 제조될 수 있다.
제2 결합 돌기(315)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뚜껑부(200)와의 결합을 위한 돌기로서, 뚜껑부(200) 쪽 즉, 용기(1) 내부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부(310)는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져 있고 신축성을 갖는다.
보조 내용물 수용부(320)는 하부가 개방된 수용 부분(321)과 개방된 하부에 위치하는 기밀부(322)를 구비한다.
수용 부분(321)은 측면과 상부면을 구비하고 있어 측부와 상부는 막혀 있고 하부만 개방되어 있는 원기둥 형상을 갖고 있고, 결합부(310)의 상부면(313)의 가운데 부분에 형성된 빈 공간에 삽입된다.
따라서, 수용 부분(321)의 지름의 크기는 결합부(310)의 상부면(313)의 가운데 부분에 형성된 빈 공간의 지름의 크기에 따라 정해진다.
수용 부분(321)의 측면 상단부에는 측면의 둘레를 따라서 외부로 도출되어 있는 돌기를 구비하고 있고, 이 돌기는 제1 결합 돌기(314)의 내측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된다. 따라서, 이러한 홈과 돌기의 결합에 의해 수용 부분(321)이 결합부(210)와 결합된다.
본 예에서, 수용 부분(321)는 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져 있고, 수용 부분(321)에 수용된 보조 내용물(500)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어, 시각적인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기밀부(322)는 수용 부분(321)의 측면 하단면과 완전히 밀봉되게 결합되고, 용기(1)의 하부면(110)과 평행하게 평평한 상태로 위치하는 얇은 알루미늄 포일(aluminum foil) 등으로 이루어진 밀봉막이다. 이때, 기밀부(322)의 가장자리 부분은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수용 부분(321)의 측면의 하단과 완전히 접착될 수 있다.
이러한 기밀부(322)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잡아 당겨 기밀부(322)와 수용 부분(321)과의 접착 상태를 좀더 용이하게 해제하도록 하는 손잡이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기밀부(322)는 도 3의 (a)에 도시한 것처럼 기밀부 몸체(3221)와 손잡이(3222)를 구비하고 있다.
이때, 손잡이(3222)는 결합부(310) 쪽에 위치하는 기밀부 몸체(3221)의 면 가운데 부분에 접착제 등을 통해 부착되어 기밀부 몸체(3221) 쪽으로 접힘 동작이 이루어지게 위치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조 내용물 수용부(320)의 하부에 부착되어 있는 기밀부(322)를 수용 부분(321)에서 제거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보조 내용물 수용부(320)를 뚜껑(200)에서 분리시킨 후 손잡이(3322)를 잡아 당기게 된다.
이러한 손잡이(3222)의 당김 동작에 의해 손잡이(3222)와 부착되어 있는 기밀부 몸체(3221)의 접착 상태가 제거되어 기밀부 몸체(3221)는 수용 부분(321)에서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기밀부(322)의 다른 예가 도 3의 (b)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의 (b)처럼, 기밀부(322) 역시 기밀부 몸체(3221)와 손잡이(3222a)를 구비하고 있다.
하지만, 손잡이(3222a)는 기밀부 몸체(3221)의 일부에 접착제 등으로 결합되어 있는 제1 부분(P11)과 기밀부 몸체(3221)에 접착되지 않고 자유 상태로 유치하여 손잡이로서 기능하는 제2 부분(P12)을 구비한다.
따라서, 제2 부분(P12)은 제1 부분(P11)과 연장되어 있고 기밀부 몸체(3221)와는 분리되어 있다.
이때, 제1 부분(P11)과 제2 부분(P12) 사이는 접혀 있고, 제2 부분(P12)는 기밀부 본체(3221) 쪽으로 접힘 동작이 가능한다.
따라서, 기밀부(322)를 제거할 때, 자유 상태인 제2 부분(P12)을 해당 방향 쪽으로 펴서 잡아 당기게 된다.
도 4의 (c)는 기밀부(322)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기밀부(322)는 기밀부 몸체(3221)와 기밀부 몸체(3221)에서 끊김없이 연장되어 있는 손잡이(3222b)를 구비한다.
즉, 손잡이(3222b)는 기밀부 몸체(3221)에서부터 일측 가장자리부를 넘어서까지 연장되어 기밀부 몸체(3221)의 일측 가장자리부에서 도출된 부분일 수 있다.
하지만, 다른 예에서, 이러한 손잡이(3221)는 생략될 수 있다.
이처럼, 보조 내용물 수용부(320)의 하부 가장자리에 기밀부(322)가 접착되어 있으므로, 개방 상태였던 보조 내용물 수용부(320) 하부는 기밀부(322)에 의해 막히게 된다.
따라서, 보조 내용물 수용부(320)의 내부에는 보조 내용물 수용부(320), 즉 수용 부분(321)의 측면 및 상부면 그리고 기밀부(322)에 의해 에워싸여진 밀폐된 빈 공간인 수용 공간(S320)이 위치하고 이러한 수용 공간(S320)에 보조 내용물(500)이 안전하게 위치한다.
이때, 보조 내용물(500)은 알약 형태, 분말 형태 또는 액체 형태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예에서, 용기(1)의 한 예는 도 2와 같다.
즉, 용기(1)는 주 내용물이 보관되는 주 내용물 수용부(100)와 수용부(100)의 상부에 위치하는 뚜껑(200)을 구비한다.
주 내용물 수용부(100)는 용기(1)의 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서, 가운데 원형이나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빈 공간인 수용 공간(S100)을 구비한다.
이러한 주 내용물 수용부(100)는 하부면(110), 하부면(110)에 연결되어 있는 측면(120) 및 측면(120)의 상부에 위치하여 측면(120)과 연결되어 있는 병목 부분(130)을 구비하고 있다.
주 내용물 수용부(100)의 하부면(110), 측면(120) 및 병목 부분(130)에 의해 에워싸여져 있는 빈 공간이 수용 공간(S100)을 이루고, 수용 공간(S100)에는 액체 상태나 분말 상태 등의 주 내용물이 수용된다.
병목 부분(130)은 뚜껑(200)과의 결합을 위해 뚜껑(200) 내부에 삽입되어 뚜껑(200)과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외부 측면에는 뚜껑(200)와 결합되어 뚜껑(200)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따개 돌기, 즉, 나사산(1311)이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위치한다.
이러한 주 내용물 수용부(100)의 하부면(110), 측면(120) 및 병목 부분(130)은 유리나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와 같은 플라스틱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뚜껑(200)은 개방된 주 내용물 수용부(100)의 상부 즉, 용기(1)의 입구를 밀봉하기 위한 것으로, 이미 기술한 것처럼, 주 내용물 수용부(100)의 상부에 위치하여 병목 부분(130)과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뚜껑(200)은 측면(210) 및 측면(210)과 연결되는 상부면(220)을 구비하고 있고, 하부는 개방되어 있다.
상부면(220)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용기(1)의 하부면(110) 쪽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는 뚜껑(200)의 측면(210) 내부(즉, 내측면)에는 병목 부분(130)의 나사산(1311)과 나사 결합되는 나선형의 따개 홈, 즉 나사홈(도시하지 않음)과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병목 부분(130)이 뚜껑(200)의 해당 공간(S200) 속으로 삽입되고, 이때, 따개 나사산(1311)과 나사홈이 서로 나사 결합되어 병목 부분(130)에 뚜껑(200)이 체결된다. 따라서, 병목 부분(130)의 개방된 상부는 뚜껑(200)에 의해 닫히게 된다.
따라서, 측면(210)의 연장 길이는 병목 부분(130)의 길이에 따라 정해진다.
이때, 뚜껑(200)은 주 내용물 수용부(100)와 필퍼 프루프 캡[pilfer proof(pp) cap]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뚜껑(200)의 측면(211) 하단에는 복수 개의 브릿지를 통해 측면(211)의 하단과 연결되어 있는 피피 밴드(pp band)(B1)가 위치한다.
따라서, 피피 밴드(B1)는 서로 연결되어 있는 용기(1)의 측면(120)과 병목 부분(130) 사이에 위치한다.
본 예에서, 주 내용물 수용부(100)의 측면(120)의 지름은 병목 부분(130)의 지름보다 크므로, 이 측면(120)과 병목 부분(130) 사이에는 용기(1)의 하부면과 수평하거나 측면(120) 쪽으로 경사진 부분(1312)이 위치한다.
따라서, 뚜껑(200)의 열림 동작에 의해 피피 밴드(B1)가 측면(211)과 분리되어 떨어지면 분리된 피피 밴드(B1)는 이 부분 즉, 밴드 위치부(1312)에 위치한다.
뚜껑(200)에 보조 수용 기구(300)가 결합될 때, 결합부(310)의 제2 결합 돌기(315)는 피피 밴드(B1)와 뚜껑(200)의 측면(211) 단부 사이에 삽입되어, 외부로부터 물리적인 힘이 인가되지 않는 한 보조 수용 기구(300)가 뚜껑(200)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또한, 결합부(310)의 제2 측면(312)은 밴드 위치부(1313)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처럼, 용기(1)의 측면(120)의 지름과 보조 수용 기구(300)의 지름, 즉 보조 내용물 수용부(320)의 상부면의 총 지름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결합부(310)의 제2 측면(312)이 밴드 위치부(1313)까지 또는 밴드 위치부(1313)에 인접하게 연장되므로, 용기(1)의 뚜껑(200)에 보조 수용 기구(300)가 결합되면, 용기(1)의 측면(120)과 보조 수용 기구(300)의 측면 위치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가상의 수직선에 위치한다. 이로 인해, 보조 수용 기구(300)가 결합된 용기(1)의 외관은 수려하고 세련된 디자인을 갖게 된다.
위에 기술한 것처럼, 용기 제조 시, 뚜껑(200)은 병목 부분(130)에 필퍼 프루프 캡 방식, 좀더 구체적으로 뚜껑(200)을 해당 방향으로 돌려 개폐하는 롤 온 필퍼 프루프 캡 방식(roll-on pilfer proof cap)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피피 밴드(B1)의 상부 가장자리 부분과 뚜껑(200) 즉, 측면(211)의 하부 가장자리 부분은 브릿지에 의해 정해진 간격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필퍼 프루프 캡 방식으로 뚜껑(200)을 병목 부분(130)에 결합시키므로, 주 내용물 수용부(100)의 주 내용물은 안전하게 보호한다.
즉, 필퍼 프루프 캡 방식으로 뚜껑(200)을 제조할 때, 누군가에 의해 초기 상태에서 뚜껑(200)이 열릴 경우, 피피 밴드(B1)와 뚜껑(200) 사이에 연결된 브릿지가 단선되므로, 단선된 피피 밴드(B1)가 뚜껑(200)의 개봉 증거로 남게 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뚜껑(200)의 개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내용물의 변조 방지를 실시할 수 있다.
뚜껑(200)의 상부면(220)은 가운데 부분에 용기(1)의 병목 부분(130) 속으로 정해진 깊이만큼 함몰된 함몰 부분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예의 상부면(220)은 제1 높이에 위치하고 있는 제1 부분(221)과 제1 부분(221)에 연결되어 있고 제1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제2 부분(222)을 구비한다.
제2 부분(222)은 뚜껑(200)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고 제1 부분(221)은 바깥쪽에서 제2 부분(222)을 에워싸고 위치한다.
이때, 높이 차이를 갖는 제1 부분(221)과 제2 부분(222)은 연결부(211)에 의해 끊김없이 연결된다.
따라서, 제1 부분(221)과 제2 부분(222)의 높이로 인해, 제1 부분(221)의 위에는 제2 부분(222)으로 에워싸여진 빈 공간, 즉 하부는 제1 부분(221)으로 막혀 있고, 측부는 연결부(211)로 막혀 있으며 상부는 개방되는 공간인 보조 수용부 수용 공간(S220)이 형성된다.
따라서, 보조 수용부 수용 공간(S220) 속에 보조 내용물 수용부(320)의 수용 부분(321)이 위치하여, 보조 수용 기구(300)가 뚜껑(200과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연결부(211)와 측면(210) 사이에는 대략 제1 부분(221)의 폭만큼의 폭을 갖는 공간(S200)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 공간(S200) 속으로 병목 부분(130)이 삽입되어 뚜껑(200)이 병목 부분(130)에 체결되도록 한다.
상부면(220)은 용기(1)의 병목 부분(130)의 삽입 동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1 부분(221)에서 정해진 길이만큼 용기(1)의 하부면(110) 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병목 삽입턱(223)을 더 구비한다.
따라서, 용기(1)의 병목 부분(130)에 뚜껑(200)을 삽입할 때, 병목 삽입턱(223)에 의해 뚜껑(200)의 삽입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이러한 구조의 뚜껑(200)에 보조 수용 기구(300)를 결합하기 위해, 제조자는 용기(1)의 주 내용물 수용부(100)와 뚜껑(200)을 결합한 후, 뚜껑(200)에 보조 수용 기구(300)를 위치시킨 다음 용기(1)의 하부면(110) 쪽으로 보조 수용 기구(300)에 힘을 가한다.
따라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탄성을 갖는 보조 수용 기구(300)은 용기(1)의 하부면(110) 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러한 이동에 의해 돌출되어 있는 보조 수용 기구(300)의 수용 부분(320)은 보조 수용부 수용 공간(S220) 속으로 삽입되며 수용 부분(320)과 제1 측면(311) 사이의 공간(S310) 속으로 돌출된 뚜껑 부분, 즉 상부면(220)의 제1 부분(221)이 삽입된다.
이러한 삽입 동작 시, 제2 결합 돌기(315)는 뚜껑(200)의 측면(210)과 접하면서 삽입된 후 뚜껑(200)과 피피 밴드(B1)의 연결 부분 즉, 브릿지가 위치하는 부분 속으로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보조 수용 기구(300)를 뚜껑(200)과 결합시킨다.
이처럼, 뚜껑(200)에 보조 수용 기구(3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용기(1)의 주 내용물 수용부(100)에 담긴 주 내용물을 섭취하기 위해, 사용자는 먼저, 보조 수용 기구(300)를 결합할 때와는 반대 방향으로 힘을 가해, 뚜껑(200)과 결합되어 있는 보조 수용 기구(300)를 탈거하게 된다.
이러한 힘에 의해 뚜껑(200)과 피피 밴드(B1)의 결합 부분에 삽입된 제2 돌기(315)가 탈거되어 용이하게 사용자는 뚜껑(200)에서 보조 수용 기구(300)를 분리해 낼 수 있다.
그런 다음, 노출된 뚜껑(200)을 해당 방향으로 회전시켜 뚜껑(200)을 따게 된다.
따라서, 뚜껑(200)의 회전 동작에 의해 브릿지가 단선되고 뚜껑(200)은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병목 부분(130)에서 분리된다.
이처럼, 뚜껑(200)이 열리게 되면, 사용자는 보조 내용물 수용부(320)를 뒤집은 후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기밀부(322)를 제거해 보조 내용물 수용부(320) 속에 있는 보조 내용물(500)을 외부로 노출시킨다.
이때, 손잡이(3221)가 존재할 경우 사용자는 손잡이(3221)를 잡아 당겨 기밀부(322)의 접착 상태를 해제할 수 있고, 손잡이(3221)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손가락이나 젓가락 등을 이용해 기밀부(322)에 구멍을 형성해 보조 내용물(500)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다음, 사용자는 보조 내용물(500)을 꺼내 용기(1) 속에 담겨 있는 주 내용물과 함께 섭취하거나 또는 보조 내용물(500)을 용기(1)의 주 내용물 수용부(100) 속으로 넣어 주 내용물과 혼합한 후 섭취하게 된다.
이러한 본 예의 구조에 따른 용기(1)에 의해 수용 공간(S100)과 분리되는 별도의 수용 공간(S320)에 보조 내용물(500)이 별개로 보관된다.
이로 인해, 수용 공간(S100) 내에 보관되는 주 내용물과 보조 내용물(500)이 혼합되어 보존될 때보다 주 내용물과 보조 내용물(500)의 보존 기간이 훨씬 증가하게 되므로, 해당 제품의 유통 기간이 늘어난다.
또한, 주 내용물과 보조 내용물(500)이 분리 수용되어 유통된 후 사용자의 섭취 직전 주 내용물과 보조 내용물(500)이 서로 혼합되므로, 사용자는 주 내용물과 보조 내용물(500)의 고유의 맛과 향을 느끼며 섭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보조 내용물(500)이 보관된 수용 공간(S320)을 덮고 있는 보조 내용물 수용부(320)의 수용 부분(321)은 플라스틱 등과 같이 외부 충격에 강한 재료로 이루어져 있어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보조 내용물 수용부(320)를 보호하여 보조 내용물 수용부(320) 내부에 보관 중인 보조 내용물의 안전성이 향상된다.
또한, 보조 내용물(500)을 보관 중인 수용 공간(S320)은 기밀부(332)에 의해 완전히 밀봉되어 외부와 차단되므로 공기 등으로 인한 보조 내용물(500)의 변질 등의 위험이 크게 감소한다.
본 예와 같이, 보조 내용물(500)을 수용하는 보조 수용 기구(300)를 이용할 경우, 간단한 삽입 동작을 통해 완제품으로 제조된 용기(1)와 보조 수용 기구의 결합 동작이 이루어지므로 보조 수용 기구(300)와의 결합을 위해 용기(1)의 구조를 변경할 필요가 없어 비용 절감이 이루어진다.
보조 내용물 수용부(320)에 보관 중인 보조 내용물(500)을 섭취할 후에는 보조 내용물 수용부(320)만을 용기(1)에서 분리시켜 폐기할 수 있으므로, 용기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다음, 도 4 내지 도 7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예에서,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 예와 비교할 때, 동일한 구조를 갖고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같은 도면 부호를 부여하여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도 4와 도 5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 수용 기구 및 이를 장착한 용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용기(1a)와 비교할 때, 본 예의 용기(1a)는 뚜껑(200a)의 구조가 상이하고, 이러한 뚜껑(200a)의 구조에 따라 이에 결합되는 보조 수용 기구(300a)의 구조 역시 상이한 것을 제외하면, 본 예의 용기(1a)와 보조 수용 기구(300a)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용기(1) 및 보조 수용 기구(300)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즉, 본 예의 용기(1a)의 뚜껑(200a)의 상부면은 용기(1a)의 하부면(110) 쪽으로 함몰된 부분을 구비하지 않고 위치에 무관하게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갖는 평탄면이다.
따라서, 본 예의 용기(1a)는 측면(210)과 상부면(220a)을 갖고 있다. 이때, 뚜껑(200a)은 상부면(220a)의 외측면, 즉 외부로 노출되는 면은 보조 내용물 수용부(320)의 수용 부분(321)의 안착을 안정적으로 하기 위해 가장 자리 부분에 위치하는 돌기를 더 구비한다. 따라서 상부면(220a)의 가장자리는 이 돌기로 에워싸여진 있어 안전하게 정해진 위치에 수용 부분(321)는 사아부면(220a) 위에 위치한다.
이러한 뚜껑(200a)의 구조에 의해,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보조 수용 기구(300a)는 뚜껑(200a)의 상부면(220a) 위에 위치한다.
따라서, 도 2와 비교할 때 뚜껑(200a)의 상부면(220a) 위에 추가로 도출되는 높이만큼, 수용 기구(300a)의 결합부(310a)의 제1 및 제2 측면(311a, 312a)의 연장 길이가 증가하게 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본 발명의 또 따른 실시예에 따르면, 용기(1b)는 별도의 뚜껑을 구비하지 않는 대신 보조 수용 기구(300b)를 뚜껑으로 이용한다.
따라서, 이러한 용기(1b)의 구조에 따라 보조 수용 기구(300b)의 구조 역시 달라진다.
본 예의 보조 수용 기구(300b)는 도 5의 경우와 유사하게 용기(1b) 위에 위치한다.
다만, 도 5에 도시한 예에서, 보조 수용 기구(300b)는 뚜껑(200a) 위에 바로 위치하지만, 본 예는 용기(1b)가 뚜껑을 구비하고 있지 않으므로 개방된 용기(1b)의 입구를 에워싸고 있는 병목 부분(130) 위에 위치한다.
따라서, 본 예의 경우, 개방된 병목 부분(130)을 밀봉하기 위한 별도의 밀봉 구조가 필요한다.
이를 위해, 본 예의 보조 수용 기구(300b)는 결합부(310), 결합부(310)에 조립되어 있고 수용 부분(321)과 기밀부(예, 제1 기밀부)(322)를 구비한 보조 내용물 수용부(320b)를 구비한다.
또한, 본 예의 보조 수용 기구(300b)는 제1 기밀부(322)와 접해 있는 분리막(323) 및 분리막(323)과 접해 있는 제2 기밀부(324)를 추가로 구비한다.
이때, 분리막(323)은 제1 기밀부(322)와 제2 기밀부(324)를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티로폼(Styrofoam)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기밀부(324)의 일면은 분리막(323)에 부착되고 타면을 용기(1)의 병목 부분(130) 상단면에 부착된다.
따라서, 분리막(323)의 일면, 즉 상부면은 제1 기밀부(322)와 부착되고 타면은 제2 기밀부(324)와 부착된다.
이때, 병목 부분(130)과 제2 기밀부(324) 간의 접착 강도는 다른 부분의 접착 강도, 즉, 제1 기밀부(322)와 분리막(323) 간의 접착 강도, 제2 기밀부(324)와 분리막(323) 간의 접착 강도, 제1 기밀부(322)와 수용 부분(321)의 측면과의 접착 강도보다 가장 약하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동일한 물리적인 힘이 인가되면, 병목 부분(130)에 부착되어 있는 제2 기밀부(324)가 가장 먼저 박리된다.
또한, 보조 수용 기구(300b)의 결합부(310b)는 용기(1b)의 병목 부분(130)과 결합되므로, 병목 부분(130)의 나사산과 나사 결합을 위한 구조를 갖고 있다.
따라서, 용기(1b)의 병목 부분(130)과 인접하는 결합부(310b)의 제1 측면(311b)의 내부면, 즉 병목 부분(130)과 인접한 면에는 병목 부분(130)의 나사산과 대응되게 나사홈과 나사산(P311)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뚜껑에 결합되지 않은 병목 부분(130)만이 바로 수용 부분(331)과 제1 측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S310b) 속으로 삽입되어 인접한 결합부(310b)의 제1 측면(311b)과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하나의 예로서, 용기(1)가 제조된 후, 제조자는 용기(1b)의 병목 부분(130) 상단면에 접착제 등을 도포한 후, 보조 수용 기구(300b)를 병목 부분(130)에 삽입하고 잠금 방향으로 회전시켜 보조 수용 기구(300b)를 병목 부분(130)에 결합시킨다.
이러한 보조 수용 기구(300b)의 잠금 동작이 완료되면, 보조 수용 기구(300b)의 제2 기밀부(324)는 병목 부분(310)이 상단면에 접하게 위치하게 되어 상단면에 도포되어 있는 접착제에 의해 병목 부분(310)의 상단면과 접착된다.
이러한 경우, 별도의 뚜껑 제조가 불필요하므로, 용기(1b)의 제조 비용이 절감된다.
용기(1b)에 속의 주 내용물을 섭취하기 위해, 사용자는 보조 수용 기구(300b)의 결합부(310b)를 잠금 시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용기(1b)의 병목 부분(130)에서 보조 수용 기구(300b)를 분리시킨다.
이때, 보조 수용 기구(1b)의 잠금 해제 동작에 따라 보조 수용 기구(1b)가 병목 부분(130)의 나사산을 따라서 회전함에 따라 보조 수용 기구(1b)는 위쪽 즉, 용기(1b)의 하부면(110)의 반대 방향으로 올라오게 되어, 병목 부분(130)의 상단면에 부착되어 있는 제2 기밀부(324)는 병목 부분(130)의 상단면에서 박리된다.
이로 인해, 보조 수용 기구(300b)와 용기(1b)와의 결합이 해제되면 자동으로 용기(1b)의 상단을 막고 있던 제2 기밀부(324) 역시 용기(1b)에서 이탈되어 용기(1b)의 입구는 개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조 수용 기구(300b)에 부착되어 있는 제1 기밀부(322)를 제거한 후 그 안에 수용되어 있는 보조 내용물(500)과 용기(1b)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주 내용물을 섭취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보조 수용 기구 및 이를 장착한 용기에 따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1a, 1b: 용기
100: 주 내용물 수용부
200, 200a: 뚜껑 300, 300a, 300b: 보조 수용 기구
310, 310a, 310b: 결합부 320, 320b: 보조 내용물 수용부
321, 321b: 수용 부분 500: 보조 내용물
322, 324: 기밀부 323: 분리막
200, 200a: 뚜껑 300, 300a, 300b: 보조 수용 기구
310, 310a, 310b: 결합부 320, 320b: 보조 내용물 수용부
321, 321b: 수용 부분 500: 보조 내용물
322, 324: 기밀부 323: 분리막
Claims (13)
- 제1 측면, 상기 제1 측면과 외측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하는 제2 측면, 그리고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과 연결되어 있고, 가운데 부분에 빈 공간을 구비하는 상부면을 구비하는 결합부; 및
상기 빈 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고 가운데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보조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수용 부분, 그리고 상기 수용 부분의 개방된 하부에 부착되어 상기 수용 공간을 밀봉하는 제1 기밀부를 구비하는 보조 내용물 수용부
를 포함하는 보조 수용 기구. - 제1항에서,
상기 제1 기밀부에 일면이 접착되어 있는 분리막; 및
상기 분리막의 타면에 접착되어 있는 제2 기밀부
를 더 포함하는 보조 수용 기구. - 제2항에서,
상기 결합부의 제2 측면의 내부면은 나사산을 포함하는 보조 수용 기구. - 제1항에서,
상기 제2 측면의 연장 길이는 상기 제1 측면의 연장 길이보다 긴 보조 수용 기구. - 제1항에서,
상기 제1 측면의 하단에 위치하고 있는 결합 돌기를 더 포함하는 보조 수용 기구. - 제1항에서,
상기 보조 내용물 수용부는 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져 있는 보조 수용 기구. - 제1항에서,
상기 기밀부는,
상기 수용 공간을 한정하는 기밀부 몸체; 및
상기 기밀부 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수용 공간의 외부에 위치하는 손잡이
를 포함하는 보조 수용 기구. - 제7항에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기밀부 몸체의 가장자리 부분 또는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는 보조 수용 기구. - 제7항에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기밀부 몸체에 결합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연장되되 상기 기밀부 몸체와 분리되어 있는 제2 부분
을 포함하는 보조 수용 기구. - 주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구비하고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주 내용물 수용부;
상기 주 내용물 수용부와 결합되어 개방된 상기 상부를 폐쇄하는 뚜껑; 및
상기 뚜껑의 상부면 위에 위치하여 상기 뚜껑과 결합되는 제1항 및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보조 수용 기구
를 포함하는 용기. - 제10항에서,
상기 뚜껑은,
상기 주 내용물 수용부와 결합되는 측면; 및
상기 측면과 연결되어 있고 위치에 무관하게 동일한 높이를 갖는 상부면을 포함하는
용기. - 제10항에서,
상기 뚜껑은,
상기 주 내용물 수용부와 결합되는 측면; 및
상기 측면과 연결되어 있고 제1 높이에 위치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높이보다 낮은 제2 높이에 위치하는 제2 부분을 구비하는 상부면을 포함하는
용기. - 주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구비하고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주 내용물 수용부; 및
상기 주 내용물 수용부와 결합되어 개방된 상기 상부를 막는 제2항 또는 제3항에 따른 보조 수용 기구
을 포함하는 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0907A KR102093774B1 (ko) | 2018-01-29 | 2018-01-29 | 보조 수용 기구 및 이를 장착한 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0907A KR102093774B1 (ko) | 2018-01-29 | 2018-01-29 | 보조 수용 기구 및 이를 장착한 용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91840A true KR20190091840A (ko) | 2019-08-07 |
KR102093774B1 KR102093774B1 (ko) | 2020-03-26 |
Family
ID=67621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10907A KR102093774B1 (ko) | 2018-01-29 | 2018-01-29 | 보조 수용 기구 및 이를 장착한 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93774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078017A1 (zh) * | 2019-10-25 | 2021-04-29 | 李红彪 | 一种加料盖 |
CN114162456A (zh) * | 2020-09-10 | 2022-03-11 | Jc技术株式会社 | 容器及辅助内容物容纳器具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22773B1 (ko) | 2022-01-12 | 2024-01-10 | 최이교 | 보틀캡용 정제포장장치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99036319A1 (en) * | 1998-01-20 | 1999-07-22 | Garrison Leigh | Integrated bottle and bottle cap assembly |
KR200248957Y1 (ko) * | 2001-06-08 | 2001-10-19 | 장태순 | 수용부가 구비된 용기용 뚜껑 |
KR20050090113A (ko) * | 2005-08-22 | 2005-09-12 | 이정민 |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의 구조 |
JP2005350127A (ja) * | 2004-06-14 | 2005-12-22 | Relife Plan:Kk | 飲料容器用キャップ |
KR20130004528U (ko) | 2012-01-13 | 2013-07-23 | 필립산업(주) | 수납공간이 분리된 혼합용기 |
-
2018
- 2018-01-29 KR KR1020180010907A patent/KR10209377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99036319A1 (en) * | 1998-01-20 | 1999-07-22 | Garrison Leigh | Integrated bottle and bottle cap assembly |
KR200248957Y1 (ko) * | 2001-06-08 | 2001-10-19 | 장태순 | 수용부가 구비된 용기용 뚜껑 |
JP2005350127A (ja) * | 2004-06-14 | 2005-12-22 | Relife Plan:Kk | 飲料容器用キャップ |
KR20050090113A (ko) * | 2005-08-22 | 2005-09-12 | 이정민 |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의 구조 |
KR20130004528U (ko) | 2012-01-13 | 2013-07-23 | 필립산업(주) | 수납공간이 분리된 혼합용기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078017A1 (zh) * | 2019-10-25 | 2021-04-29 | 李红彪 | 一种加料盖 |
CN114162456A (zh) * | 2020-09-10 | 2022-03-11 | Jc技术株式会社 | 容器及辅助内容物容纳器具 |
CN114162456B (zh) * | 2020-09-10 | 2024-09-03 | Jc技术株式会社 | 容器及辅助内容物容纳器具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93774B1 (ko) | 2020-03-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507142B1 (en) | Combined wine glass and wine bottle package | |
ES2228341T3 (es) | Cierre aseptico para contenedores de liquidos. | |
US8042701B2 (en) | Integrated straw and bottle closure assembly | |
US20110024311A1 (en) | Liquid container with storage compartment | |
ES2248637T3 (es) | Cierre de salida para envases que contienen un material fluido. | |
ES2361946T4 (es) | Cierre de recipiente que tiene un medio para introducir un aditivo en el contenido del recipiente. | |
US20100018880A1 (en) | Mixing container and method of filling | |
KR20190091840A (ko) | 보조 수용 기구 및 이를 장착한 용기 | |
ES2883692T3 (es) | Un envase para bebidas con dispensador | |
GB2523797A (en) | Container assembly | |
ES2961152T3 (es) | Unidad de tapa vertedora, bolsa que comprende dicha unidad de tapa vertedora | |
KR20090056748A (ko) | 하나의 뚜껑을 서로 다른 용기 목에 결합하는 구조 | |
JP4866249B2 (ja) | 飲料パッキング・ユニット | |
KR102130773B1 (ko) | 용기 | |
KR20220084491A (ko) | 밀폐용 용기커버 | |
KR200307944Y1 (ko) | 투명위생커버가 끼워진 음료수캔 용기 | |
EP0909718A1 (en) | Aseptic cap for containers of liquids | |
KR102099903B1 (ko) | 이중 수용부를 가지는 식품용기 | |
KR200259252Y1 (ko) | 음료분말 또는 티백이 내장되는 생수병 뚜껑 | |
KR200367789Y1 (ko) | 포장용기용 안전 캡 구조 | |
GB2344580A (en) | Multicompartment beverage container | |
KR200478362Y1 (ko) | 포장용기 뚜껑 | |
KR200271878Y1 (ko) | 빨대 내장형 음료수 용기 | |
KR200331710Y1 (ko) | 용기 | |
CA2718380A1 (en) | Liquid container with storage compart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