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2773B1 - 보틀캡용 정제포장장치 - Google Patents

보틀캡용 정제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2773B1
KR102622773B1 KR1020220004545A KR20220004545A KR102622773B1 KR 102622773 B1 KR102622773 B1 KR 102622773B1 KR 1020220004545 A KR1020220004545 A KR 1020220004545A KR 20220004545 A KR20220004545 A KR 20220004545A KR 102622773 B1 KR102622773 B1 KR 102622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tablet
outer cap
guide
rot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4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8881A (ko
Inventor
최이교
Original Assignee
최이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이교 filed Critical 최이교
Priority to KR1020220004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2773B1/ko
Publication of KR20230108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8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2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2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01Machines characterised by incorporation of means for making the closures before appl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65B7/168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applying and securing double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65B7/28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applying separate preformed closures, e.g. lids, covers
    • B65B7/2807Feeding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틀캡용 정제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외캡과 내캡으로 구성되는 보틀캡에 자동화공정을 통해 정제가 포장되도록 하는 장치로서 외캡정렬공급유닛, 외캡유입안내부, 외캡이송안내부, 정제수용부, 정제공급기, 이송안내부, 내캡안착부, 내캡공급유닛, 내캡가압고정부, 내캡고정유닛, 보틀캡이송안내부 및 배출컨베이어를 포함함으로써 음료용기의 개구부에 결합하여 음료용기용 마개로 사용되되 외캡과 내캡에 의해 정제가 밀봉 포장되는 타입의 보틀캡에 대해 자동화 공정을 통해 원활한 포장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외캡과 내캡에 의해 정제가 밀봉 포장되는 타입의 보틀캡의 생산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정제안착판과 상부보호커버와 낙하안내판과 정제투입안내판으로 구성된 정제수용부가 적용됨과 동시에 상부보호커버를 관통하는 끝단에 선택적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구가 적용됨으로써 에어분사를 통해 정제가 하향 이동하면서 회전이동하는 다수의 외캡에 복수 개의 정제가 안정적으로 수용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보틀캡용 정제포장장치{Pill packing device for bottle cap}
본 발명은 보틀캡용 정제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캡과 내캡으로 구성되는 보틀캡에 자동화공정을 통해 정제가 포장되도록 하는 장치로서 외캡정렬공급유닛, 외캡유입안내부, 외캡이송안내부, 정제수용부, 정제공급기, 이송안내부, 내캡안착부, 내캡공급유닛, 내캡가압고정부, 내캡고정유닛, 보틀캡이송안내부 및 배출컨베이어를 포함함으로써 음료용기의 개구부에 결합하여 음료용기용 마개로 사용되되 외캡과 내캡에 의해 정제가 밀봉 포장되는 타입의 보틀캡에 대해 자동화 공정을 통해 원활한 포장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외캡과 내캡에 의해 정제가 밀봉 포장되는 타입의 보틀캡의 생산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정제안착판과 상부보호커버와 낙하안내판과 정제투입안내판으로 구성된 정제수용부가 적용됨과 동시에 상부보호커버를 관통하는 끝단에 선택적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구가 적용됨으로써 에어분사를 통해 정제가 하향 이동하면서 회전이동하는 다수의 외캡에 복수 개의 정제가 안정적으로 수용되게 할 수 있도록 한 보틀캡용 정제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마개는 용기의 입구를 막는 단순한 기능의 합성수지나 금속마개에서, 첨가제를 수용하는 방식의 기능성 마개로 진화하고 있다.
첨가제를 수용하는 컨테이너를 가지는 용기마개는 첨가제를 컨테이너에 수용하고 있다가 사용시에는 컨테이너의 바닥면을 별도의 절단수단이나 분리수단을 이용하여 바닥면을 개방하면, 첨가제가 용기 내부로 낙하하고, 사용자는 첨가제를 용기의 내용물에 섞어서 마시는 실정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약 같은 입자형 첨가제를 마개에 수용하는 용기마개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약 같은 입자형 첨가제를 마개에 수용하는 용기마개는 통상 마개의 외부 상면에 수용하였다가 필요 시 꺼내먹는 기능을 구현하는 마개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첨가제를 마개에 수용하는 용기마개는 첨가제를 필요 시 꺼내먹을 때 손으로 꺼내서 먹거나 입에 털어 넣어 먹은 후 용기 내의 내용물인 음료를 먹어야 하므로 위생상 안전을 도모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과립, 정제 등의 입자형 첨가제를 수용하되 내부마개와 외부마개에 의해 긴밀하게 첨가제가 수용되면서 용기에 결합사용시 외부마개만을 분리하여 첨가제와 함께 용기 내의 내용물을 동시에 먹을 수 있도록 한 과립, 정제 등의 입자형 첨가제를 마개에 수용하는 용기마개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와 같은 과립, 정제 등의 입자형 첨가제를 마개에 수용하는 용기마개는 입자형 첨가제를 내부마개에 수용하며, 외부마개를 용기의 입구에서 분리시킨 후에 용기 입구를 기울여 내부에 수용된 첨가제가 수용된 내부마개의 첨가제가 입으로 들어가도록 함과 동시에 내부마개의 둘레에 형성된 용기 내용물 배출 구멍을 통하여 용기에 충전된 물 등의 내용물을 동시에 먹을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첨가제를 마개에 수용하는 용기마개는 내부마개와 외부마개를 결합시키되 내부에 첨가제를 수용하도록 포장하며, 이와 같이 첨가제가 내부마개와 외부마개 사이에 포장된 상태의 용기마개를 용기의 개구부에 결합시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이제까지는 종래의 내부마개와 외부마개를 결합시키되 내부에 첨가제를 수용하도록 포장하여 용기마개를 완성하기 위한 자동화된 공정이 적용되는 장치는 없었으며, 이에 따라 이러한 내부마개와 외부마개를 결합시키되 내부에 첨가제를 수용하도록 포장하여 용기마개를 완성하기 위한 자동화된 공정이 적용되는 장치에 대해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5-0075832호 2015.07.06.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7-0056274호 2017.05.23.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957635호 2019.03.06.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093774호 2020.03.20.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557825호 2006.02.27.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521719호 2005.10.07. 등록.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캡과 내캡으로 구성되는 보틀캡에 자동화공정을 통해 정제가 포장되도록 하는 장치로서 외캡정렬공급유닛, 외캡유입안내부, 외캡이송안내부, 정제수용부, 정제공급기, 이송안내부, 내캡안착부, 내캡공급유닛, 내캡가압고정부, 내캡고정유닛, 보틀캡이송안내부 및 배출컨베이어를 포함함으로써 음료용기의 개구부에 결합하여 음료용기용 마개로 사용되되 외캡과 내캡에 의해 정제가 밀봉 포장되는 타입의 보틀캡에 대해 자동화 공정을 통해 원활한 포장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외캡과 내캡에 의해 정제가 밀봉 포장되는 타입의 보틀캡의 생산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보틀캡용 정제포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정제안착판과 상부보호커버와 낙하안내판과 정제투입안내판으로 구성된 정제수용부가 적용됨과 동시에 상부보호커버를 관통하는 끝단에 선택적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구가 적용됨으로써 에어분사를 통해 정제가 하향 이동하면서 회전이동하는 다수의 외캡에 복수 개의 정제가 안정적으로 수용되게 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보틀캡용 정제포장장치는 외캡과 내캡으로 구성되는 보틀캡에 자동화공정을 통해 정제가 포장되도록 하는 보틀캡용 정제포장장치에 있어서, 외캡을 1열로 순차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외캡정렬공급유닛;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형성된 홈 내에 외캡을 구속시켜 회전하는 회전판과, 회전판의 원주방향 일정구간을 감싸도록 이격 배치되는 회전가이드와, 회전판과 축 연결되는 회전기어가 적용되어, 외캡정렬공급유닛을 통해 1열로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외캡을 회전판의 홈에 구속시킨 상태로 회전가이드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일정구간에 걸쳐 회전 이송시켜 외캡의 유입을 안내하는 외캡유입안내부;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형성된 홈 내에 외캡을 구속시켜 회전하는 회전판과, 회전판의 원주방향 일정구간을 감싸도록 이격 배치되는 회전가이드와, 회전판과 축 연결되는 회전기어가 적용되어, 외캡유입안내부로부터 안내되는 외캡을 회전판의 홈에 구속시킨 상태로 회전가이드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일정구간에 걸쳐 회전 이송시키는 외캡이송안내부;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형성된 홈 내에 외캡을 구속시켜 회전하는 회전판과, 회전판의 원주방향 일정구간을 감싸도록 이격 배치되는 회전가이드와, 회전판과 축 연결되는 회전기어가 적용되는 한편, 외캡이송안내부로부터 안내되는 외캡을 회전판의 홈에 구속시킨 상태로 회전가이드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일정구간에 걸쳐 회전 이송시키면서 외캡 내부에 복수의 정제가 수용되도록 하는 정제수용부; 정제수용부의 일 측에 설치되어, 정제수용부를 통해 회전 이송되는 외캡에 복수의 정제를 공급하는 정제공급기;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형성된 홈 내에 외캡을 구속시켜 회전하는 회전판과, 회전판의 원주방향 일정구간을 감싸도록 이격 배치되는 회전가이드와, 회전판과 축 연결되는 회전기어가 적용되며, 복수의 정제가 수용된 외캡을 회전 이송시키는 이송안내부;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형성된 홈 내에 외캡을 구속시켜 회전하는 회전판과, 회전판의 원주방향 일정구간을 감싸도록 이격 배치되는 회전가이드와, 회전판과 축 연결되는 회전기어가 적용되는 한편, 이송안내부로부터 안내되는 복수의 정제가 수용된 외캡을 회전판의 홈에 구속시킨 상태로 회전가이드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일정구간에 걸쳐 회전 이송시키면서 복수의 정제가 수용된 외캡 상부에 내캡이 안착되도록 하는 내캡안착부; 내캡안착부 상측에 설치되며, 내캡안착부 상부로부터 내캡을 순차적으로 낙하 공급하는 내캡공급유닛;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형성된 홈 내에 외캡을 구속시켜 회전하는 회전판과, 회전판의 원주방향 일정구간을 감싸도록 이격 배치되는 회전가이드와, 회전판과 축 연결되는 회전기어가 적용되는 한편, 내캡안착부로부터 안내되는 복수의 정제가 수용된 외캡 상부에 안착된 내캡을 가압고정하는 내캡가압고정부; 내캡가압고정부의 상측에 설치되며, 하단 부분이 선택적으로 일정거리 승강하면서 복수의 정제가 수용된 외캡 상부에 안착된 내캡을 가압고정시키는 내캡고정유닛;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형성된 홈 내에 외캡을 구속시켜 회전하는 회전판과, 회전판의 원주방향 일정구간을 감싸도록 이격 배치되는 회전가이드와, 회전판과 축 연결되는 회전기어가 적용되며, 내캡가압고정부로부터 안내되는 복수의 정제가 수용된 외캡 상부에 안착된 내캡이 가압고정되어 내부에 정제가 수용되게 포장 완성된 보틀캡을 이송시키는 보틀캡이송안내부; 및 보틀캡이송안내부 일 측에 설치되며, 보틀캡이송안내부로부터 안내되는 내부에 정제가 수용되게 포장 완성된 보틀캡에 대해 낙하 안착한 후에 일 방향으로 배출안내하는 배출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외캡정렬공급유닛은 다수의 외캡이 저장되는 외캡저장함과, 외캡저장함 후방으로부터 상향 연장 설치되며, 외캡저장함의 외캡을 다수의 열로 컨베이어 타입으로 상향 이송시키는 외캡상승이송부와, 외캡상승이송부 상단 일 측으로부터 외향 연장 설치되며, 외캡상승이송부를 통해 상향 이송되는 외캡을 1열로 수평 이송시키는 외캡1열이송부 및 외캡1열이송부로부터 일정길이 연장 설치되어, 끝단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외캡을 배출시켜 외캡유입안내부 측으로 공급하는 외캡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제수용부는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형성된 홈 내에 외캡을 구속시켜 회전하는 회전판과, 회전판의 원주방향 일정구간을 감싸도록 이격 배치되는 회전가이드와, 회전판과 축 연결되는 회전기어가 적용되되, 중공의 원판 타입으로 제공되어, 회전판의 상측에 배치되며, 외주로부터 원주방향에 대해 지그재그 타입의 2열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관통되는 안착홀 내에 정제공급기를 통해 공급되는 복수의 정제가 안착되며, 상기 회전판과 함께 회전하는 정제안착판과, 정제안착판의 상부에 원주방향 일정길이에 걸쳐 호형 판 상으로 배치 고정되는 상부보호커버와, 중공의 원판 타입으로 제공되어 정제안착판 하부에 배치되면서 정제안착판의 안착홀 내에 복수의 정제가 안착되게 안착홀 하단을 밀폐하며, 원주방향 일 측에 관통형성된 낙하공을 통해 선택적으로 정제를 하향 낙하 안내하는 낙하안내판과, 상기 회전판, 정제안착판과 함께 회전하며, 정제안착판의 지그재그 타입의 2열로 형성된 안착홀 내 복수의 정제가 낙하하여 회전판의 홈 내에 구속되어 회전하는 외캡 내부로 투입안내되도록 하는 정제투입안내판을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정제투입안내판은 정제안착판의 지그재그 타입의 2열로 형성된 안착홀 내 복수의 정제가 낙하하여 회전판의 홈 내에 구속되어 회전하는 각 외캡 내부로 투입안내할 수 있도록, 상면에 정제안착판의 지그재그 타입의 2열로 형성된 안착홀 하단과 대응되어 요홈이 하향 함몰된 후, 지그재그 타입의 2열 중에 외측 1열과 대응되는 원주방향 라인을 기준으로 회전판의 홈 내에 구속되어 회전하는 각 외캡 중앙과 대응되어 연통되게 각 요홈 마다 투입공이 관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정제수용부는 정제투입안내판의 투입공을 통한 상기 회전판의 홈에 구속되어 회전하는 외캡의 내부로의 투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제안착판에서의 지그재그 타입 2열과 대응되는 2곳으로서 상기 상부보호커버의 상면 일 측에 한 쌍으로 끝단이 연통 연결되어, 복수의 정제를 외캡 내부로 투입안내하기 위한 공기를 선택적으로 분사시키는 에어분사구를 더 포함하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상기 정제공급기는 정제수용부의 일 측에 설치되어, 정제수용부를 통해 회전 이송되는 외캡에 복수의 정제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정제수용부의 일 측에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고정대와, 고정대의 일 측에 상단이 승강 조절 가능케 연결설치되는 승강설치대와, 승강설치대 하부에 구비되어, 상단에 복수의 정제가 각 1열로 연이어 공급 안내되는 공급구와, 공급구 일 측에 구비되어, 공급구 내부의 정제에 대해 선택적으로 고정 및 고정해지시키면서 최하단의 정제를 낙하시키는 낙하조절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외캡유입안내부, 외캡이송안내부, 정제수용부, 이송안내부, 내캡안착부, 내캡가압고정부, 보틀캡이송안내부, 배출컨베이어는 제어부를 통해 구동이 제어되는 한편, 외캡유입안내부, 외캡이송안내부, 정제수용부, 이송안내부, 내캡안착부, 내캡가압고정부, 보틀캡이송안내부의 회전 구동은 어느 하나의 회전기어에 대해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기어 구조로 맞물리면서 구동력이 전달되어 회전 구동되되, 외캡유입안내부, 외캡이송안내부, 정제수용부, 이송안내부, 내캡안착부, 내캡가압고정부, 보틀캡이송안내부에 대한 이웃하는 회전기어가 상호 맞물려 연동하여 회전 구동되는 것이 양호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보틀캡용 정제포장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캡과 내캡으로 구성되는 보틀캡에 자동화공정을 통해 정제가 포장되도록 하는 장치로서 외캡정렬공급유닛, 외캡유입안내부, 외캡이송안내부, 정제수용부, 정제공급기, 이송안내부, 내캡안착부, 내캡공급유닛, 내캡가압고정부, 내캡고정유닛, 보틀캡이송안내부 및 배출컨베이어를 포함함으로써 음료용기의 개구부에 결합하여 음료용기용 마개로 사용되되 외캡과 내캡에 의해 정제가 밀봉 포장되는 타입의 보틀캡에 대해 자동화 공정을 통해 원활한 포장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외캡과 내캡에 의해 정제가 밀봉 포장되는 타입의 보틀캡의 생산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둘째, 정제안착판과 상부보호커버와 낙하안내판과 정제투입안내판으로 구성된 정제수용부가 적용됨과 동시에 상부보호커버를 관통하는 끝단에 선택적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구가 적용됨으로써 에어분사를 통해 정제가 하향 이동하면서 회전이동하는 다수의 외캡에 복수 개의 정제가 안정적으로 수용되게 할 수 있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에 따른 보틀캡용 정제포장장치를 통해 완성된 외캡과 내캡 사이에 정제가 공급 수용된 상태로 포장된 보틀캡을 나타낸 분리 및 조립 단면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틀캡용 정제포장장치를 통해 완성된 외캡과 내캡 사이에 정제가 공급 수용된 상태로 포장된 보틀캡이 음료용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틀캡용 정제포장장치를 나타낸 전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틀캡용 정제포장장치에서의, 외캡정렬공급유닛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틀캡용 정제포장장치에서의, 정제공급기와 정제수용부를 나타낸 사시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틀캡용 정제포장장치에서의 정제공급기와 정제수용부에서, 회전안내되는 외캡 내에 정제가 공급 수용되는 구조를 나타낸 평면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틀캡용 정제포장장치에서의 정제공급기와 정제수용부에서, 상부보호커버, 정제안착판, 낙하안내판, 정제투입안내판을 나타낸 요부 분리 사시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틀캡용 정제포장장치에서의 작동상태 평면예시로서, 외캡정렬공급유닛을 통해 외캡이 공급된 이후의 외캡이 이송되면서 정제가 공급 수용되고 내캡이 외캡 상부에 끼움고정되면서 외캡과 내캡 사이에 정제가 포장완료된 보틀캡이 배출되게 하는 구성들을 상부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 평면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틀캡용 정제포장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에 따른 보틀캡용 정제포장장치를 통해 완성된 외캡과 내캡 사이에 정제가 공급 수용된 상태로 포장된 보틀캡을 나타낸 분리 및 조립 단면예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틀캡용 정제포장장치를 통해 완성된 외캡과 내캡 사이에 정제가 공급 수용된 상태로 포장된 보틀캡이 음료용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틀캡용 정제포장장치를 나타낸 전체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틀캡용 정제포장장치에서의, 외캡정렬공급유닛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틀캡용 정제포장장치에서의, 정제공급기와 정제수용부를 나타낸 사시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틀캡용 정제포장장치에서의 정제공급기와 정제수용부에서, 회전안내되는 외캡 내에 정제가 공급 수용되는 구조를 나타낸 평면구성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틀캡용 정제포장장치에서의 정제공급기와 정제수용부에서, 상부보호커버, 정제안착판, 낙하안내판, 정제투입안내판을 나타낸 요부 분리 사시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틀캡용 정제포장장치에서의 작동상태 평면예시로서, 외캡정렬공급유닛을 통해 외캡이 공급된 이후의 외캡이 이송되면서 정제가 공급 수용되고 내캡이 외캡 상부에 끼움고정되면서 외캡과 내캡 사이에 정제가 포장완료된 보틀캡이 배출되게 하는 구성들을 상부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 평면예시도이다.
도 1a 내지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틀캡용 정제포장장치(1000)는 외캡(110)과 내캡(120)으로 구성되는 보틀캡(100)에 자동화공정을 통해 정제(P)가 포장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때 정제(P)의 개수는 2개로 포장되도록 하는 것이며, 정제(P)의 개수는 1개나 3개 이상 등으로 다양하게 포장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외캡(110)과 내캡(120)에 의해 정제(P)가 포장되는 보틀캡(100)에 대해 설명하면, 보틀캡(100)은 도 1a 및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캡(110)가 내캡(120)으로 구성되어 외캡(110)의 수용리브(111) 내측에 정제(P)가 수용된다.
상기와 같이 외캡(110)의 수용리브(111) 내측에 정제(P)가 수용된 상태에서 내캡(120)의 고정홈(125)에 수용리브(111)의 끝단이 끼움 고정되면서 외캡(110)과 내캡(1200에 의해 정제(P)가 긴밀하게 밀봉 포장되는 것이다.
도 1a 및 1b와 도 2를 함께 참고하면, 전술한 바와 같은 정제(P)가 포장된 보틀캡(100)은 외캡(110)과 내캡(120)에 의해 정제(P)가 밀봉 포장된 상태에서의, 내캡(120)의 끼움부(121) 끝단에 절곡형성된 고정후크부(123) 부분이 음료용기(200)의 입구(210) 끝단에 형성된 걸림후크부(211)와 걸림홈(213)이 감싸져 맞물리면서 음료용기(200)의 입구(210)에 나사결합을 통해 결합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음료용기(200)의 입구(210)에 결합된 정제(P)가 포장된 보틀캡(100)은 외캡(110)을 음료용기(200)의 입구(210)로부터 분리한 후에, 정제(P)를 먹으면서 동시에 내캡(120)의 통수공(127)을 통해 음료용기(200) 내부의 내용물을 정제(P)와 함께 입으로 안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다시 말해서 정제(P)와 내용물인 음료를 함께 입으로 투입시켜 정제(P)를 간편하게 내용물로 삼킬 수 있도록 한 음료용기용 캡인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외캡(110)과 내캡(120)으로 구성되는 보틀캡(100)에 자동화공정을 통해 정제(P)가 포장되도록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보틀캡용 정제포장장치(1000)는 크게 분류하면, 외캡정렬공급유닛(1100), 외캡유입안내부(1200), 외캡이송안내부(1300), 정제수용부(1400), 정제공급기(1400'), 이송안내부(1500), 내캡안착부(1600), 내캡공급유닛(1600'), 내캡가압고정부(1700), 내캡고정유닛(1700'), 보틀캡이송안내부(1800) 및 배출컨베이어(19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캡정렬공급유닛(1100)은 다수의 외캡(110)을 1열로 순차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외캡유입안내부(1200)는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형성된 홈 내에 외캡(110)을 구속시켜 회전하는 회전판(1201)과, 회전판(1201)의 원주방향 일정구간을 감싸도록 이격 배치되는 회전가이드(1202)와, 회전판(1201)과 축 연결되는 회전기어(1203)가 적용된다.
이러한 외캡유입안내부(1200)는 외캡정렬공급유닛(1100)을 통해 1열로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외캡(110)을 회전판(1201)의 홈에 구속시킨 상태로 회전가이드(1202)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일정구간에 걸쳐 회전 이송시켜 외캡(110)의 유입을 안내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외캡이송안내부(1300)는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형성된 홈 내에 외캡(110)을 구속시켜 회전하는 회전판(1301)과, 회전판(1301)의 원주방향 일정구간을 감싸도록 이격 배치되는 회전가이드(1302)와, 회전판(1301)과 축 연결되는 회전기어(1303)가 적용된다.
이러한 외캡이송안내부(1300)는 상기 외캡유입안내부(1200)로부터 안내되는 외캡(110)을 회전판(1301)의 홈에 구속시킨 상태로 회전가이드(1302)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일정구간에 걸쳐 회전 이송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정제수용부(1400)는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형성된 홈 내에 외캡(110)을 구속시켜 회전하는 회전판(1401)과, 회전판(1401)의 원주방향 일정구간을 감싸도록 이격 배치되는 회전가이드(1402)와, 회전판(1401)과 축 연결되는 회전기어(1403)가 적용된다.
이러한 정제수용부(1400)는 상기 외캡이송안내부(1300)로부터 안내되는 외캡(110)을 회전판(1401)의 홈에 구속시킨 상태로 회전가이드(1402)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일정구간에 걸쳐 회전 이송시키면서 외캡(110) 내부에 복수의 정제(P)가 수용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정제공급기(1400')는 정제수용부(1400)의 일 측에 설치되어, 정제수용부(1400)를 통해 회전 이송되는 외캡(110)에 복수의 정제(P)를 공급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송안내부(1500)는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형성된 홈 내에 외캡(110)을 구속시켜 회전하는 회전판(1501)과, 회전판(1501)의 원주방향 일정구간을 감싸도록 이격 배치되는 회전가이드(1502)와, 회전판(1501)과 축 연결되는 회전기어(1503)가 적용되며, 복수의 정제(P)가 수용된 외캡(110)을 회전 이송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내캡안착부(1600)는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형성된 홈 내에 외캡(110)을 구속시켜 회전하는 회전판(1601)과, 회전판의 원주방향 일정구간을 감싸도록 이격 배치되는 회전가이드(1602)와, 회전판(1601)과 축 연결되는 회전기어(1603)가 적용된다.
이러한 내캡안착부(1600)는 상기 이송안내부(1500)로부터 안내되는 복수의 정제(P)가 수용된 외캡(110)을 회전판(1601)의 홈에 구속시킨 상태로 회전가이드(1603)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일정구간에 걸쳐 회전 이송시키면서 복수의 정제(P)가 수용된 외캡(110) 상부에 내캡(120)이 안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내캡공급유닛(1600')은 내캡안착부(1600) 상측에 설치되며, 내캡안착부(1600) 상부로부터 내캡(120)을 순차적으로 낙하 공급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내캡가압고정부(1700)는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형성된 홈 내에 외캡(110)을 구속시켜 회전하는 회전판(1701)과, 회전판(1701)의 원주방향 일정구간을 감싸도록 이격 배치되는 회전가이드(1702)와, 회전판(1701)과 축 연결되는 회전기어(1703)가 적용된다.
이러한 내캡가압고정부(1700)는 내캡안착부(1600)로부터 안내되는 복수의 정제(P)가 수용된 외캡(110) 상부에 안착된 내캡(120)을 가압고정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내캡고정유닛(1700')은 내캡가압고정부(1700)의 상측에 설치되며, 하단 부분이 선택적으로 일정거리 승강하면서 복수의 정제(P)가 수용된 외캡(110) 상부에 안착된 내캡(120)을 가압고정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내캡고정유닛(1700')은 구체적인 부호를 명시하지는 않았으나 통상의 실린더 구조로 승강하면서 내캡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장치로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상기 내캡고정유닛(1700')은 내캡가압고정부(1700)를 통해 외캡(110)에 정제(P)가 수용된 후 상부에 내캡(120)이 안착된 상태로 회전하는 각 내캡(120)에 대해 실린더 구조로 승강하면서 내캡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장치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보틀캡이송안내부(1800)는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형성된 홈 내에 외캡(110)을 구속시켜 회전하는 회전판(1801)과, 회전판(1801)의 원주방향 일정구간을 감싸도록 이격 배치되는 회전가이드(1802)와, 회전판(1801)과 축 연결되는 회전기어(1803)가 적용된다.
이러한 보틀캡이송안내부(1800)는 내캡가압고정부(1700)로부터 안내되는 복수의 정제(P)가 수용된 외캡(110) 상부에 안착된 내캡(120)이 가압고정되어 내부에 정제(P)가 수용되게 포장 완성된 보틀캡(100)을 이송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출컨베이어(1900)는 보틀캡이송안내부(1800) 일 측에 설치되며, 보틀캡이송안내부(1800)로부터 안내되는 내부에 정제(P)가 수용되게 포장 완성된 보틀캡(100)에 대해 낙하 안착한 후에 일 방향으로 배출안내하는 것이다.
이러한 배출컨베이어(1900)는 통상의 컨베이어 구조와 마찬가지로, 내부에 정제(P)가 수용되게 포장 완성된 보틀캡(100)에 대해 낙하 안착한 후에 일 방향으로 배출안내하는 컨베이어부와, 이러한 컨베이어부의 구동을 위한 구동모터 등을 포한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보틀캡용 정제포장장치(1000)에서, 상기 외캡정렬공급유닛(1100)은 외캡저장함(1110)과, 외캡상승이송부(1120)와, 외캡1열이송부(1130) 및 외캡공급부(11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외캡저장함(1110)은 다수의 외캡(110)이 저장되는 것이며, 상기 외캡상승이송부(1120)는 외캡저장함(1110) 후방으로부터 상향 연장 설치되며, 외캡저장함(1110)의 외캡(110)을 다수의 열로 컨베이어 타입으로 상향 이송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외캡1열이송부(1130)는 외캡상승이송부(1120) 상단 일 측으로부터 외향 연장 설치되며, 외캡상승이송부(1120)를 통해 상향 이송되는 외캡(110)을 1열로 수평 이송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외캡공급부(1140)는 외캡1열이송부(1130)로부터 일정길이 연장 설치되어, 끝단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외캡(110)을 배출시켜 외캡유입안내부(1200) 측으로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외캡정렬공급유닛(1100)은 특히,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캡1열이송부(1130)과 외캡공급부(1140)의 사이에 연결설치되는 외캡컨베이어이송부(113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외캡컨베이어이송부(1130')는 특히, 컨베이어부와 모터로 구성되어 컨베이어부를 통해 상기 외캡1열이송부(1130)로부터 이송되는 외캡(110)을 상기 외캡공급부(1140) 측으로 이송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보틀캡용 정제포장장치(1000)에서, 상기 정제수용부(1400)는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형성된 홈 내에 외캡(110)을 구속시켜 회전하는 회전판(1401)과, 회전판(1401)의 원주방향 일정구간을 감싸도록 이격 배치되는 회전가이드(1402)와, 회전판(1401)과 축 연결되는 회전기어(1403)가 적용되되, 정제안착판(1410)과, 상부보호커버(1420)와, 낙하안내판(1430)과, 정제투입안내판(1440)을 더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정제안착판(1410)은 중공의 원판 타입으로 제공되어, 회전판(1401)의 상측에 배치되며, 외주로부터 원주방향에 대해 지그재그 타입의 2열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관통되는 안착홀(1411) 내에 정제공급기(1400')를 통해 공급되는 복수의 정제(P)가 안착되며, 상기 회전판(1401)과 함께 회전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보호커버(1420)는 정제안착판(1410)의 상부에 원주방향 일정길이에 걸쳐 호형 판 상으로 배치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낙하안내판(1430)은 중공의 원판 타입으로 제공되어 정제안착판(1410) 하부에 배치되면서 정제안착판(1410)의 안착홀(1411) 내에 복수의 정제(P)가 안착되게 안착홀(1411) 하단을 밀폐하며, 원주방향 일 측에 관통형성된 낙하공(1431)을 통해 선택적으로 정제를 하향 낙하 안내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정제투입안내판(1440)은 상기 회전판(1401), 정제안착판(1410)과 함께 회전하며, 정제안착판(1410)의 지그재그 타입의 2열로 형성된 안착홀(1411) 내 복수의 정제(P)가 낙하하여 회전판(1401)의 홈 내에 구속되어 회전하는 외캡(110) 내부로 투입안내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정제수용부(1400)에서, 특히 상기 정제투입안내판(1440)은 정제안착판(1410)의 지그재그 타입의 2열로 형성된 안착홀(1411) 내 복수의 정제(P)가 낙하하여 회전판(1401)의 홈 내에 구속되어 회전하는 각 외캡(110) 내부로 투입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정제투입안내판(1440)은 상면에 정제안착판(1410)의 지그재그 타입의 2열로 형성된 안착홀(1411) 하단과 대응되어 요홈(1441)이 하향 함몰된 후, 지그재그 타입의 2열 중에 외측 1열과 대응되는 원주방향 라인을 기준으로 회전판(1401)의 홈 내에 구속되어 회전하는 각 외캡(110) 중앙과 대응되어 연통되게 각 요홈(1441) 마다 투입공(1442)이 관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정제안착판(1410)의 지그재그 타입의 2열 중 내측 1열의 안착홀(1411) 하단과 대응되어 함몰형성되는 요홈(1441)은 회전판(1401)의 홈 내에 구속되어 회전하는 각 외캡(110) 중앙과 대응되어 연통되게 외향 확장되어 함몰된 후에 확장된 단부의 바닥에 투입공(1442)이 관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정제수용부(1400)에서, 상기 낙하안내판(1430)의 낙하공(1431)은 정제안착판(1410)의 안착홀(1411)과 대응되는 2열의 폭 영역과 대응되는 폭을 가지면서 일정길이를 갖는 면적에 걸쳐 관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정제수용부(1400)는 정제투입안내판(1440)의 투입공(1442)을 통한 상기 회전판(1401)의 홈에 구속되어 회전하는 외캡(110)의 내부로의 투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정제수용부(1400)는 정제안착판(1410)에서의 지그재그 타입 2열과 대응되는 2곳으로서 상기 상부보호커버(1410)의 상면 일 측에 한 쌍으로 끝단이 연통 연결되어, 복수의 정제(P)를 외캡(110) 내부로 투입안내하기 위한 공기를 선택적으로 분사시키는 에어분사구(145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에어분사구(1450)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에어분사구(1450)를 통해 분사되는 에어에 의해 복수의 정제(P)는 정제안착판(1410)의 안착홀(1411) 내부로부터 낙하공(1431)을 거쳐 낙하하면서 하향 낙하력이 가속되어 정제투입안내판(1440)의 요홈(1441)을 거쳐 투입공(1442) 측으로 원활하게 안내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이 투입공(1442) 측으로 안내되는 복수의 정제(P)는 투입공(1442)을 거쳐 하향 외캡(110) 내부로 투입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보틀캡용 정제포장장치(1000)에서, 상기 정제공급기(1400')는 정제수용부(1400)의 일 측에 설치되어, 정제수용부(1400)를 통해 회전 이송되는 외캡에 복수의 정제(P)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정제공급기(1400')는 정제수용부(1400)의 일 측에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고정대(1410')와, 고정대(1410)의 일 측에 상단이 승강 조절 가능케 연결설치되는 승강설치대(1420')와, 승강설치대(1420') 하부에 구비되어, 상단에 복수의 정제(P)가 각 1열로 연이어 공급 안내되는 공급구(1430')와, 공급구(1430') 일 측에 구비되어, 공급구(1430') 내부의 정제에 대해 선택적으로 고정 및 고정해지시키면서 최하단의 정제(P)를 낙하시키는 낙하조절구(1440')를 포함한다.
이러한 정제공급기(1400')는 도면으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정제수용부(1400)에서, 정제안착판(1410)의 안착홀(1411) 마다 각각 2개의 정제(P)가 안착되도록, 각 안착홀(1411)에 대해 각 2열로 2개의 정제(P)가 떨어지도록 2개의 주입연결라인(미도시)이 연결되어 주입연결라인(미도시)으로부터 1열로 각각 정제(P)가 연이어 공급안내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즉, 상기 주입연결라인(미도시)는 도면으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정제공급기(1400')의 공급구(1430') 상단 부분에 연결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보틀캡용 정제포장장치(1000)에서, 특히 상기 외캡유입안내부(1200), 외캡이송안내부(1300), 정제수용부(1400), 이송안내부(1500), 내캡안착부(1600), 내캡가압고정부(1700), 보틀캡이송안내부(1800), 배출컨베이어(1900)는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구동이 제어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외캡유입안내부(1200), 외캡이송안내부(1300), 정제수용부(1400), 이송안내부(1500), 내캡안착부(1600), 내캡가압고정부(1700), 보틀캡이송안내부(1800)의 회전 구동은 어느 하나의 회전기어(1401)에 대해 구동모터(미부호)의 구동축과 기어 구조로 맞물리면서 구동력이 전달되어 회전 구동되되, 외캡유입안내부(1200), 외캡이송안내부(1300), 정제수용부(1400), 이송안내부(1500), 내캡안착부(1600), 내캡가압고정부(1700), 보틀캡이송안내부(1800)에 대한 이웃하는 회전기어가 상호 맞물려 연동하여 회전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이웃하는 회전기어가 상호 맞물려 연동하여 회전 구동되는 구조를 통해, 외캡유입안내부(1200), 외캡이송안내부(1300), 정제수용부(1400), 이송안내부(1500), 내캡안착부(1600), 내캡가압고정부(1700), 보틀캡이송안내부(1800)에 대한 이웃하는 회전판은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구동될 수 있는 것이며, 이에 따라 각 회전가이드를 통해 이웃하는 회전판으로 외캡(110) 등에 대해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보틀캡용 정제포장장치(1000)에서, 상기 외캡유입안내부(1200), 외캡이송안내부(1300), 정제수용부(1400), 이송안내부(1500), 내캡안착부(1600), 내캡가압고정부(1700), 보틀캡이송안내부(1800), 배출컨베이어(190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인 정제공급기(1400'), 내캡공급유닛(1600'), 내캡고정유닛(1700') 등의 구성에 대하여서도 상기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장치의 전체적인 작동을 위한 제어가 이루어짐이 바람직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보틀캡용 정제포장장치에 의하면, 외캡과 내캡으로 구성되는 보틀캡에 자동화공정을 통해 정제가 포장되도록 하는 장치로서 외캡정렬공급유닛, 외캡유입안내부, 외캡이송안내부, 정제수용부, 정제공급기, 이송안내부, 내캡안착부, 내캡공급유닛, 내캡가압고정부, 내캡고정유닛, 보틀캡이송안내부 및 배출컨베이어를 포함함으로써 음료용기의 개구부에 결합하여 음료용기용 마개로 사용되되 외캡과 내캡에 의해 정제가 밀봉 포장되는 타입의 보틀캡에 대해 자동화 공정을 통해 원활한 포장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외캡과 내캡에 의해 정제가 밀봉 포장되는 타입의 보틀캡의 생산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더욱이, 정제안착판과 상부보호커버와 낙하안내판과 정제투입안내판으로 구성된 정제수용부가 적용됨과 동시에 상부보호커버를 관통하는 끝단에 선택적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구가 적용됨으로써 에어분사를 통해 정제가 하향 이동하면서 회전이동하는 다수의 외캡에 복수 개의 정제가 안정적으로 수용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0: 보틀캡용 정제포장장치
1100: 외캡정렬공급유닛 1110: 외캡저장함
1120: 외캡상승이송부 1130: 외캡1열이송부
1130': 외캡컨베이어이송부 1140: 외캡공급부
1200: 외캡유입안내부 1201: 회전판
1202: 회전가이드 1203: 회전기어
1300: 외캡이송안내부 1301: 회전판
1302: 회전가이드 1303: 회전기어
1400: 정제수용부 1401: 회전판
1402: 회전가이드 1403: 회전기어
1410: 정제안착판 1411: 안착홀
1420: 상부보호커버 1430: 낙하안내판
1431: 낙하공 1440: 정제투입안내판
1441: 요홈 1442: 투입공
1450: 에어분사구 1400': 정제공급기
1410': 고정대 1420': 승강설치대
1430': 공급구 1440': 낙하조절구
1500: 이송안내부 1501: 회전판
1502: 회전가이드 1503: 회전기어
1600: 내캡안착부 1601: 회전판
1602: 회전가이드 1603: 회전기어
1600': 내캡공급유닛 1700: 내캡가압고정부
1701: 회전판 1702: 회전가이드
1703: 회전기어 1700': 내캡고정유닛
1800: 보틀캡이송안내부 1801: 회전판
1802: 회전가이드 1803: 회전기어
1900: 배출컨베이어
100: 보틀캡
110: 외캡 111: 수용리브
113: 끼움리브 120: 내캡
121: 끼움부 123: 고정후크부
125: 고정홈 127: 통수공
P: 정제
200: 음료용기
210: 입구 211: 걸림후크부
213: 걸림홈

Claims (7)

  1. 외캡(110)과 내캡(120)으로 구성되는 보틀캡(100)에 자동화공정을 통해 정제(P)가 포장되도록 하는 보틀캡용 정제포장장치(1000)에 있어서,
    외캡(110)을 1열로 순차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외캡정렬공급유닛(1100);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형성된 홈 내에 외캡(110)을 구속시켜 회전하는 회전판(1201)과, 회전판(1201)의 원주방향 일정구간을 감싸도록 이격 배치되는 회전가이드(1202)와, 회전판(1201)과 축 연결되는 회전기어(1203)가 적용되어, 외캡정렬공급유닛(1100)을 통해 1열로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외캡(110)을 회전판(1201)의 홈에 구속시킨 상태로 회전가이드(1202)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일정구간에 걸쳐 회전 이송시켜 외캡(110)의 유입을 안내하는 외캡유입안내부(1200);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형성된 홈 내에 외캡(110)을 구속시켜 회전하는 회전판(1301)과, 회전판(1301)의 원주방향 일정구간을 감싸도록 이격 배치되는 회전가이드(1302)와, 회전판(1301)과 축 연결되는 회전기어(1303)가 적용되어, 외캡유입안내부(1200)로부터 안내되는 외캡(110)을 회전판(1301)의 홈에 구속시킨 상태로 회전가이드(1302)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일정구간에 걸쳐 회전 이송시키는 외캡이송안내부(1300);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형성된 홈 내에 외캡(110)을 구속시켜 회전하는 회전판(1401)과, 회전판(1401)의 원주방향 일정구간을 감싸도록 이격 배치되는 회전가이드(1402)와, 회전판(1401)과 축 연결되는 회전기어(1403)가 적용되는 한편, 외캡이송안내부(1300)로부터 안내되는 외캡(110)을 회전판(1401)의 홈에 구속시킨 상태로 회전가이드(1402)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일정구간에 걸쳐 회전 이송시키면서 외캡(110) 내부에 복수의 정제(P)가 수용되도록 하는 정제수용부(1400); 정제수용부(1400)의 일 측에 설치되어, 정제수용부(1400)를 통해 회전 이송되는 외캡(110)에 복수의 정제(P)를 공급하는 정제공급기(1400');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형성된 홈 내에 외캡(110)을 구속시켜 회전하는 회전판(1501)과, 회전판(1501)의 원주방향 일정구간을 감싸도록 이격 배치되는 회전가이드(1502)와, 회전판(1501)과 축 연결되는 회전기어(1503)가 적용되며, 복수의 정제(P)가 수용된 외캡(110)을 회전 이송시키는 이송안내부(1500);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형성된 홈 내에 외캡(110)을 구속시켜 회전하는 회전판(1601)과, 회전판의 원주방향 일정구간을 감싸도록 이격 배치되는 회전가이드(1602)와, 회전판(1601)과 축 연결되는 회전기어(1603)가 적용되는 한편, 이송안내부(1500)로부터 안내되는 복수의 정제(P)가 수용된 외캡(110)을 회전판(1601)의 홈에 구속시킨 상태로 회전가이드(1603)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일정구간에 걸쳐 회전 이송시키면서 복수의 정제(P)가 수용된 외캡(110) 상부에 내캡(120)이 안착되도록 하는 내캡안착부(1600); 내캡안착부(1600) 상측에 설치되며, 내캡안착부(1600) 상부로부터 내캡(120)을 순차적으로 낙하 공급하는 내캡공급유닛(1600');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형성된 홈 내에 외캡(110)을 구속시켜 회전하는 회전판(1701)과, 회전판(1701)의 원주방향 일정구간을 감싸도록 이격 배치되는 회전가이드(1702)와, 회전판(1701)과 축 연결되는 회전기어(1703)가 적용되는 한편, 내캡안착부(1600)로부터 안내되는 복수의 정제(P)가 수용된 외캡(110) 상부에 안착된 내캡(120)을 가압고정하는 내캡가압고정부(1700); 내캡가압고정부(1700)의 상측에 설치되며, 하단 부분이 선택적으로 일정거리 승강하면서 복수의 정제(P)가 수용된 외캡(110) 상부에 안착된 내캡(120)을 가압고정시키는 내캡고정유닛(1700');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형성된 홈 내에 외캡(110)을 구속시켜 회전하는 회전판(1801)과, 회전판(1801)의 원주방향 일정구간을 감싸도록 이격 배치되는 회전가이드(1802)와, 회전판(1801)과 축 연결되는 회전기어(1803)가 적용되며, 내캡가압고정부(1700)로부터 안내되는 복수의 정제(P)가 수용된 외캡(110) 상부에 안착된 내캡(120)이 가압고정되어 내부에 정제(P)가 수용되게 포장 완성된 보틀캡(100)을 이송시키는 보틀캡이송안내부(1800); 및 보틀캡이송안내부(1800) 일 측에 설치되며, 보틀캡이송안내부(1800)로부터 안내되는 내부에 정제(P)가 수용되게 포장 완성된 보틀캡(100)에 대해 낙하 안착한 후에 일 방향으로 배출안내하는 배출컨베이어(1900)를 포함하고,
    상기 외캡정렬공급유닛(1100)은 다수의 외캡이 저장되는 외캡저장함(1110)과,
    외캡저장함(1110) 후방으로부터 상향 연장 설치되며, 외캡저장함(1110)의 외캡(110)을 다수의 열로 컨베이어 타입으로 상향 이송시키는 외캡상승이송부(1120)와,
    외캡상승이송부(1120) 상단 일 측으로부터 외향 연장 설치되며, 외캡상승이송부(1120)를 통해 상향 이송되는 외캡(110)을 1열로 수평 이송시키는 외캡1열이송부(1130) 및
    외캡1열이송부(1130)로부터 일정길이 연장 설치되어, 끝단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외캡(110)을 배출시켜 외캡유입안내부(1200) 측으로 공급하는 외캡공급부(1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캡용 정제포장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수용부(1400)는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형성된 홈 내에 외캡(110)을 구속시켜 회전하는 회전판(1401)과, 회전판(1401)의 원주방향 일정구간을 감싸도록 이격 배치되는 회전가이드(1402)와, 회전판(1401)과 축 연결되는 회전기어(1403)가 적용되되,
    중공의 원판 타입으로 제공되어, 회전판(1401)의 상측에 배치되며, 외주로부터 원주방향에 대해 지그재그 타입의 2열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관통되는 안착홀(1411) 내에 정제공급기(1400')를 통해 공급되는 복수의 정제(P)가 안착되며, 상기 회전판(1401)과 함께 회전하는 정제안착판(1410)과,
    정제안착판(1410)의 상부에 원주방향 일정길이에 걸쳐 호형 판 상으로 배치 고정되는 상부보호커버(1420)와,
    중공의 원판 타입으로 제공되어 정제안착판(1410) 하부에 배치되면서 정제안착판(1410)의 안착홀(1411) 내에 복수의 정제(P)가 안착되게 안착홀(1411) 하단을 밀폐하며, 원주방향 일 측에 관통형성된 낙하공(1431)을 통해 선택적으로 정제를 하향 낙하 안내하는 낙하안내판(1430)과,
    상기 회전판(1401), 정제안착판(1410)과 함께 회전하며, 정제안착판(1410)의 지그재그 타입의 2열로 형성된 안착홀(1411) 내 복수의 정제(P)가 낙하하여 회전판(1401)의 홈 내에 구속되어 회전하는 외캡(110) 내부로 투입안내되도록 하는 정제투입안내판(14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캡용 정제포장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투입안내판(1440)은 정제안착판(1410)의 지그재그 타입의 2열로 형성된 안착홀(1411) 내 복수의 정제(P)가 낙하하여 회전판(1401)의 홈 내에 구속되어 회전하는 각 외캡(110) 내부로 투입안내할 수 있도록,
    상면에 정제안착판(1410)의 지그재그 타입의 2열로 형성된 안착홀(1411) 하단과 대응되어 요홈(1441)이 하향 함몰된 후, 지그재그 타입의 2열 중에 외측 1열과 대응되는 원주방향 라인을 기준으로 회전판(1401)의 홈 내에 구속되어 회전하는 각 외캡(110) 중앙과 대응되어 연통되게 각 요홈(1441) 마다 투입공(1442)이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캡용 정제포장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수용부(1400)는 정제투입안내판(1440)의 투입공(1442)을 통한 상기 회전판(1401)의 홈에 구속되어 회전하는 외캡(110)의 내부로의 투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제안착판(1410)에서의 지그재그 타입 2열과 대응되는 2곳으로서 상기 상부보호커버(1420)의 상면 일 측에 한 쌍으로 끝단이 연통 연결되어, 복수의 정제(P)를 외캡(110) 내부로 투입안내하기 위한 공기를 선택적으로 분사시키는 에어분사구(14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캡용 정제포장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공급기(1400')는 정제수용부(1400)의 일 측에 설치되어, 정제수용부(1400)를 통해 회전 이송되는 외캡에 복수의 정제(P)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정제수용부(1400)의 일 측에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고정대(1410')와,
    고정대(1410)의 일 측에 상단이 승강 조절 가능케 연결설치되는 승강설치대(1420')와,
    승강설치대(1420') 하부에 구비되어, 상단에 복수의 정제(P)가 각 1열로 연이어 공급 안내되는 공급구(1430')와,
    공급구(1430') 일 측에 구비되어, 공급구(1430') 내부의 정제에 대해 선택적으로 고정 및 고정해지시키면서 최하단의 정제(P)를 낙하시키는 낙하조절구(14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캡용 정제포장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캡유입안내부(1200), 외캡이송안내부(1300), 정제수용부(1400), 이송안내부(1500), 내캡안착부(1600), 내캡가압고정부(1700), 보틀캡이송안내부(1800), 배출컨베이어(1900)는 제어부를 통해 구동이 제어되는 한편,
    외캡유입안내부(1200), 외캡이송안내부(1300), 정제수용부(1400), 이송안내부(1500), 내캡안착부(1600), 내캡가압고정부(1700), 보틀캡이송안내부(1800)의 회전 구동은 어느 하나의 회전기어(1401)에 대해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기어 구조로 맞물리면서 구동력이 전달되어 회전 구동되되, 외캡유입안내부(1200), 외캡이송안내부(1300), 정제수용부(1400), 이송안내부(1500), 내캡안착부(1600), 내캡가압고정부(1700), 보틀캡이송안내부(1800)에 대한 이웃하는 회전기어가 상호 맞물려 연동하여 회전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캡용 정제포장장치.
KR1020220004545A 2022-01-12 2022-01-12 보틀캡용 정제포장장치 KR102622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4545A KR102622773B1 (ko) 2022-01-12 2022-01-12 보틀캡용 정제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4545A KR102622773B1 (ko) 2022-01-12 2022-01-12 보틀캡용 정제포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8881A KR20230108881A (ko) 2023-07-19
KR102622773B1 true KR102622773B1 (ko) 2024-01-10

Family

ID=87425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4545A KR102622773B1 (ko) 2022-01-12 2022-01-12 보틀캡용 정제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27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26298B (zh) * 2023-10-30 2024-03-26 杭州环申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上料机及异型咀盖装配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0650B1 (ko) * 2013-08-29 2015-10-15 소장중 용기뚜껑에 이종물질을 충진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183222B1 (ko) * 2020-06-19 2020-11-25 김지훈 용기 안전캡 자동 조립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9218A (ja) * 1997-12-25 1999-07-13 Hitachi Zosen Corp キャップの洗浄装置
KR100521719B1 (ko) 2003-11-25 2005-10-17 주식회사 이오디지텍 약 자동포장기의 알약 자동공급장치
KR100557825B1 (ko) 2004-07-13 2006-03-10 (주)제이브이엠 약제 자동 포장기의 정제 공급장치
KR20150075832A (ko) 2013-12-26 2015-07-06 제이씨텍(주) 과립체와 용기내용물을 동시 음용하는 용기마개
KR102593975B1 (ko) 2015-11-13 2023-10-27 제이씨텍(주) 브이자형 위조방지스커트링을 가지는 수용부를 겸비한 투명캡
KR102093774B1 (ko) 2018-01-29 2020-03-26 제이씨텍(주) 보조 수용 기구 및 이를 장착한 용기
KR101957635B1 (ko) 2018-05-08 2019-03-12 (주)이디티 셔터를 구비한 알약 자동 포장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0650B1 (ko) * 2013-08-29 2015-10-15 소장중 용기뚜껑에 이종물질을 충진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183222B1 (ko) * 2020-06-19 2020-11-25 김지훈 용기 안전캡 자동 조립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8881A (ko) 2023-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57049A3 (en) Carton enclosing a plurality of containers
KR102622773B1 (ko) 보틀캡용 정제포장장치
US20090205504A1 (en) Capsule container designed for the preparation of hot drinks
TWI694955B (zh) 用於自動化藥物施配機的藥物饋入罐及使用該自動化藥物施配機施配藥物之方法
CN105247583A (zh) 药物分配容器
US4650100A (en) Disposable dispensing container
AU7082500A (en) Packaging for bottles and bottle neck shroud for use therewith
CN108025898A (zh) 填充密封装置及填充密封方法
US10196197B2 (en) Packaging container with improved discharge rate of capsule-shaped contents
CN1294076A (zh) 用于向一外部容器内插入口袋的装置
DE102006061498A1 (de) Verfahren zum Verschließen von Behältern sowie Verschließmaschine
TWI259161B (en) Device for the continuous filling and closing of cardboard/plastic composite packages which are open on one side; and a cell cage for transporting such packages in the device
US20090050584A1 (en) Linear chip pusher
KR20120047716A (ko) 약제 포장기
US20040123561A1 (en) Device for withdrawing single objects form a feeder and for regularly spacing out said objects
WO2008121807A1 (en) Child resistant device for housing blister packs
US9975684B1 (en) Interactive dispensing bottle cap
CN205668925U (zh) 玻瓶塞盖机
CN213620360U (zh) 一种适用于小型餐饮食品包装的罐头装置
WO2002096774A1 (en) Liquids container for pre-use mixing
KR100553359B1 (ko) 약제 자동 포장기의 정제 공급장치
KR102438065B1 (ko) 필름 포장된 환약 포장장치
EP3680210B1 (en) Filling apparatus
KR101636355B1 (ko) 무동력 캡 정열기
US20050006256A1 (en) Unstable bott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