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3975B1 - 브이자형 위조방지스커트링을 가지는 수용부를 겸비한 투명캡 - Google Patents

브이자형 위조방지스커트링을 가지는 수용부를 겸비한 투명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3975B1
KR102593975B1 KR1020150159749A KR20150159749A KR102593975B1 KR 102593975 B1 KR102593975 B1 KR 102593975B1 KR 1020150159749 A KR1020150159749 A KR 1020150159749A KR 20150159749 A KR20150159749 A KR 20150159749A KR 102593975 B1 KR102593975 B1 KR 102593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cap
container
counterfeiting
ski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9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6274A (ko
Inventor
이호재
이영재
Original Assignee
제이씨텍(주)
(주) 네추럴웨이
(주)케이제이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씨텍(주), (주) 네추럴웨이, (주)케이제이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제이씨텍(주)
Priority to KR1020150159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3975B1/ko
Publication of KR20170056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6274A/ko
Priority to KR1020230132932A priority patent/KR20230145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3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3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9/00Arrangements or devices for preventing refilling of containers
    • B65D49/12Arrangements or devices for preventing refilling of containers by destroying, in the act of opening the container, an integral por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401/00Tamper-indicating means
    • B65D2401/15Tearable part of the closure

Abstract

본 발명은 첨가제를 수용하는 수용관(33)을 막아 첨가제를 수용하도록 하는 바닥마개(21)와, 용기(1)의 입구(2)에 고정하는 받침턱(27)과 용기 내용물이 통과하는 통수공(24)을 가지는 내캡(20);
상부벽(32) 하면에 수용관(33)을 가지며, 용기입구 외벽과 원통벽(31)이 결합하고, 수용관(33) 내부 수용 첨가제를 투명 상태로 보여주는 투명의 외캡(30); 및
외캡(30)의 원통벽(31) 하단 테두리에 투명재질로 인한 인장강도 증가로 인한 절단 어려움을 절단시 인장력을 증대시키도록 하단에서 내경부 위로 경사링(42)을 부가한 브이자형 위조방지 스커트링(40)을 포함하는 브이자형 위조방지 스커트링을 가지는 수용부를 겸비한 투명캡이다.

Description

브이자형 위조방지스커트링을 가지는 수용부를 겸비한 투명캡{Transparent cap having a container in a body with a v type skirt ring preventing from reuse}
본 발명은 브이자형 위조방지스커트링을 가지는 수용부를 겸비한 투명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 내에 첨가제를 첨가하는 첨가제 수용캡이 기능캡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기술의 한 예로는 국내특허등록 제 10-0597216호를 들 수 있고, 이는 용기의 입구에 나사나 후크 결합하여 고정되며 용기의 입구 내부로 하강하는 주입관의 바닥 테두리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한 배출구를 가지며, 바닥에는 바닥마개를 고정한 저장부재인 하캡과, 하캡 상부에서 분리 가능토록 결합하며 상부 저면에 일체로 아래로 연장하는 첨가제 수용관을 가지는 상캡을 수용하며 상승할 때 수용관이 바닥마개와 분리되어 배출구로 첨가제가 배출되도록 하는 개방부재인 상캡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마개는 하캡의 주입관에 후크 결합하거나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마개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고, 조립시 실링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수용관을 가지는 상캡을 마개와 토크 결합하도록 조립하여야하므로, 토크 발생시 마개가 파손되거나 수용관이 휘어서 실링성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접합 부위에 별도의 패킹링을 부가하기도 하나, 이는 원가 상승의 요인이 된다.
한편, 용기의 입구 내부에 고정되는 주입관과 주입관 바닥에 돌출된 바닥마개를 가지며, 바닥마개 둘레와 주입관 하단 사이에 수개의 배출구를 가지는 패킹부재인 하캡과, 하캡 상부와 용기를 감싸며 고정하고 상부 저면으로 상기 바닥마개와 결합하다가 상승시 내부의 첨가제가 용기 내부로 첨가되도록 하는 수용관을 가지는 덮개인 상캡을 가지는 국내실용신안등록 제 20-0363704호 및 WIPO 공개팜플렛 WO2007020169A1로 알려진 기술을 들 수 있다. 이는 도 1과 같이 용기(1)의 입구 내벽에 안치되어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주입관(10)과, 주입관(10)의 하단 바닥에서 위로 돌출한 바닥마개(11)와 통수공(15)을 이루도록 바닥마개(11)를 연결하는 브리지(13)와, 내캡측벽인 주입관(10)의 상단에서 용기(1)의 입구 상단에 지지되는 받침턱(16)을 이룬 내캡(3)과;
용기(1)의 입구 외측과 나사결합하는 원통벽(5)과, 원통벽(5)의 상단을 막는 상부벽(4)과, 상부벽의 밑변에서 아래로 연장하여 바닥마개(11)를 막아 첨가제를 수용하는 수용공간(7)을 제공하는 수용관(8)과, 통수공(15)을 통한 용기 내용물이 원통벽(5)으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주입관(10)과 면접촉하도록 상부벽(4) 밑면에서 아래로 연장한 링 형상의 실링링(12)을 가지는 용기마개(2)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용기마개(2)의 상부벽이 불투명이라서 수용공간의 첨가제가 보이지 않아 수용자가 첨가제가 있는지를 알 수 없고, 투명으로 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원료를 폴리프로필렌으로 사용하면, 내용물은 잘 보이나 강도가 강하여 스커트링(6)이 잘 떨어지지 않아 사용상 어려움이 있다. 또한 수용관(8)의 내경부에 바닥마개(11)가 끼움 결합하므로 그 주변의 통수공(15)으로 용기의 내용물이 이동하므로 통수공이 커야하고, 통수공이 크면 브리지(13)가 약해져서 바닥마개(21)의 형태유지가 어렵거나 변형의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마개를 용기 입구에서 분리시킬 때 투명캡의 스커트링이 용기 입구에서 잘 분리되도록 브이자형을 이루도록 한 브이자형위조방지 스커트링을 가지는 브이자형 위조방지스커트링을 가지는 수용부를 겸비한 투명캡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마개를 용기 입구에서 분리시킬 때 투명캡의 스커트링이 용기 입구에서 잘 결합되도록 브이자형을 이루도록 함과 동시에 수직링 내측에 경사링을 이루도록 절곡한 브이자형위조방지 스커트링에 캐핑이 용이하도록 경사링의 일정 길이 마다 분리홈을 두어 캐핑시의 결합 압력을 줄여 캐핑이 용이하도록 한 브이자형 위조방지스커트링을 가지는 수용부를 겸비한 투명캡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마개를 용기 입구에서 분리시킬 때 투명캡의 스커트링이 용기 입구에서 잘 결합되도록 브이자형을 이루도록 함과 동시에 수직링 내측에 경사링을 이루도록 절곡한 브이자형위조방지 스커트링에 캐핑이 용이하도록 경사링의 일정 길이 마다 상면에 돌기와 홈이 연속 반복으로 이어지도록 하여 캐핑이 용이하도록 하고 분리시의 인장력을 증대시키는 브이자형 위조방지스커트링을 가지는 수용부를 겸비한 투명캡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기 입구에 끼움 고정하는 내캡의 받침턱의 절곡공간폭보다 용기 입구에 턱부를 이루어 돌출한 입구선단의 두께폭이 크도록 하여 끼움 결합시 결합력이 내캡의 경사벽을 입구 중앙으로 미는 힘으로 작용하도록 하여 내캡의 바닥 외측면과 수용관의 실링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브이자형위조방지 스커트링을 가지는 브이자형 위조방지스커트링을 가지는 수용부를 겸비한 투명캡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캡의 경사벽에 형성한 통수공 상단과 받침턱의 받침턱수직벽이 아래로 갈수록 내경이 얇아지는 수직벽경사면을 이루어 용기마개의 외캡 분리후 남은 내캡의 수직경사벽에서 용기의 내용물이 사용자 입으로 잘 배출되도록 하는 브이자형 위조방지스커트링을 가지는 수용부를 겸비한 투명캡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캡의 바닥마개에 첨가제겹침방지부를 두어 봉상이나 막대의 장방형 첨가제가 수직이나 수평으로 겹쳐 2개가 1개로 인식되는 인식오류를 방지하도록 하는 브이자형 위조방지스커트링을 가지는 수용부를 겸비한 투명캡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원발명은 첨가제를 수용하는 수용관을 막아 첨가제를 수용하도록 하는 바닥마개와, 용기의 입구에 고정하는 받침턱과 용기 내용물이 통과하는 통수공을 가지는 내캡;
상부벽 하면에 수용관을 가지며, 용기입구 외벽과 원통벽이 결합하고, 수용관 내부 수용 첨가제를 투명 상태로 보여주는 투명의 외캡; 및
외캡의 원통벽 하단 테두리에 투명재질로 인한 인장강도 증가로 인한 절단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하여 절단시 당김력을 증대시키도록 하단에서 내경부 위로 경사링을 부가한 브이자형 위조방지 스커트링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받침턱은 디귿자형으로 절곡되고 절곡공간 폭(W1)은 용기의 입구 선단의 두께보다 작아서, 용기 입구에 결합시 경사벽이 수직벽을 밀어 수용관과 바닥마개의 밀착력을 증대시키도록 구성한다.
상기, 브이자형 위조방지 스커트링은 수직링과, 수직링의 하단에서 내경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절곡된 경사링으로 이루어지며, 경사링은 수직링보다 두께가 얇도록 구성한다.
이상과 같이 본원발명은 용기마개를 용기 입구에서 분리시킬 때 투명캡의 스커트링이 용기 입구에서 잘 분리되도록 브이자형을 이루도록 한다.
본 발명은 용기마개를 용기 입구에서 분리시킬 때 투명캡의 스커트링이 용기 입구에서 잘 결합되도록 브이자형을 이루도록 함과 동시에 수직링 내측에 경사링을 이루도록 절곡한 브이자형위조방지 스커트링에 캐핑이 용이하도록 경사링의 일정 길이 마다 분리홈을 두어 캐핑시의 결합 압력을 줄여 캐핑이 용이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용기마개를 용기 입구에서 분리시킬 때 투명캡의 스커트링이 용기 입구에서 잘 결합되도록 브이자형을 이루도록 함과 동시에 수직링 내측에 경사링을 이루도록 절곡한 브이자형위조방지 스커트링에 캐핑이 용이하고, 용기마개 분리시에는 스커트링이 잘 분리도록 기능한다.
본 발명은 용기 입구에 끼움 고정하는 내캡의 받침턱의 절곡공간폭보다 용기 입구에 턱을 이루어 돌출한 입구선단의 두께폭이 크도록 하여 끼움 결합시 결합력이 내캡의 경사벽을 입구 중앙으로 미는 힘으로 작용하도록 하여 내캡의 바닥 외측면과 수용관의 실링성을 향상시키도록 작용한다.
본 발명은 내캡의 경사벽에 형성한 통수공 상단과 받침턱의 받침턱수직벽이 아래로 갈수록 내경이 얇아지는 수직벽경사면을 이루어 용기마개의 외캡 분리후 남은 내캡의 수직경사벽에서 용기의 내용물이 사용자 입으로 잘 배출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내캡의 바닥마개에 첨가제겹침방지부를 두어 봉상이나 막대의 장방형 첨가제가 수직이나 수평으로 겹쳐 2개가 1개로 인식되는 인식오류를 방지하도록 하는 브이자형 위조방지스커트링을 가지는 수용부를 겸비한 투명캡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용기마개의 단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내캡과 용기 입구의 결합전 상태 도,
도 4는 도 3의 결합 후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브이자형 위조방지 스커트링 요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브이자형 위조방지 스커트링의 다른예를 보인 요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내캡의 바닥마개에 부가한 첨가제겹침방지부의 각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본원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첨가제를 수용하는 수용관(33)을 막아 첨가제를 수용하도록 하는 바닥마개(21)와, 용기(1)의 입구(2)에 고정하는 받침턱(27)과 용기 내용물이 통과하는 통수공(24)을 가지는 내캡(20);
상부벽(32) 하면에 수용관(33)을 가지며, 용기입구 외벽과 원통벽(31)이 결합하고, 수용관(33) 내부 수용 첨가제를 투명 상태로 보여주는 투명의 외캡(30); 및
외캡(30)의 원통벽(31) 하단 테두리에 투명재질로 인한 인장강도 증가로 인한 절단 어려움을 절단시 인장력을 증대시키도록 하단에서 내경부 위로 경사링(42)을 부가한 브이자형 위조방지 스커트링(4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받침턱(27)은 디귿자형으로 절곡되고 절곡공간 폭(W2)은 용기(1)의 입구(2) 선단의 두께(W1)보다 작아서, 용기 입구(2)에 결합시 경사벽(26)이 수직벽(25)을 밀어 수용관(33)과 바닥마개(21)의 밀착력을 증대시키도록 구성한다.
상기, 브이자형 위조방지 스커트링(40)은 수직링(41)과, 수직링(41)의 하단에서 내경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절곡된 경사링(42)으로 이루어지며,
경사링(42)은 수직링(41)보다 두께가 얇도록 구성한다.
상기, 브이자형 위조방지 스커트링(40)은 수직링(41)과, 수직링(41)의 하단에서 내경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절곡된 경사링(42)으로 이루어지며,
경사링(42)은 절곡부보다 상단의 두께가 두껍도록 구성한다.
상기, 경사링(42)은 상단이 도 7과 같이 돌기(42a)와 홈(42b)이 반복 형성된 파형 형상을 이룬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경사링(42)은 도 5 및 도 6과같이 일정 길이마다 일부 절단된 분리홈(44)을 이룬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외캡(30)의 원통벽(31) 하단은 도 5와같이 스커트연결바(45)로 위조방지 스커트링(40)을 연결하고,
연결바(45) 외부의 원통벽(31) 하단은 도 5에 보인 오버캡 결합용 걸림턱(35)을 형성한 다. 오버캡은 외캡(30) 위에 덛 씌우는 식으로 결합하여 오버캡을 돌리면 외캡이 동시에 일체로 회전하여 용기 입구 와 내캡과 동시에 결합 및 분리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내캡(20)의 다른 예로 바닥마개(21)에 첨가제겹침방지부(29)를 형성한 것은 도 8 (a)와 같이 테두리부분이 수평링부(21b)와, 수평링부(21b) 내측의 부분돌출부(21-1)를 포함하는 첨가제겹침방지부(29)를 이룬다.
첨가제겸침방지부(29)의 다른 예로는 도 8 (b)와 같이 바닥의 테두리에 형성한 오목링부(21c)와, 오목링부(21c) 내측의 부분돌출부(21-2)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첨가제겸침방지부(29)의 다른 예로는 도 8 (c)와 같이 원뿔형의 돌출부(21-3)를 이루도록 구성한다. 물론 원뿔형과 유사한 다각뿔도 첨가제겸침을 방지하는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하므로 동일한 기술사상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첨가제겸침방지부(29)의 다른 예로는 도 8 (d)와 같이 바닥마개(21) 내표면에서 위로돌출하여 첨가제의 겸침을 방지하도록 기능하는 돌출바(21-4)를 형성하며, 돌출바(21-4)의 형상은 봉형, 각진 바형. 막대형이나, 이들의 조합형 등으로 다양하게 구현 가능하고, 이는 첨가제의 겸침을 방지하도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원발명은 외캡(30)과 내캡(20)을 먼저 조립한 후, 용기 입구에 캐핑한다.
외캡(30)과 내캡(20)을 조립하기 위하여는 도 2에 보안 외캡(30)을 뒤집어 상부벽(32)이 바닥에 오도록 하고 노출된 수용관(33)의 개방부로 첨가제를 채운 후, 내캡(20)도 뒤집어 바닥마개(21) 부분이 위로 오도록하여 수용관(33)의 입구 내벽에 바닥마개(21)의 바닥외측면(21a)이 끼움 결합하도록 눌러, 외캡(30)과 내캡(20)이 상호 끼움 결합되도록 한다.
외캡(30)과 내캡(20)이 상호 끼움 결합되도록 한 것을 위 아래가 바뀌도록 뒤집어 용기(1)에 내용물을 채운 용기 입구(2)에 외캡(30)의 원통벽(31)이 상호 결합하도록 용기(1) 입구측으로 눌러 결합한다.
용기(1) 입구와의 결합시 입구(2)의 상단은 도 3 상태에서 도 4 상태로 고정턱(28)이 용기(1)의 입구 선단 외측과 결합을 하고, 고정턱(28)과 함께 디귿자형을 이루는 받침턱(27)은 입구(2)의 상단 및 내면을 감싸도록 감싸는 형태로 결합한다, 이 경우 디귿자형 받침턱(27)의 절곡공간 폭(W2)은 용기(1)의 입구(2) 선단의 두께(W1) 보다 작아서 용기(1)의 입구(2)에 결합시 경사벽(26)이 도 4에 보인 접선과 같이 입구 중앙을 향하여 벌어지게되고, 이러한 벌어지는 힘은 도 2에 보인 수직벽(25)을 중앙으로 밀어주는 힘으로 작용하고, 이러한 미는 힘은 수용관(33)과 바닥외측면(21a)과의 밀착력을 증대시켜 실링성을 강화하도록 작용한다.
또한 동시에 원통벽(31) 하단은 스커트연결바(45)로 지지되는 브이자형 위조방지 스커트링(40)의 경사링(42)이 스커트링 고정돌기(3)에 의하여 접어지고, 접힘이 용이하도록 도 5 에 보인 수직링(41)의 내측면에 수직링홈(43)을 형성하였기에, 경사링(42)이 수직링홈(43)에 들어가서 스커트링 고정돌기(3)를 지날 때 마찰력 없이 하강하고, 스커트링 고정돌기(3)를 통과하면 다시 경사링(42)이 벌어져서 고정돌기(3)의 하단에 지지된다.
이렇게 캐핑을 한 후 사용자가 용기의 마개를 열러 내용물을 마시려고 외캡(30)을 나사를 푸는 방향으로 돌리면 경사링(42)이 스커트링 고정돌기(3)의 저면에 경사링(42)의 상단이 닿아서, 수직링(41) 부위를 스커트링 고정돌기(3) 아래로 강하게 당기는 힘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당김힘은 외캡(30)을 강도가 강한 폴리프로필렌 같은 투명 재질로 성형하여도 경사링(42)에 의한 당김 힘이 증대되어 스커트연결바(45)가 보다 쉽게 떨어져 분리하게 된다.
이 경우 경사링(42)은 절곡된 부위보다는 상단이 두껍도록 형성하여 절곡으로 인한 캐핑이 용이하도록 하고, 상단의 두꺼움으로 인한 스커트링 고정돌기(3)와의 마찰력 증대로 스커트링의 절단이 용이하도록 기능한다.
아울러 경사링(42)은 도 5 및 도 6과 같이 일정 길이마다 분리홈(44)을 두어 캐핑이 용이하고 분리시 스커트링(40)의 지지력을 제공하여 스커트링(40)의 스커트연결바(45)가 원통벽(31)에서 쉽게 분리하도록 작용한다.
경사링(42)의 다른 예로 도 7과 같이 조립된 경사링(42)의 상단이 돌기(42a)와 홈(42b)이 반복하여 이어지게하여 경사링(42)이 스커트링 고정돌기(3)에 캐핑시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면서 분리시의 지지력을 유지하고, 투명한 폴리프로필렌 팰렛 원료를 사용하여 성형하여 도 2와 같이 조립하여 투명한 폴리프로필렌 자체의 인장강도가 늘어나도 브이자형을 이루는 브이자형 위조방지 스커트링(40)과 스커트링 고정돌기(3)와의 결합력이 증대되므로, 외캡(30)을 용기(1)의 입구(2)에서 나사를 푸는 방향으로 돌려 분리시킬 때의 분리 당김력이 증대되어 스커트연결바(45)의 분리가 투명한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여도 잘된다.
이렇게 스커트링(40)을 분리한 후, 외캡(30)을 용기 입구와 내캡(20)과 분리시키면, 외캡(30)에 일체로된 수용관(33)이 내캡(20)의 바닥마개(21)와 분리된다. 이 경우 내캡(20)의 통수공(24)이 첨가제의 직경보다 크면 첨가제가 내용물로 하강하여 첨가되도록 사용 가능하고, 첨가제의 직경이 크면 용기를 기울여 용기 내용물과 첨가제를 동시에 음용 가능토록 기능한다.
내용물을 내캡(20)의 통수공(24)을 통하여 사용자가 마실 때 도 3 및 도 4에 보인바와 같이 통수공(24) 상단이 수직벽경사면(27b)을 이루므로 통수공(24)을 통과하는 내용물의 마찰력이 감소하여 와류 현상 없이 사용자 입으로 잘 배출되도록 기능한다.
아울러 본원발명은 내캡바닥(22)이 통수공(24)과 통하도록 개방되므로 통수공(21)의 면적이 증대되고, 이는 상대적으로 경사벽(26)의 폭을 늘릴 수 있는 여유가 생겨 내캡(20)의 강도 보강력을 제공하여 외캡(30)과의 캐핑시나 분리시의 변형이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게된다.
한편 본원발명은 내캡(3)의 바닥마개(21)에 도 8과 같이 첨가제방지부(29)를 형성하면, 봉상이나 막대와 같은 장방형 첨가제를 적어도 2개 수용토록 할 경우, 이들 첨가제가 바닥마개(21) 바닥에 수평이나 수직으로 겹치게 저장할 경우 검사장비(도시하지 않음)에서는 예를들어 실제로는 2개가 들어 있는데, 검사장비는 1개가 들어간 것으로 오인하여 불량으로 인식하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본원발명의 첨가제방지부(29)를 이루는 도 8 (a)내지 도 8 (d)와 같이, 내캡(20)의 바닥마개(21)에 수평위치를 달리하는 수단인 첨가제방지부(29)로 도 8(a)에서의 수평링부(21b)와 부분돌출부(21-1) 구성으로 인하여 수용되는 장방형 첨가제가 바닥이나 벽면에 나란하게 겹치는 것을 차단하므로 2개를 하나로 인식하는 인식에러를 방지하도록 기능한다.
아울러 도 8(b)의 경우 오목링부(21c)와 부분돌출부(21-2)의 결합구성으로 인하여 수용되는 장방형 첨가제가 바닥이나 벽면에 나란하게 겹치는 것을 차단하므로 2개를 하나로 인식하는 인식에러를 방지하도록 기능한다.
또한 도 8(c)의 경우 원뿔형의 돌출부(21-3) 역시 바닥면의 높이차이를 제공하여 수용되는 장방형 첨가제가 바닥이나 벽면에 나란하게 겹치는 것을 차단하므로 2개를 하나로 인식하는 인식에러를 방지하도록 기능한다.
또한 도 8(d)의 경우 바닥마개(21)의 내표면 위로 돌출한 돌출바(21-4)가 수용되는 장방형 첨가제가 바닥이나 벽면에 나란하게 겹치는 것을 차단하므로 2개를 하나로 인식하는 인식에러를 방지하도록 기능한다. 따라서 용기와의 캐핑 전에 확인하는 첨가제 갯수 및 첨가유무 확인검사시 2개나 3개 혹은 그 이상을 하나로 보거나, 첨가갯수보다 작게 판단하는 에러를 방지할 수 있어 캐핑 생산성을 증대시키고, 원가절감에도 기여한다.
1;용기 2;입구 3;스커트링고정돌기 20;내캡 21;바닥마개 22;내캡바닥 23;내캡측벽 24;통수공 25;수직벽 26;경사벽 27;받침턱 27a;받침턱수직벽 27b;수직벽경사면 28;고정턱 29; 첨가제겹침방지부 30;외캡 31;원통벽 32;상부벽 33;수용관 34;실링링 35;걸림턱 40;스커트링 41;수직링 42;경사링 42a;돌기 42b;홈 43;수직링홈 44;분리홈 45;스커트연결바

Claims (12)

  1. 첨가제를 수용하는 수용관(33)을 막아 첨가제를 수용하도록 하는 바닥마개(21)와, 상기 바닥마개(21)와 연결되며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벽(25)과, 상기 수직벽(25)과 연결되며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벽(26)과, 상기 경사벽(26)과 연결되며 용기(1)의 입구(2)에 고정되는 받침턱(27)과 용기 내용물이 통과하는 통수공(24)을 가지는 내캡(20);
    상부벽(32) 하면에 상기 수용관(33)을 가지며, 상기 용기(1)의 입구(2) 외벽과 원통벽(31)이 결합하고, 상기 수용관(33) 내부 수용 첨가제를 투명 상태로 보여주는 투명의 외캡(30); 및
    상기 외캡(30)의 상기 원통벽(31) 하단 테두리에 투명재질로 인한 인장강도 증가로 인한 절단 어려움을 절단시 인장력을 증대시키도록 하단에서 내경부 위로 경사링(42)을 부가한 브이자형 위조방지 스커트링(40)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턱(27)은 디귿자형으로 절곡되고 절곡공간 폭(W2)은 상기 용기(1)의 입구(2) 선단의 두께(W1)보다 작아서, 상기 내캡(20)이 상기 용기(1)의 입구(2)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경사벽(26)이 상기 수직벽(25)을 밀어 상기 수용관(33)과 상기 바닥마개(21)의 밀착력을 증대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자형 위조방지 스커트링을 가지는 수용부를 겸비한 투명캡.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이자형 위조방지 스커트링(40)은 수직링(41)과, 상기 수직링(41)의 하단에서 내경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절곡된 상기 경사링(4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경사링(42)은 상기 수직링(41)보다 두께가 얇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자형 위조방지 스커트링을 가지는 수용부를 겸비한 투명캡.
  4. 삭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링(42)은 상단이 돌기(42a)와 홈(42b)이 반복 형성된 파형 형상을 이룬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자형 위조방지 스커트링을 가지는 수용부를 겸비한 투명캡.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링(42)은 일정 길이마다 일부절단된 분리홈(44)을 이룬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자형 위조방지 스커트링을 가지는 수용부를 겸비한 투명캡.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캡(30)의 상기 원통벽(31) 하단은 스커트연결바(45)로 상기 브이자형 위조방지 스커트링(40)을 연결하고,
    상기 스커트연결바(45) 외부의 상기 원통벽(31) 하단은 오버캡 결합용 걸림턱(35)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자형 위조방지 스커트링을 가지는 수용부를 겸비한 투명캡.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마개(21)에는 봉상이나 막대의 장방형 첨가제가 수직이나 수평으로 겹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수평위치를 달리하는 첨가제겹침방지부(29)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자형 위조방지 스커트링을 가지는 수용부를 겸비한 투명캡.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겹침방지부(29)는 테두리부위의 수평링부(21b)와, 수평링부(21b) 내측에서 위로 돌출한 부분돌출부(21-1)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자형 위조방지 스커트링을 가지는 수용부를 겸비한 투명캡.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겹침방지부(29)는 테두리부위의 오목링부(21c)와, 오목링부(21b) 내측에서 위로 돌출한 부분돌출부(21-2)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자형 위조방지 스커트링을 가지는 수용부를 겸비한 투명캡.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겹침방지부(29)는 원뿔형이나 각뿔형을 이루도록 위로 돌출한 돌출부(21-3)를 이루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자형 위조방지 스커트링을 가지는 수용부를 겸비한 투명캡.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겹침방지부(29)는 상기 바닥마개(21) 내표면으로 돌출한 바형이나 봉상형의 돌출바(2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자형 위조방지 스커트링을 가지는 수용부를 겸비한 투명캡.
KR1020150159749A 2015-11-13 2015-11-13 브이자형 위조방지스커트링을 가지는 수용부를 겸비한 투명캡 KR102593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9749A KR102593975B1 (ko) 2015-11-13 2015-11-13 브이자형 위조방지스커트링을 가지는 수용부를 겸비한 투명캡
KR1020230132932A KR20230145299A (ko) 2015-11-13 2023-10-05 브이자형 위조방지스커트링을 가지는 수용부를 겸비한 투명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9749A KR102593975B1 (ko) 2015-11-13 2015-11-13 브이자형 위조방지스커트링을 가지는 수용부를 겸비한 투명캡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2932A Division KR20230145299A (ko) 2015-11-13 2023-10-05 브이자형 위조방지스커트링을 가지는 수용부를 겸비한 투명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6274A KR20170056274A (ko) 2017-05-23
KR102593975B1 true KR102593975B1 (ko) 2023-10-27

Family

ID=5905036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9749A KR102593975B1 (ko) 2015-11-13 2015-11-13 브이자형 위조방지스커트링을 가지는 수용부를 겸비한 투명캡
KR1020230132932A KR20230145299A (ko) 2015-11-13 2023-10-05 브이자형 위조방지스커트링을 가지는 수용부를 겸비한 투명캡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2932A KR20230145299A (ko) 2015-11-13 2023-10-05 브이자형 위조방지스커트링을 가지는 수용부를 겸비한 투명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939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471B1 (ko) * 2019-10-16 2021-09-24 최병수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
KR102381267B1 (ko) 2020-04-17 2022-03-31 제이씨텍(주) 분리 수용 파우치
KR20220089134A (ko) 2020-12-21 2022-06-28 최성민 액상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
KR20220101417A (ko) 2021-01-11 2022-07-19 최성민 액상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
KR20220102983A (ko) 2021-01-14 2022-07-21 최성민 액상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
KR20220135302A (ko) 2021-03-30 2022-10-07 최성민 액상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
KR20220145477A (ko) 2021-04-22 2022-10-31 최성민 액상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
KR20220169675A (ko) 2021-06-21 2022-12-28 최성민 액상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
KR102622773B1 (ko) 2022-01-12 2024-01-10 최이교 보틀캡용 정제포장장치
KR102584456B1 (ko) 2023-06-19 2023-10-05 주식회사 비에스바이오 2개의 내용물을 저장하는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91445A1 (en) * 2003-03-27 2004-09-30 Baranowski Thomas R. Transparent closure cap liner having oxygen barrier properties
JP2012527382A (ja) 2009-05-19 2012-11-08 ハイバーガー,ロバート,エー. 液体容器用注出キャップ
KR101499752B1 (ko) 2013-08-06 2015-03-10 제이씨텍(주) 과립체와 용기내용물을 동시 음용토록 하는 용기마개
KR101554665B1 (ko) 2015-05-20 2015-10-06 (주)엠앤디글로벌 기능성 입자 보관을 위한 수용체를 구비한 음료용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0623B1 (ko) * 2014-03-03 2020-08-03 (주) 네추럴웨이 첨가제를 수용하는 용기마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91445A1 (en) * 2003-03-27 2004-09-30 Baranowski Thomas R. Transparent closure cap liner having oxygen barrier properties
JP2012527382A (ja) 2009-05-19 2012-11-08 ハイバーガー,ロバート,エー. 液体容器用注出キャップ
KR101499752B1 (ko) 2013-08-06 2015-03-10 제이씨텍(주) 과립체와 용기내용물을 동시 음용토록 하는 용기마개
KR101554665B1 (ko) 2015-05-20 2015-10-06 (주)엠앤디글로벌 기능성 입자 보관을 위한 수용체를 구비한 음료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5299A (ko) 2023-10-17
KR20170056274A (ko) 2017-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3975B1 (ko) 브이자형 위조방지스커트링을 가지는 수용부를 겸비한 투명캡
US8469213B2 (en) Synthetic resin container closure
US6889857B2 (en) Sealing arrangement for a closure for a fitment
JP6094078B2 (ja) 口栓
KR20120072582A (ko) 첨가재 수용관이 분리된 용기마개
CN108025840A (zh) 带有盖帽装置的容器闭合件
US11858694B2 (en) Overcap for a bottle having an inner skirt and outer skirt
US20160297579A1 (en) Child-Resistant Closure
JP2004196426A (ja) プラスチック製樽
KR101631438B1 (ko) 과립체와 용기내용물을 동시 음용토록 하는 용기마개
CN110573434B (zh) 合成树脂容器盖
CN209905455U (zh) 一种瓶盖
JP5049823B2 (ja) キャップ
JP2009083925A (ja) ボトルキャップ
JP5090021B2 (ja) キャップおよび閉止装置ならびに飲料入り閉止装置
KR20230116743A (ko) 투명외캡 내부를 불투명오버캡 투시창으로 볼 수 있는 용기마개
KR200462672Y1 (ko) 개봉 확인이 가능하면서도 분리수거가 용이한 용기
KR102129065B1 (ko) 내캡의 중앙에 배출구를 설치하는 구조
KR20150075832A (ko) 과립체와 용기내용물을 동시 음용하는 용기마개
JP5171358B2 (ja) 注出用中栓
JP7184568B2 (ja) ねじキャップ
US20150232243A1 (en) Apparatus for containing materials made of two or more components
JP5236347B2 (ja) ヒンジキャップ
JP6229976B2 (ja) 錠剤容器
KR20100054964A (ko) 고속첨가 가능한 용기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