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2582A - 첨가재 수용관이 분리된 용기마개 - Google Patents

첨가재 수용관이 분리된 용기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2582A
KR20120072582A KR1020100134408A KR20100134408A KR20120072582A KR 20120072582 A KR20120072582 A KR 20120072582A KR 1020100134408 A KR1020100134408 A KR 1020100134408A KR 20100134408 A KR20100134408 A KR 20100134408A KR 20120072582 A KR20120072582 A KR 201200725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ontainer
pipe
additiv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4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9552B1 (ko
Inventor
조영국
Original Assignee
조영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국 filed Critical 조영국
Priority to KR1020100134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9552B1/ko
Priority to CA2836746A priority patent/CA2836746A1/en
Priority to EP11851227.6A priority patent/EP2657149A2/en
Priority to PCT/KR2011/009998 priority patent/WO2012087049A2/ko
Priority to AU2011345507A priority patent/AU2011345507A1/en
Priority to US13/261,660 priority patent/US20130240533A1/en
Priority to CN201180061608.XA priority patent/CN103619721B/zh
Publication of KR20120072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2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9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9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5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9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the element, e.g. a valve, opening an aperture of the auxiliary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1)의 주입구(2) 상단에 걸림턱(110)으로 결합하며 걸림턱(110)에서 용기(1) 입구 내부로 하강 연장하는 연장관(120) 바닥에 중앙부가 위로 돌출하도록 형성한 마개부(130)를 가지며 마개부(130) 둘레 부분은 개방된 배출구(140)를 가지는 하캡(100)과,
하캡(100)의 마개부(130) 테두리에는 개방된 하단을 개폐 가능토록 실링 결합하며, 내부에 첨가재를 수용하고 상단 외측면은 직경이 연장된 어깨부(210)를 가지며 상단면(220)은 막힌 수용관(200)과,
수용관(200)의 상하 이동을 가능토록 어깨부(210)를 지지하는 돌턱을 내경부에 가지며 상기 하캡(100)과 수용관(200)을 함께 결합하고, 하캡(100)과 결합시 수용관(200)은 하강 운동만을 하도록 결합하는 상캡(300)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용기(1)에서 상캡(300) 분리시 마개부(130)와 수용관(200)의 실링 결합이 수용관(200)의 회전이 아닌 상승 운동만으로 분리되어 수용관(200)의 하부 및 배출구를 통하여 첨가제가 배출되도록 한 첨가제 수용관이 분리된 용기마개이다.

Description

첨가재 수용관이 분리된 용기마개{Bottle cap with a seperated additive container}
본 발명은 첨가제 수용관이 분리된 용기마개에 관한 것으로, 용기의 주입구에 결합하며 용기 입구 내부로 연장하는 연장관 바닥에 중앙부가 위로 돌출하도록 형성한 마개부를 가지며 마개부 둘레 부분은 개방된 배출구를 가지는 하캡과, 하캡의 마개부 테두리에 개방된 하단을 개폐 가능토록 결합하며, 내부에 첨가재를 수용하고 상단 측면은 직경이 연장된 어깨부를 가지며 상단면은 막힌 수용관과, 수용관의 상하이동을 가능토록 어깨부를 지지하는 돌턱을 내경부에 가지며 상기 하캡과 수용관을 함께 결합하고 용기마개와 분리시 마개부와 수용관이 분리되어 수용관의 하부 및 배출구를 통하여 첨가제가 배출되도록 한 첨가재 수용관이 분리된 용기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 내에 첨가제를 첨가하는 첨가재 수용캡이 기능캡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기술의 한 예로는 국내특허등록 제 10-0597216호를 들 수 있고, 이는 용기의 입구에 나사나 후크 결합하여 고정되며 용기의 주입구 내부로 하강하는 주입관의 바닥 테두리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한 배출구를 가지며, 바닥에는 바닥마개를 고정한 저장부재인 하캡과,
하캡 상부에서 분리 가능토록 결합하며 상부 저면에 일체로 아래로 연장하는 첨가제 수용관을 가지는 상캡를 수용하며 상승할 때 수용관이 바닥마개와 분리되어 배출구로 첨가제가 배출되도록 하는 개방부재인 상캡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마개는 하캡의 주입관에 후크 결합하거나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마개를 별도로 구비하여야하고, 조립시 실링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수용관을 가지는 상캡을 마개와 토크 결합하도록 조립하여야하므로, 토크 발생시 마개가 파손되거나 수용관이 휘어서 실링성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접합 부위에 별도의 패킹링을 부가하기도 하나, 이는 원가 상승의 요인이 된다.
한편 용기의 입구 내부에 고정되는 주입관과 주입관 바닥에 돌출된 바닥마개를 가지며, 바닥마개 둘레와 주입관 하단 사이에 수개의 배출구를 가지는 패킹부재인 하캡과,
하캡상부와 용기를 감싸며 고정하고 상부 저면으로 상기 바닥마개와 결합하다가 상승시 내부의 첨가재가 용기 내부로 첨가되도록 하는 수용관을 가지는 덮개인 상캡을 가지는 국내실용신안등록 제 20-0363704호로 알려진 기술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기술 구조는 하캡과 상캡의 2피스 구조로 원가절감에 기여하고 조립성이 좋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2피스로 첨가제를 수용하고 실링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수용관의 하단과 바닥마개가 상호 토크 결합하여야하고, 토크 결합시 수용관이 뒤틀리거나, 바닥마개와 주입관 사이에 배출구를 이루도록 이어주는 리브가 파손되어 실링성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의 입구 내부에 고정하는 연장관의 바닥에 마개부를 가지는 하캡과, 마개부와 실링결합하여 첨가제를 수용 및 배출하는 수용관을 가지는 상캡으로 이루어지는 용기마개에서 수용관을 상캡에서 분리시켜 자전이 아닌 상하 운동을 수행하고, 마개부와 실링을 유지하고, 상승할 때 마개부와 분리되어 첨가제를 첨가하도록 함으로써 수용관의 뒤틀림 없이 첨가제 수용관이 분리된 용기마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기의 입구 내부에 고정하는 연장관의 바닥에 힌지바로 개폐 가능한 마개부를 가지는 하캡과, 마개부와 실링결합하여 첨가제를 수용 및 배출하는 수용관을 가지는 상캡으로 이루어지며, 수용관을 상캡에서 분리시켜 자전이 아닌 상하 운동을 수행하고, 하강시 마개부와 실링을 유지하고, 첨가제 첨가를 위하여 상캡을 상승할 때 수용관이 마개부와 분리되어 수용관 내부의 첨가제를 용기 내부로 첨가하도록 하여 수용관의 뒤틀림 없는 첨가제 수용관이 분리된 용기마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캡의 수용관을 상캡과 분리시키고, 수용관의 상단은 상단면으로 막고, 측면은 상캡에 지지되는 어깨부를 두고, 상단면과 대응 상캡은 적어도 한 곳에 마찰을 감소하는 돌기 레일을 두어 수용관은 고정되고 상캡만 회전 가능토록 하여 수용관의 상승 및 하강을 토크 발생 없이 수행토록 하는 첨가제 수용관이 분리된 용기마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캡의 용기 주입구 내벽으로 연장되는 연장관과 대응 주입구 내벽은 상호 요철 결합되도록 하여 고정성과 실링성을 갖도록 하는 첨가제 수용관이 분리된 용기마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원발명은 용기의 주입구 상단에 걸림턱으로 결합하며 걸림턱에서 용기 입구 내부로 하강 연장하는 연장관 바닥에 중앙부가 위로 돌출하도록 형성한 마개부를 가지며 마개부 둘레 부분은 개방된 배출구를 가지는 하캡과,
하캡의 마개부 테두리에는 개방된 하단을 개폐 가능토록 실링 결합하며, 내부에 첨가재를 수용하고 상단 외측면은 직경이 연장된 어깨부를 가지며 상단면은 막힌 수용관과,
수용관의 상하 이동을 가능토록 어깨부를 지지하는 돌턱을 내경부에 가지며 상기 하캡과 수용관을 함께 결합하고, 하캡과 결합시 수용관은 하강 운동만을 하도록 결합하는 상캡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용기에서 상캡 분리시 마개부와 수용관의 실링 결합이 수용관의 상승 운동만으로 분리되어 수용관의 하부 및 배출구를 통하여 첨가제가 배출되도록 한 첨가제 수용관이 분리된 용기마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용기의 주입구 상단에 걸림턱으로 결합하며 걸림턱에서 용기 입구 내부로 하강연장하는 연장관 바닥에 중앙부가 위로 돌출하도록 형성한 마개부를 가지며, 연장관과 마개부는 힌지바로 일체로 형성된 하캡과,
하캡의 마개부 테두리에는 개방된 하단을 개폐 가능토록 실링 결합하며, 내부에 첨가재를 수용하고 상단 측면은 직경이 연장된 어깨부를 가지며 상단면은 막힌 수용관과,
수용관의 상하이동을 가능토록 어깨부를 지지하는 돌턱을 내경부에 가지며 상기 하캡과 수용관을 함께 결합하고, 하캡과 결합시 하캡의 마개부가 힌지부를 중심으로 수용관의 하단과 힌지 결합하고, 수용관은 하강 운동만으로 실링결합 하도록 작용하는 상캡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용기에서 상캡 분리시 마개부와 수용관의 실링 결합이 수용관의 상승 운동만으로 분리되면서 힌지바를 기준으로 열려, 열린 수용관의 하부를 통하여 첨가제가 배출되도록 한 첨가재 수용관이 분리된 용기마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용기의 입구 내부에 고정하는 연장관의 바닥에 마개부를 가지는 하캡과, 마개부와 실링결합하여 첨가제를 수용 및 배출하는 수용관을 가지는 상캡으로 이루어지는 용기마개에서 수용관을 상캡에서 분리시켜 자전이 아닌 상하 운동만으로 마개부와 실링 결합하고, 상승할 때 마개부와 분리되어 첨가제를 첨가하도록 하여 수용관의 뒤틀림 없는 첨가제 수용관이 분리된 용기마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용기의 입구 내부에 고정하는 연장관의 바닥에 힌지바로 개폐 가능한 마개부를 가지는 하캡과, 마개부와 실링결합하여 첨가제를 수용 및 배출하는 수용관을 가지는 상캡으로 이루어지며, 수용관을 상캡에서 분리시켜 자전이 아닌 상하 운동만으로 마개부와 실링유지토록 하고, 첨가제 첨가를 위하여 상캡을 상승할 때 수용관이 마개부와 분리되어 수용관 내부의 첨가제를 용기 내부로 첨가하도록 하여 수용관의 뒤틀림 없는 첨가제 수용관이 분리된 용기마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캡의 수용관을 상캡과 분리시키고, 수용관의 상단은 상단면으로 막고, 측면은 상캡에 지지되는 어깨부를 두고, 상단면과 대응 상캡은 적어도 한 곳에 마찰을 감소하는 돌기레일을 두어, 수용관은 고정되고 상캡만 회전 가능토록 함으로써 수용관의 상승 및 하강을 토크 발생 없이 수행토록 하는 첨가제 수용관이 분리된 용기마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하캡의 용기 주입구 내벽으로 연장되는 연장관과 대응 주입구 내벽은 상호 요철 결합되도록 하여 고정성과 실링성을 갖도록 하는 첨가제 수용관이 분리된 용기마개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립 상태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수용관이 분리되는 과정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예를 보인 조립상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수용관이 분리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예를 보인 요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하캡 연장관과 용기 주입구 내벽이 결합관계를 보인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상캡과 수용관의 결합과 첨가제 첨가하는 경우를 보인 도면,
도 8은 도 7에 하캡을 결합시킨 상태를 보인 도면,
도 9는 도 8 상태를 뒤집어 용기에 결합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0은 도 1의 실제 설계의 일 예를 보인 도면,
도 11은 도 3의 실제 설계의 일 예를 보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수용관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결합상태의 사시도 이다.
이하 본원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용기(1)의 주입구(2) 상단에 걸림턱(110)으로 결합하며 걸림턱(110)에서 용기(1) 입구 내부로 하강 연장하는 연장관(120) 바닥에 중앙부가 위로 돌출하도록 형성한 마개부(130)를 가지며 마개부(130) 둘레 부분은 개방된 배출구(140)를 가지는 하캡(100)과,
하캡(100)의 마개부(130) 테두리에는 개방된 하단이 실링 결합되며, 내부에 첨가재를 수용하며 상단 외측면은 직경이 큰 어깨부(210)를 가지며 상단면(220)은 막힌 수용관(200)과,
수용관(200)이 회전하지 않도록 어깨부(210)를 지지하는 돌턱을 내경부에 가지며 상기 하캡(100)과 수용관(200)을 함께 결합하고, 하캡(100)과 결합시 수용관(200)은 하강 운동만을 하도록 결합하는 상캡(300)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용기(1)에서 상캡(300) 분리시 마개부(130)와 수용관(200)의 실링 결합이 수용관(200)의 회전이 아닌 상승 운동만으로 분리되어 수용관(200)의 하부 및 배출구를 통하여 첨가제가 배출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은 또한 용기(1)의 주입구(2) 상단에 걸림턱(110)으로 결합하며 걸림턱(110)에서 용기(1) 입구 내부로 하강연장하는 연장관(120) 바닥에 중앙부가 위로 돌출하도록 형성한 마개부(130)를 가지며, 연장관(120)과 마개부(130)는 힌지바(150)로 일체로 형성된 하캡(100)과,
하캡(100)의 마개부(130) 테두리에는 개방된 하단이 실링 결합되며, 내부에 첨가재를 수용하며 상단 측면은 직경이 큰 어깨부(210)를 가지며 상단면(220)은 막힌 수용관(200)과,
수용관(200)이 회전하지 않도록 어깨부(210)를 지지하는 돌턱을 내경부에 가지며 상기 하캡(100)과 수용관(200)을 함께 결합하고, 하캡(100)과 결합시 하캡의 마개부(130)가 힌지부(150)를 중심으로 수용관(200)의 하단과 힌지 결합하고, 수용관(200)은 하강 운동만을 하도록 결합하는 상캡(300)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용기(1)에서 상캡(300) 분리시 마개부(130)와 수용관(200)의 실링 결합이 수용관(200)의 회전이 아닌 상승 운동만으로 분리된 후 힌지바(150)를 기준으로 열려, 열린 수용관(200)의 하부를 통하여 첨가제가 배출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연장관(120)의 힌지바(150) 부위를 제외한 하단 테두리에는 보조배출구(230)를 형성한 것이 좋다.
상기, 연장관((120) 외벽과 용기(1)의 주입구(2) 내벽은 상호 실링성을 제공하는 요철 결합을 이루도록 구성한다.
상기, 상캡(300)은 하캡(100)과의 결합시 하캡 걸림턱(110)을 눌러 실링하도록 상캡(300)의 어깨 부분에서 직경이 작아지도록 절곡된 내턱(312)을 가진 외캡(310)과,
내턱(312)에서 수직으로 상향된 돌출캡(32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출캡(320)의 내측벽에는 수용관(200)의 어깨부(210)가 끼움 결합되며 수용관(200)의 상하 운동력을 제공하는 돌턱(322)을 형성한다.
상기, 수용관(200)의 막힌 상단면(220)이나 대응 돌출캡(320) 내면 중 한 곳에는 상호 간의 마찰을 감소하는 돌기 레일(R)을 형성한다.
상기, 상캡(300)은 하캡(100)과의 결합시 하캡 걸림턱(110)을 눌러 실링하도록 상캡(300)의 어깨 부분에서 직경이 작아지게 절곡된 내턱(312)을 가진 외캡(310)과,
내턱(312)에서 수직으로 상향된 돌출캡(32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캡(310)의 내측벽에는 수용관(200)의 어깨부(210)가 끼움 결합되며 수용관(200)의 상하 운동을 안내하는 돌턱(312)을 형성하며;
상기 내턱(312)은 어깨부(210)와 걸림턱(110)을 동시에 눌러서 실링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수용관(200)의 막힌 상단면((220)이나 대응 돌출캡(320) 내면 중 한 곳에는 상호 간의 마찰을 감소하는 돌기레일(R)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원발명은 도 7과 같이 상캡(300)과 수용관(200)을 뒤지어 상호 도 1 에 보인 내턱(312)과 어깨부(210)가 결합하도록 하고, 첨가재를 수용관(200)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첨가한다. 이어 도 8과 같이 하캡(100)을 눌러서 마개부(130)가 수용관(200)의 개방 단부를 눌러서 막도록 결합한다.
그리고 상하를 도 9와 같이 뒤집어 캐핑수단(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하여 내용물을 채운 용기(1)의 입구에 도 1과 같이 캐핑한다.
사용시에는 상캡(300)을 나사 풀림 방향으로 풀면, 상캡(300)의 내턱(312)에 지지되며 막힌 상단면(220)에 이어진 어깨부(210)에 의하여 상호 결합하며, 상단면(220)과 상캡(300)의 돌출캡(320) 내면은 상호 레일(R)로 점접촉 상태를 이룬다, 따라서 상캡(300)이 풀림 방향으로 회전하여도 수용관(200)은 단순히 상하 운동만을 수행하여 연장관(120) 및 마개부(130)와의 뒤틀림 없이 결합 및 분리되도록 기능 한다. 이러한 작용으로 도 2 와 같이 상캡(300) 및 수용관(200)이 함께 분리되면 사용자는 첨가재가 첨가된 내용물을 마시면 된다. 이 경우 하캡(100)은 함께 상캡(300)과 분리될 수도 있고, 용기 입구 내벽에 고정된 상태를 이룰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마개부(130)는 도 1 과 같이 연장관(120)에 일체로 구성하되 바닥 측면에 수개의 배출구를 이룬 구성으로 완성할 수도 있고, 도 3, 도 4 및 도 11과 같이 힌지바(150)로 마개부(130)가 여닫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어깨부(210)는 상단면(220)에 수평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도 5와 같이 상캡(300)의 내턱(312)의 누름 작용 힘을 받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의 하캡(100)의 용기 입구 내벽에 고정하는 수단은 다양하게 구현 가능하나 도 6과 같이 요철부에 의한 요철 구성으로 구현할 수 있고, 이에만 한정하지는 않는다.
1;용기 2;주입구 100;하캡 110;걸림턱 120;연장관 130;마개부 140;배출구 150;힌지바 200;수용관 210;어깨부 220;상단면 300;상캡 310;외캡 312;내턱 314;돌턱 320;돌출캡 322;돌턱

Claims (8)

  1. 용기(1)의 주입구(2) 상단에 걸림턱(110)으로 결합하며 걸림턱(110)에서 용기(1) 입구 내부로 하강 연장하는 연장관(120) 바닥에 중앙부가 위로 돌출하도록 형성한 마개부(130)를 가지며 마개부(130) 둘레 부분은 개방된 배출구(140)를 가지는 하캡(100)과,
    하캡(100)의 마개부(130) 테두리에는 개방된 하단을 개폐 가능토록 실링 결합하며, 내부에 첨가재를 수용하고 상단 외측면은 직경이 연장된 어깨부(210)를 가지며 상단면(220)은 막힌 수용관(200)과,
    수용관(200)의 상하 이동을 가능토록 어깨부(210)를 지지하는 돌턱을 내경부에 가지며 상기 하캡(100)과 수용관(200)을 함께 결합하고, 하캡(100)과 결합시 수용관(200)은 하강 운동만을 하도록 결합하는 상캡(300)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용기(1)에서 상캡(300) 분리시 마개부(130)와 수용관(200)의 실링 결합이 수용관(200)의 회전이 아닌 상승 운동만으로 분리되어 수용관(200)의 하부 및 배출구를 통하여 첨가제가 배출되도록 한 첨가제 수용관이 분리된 용기마개.
  2. 용기(1)의 주입구(2) 상단에 걸림턱(110)으로 결합하며 걸림턱(110)에서 용기(1) 입구 내부로 하강연장하는 연장관(120) 바닥에 중앙부가 위로 돌출하도록 형성한 마개부(130)를 가지며, 연장관(120)과 마개부(130)는 힌지바(150)로 일체로 형성된 하캡(100)과,
    하캡(100)의 마개부(130) 테두리에는 개방된 하단을 개폐 가능토록 실링 결합하며, 내부에 첨가재를 수용하고 상단 측면은 직경이 연장된 어깨부(210)를 가지며 상단면(220)은 막힌 수용관(200)과,
    수용관(200)의 상하 이동을 가능토록 어깨부(210)를 지지하는 돌턱을 내경부에 가지며 상기 하캡(100)과 수용관(200)을 함께 결합하고, 하캡(100)과 결합시 하캡의 마개부(130)가 힌지부(150)를 중심으로 수용관(200)의 하단과 힌지 결합하고, 수용관(200)은 하강 운동만을 하도록 결합하는 상캡(300)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용기(1)에서 상캡(300) 분리시 마개부(130)와 수용관(200)의 실링 결합이 수용관(200)의 회전이 아닌 상승 운동만으로 분리된 후 힌지바(150)를 기준으로 열려, 열린 수용관(200)의 하부를 통하여 첨가제가 배출되도록 한 첨가재 수용관이 분리된 용기마개.
  3. 제 2항에 있어서, 연장관(120)의 힌지바(150) 부위를 제외한 하단 테두리에는 보조배출구(23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첨가재 수용관이 분리된 용기마개.
  4.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연장관((120) 외벽과 용기(1)의 주입구(2) 내벽은 상호 실링성을 제공하는 요철 결합을 이루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첨가재 수용관이 분리된 용기마개.
  5.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캡(300)은 하캡(100)과의 결합시 하캡 걸림턱(110)을 눌러 실링하도록 상캡(300)의 어깨 부분에서 직경이 작아지게 절곡된 내턱(312)을 가진 외캡(310)과,
    내턱(312)에서 수직으로 상향된 돌출캡(32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출캡(320)의 내측벽에는 수용관(200)의 어깨부(210)가 끼움 결합되며 수용관(200)의 상하 운동력을 제공하는 돌턱(32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첨가재 수용관이 분리된 용기마개.
  6. 제 5항에 있어서, 수용관(200)의 막힌 상단면(220)이나 대응 돌출캡(320) 내면 중 한 곳에는 상호 간의 마찰을 감소하는 돌기레일(R)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첨가재 수용관이 분리된 용기마개.
  7.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캡(300)은 하캡(100)과의 결합시 하캡 걸림턱(110)을 눌러 실링하도록 상캡(300)의 어깨 부분에서 직경이 작아지게 절곡된 내턱(312)을 가진 외캡(310)과,
    내턱(312)에서 수직으로 상향된 돌출캡(32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캡(310)의 내측벽에는 수용관(200)의 어깨부(210)가 끼움 결합되며 수용관(200)의 상하 운동을 안내하는 돌턱(312)을 형성하며;
    상기 내턱(312)은 어깨부(210)와 걸림턱(110)을 동시에 눌러서 실링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첨가재 수용관이 분리된 용기마개.
  8. 제 7항에 있어서, 수용관(200)의 막힌 상단면((220)이나 대응 돌출캡(320) 내면 중 한 곳에는 상호 간의 마찰을 감소하는 돌기레일(R)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첨가재 수용관이 분리된 용기마개.
KR1020100134408A 2010-12-24 2010-12-24 첨가재 수용관이 분리된 용기마개 KR101619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4408A KR101619552B1 (ko) 2010-12-24 2010-12-24 첨가재 수용관이 분리된 용기마개
CA2836746A CA2836746A1 (en) 2010-12-24 2011-12-22 Container stopper having separated additive accommodation tube
EP11851227.6A EP2657149A2 (en) 2010-12-24 2011-12-22 Container stopper having separated additive accommodation tube
PCT/KR2011/009998 WO2012087049A2 (ko) 2010-12-24 2011-12-22 첨가재 수용관이 분리된 용기마개
AU2011345507A AU2011345507A1 (en) 2010-12-24 2011-12-22 Container stopper having separated additive accommodation tube
US13/261,660 US20130240533A1 (en) 2010-12-24 2011-12-22 Container stopper having separated additive accomodation tube
CN201180061608.XA CN103619721B (zh) 2010-12-24 2011-12-22 带有独立添加剂存贮管的容器盖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4408A KR101619552B1 (ko) 2010-12-24 2010-12-24 첨가재 수용관이 분리된 용기마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2582A true KR20120072582A (ko) 2012-07-04
KR101619552B1 KR101619552B1 (ko) 2016-05-10

Family

ID=46314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4408A KR101619552B1 (ko) 2010-12-24 2010-12-24 첨가재 수용관이 분리된 용기마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30240533A1 (ko)
EP (1) EP2657149A2 (ko)
KR (1) KR101619552B1 (ko)
CN (1) CN103619721B (ko)
AU (1) AU2011345507A1 (ko)
CA (1) CA2836746A1 (ko)
WO (1) WO2012087049A2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30818A1 (ko) * 2012-08-20 2014-02-27 박정욱 저면가스켓을 이용하여 첨가제를 수용 및 배출하는 용기마개
KR101505593B1 (ko) * 2014-10-22 2015-03-26 (주)엠앤디글로벌 회동 캡부재를 구비한 첨가제 혼합 용기용 마개
KR101525196B1 (ko) * 2014-10-08 2015-06-10 유성모 버틀캡 및 버틀캡 제조방법
WO2017095073A1 (ko) * 2015-11-30 2017-06-08 성보연 용기마개 조립체
US10604306B2 (en) 2015-11-30 2020-03-31 Dae Suck KANG Assembled container cap
WO2021230732A1 (ko) * 2020-05-15 2021-11-18 안진희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64022B (zh) * 2013-08-06 2017-09-19 Jc技术株式会社 用于能够将小颗粒和容器中的容纳物同时取出的容器盖
US9434519B2 (en) 2014-05-02 2016-09-06 H2M Beverages, Llc Dispensing cap
CN106573710B (zh) * 2014-06-19 2018-08-14 刮拉瓶盖股份公司 具有储存腔的封盖
SI25071A (sl) 2015-10-13 2017-04-26 Fux Jan Pokrov z vsebnikom za večkratno zapiranje plastenk, steklenic in drugih posod
CN111417583B (zh) * 2017-12-01 2022-09-20 欧莱雅 用于单独地包装两种产品的装置
DE102018105323A1 (de) * 2018-03-08 2019-09-12 Rpc Bramlage Gmbh Verschlussvorrichtung für einen Behälter
CN110395480B (zh) * 2019-08-14 2024-04-09 贵州大瑭本草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即溶饮料的瓶盖及饮料瓶
US20240010402A1 (en) * 2022-07-07 2024-01-11 The Remarkable Technology (Shanghai) Co., Ltd Powder-water integrated bottl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6163A (ko) * 2003-11-22 2003-12-24 이정민 별도의 내용물 저장공간을 갖고 있는 병뚜껑
KR20040096962A (ko) * 2004-10-07 2004-11-17 이정민 이종물질을 수용하는 내마개형 뚜껑
JP5269325B2 (ja) * 2006-01-31 2013-08-2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剤混合容器
JP2009083925A (ja) * 2007-10-03 2009-04-23 Masayuki Makita ボトルキャップ
KR20100099660A (ko) * 2010-03-02 2010-09-13 임효빈 용기 마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30818A1 (ko) * 2012-08-20 2014-02-27 박정욱 저면가스켓을 이용하여 첨가제를 수용 및 배출하는 용기마개
US9242783B2 (en) 2012-08-20 2016-01-26 Jctech Co., Ltd Container cap using bottom gasket to accommodate and discharge additives
KR101525196B1 (ko) * 2014-10-08 2015-06-10 유성모 버틀캡 및 버틀캡 제조방법
WO2016056713A1 (ko) * 2014-10-08 2016-04-14 유성모 버틀캡 및 버틀캡 제조방법
KR101505593B1 (ko) * 2014-10-22 2015-03-26 (주)엠앤디글로벌 회동 캡부재를 구비한 첨가제 혼합 용기용 마개
WO2017095073A1 (ko) * 2015-11-30 2017-06-08 성보연 용기마개 조립체
US10604306B2 (en) 2015-11-30 2020-03-31 Dae Suck KANG Assembled container cap
WO2021230732A1 (ko) * 2020-05-15 2021-11-18 안진희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87049A3 (ko) 2012-10-11
WO2012087049A9 (ko) 2012-08-23
US20130240533A1 (en) 2013-09-19
CN103619721A (zh) 2014-03-05
CN103619721B (zh) 2015-09-30
WO2012087049A2 (ko) 2012-06-28
EP2657149A2 (en) 2013-10-30
CA2836746A1 (en) 2012-06-28
AU2011345507A1 (en) 2013-10-10
KR101619552B1 (ko) 2016-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72582A (ko) 첨가재 수용관이 분리된 용기마개
KR20090014699A (ko) 첨가물 첨가 가능한 용기마개
KR101499752B1 (ko) 과립체와 용기내용물을 동시 음용토록 하는 용기마개
US9242783B2 (en) Container cap using bottom gasket to accommodate and discharge additives
KR101631438B1 (ko) 과립체와 용기내용물을 동시 음용토록 하는 용기마개
EP1833735A1 (en) Bottle cap
EP1780141A1 (en) Dispensing closure for containers
CN106573710B (zh) 具有储存腔的封盖
KR102140623B1 (ko) 첨가제를 수용하는 용기마개
US8631933B2 (en) Bottle cap
JP2017013830A (ja) ヒンジキャップ
CN209905455U (zh) 一种瓶盖
KR200425701Y1 (ko) 원터치식 밀폐용기
KR101745364B1 (ko) 용기뚜껑에 돌출리브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090056748A (ko) 하나의 뚜껑을 서로 다른 용기 목에 결합하는 구조
JP2014015250A (ja) ヒンジキャップ
KR20150075832A (ko) 과립체와 용기내용물을 동시 음용하는 용기마개
KR20120001224U (ko) 이중 병마개의 내,외부마개의 결속구조
CN209667743U (zh) 一种盖子和瓶子
CN103906688A (zh) 容器盖
KR200445683Y1 (ko) 개량된 액체용기 뚜껑
US8215512B2 (en) Cap for a consumable liquid container
KR20100074825A (ko) 밀폐 용기
KR20120128738A (ko) 내용물 배출용 병뚜껑의 구부 주위 밀폐구조
CN105164022A (zh) 用于能够将小颗粒和容器中的容纳物同时取出的容器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