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9752B1 - 과립체와 용기내용물을 동시 음용토록 하는 용기마개 - Google Patents

과립체와 용기내용물을 동시 음용토록 하는 용기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9752B1
KR101499752B1 KR1020130092976A KR20130092976A KR101499752B1 KR 101499752 B1 KR101499752 B1 KR 101499752B1 KR 1020130092976 A KR1020130092976 A KR 1020130092976A KR 20130092976 A KR20130092976 A KR 20130092976A KR 101499752 B1 KR101499752 B1 KR 101499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ap
tube
inlet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2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7105A (ko
Inventor
이지선
Original Assignee
제이씨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씨텍(주) filed Critical 제이씨텍(주)
Priority to KR1020130092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9752B1/ko
Priority to CN201480024014.5A priority patent/CN105164022B/zh
Priority to PCT/KR2014/007119 priority patent/WO2015020365A1/ko
Publication of KR20150017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7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9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9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65D25/08Partitions with provisions for removing or destroying, e.g. to facilitate mixing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1)의 입구(2) 상단 외측을 감싸는 걸림후크(110)를 가지며 용기(1) 입구 내부로 하강 연장하는 삽입관(120) 하부의 소경관(145) 바닥에 마개부(130)를 가지며 마개부(130) 둘레에 텍두리홈(132)을 두고, 소경관(145)에는 일정 간격으로 방사상으로 개방되고 수용 과립체의 직경보다 작은 수 개의 주입구 (140)를 형성한 탄성 엘라스토머 재질의 하캡(100)과; 하캡(100)의 테두리홈(132)수용관부(250) 하단을 개폐 가능토록 실링 결합하며, 상단 외측면은 직경이 연장된 어깨부(210)를 가지며 수용관(250)의 상단면(220)은 막힌 수용관부(200)와; 수용관부(200)의 상하 이동을 가능토록 어깨부(210)를 지지하는 돌륜(302)을 상면부(312) 저면으로 돌출시키고, 상면부(312)와 외캡부 (310)가 접하는 내면 모서리에는 걸림후크(110)를 수직으로 면 접촉하는 누름턱(314)을 부가하고, 하캡(100)과 결합 후 용기 내용물을 마시기 위하여 분리시 돌륜(302)과 어깨부(210)의 결합으로 수용관부(200)가 자전이 아닌 상승 운동만을 하도록 결합하는 상캡(300)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용기(1)에서 상캡(300) 분리시 마개부(130)와, 수용관부(200)의 실링 결합에서 토크의 변형 없이 수용관부(200)의 회전이 아닌 상승 운동만으로 분리되며, 용기를 기울여 용기 내용물이 주입구(140)를 경유하여 첨가 과립체와 용기 내용물이 함께 배출되도록 한 과립체와 용기내용물을 동시 음용토록 하는 용기마개이다.

Description

과립체와 용기내용물을 동시 음용토록 하는 용기마개{Bottle cap drinking with granule additive and beverage simultaneously}
본 발명은 과립제와 용기내용물을 동시 음용토록 하는 용기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 내에 첨가제를 첨가하는 첨가제 수용캡이 기능캡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기술의 한 예로는 국내특허등록 제 10-0597216호를 들 수 있고, 이는 용기의 입구에 나사나 후크 결합하여 고정되며 용기의 입구 내부로 하강하는 주입관의 바닥 테두리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한 배출구를 가지며, 바닥에는 바닥마개를 고정한 저장부재인 하캡과, 하캡 상부에서 분리 가능토록 결합하며 상부 저면에 일체로 아래로 연장하는 첨가제 수용관을 가지는 상캡을 수용하며 상승할 때 수용관이 바닥마개와 분리되어 배출구로 첨가제가 배출되도록 하는 개방부재인 상캡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마개는 하캡의 주입관에 후크 결합하거나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마개를 별도로 구비하여야하고, 조립시 실링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수용관을 가지는 상캡을 마개와 토크 결합하도록 조립하여야하므로, 토크 발생시 마개가 파손되거나 수용관이 휘어서 실링성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접합 부위에 별도의 패킹링을 부가하기도 하나, 이는 원가 상승의 요인이 된다.
한편, 용기의 입구 내부에 고정되는 주입관과 주입관 바닥에 돌출된 바닥마개를 가지며, 바닥마개 둘레와 주입관 하단 사이에 수개의 배출구를 가지는 패킹부재인 하캡과,
하캡 상부와 용기를 감싸며 고정하고 상부 저면으로 상기 바닥마개와 결합하다가 상승시 내부의 첨가제가 용기 내부로 첨가되도록 하는 수용관을 가지는 덮개인 상캡을 가지는 국내실용신안등록 제 20-0363704호로 알려진 기술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기술 구조는 하캡과 상캡의 2피스 구조로 원가절감에 기여하고 조립성이 좋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2피스로 첨가제를 수용하고 실링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수용관의 하단과 바닥마개가 상호 토크 결합하여야 하고, 토크 결합시 수용관이 뒤틀리거나, 바닥마개와 주입관 사이에 배출구를 이루도록 이어주는 리브가 파손되어 실링성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과립 상의 약이나 영양재를 용기 마개에 수용하도록 한 용기마개가 개발되었으나 마개가 단순히 과립상의 약이나 영양재를 수용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어서 마개를 열고 내용물을 입에 넣고 용기의 물이나 음료를 마시는 2가지 과정을 따로 수행하는 것이어서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다. 또한 분말을 첨가제로 용기내의 내용물에 첨가하여 사용하는 병뚜껑이 국내공개특허10-2012-0119552호로 개시되었으나, 첨가제를 용기내용물에 첨가하도록 하는 것이어서, 내용물을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의 입구 단부를 둘러싸도록 결합하는 걸림후크를 가지며 소경관부의 바닥에 마개부를 가지고 과립체의 직경보다 작은 주입구를 가지는 탄성 엘라스토머 재질의 하캡과, 마개부와 실링 결합하여 과립체를 수용 및 배출토록 안내하는 수용관부와, 수용관부를 상하이동 가능토록 결합하는 상캡으로, 상캡 분리시 하캡은 용기입구에 결합되어 있고 수용관부가 동시에 마개부를 개방하여 용기 내용물과 과립체를 동시에 마시도록 함으로써 과립체와 용기내용물을 동시 음용토록 하는 용기마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용관부를 상캡과 분리시켜 수용관부는 상하 운동만 하도록 하고, 수용관부 상단은 상단면으로 막고, 측면은 상캡에 지지되는 어깨부를 두고, 상단면과 대응 상캡은 어깨부와 후크 결합하여 수용관은 상하 운동만 가능토록 하므로 마개부와 결합 후 분리시 초기 수용관부는 고정되고 상캡만 회전 가능토록 하여 수용관부의 상승 및 하강을 토크 발생 없이 수행토록 하는 과립체와 용기내용물을 동시 음용토록 하는 용기마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캡의 걸림후크와 용기 입구 상단은 상호 후크 결합하고, 걸힘후크에 대응하는 상캡은 걸림후크외측면은 상캡 상면부 모서리 내측에서 연장된 누름턱으로 면접촉 하고, 하캡의 상단 내경부는 상캡의 수용관부 고정용 돌륜이 면접촉토록 하여 초기 상캡 분리시 걸림후크는 후크 결합을 지속하도록 하고, 수용관과 마개부가 분리되기 까지는 돌륜이 하캡의 삽입관 내경부를 밀어주고, 하캡의 걸림후크 외경부는 상캡의 누름턱으로 밀어주므로, 하캡은 용기 입구에 고정된 상태로 상캡과 수용관부가 일체로 분리되도록 작용하여, 용기를 기울여 고정된 하캡의 마개부및 소경관에 잔류하는 과립체와 용기내용물을 동시 음용토록 하는 용기마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원발명은 용기의 입구 상단 외측을 감싸며 고정하는 걸림후크를 가지고 걸림턱으로 결합하며 걸림턱에서 용기 입구 내부로 삽입 연장하는 삽입관 하부의 소경관 바닥에 마개부를 가지며 마개부 둘레와 소경관은 원형의 테두리홈을 두고, 소경관에는 일정 간격으로 방사상으로 개방되고 과립체의 직경보다 작은 수 개의 주입구를 형성한 탄성 엘라스토머 재질의 하캡과,
하캡의 마개부 테두리홈에서 개방된 수용관 하단을 개폐 가능토록 실링 결합하며, 내부에 과립체를 수용하고, 상단 외측면은 직경이 연장된 어깨부를 가지며 수용관의 상단면은 막힌 수용부와,
수용부의 상하 이동을 가능토록 어깨부를 지지하는 돌륜을 상면부 저면으로 돌출시키고,
상면부와 외캡부가 접하는 내면 모서리에는 입구 외측에 노출된 걸림후크를 수직으로 면접촉하는 누름턱을 부가하고,
하캡과 결합 후 용기 내용물을 마시기 위하여 분리시 돌륜과 어깨부의 결합으로 수용관이 자전이 아닌 상승 운동만을 하도록 결합하는 상캡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용기에서 상캡 분리시 마개부와 수용관부의 실링 결합에서 토크의 변형 없이 수용관부의 회전이 아닌 상승 운동만으로 분리되며, 용기를 기울여 용기 내용물이 주입구를 경유하고, 주입구는 소경관의 내측경부보다 외측경부가 더 크도록 하여 주입시 용기 내용물의 주입속도가 빨라지도록 유도하여 첨가 과립체와 용기 내용물이 함께 입으로 쉽게배출되도록 한 과립체와 용기내용물을 동시 음용토록 하는 용기마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용기의 입구 단부를 둘러싸도록 결합하는 걸림후크를 가지며 소경관의 바닥에 마개부를 가지고 과립체의 직경보다 작은 주입구를 가지는 탄성 엘라스토머 재질의 하캡과, 마개부와 실링 결합하여 과립체를 수용 및 배출토록 안내하는 수용관부와, 수용관부를 상하이동 가능토록 결합하는 상캡으로, 상캡 분리시 하캡은 용기입구에 결합되어 있고 수용관부가 동시에 마개부를 개방하여 용기 내용물과 과립체를 동시에 마시도록 함으로써 과립체와 용기내용물을 동시 음용토록 한다.
본 발명은 수용관부를 상캡과 분리시켜 수용관부는 상하 운동만 하도록 하고, 수용관부 상단은 상단면으로 막고, 측면은 상캡에 지지되는 어깨부를 두고, 상단면과 대응 상캡은 어깨부와 후크 결합하여 수용관은 상하 운동만 가능토록 하므로 마개부와 결합 후 분리시 초기 수용관부는 고정되고 상캡만 회전 가능토록 하여 수용관부의 상승 및 하강을 토크 발생 없이 수행토록 하여 외부 온도나 환경 변화에도 기능을 유지토록 한다.
본 발명은 하캡의 걸림후크와 용기 입구 상단은 상호 후크 결합하고, 걸힘후크에 대응하는 상캡은 걸림후크외측면은 상캡 상면부 모서리 내측에서 연장된 누름턱으로 면접촉 하고, 하캡의 상단 내경부는 상캡의 수용관부 고정용 돌륜이 면접촉토록 하여 초기 상캡 분리시 걸림후크는 후크 결합을 지속하도록 하고, 수용관과 마개부가 분리되기 까지는 돌륜이 하캡 내경부를 밀어주고, 하캡의 걸림후크 외경부는 상캡의 누름턱으로 밀어주므로, 하캡의 분리 없이 상캡과 수용관부가 일체로 분리되도록 작용한다.
본 발명은 하캡의 주입구를 이루는 소경관의 내측경 보다는 외측경이 더 크도록하여 주입시 용기 내용물이 과속으로 주입되도록 유도하여 과립체와 용기 내용물이 입으로 쉽게 배출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수용관부를 결합한 하캡에 첨가제를 넣고 하캡을 결합하기 전의 분해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조립 상태도,
도 5는 도 4를 뒤집어 용기 입구에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도 5의 반 단면도,
도 7은 도 6에서 상캡을 분리하는 경우를 보인 도면,
도 8은 상캡 및 수용관부를 분리하고 용기를 기울여 과립체와 용기내용물을 동시에 시음하는 경우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본원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8과 같이 용기(1)의 입구(2) 상단 외측을 감싸고 고정하는 걸림후크(110)를 가지며 걸림후크(110)에서 용기(1) 입구 내부로 하강 연장하는 삽입관(120) 하부의 소경관(145) 바닥에 마개부(130)를 가지며 마개부(130) 둘레와 소경관(145)사이는 원형의 텍두리홈(132)을 두고, 소경관(145)에는 일정 간격으로 방사상으로 개방되고 과립체(230)의 직경보다 작은 수 개의 주입구(140)를 형성한 탄성 엘라스토머 재질의 하캡(100)과;
하캡(100)의 마개부(130) 테두리홈(132)에서 개방된 수용관(250) 하단을 개폐 가능토록 실링 결합하며, 내부에 과립체(230)를 수용하고, 상단 외측면은 직경이 연장된 어깨부(210)를 가지며 수용관(250)의 상단면(220)은 막힌 수용관부(200)와;
수용관부(200)의 상하 이동을 가능토록 어깨부(210)를 지지하는 돌륜(302)을 상면부(312) 저면으로 돌출시키고,
상면부(312)와 외캡부(310)가 접하는 내면 모서리에는 입구(2) 외측에 노출된 걸림후크(110)를 수직으로 면접촉하는 누름턱(314)을 부가하고,
하캡(100)과 결합 후 용기 내용물을 마시기 위하여 분리시 돌륜(302)과 어깨부(210)의 결합으로 수용관부(200)가 자전이 아닌 상승 운동만을 하도록 결합하는 상캡(300)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용기(1)에서 상캡(300) 분리시 마개부(130)와, 수용관부(200)의 수용관(250) 과의 실링 결합에서 토크의 변형 없이 수용관(200)의 회전이 아닌 상승 운동만으로 분리되며, 용기를 기울이면 용기 내용물이 주입구(140)를 경유하여 첨가 과립체와 용기 내용물이 함께 입으로 배출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걸림후크(110)는 삽입관(120) 상단에서 용기의 입구(2) 상단면을 덮는 수평부(111)와,
수평부(111)에서 입구 외측으로 절곡된 수직부(112)와,
수직부(112) 하단에서 내측으로 돌출하여 입구(2) 외측의 외측홈(4)에 끼움 결합하는 후크(113)로 이루어지며,
입구(2) 상단 외측은 수직부(112) 내면과 접하는 외측후크(3)를 형성한다.
상기, 걸림후크(110)의 수직부(112)와 입구(2)의 외측 후크(3)를 합한 두께는 입구(2)의 나사골(6)을 이루는 두께(W)와 일치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수직부(112)와 면접촉하는 상캡(300)의 모서리 저면으로 돌출된 누름턱(314)의 수직하강 높이(h1)보다, 상면부(312) 저면으로 돌출한 돌륜(302)의 수직하강 높이(h3)가 더 높도록 구성한다.
상기, 상면부(312) 저면으로 돌출한 돌륜(302)의 수직 하강 높이(h3)보다 누름턱(314)과 돌륜(302) 사이 및 입구(2) 내벽에 지지하는 하캡(100)의 테두리홈(132)에서 마개부(130) 상면까지의 마개테두리댐 높이(h2)가 낮도록 구성한다.
상기, 하캡(100)의 소경관(145)과 삽입관(120) 사이는 삽입관(120)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는 경사관(150)을 이루고,
소경관(145)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주입구(140) 상부는 경사관(150) 까지 일부 연장한 연장공(142)을 더 개방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주입구(140)는 소경관(145)의 내측경부(W1)보다 외측경부(W2)가 더 크도록 구성한다. (135)는 테두리홈(1320을 이루는 소경관 절곡링(135), (142)는 주입구(140)의 경사관(150)측 연장공, (304)는 삽입관(120)과의 실링을 위한 외측경사면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원발명은 도 1 과 같은 구성을 이루고, 먼저 도 2 및 도 3 에 보인 구성과 같이 상캡(300)을 뒤집어 수용관부(200)의 어깨부(210)의 경사면(212)이 돌륜(302)의 경사면(303a)을 지나도록 하여 상캡(300)의 돌륜(302)에 수용관부(200)가 결합하고 수용관(250)의 단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과립체(230)를 채운다. 그리고 역시 하캡(100)을 뒤집어 걸림후크(110)가 돌륜(302)과 누름턱(314) 사이에 끼워지도록 조립한다. 삽입관(120) 내경부는 돌륜(302)의 외측경사면(304)과 접하여 탄성을 유지하면서 실링 결합한다.
하캡(100)이 상캡(300)의 하단(도 4 에서는 상단)보다 아래(도 2에서는 위)에 오도록 하는 것은 자동 캐핑시 항상 상캡(300)의 상면부(312)가 아래에 오도록 무게중심을 낮게 하기 위함이다. 이렇게 무게 중심이 낮으면 항상 도 4 와 같이 상캡(300)의 상면부(312)가 아래로 오게 되고, 자동 캐핑시 아래 부분을 크립하여 뒤집으면 캐핑 하는데 유리하다.
도 4 와 같이 조립한 캡 조립체를 용기(1)의 입구(2)에 캐핑하면, 용기(1)의 입구(2)는 통상의 두께(W)보다 상단부가 줄어들어 외측후크(3)를 이루고, 외측후크(3)와 나사산(5) 사이에는 외측홈(4)을 이루므로, 외측후크(3)가 탄성 엘라스토머 재질의 후크(113)를 쉽게 밀치고 들어가 수직부(112) 내부에 안칙되고 후크(113)는 외측홈(4)에 결합하도록 작용하고, 동시에 누름턱(314)이 수직부(112)의 외측면을 눌러주어 탄성 엘라스토머 재질의 걸림후크(110)의 이탈방지와 외기 침투방지 및 용기 내용물의 외부 누출을 방지토록 기능한다. 아울러 삽입관(120)은 용기의 입구(2) 내경부에 밀착하고, 삽입관(120)의 내경부는 돌륜(302)에 면접촉하여 주입구(140)를 통한 내용물의 용기 외부 누출을 이중 삼중으로 차단토록 기능 한다.
물론 도 4 의 캡조립체를 뒤집어 도 2와 같이 조리하기 전에 용기(1) 입구(2)로 내용물(음료수나 물)을 채운 다음 용기(1)의 입구(2)에 캐핑하여 도 2 상태를 이루도록 조립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용기(1)의 내용물을 마실려면, 도 2 및 도 6 상태에서 상캡(300)을 분리(예를 들어 용기(1)의 입구(2) 외측의 나사부(나사산(5) 및 나사골(6))와 나사 결합한 상캡(300)의 나사를 푸는 방향으로 돌려 분리)하여 도 7과 같이 분리 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캡(300)은 돌륜(302)에 수용관(200)의 어깨부(210)가 결합된 상태로 동시에 분리되며, 분리되는 동안 누름턱(314)의 높이(h1) 보다는 테두리홈(132)에서 마개부(130) 상면까지의 높이(h2)가 높아서 마개부(130)내부의 실링성을 유지하면서 상캡(300)이 분리되고, 상캡이 분리되는 동안 초기 걸림후크(110)를 내경측으로 누름턱(314)이 밀어주어 탄성 엘라스토머 재질이라도 걸림후크(110)의 분리를 막아준다.
이렇게 분리시 높이(h1)를 지나고, 이어 높이(h2)를 지나면서 마개부(130)의 과립체(230)가 용기 내용물과 통하지만, 여전히 보다높은 돌륜(302)의 높이(h3)까지는 삽입관(120)의 내벽을 실링하여 실링성을 유지토록 하며, 동시에 삽입관(120)의 내경부에 의한 중앙으로의 밀림 힘은 후크돌기(303)가 어깨부(210)의 하단을 중앙으로 작용하여 수용관부(200)와 상캡(300)이 일체로 상승하도록 기능한다. 아울러 수용관부(200)는 높이(h2) 까지는 상캡(300)의 회전에 상관없이 마개부(130)와의 실링 결합상태를 유지하다가 돌턱(302)을 통한 당김 효과로 토크 변형 없이 수직 상승하고 동시에 수용관(250)의 하단이 마개부(130)에서 분리되면서 실링이 해제되는 것이다.
그러면 도 7 과 같이 마개부(130)위에 과립체(230)가 놓여진 상태를 이루고 사용자가 용기(1)를 도 8과 같이 기울이면 용기 내용물이 주입구(140)를 경유하여 사용자의 입으로 들어가고 동시에 경사관(150) 및 삽입관(120)의 내벽을 따라 과립체(230)도 동시에 입으로 들어가서 사용자는 음용 상의 거부감이나 별도의 추가 공정 없이 용기의 내용물과 과립체(230)를 동시에 음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1)의 입구(2)의 내경보다 주입구(140)측의 소경관(145)의 외경이 작도록 하여 용기의 내용물이 주입구(140)측으로 잘 전달되도록 작용하며, 주입구(140)는 경사관(150) 일부까지 연장하도록 하여 용기 내용물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한다. 아울러 주입구(140)는 도 5와 같이 소경관(145)의 내측경부(W1)보다 외측경부(W2)가 더 크도록 하여 용기 내용물이 주입구(140)를 통과할 때 베르누이 정리에 의하여 이동 속도가 증가되도록 하여 도 8과 같이 사용시 마개부(130)에 수용된 과립체(230)의 입구(2)로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작용한다.
1;용기 2;입구 3;외측후크 4;외측홈 5;나사산 6;나사골 100;하캡 110;걸림후크 111;수평부 112;수직부 113;후크 120;삽입관 130;마개부 132;테두리홈 134;마개테두리댐 135;소경관절곡링 140;주입구 145;소경관 150;경사관 200;수용관부 210;어깨부 212;경사면 220;상단면 230;과립체 240;돌출부 250;수용관 300;상캡 302;돌륜 303;후크돌기 303a;경사면 304;외측경사면 310;외캡부 312;상면부 314;누름턱 320;관통공 h1;높이 h2;높이 h3;높이

Claims (7)

  1. 용기(1)의 입구(2) 상단 외측을 감싸고 고정하는 걸림후크(110)를 가지며 걸림후크(110)에서 용기(1) 입구 내부로 하강 연장하는 삽입관(120) 하부의 소경관(145) 바닥에 마개부(130)를 가지며 마개부(130) 둘레와 소경관(145) 사이는 원형의 텍두리홈(132)을 두고, 소경관(145)에는 일정 간격으로 방사상으로 개방되고 과립체(230)의 직경보다 작은 수 개의 주입구(140)를 형성한 탄성 엘라스토머 재질의 하캡(100)과;
    하캡(100)의 마개부(130) 테두리홈(132)에서 개방된 수용관(250) 하단을 개폐 가능토록 실링 결합하며, 내부에 과립체(230)를 수용하고, 상단 외측면은 직경이 연장된 어깨부(210)를 가지며 수용관(250)의 상단면(220)은 막힌 수용관부(200)와;
    수용관부(200)의 상하 이동을 가능토록 어깨부(210)를 지지하는 돌륜(302)을 상면부(312) 저면으로 돌출시키고,
    상면부(312)와 외캡부(310)가 접하는 내면 모서리에는 입구(2) 외측에 노출된 걸림후크(110)를 수직으로 면 접촉하는 누름턱(314)을 부가하고,
    하캡(100)과 결합 후 용기 내용물을 마시기 위하여 분리시 돌륜(302)과 어깨부(210)의 결합으로 수용관부(200)가 자전이 아닌 상승 운동만을 하도록 결합하는 상캡(300)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용기(1)에서 상캡(300) 분리시 마개부(130)와, 수용관부(200)의 수용관(250)과의 실링 결합에서 토크의 변형 없이 수용관부(200)의 회전이 아닌 상승 운동만으로 분리되며, 용기를 기울여 용기 내용물이 주입구(140)를 경유하여 첨가 과립체와 용기 내용물이 함께 입으로 배출되도록 하며,
    하캡(100)의 소경관(145)과 삽입관(120) 사이는 삽입관(120)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는 경사관(150)을 이루고, 소경관(145)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주입구(140) 상부는 경사관(150) 까지 일부 연장한 연장공(142)을 더 개방하도록 구성하며,
    주입구(140)는 소경관(145)의 내측경부(W1)보다 외측경부(W2)가 더 크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체와 용기내용물을 동시 음용토록 하는 용기마개
  2. 제 1항에 있어서, 걸림후크(110)는 삽입관(120) 상단에서 용기의 입구(2) 상단면을 덮는 수평부(111)와,
    수평부(111)에서 입구 외측으로 아래로 절곡된 수직부(112)와,
    수직부(112) 하단에서 내측으로 돌출하여 입구(2) 외측의 외측홈(4)에 끼움 결합하는 후크(113)로 이루어지며,
    입구(2) 상단 외측은 수직부(112) 내면과 접하는 외측후크(3)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체와 용기내용물을 동시 음용토록 하는 용기마개.
  3. 제 2항에 있어서, 걸림후크(110)의 수직부(112)와 입구(2)의 외측 후크(3)를 합한 두께는 입구(2)의 나사골(6)을 이루는 두께(W)와 일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과립체와 용기내용물을 동시 음용토록 하는 용기마개.
  4. 제 3항에 있어서, 수직부(112)와 면접촉하는 상캡(300)의 모서리 저면으로 돌출된 누름턱(314)의 수직하강 높이(h1)보다, 상면부(312) 저면으로 돌출한 돌륜(302)의 수직하강 높이(h3)가 더 높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과립체와 용기내용물을 동시 음용토록 하는 용기마개.
  5. 제 4항에 있어서, 상면부(312) 저면으로 돌출한 돌륜(302)의 수직 하강 높이(h3)보다 누름턱(314)과 돌륜(302) 사이 및 입구(2) 내벽에 지지하는 하캡(100)의 테두리홈(132)에서 마개부(130) 상면까지의 마개테두리댐 높이(h2)가 낮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체와 용기내용물을 동시 음용토록 하는 용기마개.
  6. 삭제
  7. 삭제
KR1020130092976A 2013-08-06 2013-08-06 과립체와 용기내용물을 동시 음용토록 하는 용기마개 KR101499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976A KR101499752B1 (ko) 2013-08-06 2013-08-06 과립체와 용기내용물을 동시 음용토록 하는 용기마개
CN201480024014.5A CN105164022B (zh) 2013-08-06 2014-08-01 用于能够将小颗粒和容器中的容纳物同时取出的容器盖
PCT/KR2014/007119 WO2015020365A1 (ko) 2013-08-06 2014-08-01 과립체와 용기내용물을 동시 음용토록 하는 용기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976A KR101499752B1 (ko) 2013-08-06 2013-08-06 과립체와 용기내용물을 동시 음용토록 하는 용기마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9810A Division KR101631438B1 (ko) 2014-12-12 2014-12-12 과립체와 용기내용물을 동시 음용토록 하는 용기마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7105A KR20150017105A (ko) 2015-02-16
KR101499752B1 true KR101499752B1 (ko) 2015-03-10

Family

ID=53046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2976A KR101499752B1 (ko) 2013-08-06 2013-08-06 과립체와 용기내용물을 동시 음용토록 하는 용기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975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6274A (ko) * 2015-11-13 2017-05-23 제이씨텍(주) 브이자형 위조방지스커트링을 가지는 수용부를 겸비한 투명캡
KR20180002032U (ko) 2016-12-27 2018-07-05 임형욱 음료용기 마개
KR102290769B1 (ko) 2021-07-23 2021-08-18 정도용 병마개
KR20210135029A (ko) 2020-05-04 2021-11-12 금성실업 주식회사 고액 분리형 용기마개
KR20220099460A (ko) * 2021-01-05 2022-07-13 제이씨텍(주) 이중 차단막을 구비한 마개 및 이를 구비한 용기
WO2022149679A1 (ko) * 2021-01-05 2022-07-14 제이씨텍(주) 마개 및 이를 구비한 용기
KR20230172094A (ko) 2022-06-15 2023-12-22 서정석 정제 분리 결합용 용기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23537B2 (en) 2016-05-26 2020-07-28 Darin Co., Ltd. Cartridge pump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8617A (ko) * 2008-03-13 2009-09-17 이성재 이종물질 수용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8617A (ko) * 2008-03-13 2009-09-17 이성재 이종물질 수용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6274A (ko) * 2015-11-13 2017-05-23 제이씨텍(주) 브이자형 위조방지스커트링을 가지는 수용부를 겸비한 투명캡
KR102593975B1 (ko) 2015-11-13 2023-10-27 제이씨텍(주) 브이자형 위조방지스커트링을 가지는 수용부를 겸비한 투명캡
KR20180002032U (ko) 2016-12-27 2018-07-05 임형욱 음료용기 마개
KR20210135029A (ko) 2020-05-04 2021-11-12 금성실업 주식회사 고액 분리형 용기마개
KR20220099460A (ko) * 2021-01-05 2022-07-13 제이씨텍(주) 이중 차단막을 구비한 마개 및 이를 구비한 용기
WO2022149679A1 (ko) * 2021-01-05 2022-07-14 제이씨텍(주) 마개 및 이를 구비한 용기
KR102616898B1 (ko) * 2021-01-05 2023-12-22 제이씨텍(주) 이중 차단막을 구비한 마개 및 이를 구비한 용기
KR102290769B1 (ko) 2021-07-23 2021-08-18 정도용 병마개
KR20230172094A (ko) 2022-06-15 2023-12-22 서정석 정제 분리 결합용 용기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7105A (ko) 2015-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9752B1 (ko) 과립체와 용기내용물을 동시 음용토록 하는 용기마개
KR101631438B1 (ko) 과립체와 용기내용물을 동시 음용토록 하는 용기마개
KR101619552B1 (ko) 첨가재 수용관이 분리된 용기마개
KR101295505B1 (ko) 저면가스켓을 이용하여 첨가제를 수용 및 배출하는 용기마개
RU2397933C2 (ru) Колпачок для бутылок
EA024342B1 (ru) Крышка бутылки, обеспечивающая введение добавки на месте
KR102140623B1 (ko) 첨가제를 수용하는 용기마개
CN102803089B (zh) 盖和具有盖的容器
KR200479685Y1 (ko) 플립형 스포츠 병뚜껑 및 해당 병뚜껑을 포함하는 물저장 용기
CN102482008A (zh) 杯子和用于杯子的盖组件
CN109562869B (zh) 盖子
JP6529363B2 (ja) ヒンジキャップ
KR20160024539A (ko) 음료용기용 마개
KR20150075832A (ko) 과립체와 용기내용물을 동시 음용하는 용기마개
TWI661823B (zh) 雙組態之瓶總成
KR101614461B1 (ko) 음료용기용 마개
CN201325706Y (zh) 一种蜂蜜包装瓶
JP2014034415A (ja) 飲料用容器
WO2015020365A1 (ko) 과립체와 용기내용물을 동시 음용토록 하는 용기마개
KR101424381B1 (ko)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
KR101444309B1 (ko) 첨가제 첨가용 이중캡
KR20140076809A (ko) 과립제와 용기내용물을 동시에 음용하는 용기마개
KR20140021870A (ko)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
JP2009234611A (ja) 蓋体付きカップ状容器および飲食品包装体
KR100749826B1 (ko) 밀폐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