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9460A - 이중 차단막을 구비한 마개 및 이를 구비한 용기 - Google Patents

이중 차단막을 구비한 마개 및 이를 구비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9460A
KR20220099460A KR1020210018558A KR20210018558A KR20220099460A KR 20220099460 A KR20220099460 A KR 20220099460A KR 1020210018558 A KR1020210018558 A KR 1020210018558A KR 20210018558 A KR20210018558 A KR 20210018558A KR 20220099460 A KR20220099460 A KR 20220099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portion
seating
blocking film
cap member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8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6898B1 (ko
Inventor
이호재
박병선
최명준
김민철
Original Assignee
제이씨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씨텍(주) filed Critical 제이씨텍(주)
Priority to PCT/KR2021/00929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2149679A1/ko
Publication of KR20220099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9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6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6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5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07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 B65D41/041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formed by a plug, collar, flange, rib or the like contacting the internal surface of a container ne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62Secondary protective cap-like outer covers for closur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주입구를 구비하는 용기 본체와 결합되는 캡부재, 상기 캡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주입구를 막고, 부 내용물이 위치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와 연결되어 있고 제1 차단막이 위치하는 제1 평탄 부분, 제1 평탄 부분과 연결되어 있고 제2 차단막이 위치하는 제2 평탄 부분 및 상기 제2 평탄 부분의 외측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기둥 부분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차단막과 상기 제2 차단막으로 막혀 있는 복수 개의 관통구를 포함하는 안착부재, 그리고 상기 캡부재 및 상기 안착부재와 결합되어 있는 밀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차단막과 상기 제2 차단막은 상기 캡부재 및 상기 밀폐부재 또는 상기 밀폐부재에 위치한다.

Description

이중 차단막을 구비한 마개 및 이를 구비한 용기{CONTAINER CAP HAVING DOUBLE BLOCK MEMBRANE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마개 및 이를 구비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개를 개봉하기 전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내용물을 서로 분리하여 수용하고 마개를 개방하고 내용물을 섭취할 때는 서로 다른 종류의 내용물을 함께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 차단막을 구비한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 및 이를 구비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각종 음료수나 조미료 등을 수용하기 위한 병과 같은 용기는 현대인에게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용기 중에는 용기 본체의 내부 공간과 구분되는 별도의 분리 공간을 구비하는 분리수용 가능한 기능성 마개를 구비하는 용기가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마개에 구비된 분리 공간에는 용기 본체에 담겨 있는 내용물(예, 주 내용물)과 다른 형태의 내용물(예, 부 내용물)이 수용되어 있다.
따라서, 용기 본체에 담겨 있는 주 내용물을 섭취하기 위해, 사용자가 용기 본체와 결합된 마개가 열어 주 내용물을 섭취할 때, 마개에 담겨있는 부 내용물도 함께 섭취하게 된다.
하지만, 부 내용물을 담고 있는 마개의 분리 공간의 밀폐력의 문제로 인해, 주로 액체로 이루어진 용기 본체에 주 내용물과 마개의 부 내용물이 혼합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11-0102112호(공개일자: 2011년 09월 16일, 발명의 명칭: 용기마개의 밀봉부재)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용기 본체에 수용된 내용물과 마개에 수용된 내용물의 혼합 현상을 방지하여, 두 내용물의 보존 기간을 연장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용기 본체의 내용물과 마개의 내용물을 편리하게 섭취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마개는 주입구를 구비하는 용기 본체와 결합되는 캡부재, 상기 캡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주입구를 막고, 부 내용물이 위치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와 연결되어 있고 제1 차단막이 위치하는 제1 평탄 부분, 제1 평탄 부분과 연결되어 있고 제2 차단막이 위치하는 제2 평탄 부분 및 상기 제2 평탄 부분의 외측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기둥 부분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차단막과 상기 제2 차단막으로 막혀 있는 복수 개의 관통구를 포함하는 안착부재 및 상기 캡부재 및 상기 안착부재와 결합되어 있는 밀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차단막과 상기 제2 차단막은 상기 캡부재 및 상기 밀폐부재 또는 상기 밀폐부재에 위치한다.
상기 밀폐부재는 상부 및 상기 상부에서 아래쪽으로 상기 안착부의 상기 제1 평탄 부분까지 연장하여 상기 제1 평탄 부분에 위치하는 제1 차단막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캡부재는 가운데에 빈 구멍을 갖는 상부 및 상기 구멍의 가장자리부에서 아래쪽으로 상기 안착부의 상기 제2 평탄 부분까지 연장하여 상기 제2 평탄 부분에 위치하는 제2 차단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부재는 상기 구멍과 접해 있는 가장자리부에 위치하고 상기 밀폐부재의 상부가 위치하는 함몰된 상부 걸림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폐부재는 상부, 상기 상부에서 상기 안착부의 상기 제1 평탄 부분까지 연장하여 상기 제1 평탄 부분에 위치하는 제1 차단막 및 상기 제1 차단막에서 외측으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상부에서 상기 제2 평탄 부분까지 연장하여 상기 제2 평탄 부분에 위치하는 제2 차단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폐부재의 상기 상부는 인접한 상기 캡부재와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캡부재는 상부 및 상기 상부에서 상기 안착부의 상기 제1 평탄 부분까지 연장하여 상기 제1 평탄 부분에 위치하는 제1 차단막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밀폐부재는 상부 및 상기 상부에서 상기 안착부의 상기 제2 평탄 부분까지 연장하여 상기 제2 평탄 부분에 위치하는 제2 차단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상부의 가운데에 위치하는 구멍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차단막은 상기 구멍과 접하는 상기 구멍과 접해 있는 가장자리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밀폐부재의 상기 상부는 인접한 상기 캡부재와 접착될 수 있다.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구멍과 접해 있는 가장자리부에 위치하는 함몰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함몰부와 상기 캡부재의 인접한 부분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재 또는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기둥 부분에 밀착되어 있는 결합벽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벽은 상기 제2 차단막에서 외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 상기 제1 평탄 부분 및 상기 제2 평탄 부분은 순차적으로 높이가 낮아지는 계단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마개는 상기 제1 차단막과 상기 제2 차단막 사이에 위치하는 밀폐 공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다른 마개는 주입구를 구비하는 용기 본체와 결합되는 캡부재 및 상기 캡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주입구를 막고, 부 내용물이 위치하는 안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캡부재는 상부, 상기 상부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제1 차단막 및 상기 제1 차단막에서 외측으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상부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제2 차단막을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재는 상기 부 내용물이 위치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차단막이 위치하는 제1 평탄 부분, 상기 제1 평탄 부분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차단막이 위치하는 제2 평탄 부분 및 상기 제2 평탄 부분의 외측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기둥 부분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차단막과 상기 제2 차단막으로 막혀 있는 복수 개의 관통구를 포함한다.
상기 특징에 따르면, 상기 마개는 상기 제1 차단막과 상기 제2 차단막 사이에 위치하는 밀폐 공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평탄 부분과 상기 제2 평탄 부분의 높이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 상기 제1 평탄 부분 및 상기 제2 평탄 부분은 순차적으로 높이가 낮아지는 계단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안착부재는 상기 제1 평탄 부분과 상기 제2 평탄 부분 사이에 위치하고 위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기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평탄 부분과 상기 제2 평탄 부분의 높이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1 평탄 부분의 높이는 상기 제2 평탄 부분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상기 제1 평탄 부분과 상기 제2 평탄 부분의 높이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는 상기 제1 평탄 부분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바닥 부분 및 상기 바닥 부분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정해진 높이로 돌출된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기둥 부분 상단에 연결되어 있는 테두리부 및 상기 테두리부에 연결되어 아래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후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부재는 상기 제2 차단막에서 외측으로 이격된 상기 상부에서 부분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테두리부와 접해 있는 제1 결합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부재는 상기 제1 결합벽에서 외측으로 이격된 상기 상부의 부분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후크부와 접해 있는 제2 결합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용기는 주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주입구를 통해 주 내용물이 담기는 용기 본체 및 상기 용기 본체와 결합되어 있고, 부 내용물이 담기는 마개를 포함하고, 상기 마개는 용기 본체와 결합되는 캡부재, 상기 캡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주입구를 막고, 상기 부 내용물이 위치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와 연결되어 있고 제1 차단막이 위치하는 제1 평탄 부분, 제1 평탄 부분과 연결되어 있고 제2 차단막이 위치하는 제2 평탄 부분 및 상기 제2 평탄 부분의 외측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기둥 부분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차단막과 상기 제2 차단막으로 막혀 있는 복수 개의 관통구를 포함하는 안착부재 및 상기 캡부재 및 상기 안착부재와 결합되어 있는 밀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차단막과 상기 제2 차단막은 상기 캡부재 및 상기 밀폐부재 또는 상기 밀폐부재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따른 특징에 따른 용기는 주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주입구를 통해 주 내용물이 담기는 용기 본체 및 상기 용기 본체와 결합되어 있고, 부 내용물이 담기는 마개를 포함하고, 상기 마개는 상기 용기 본체와 결합되는 캡부재 및 상기 캡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주입구를 막고, 상기 부 내용물이 위치하는 안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캡부재는 상부, 상기 상부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제1 차단막 및 상기 제1 차단막에서 외측으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상부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제2 차단막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재는 상기 부 내용물이 위치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차단막이 위치하는 제1 평탄 부분, 상기 제1 평탄 부분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차단막이 위치하는 제2 평탄 부분 및 상기 제2 평탄 부분의 외측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기둥 부분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차단막과 상기 제2 차단막으로 막혀 있는 복수 개의 관통구를 포함한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용기 본체와 마개에 각각 담겨있는 서로 다른 종류의 내용물이 섞이지 않고 품질의 변질없이 보관되므로, 내용물의 유통 기한이 증가한다.
또한, 이중 차단막에 의해, 마개에 위치한 내용물 보관 공간의 밀폐력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용기 본체에 보관되어 있는 내용물이 마개의 내용물 보관 공간으로 유입되는 현상이 방지되어 각 내용물의 유통 기한은 더욱 더 향상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중 차단막 사이의 형성되는 밀폐 공간에 의해, 용기 본체의 내용물이 마개의 보관 공간 쪽으로 유입되더라도 밀폐 공간에 머무르게 되어, 마개의 내용물과 용기 본체의 내용물이 혼합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더욱이, 마개의 내용물이 위치하는 부분이 계단 형태로 위치하여, 밀폐 공간에 용기 본체의 내용물이 유입되더라도 마개의 내용물이 위치한 위쪽 방향으로의 이동이 곤란 해진다.
또한, 인접한 두 평탄 부분 사이에 위치한 돌기 부분에 의해, 이중 차단막의 밀폐 기능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더해, 사용자는 마개에 보관되는 내용물을 꺼내기 위한 어떠한 동작없이 단지 마개를 개봉한 후 내용물을 마시는 동작만으로 용기 본체의 내용물과 마개의 내용물을 함께 섭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예의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를 구비한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용기에서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의 보호 캡부재가 제거된 경우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a와 도 2b는 각각 도 1a의 Ⅱa-Ⅱa 선과 도 1b의 Ⅱb-ⅡB 선을 따라 잘라 얻어진 용기 일부에 대한 단면도로서, 도 2a는 보호 캡부재가 장착된 경우의 단면도이고, 도 2b는 보호 캡부재가 제거된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3과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예의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의 분해 사시도로서, 서로 다른 방향에서 얻어진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예의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를 구비한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VI-VI 선을 따라 잘라 얻어진 용기 일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및 도 8은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예의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의 분해 사시도로서, 서로 다른 방향에서 얻어진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3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를 구비한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X-X 선을 따라 잘라 얻어진 용기 일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및 도 12은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3 예의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의 분해 사시도로서, 서로 다른 방향에서 얻어진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및 도 14은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의 제4 예에 대한 분해 사시도로서, 서로 다른 방향에서 얻어진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용기 일부에 대한 단면도로서, 도 13 및 도 14의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를 구비한 용기 일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6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예의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를 구비한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XⅦ-XⅦ 선을 따라 잘라 얻어진 용기 일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및 도 19는 각각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예의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의 분해 사시도로서, 서로 다른 방향에서 얻어진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 및 도 21은 각각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2 예의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의 분해 사시도로서, 서로 다른 방향에서 얻어진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2 예의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를 일 방향을 따라 잘라 얻어진 단면도이다.
도 23 및 도 24은 각각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3 예의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의 분해 사시도로서, 서로 다른 방향에서 얻어진 분해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3 예의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를 일 방향을 따라 잘라 얻어진 단면도이다.
도 26 및 도 27은 각각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4 예의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의 분해 사시도로서, 서로 다른 방향에서 얻어진 분해 사시도이다.
도 28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4 예의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를 일 방향을 따라 잘라 얻어진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는 주입구를 구비하는 용기 본체와 결합되는 캡부재, 캡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주입구를 막는 안착부재, 그리고 캡부재 및 안착부재와 결합되어 있는 밀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안착부재는 부 내용물이 위치하는 안착부, 안착부와 연결되어 있고 제1 차단막이 위치하는 제1 평탄 부분, 제1 평탄 부분과 연결되어 있고 제2 차단막이 위치하는 제2 평탄 부분 및 제2 평탄 부분의 외측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기둥 부분의 사이에 위치하고 제1 차단막과 제2 차단막으로 막혀 있는 복수 개의 관통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차단막과 상기 제2 차단막은 캡부재 및 상기 밀폐부재 또는 상기 밀폐부재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예)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예의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이하,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는 '마개'라 칭함)(100)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본 예의 용기(1)는 마개(100) 및 측면 외측에 나사홈(2021)이 위치한 결합부(202)를 구비하여 결합부(202)를 통해 마개(100)와 결합되는 용기 본체(200)를 구비할 수 있다.
마개(100)는 용기 본체(200)의 결합부(202)에 결합되어 용기 본체(200)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예, 주 내용물)이 주입구(204)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마개(100)는 용기 본체(200)의 결합부(202)와 나사 결합을 통해 결합되어, 마개(100)의 회전 방향에 따라 마개(100)가 닫히거나 열릴 수 있다.
다음,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본 실시예의 제1 예에 따른 마개(100)에 대해 설명한다.
본 예의 마개(100)는 캡부재(110), 캡부재(110)와 결합되는 안착부재(120), 안착부재(120)와 결합되는 밀폐부재(130), 캡부재(110)와 결합되는 임시고정부(140) 및 캡부재(110)를 보호하는 보호 캡부재(15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캡부재(110)는 용기 본체(200)의 결합부(202) 결합하는 부분으로서, 적어도 일부가 용기 본체(200)의 주입구(204)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캡부재(110)는 내부에 서로 결합된 안착부재(120)와 밀폐부재(130)가 위치할 수 있다.
캡부재(110)는 가운데에 빈 구멍(S110)을 갖고 있는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상부(111), 측부(112), 차단막(예, 제2 차단막)(113) 및 결합벽(114)을 구비할 수 있다.
상부(111)는 캡부재(110)의 상면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가운데 구멍(S110)을 갖는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판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정해진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부(111)의 중앙에 위치한 구멍(S110)과 접해 있는 원형의 가장자리부(예, 내측 가장자리부)에는 함몰된 상부 걸림턱(1111)이 위치한다. 이러한 상부 걸림턱(1111)에는 밀폐부재(130)가 위치할 수 있고, 캡부재(110)와 밀폐부재(130)가 결합될 수 있다.
측부(112)는 상부(111)의 외측 가장지리부와 끊김없이 연결되어 있고, 상부(111)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아래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용기 본체(200)의 결합부(202)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측부(112)는 상부(111)의 단부가 외측 가장자리부로부터 상부(111)와 수직하도록 아래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111)의 외측 가장자리부는 내측 가장자리부의 반대편에서 내측 가장자리부와 마주보고 있는 부분일 수 있다.
이러한 측부(112)의 내부면에는 결합부(202)의 나사홈(2021)과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위치할 수 있다.
차단막(113)은 상부(111)의 내측 가장자리부, 좀더 구체적으로는 상부 걸림턱(1111)의 단부와 끊김없이 연결되어 아래쪽 방향으로 상부(110)의 내부면과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는 원형의 벽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부(111)의 외측 가장자리부와 내측 가장자리부에 각각 연결되어 아래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측부(112)와 차단막(113)에 의해, 측부(112)와 차단막(113) 사이에는 빈 공간이 위치하고, 이 빈 공간 속에 안착부재(120)의 일부가 위치할 수 있다.
결합벽(114)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차단막(113)에서부터 외측으로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고, 차단막(113)과 평행하게 상부(111)의 내부면에서부터 아래쪽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아래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벽(114)의 연장 길이는 차단막(113)의 연장 길이보다 훨씬 짧을 수 있다.
이러한 결합벽(114)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안착부재(120)의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와 밀착된다. 따라서, 결합벽(114)은 안착부재(120)가 캡부재(110)와 결합될 때 안착부재(120)의 상부와 밀착되게 위치하므로, 안착부재(120)의 결합 상태는 안전하게 유지되어 결합 구조에 대한 안정성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캡부재(110)의 차단막(113)과 결합벽(114)은 안착부재(120)와 결합되어 안착부재(120)의 밀폐력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또한, 차단막(113)은 용기 본체(200)에 위치한 주 내용물이 마개(200) 속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안착부재(120)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것처럼 캡부재(110) 및 밀폐부재(130)와 결합될 수 있다.
캡부재(110)와 결합될 때, 안착부재(120)는 차단막(113)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여 캡부재(110)와의 밀착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미 기술한 것처럼, 캡부재(110)의 결합벽(114)에 의해 밀착 결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캡부재(110)와의 결합을 위해, 안착부재(120)의 평면 형상은 캡부재(110)의 평면 형상과 동일할 수 있고, 한 예로,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본 예에서, 안착부재(120)의 하부는 막혀있고 상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측부의 일부도 개방될 수 있다.
한 예로서, 본 예의 안착부재(120)는 안착부(121), 안착부(121)와 결합되어 위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연장부(122), 연장부(122)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연장부(122)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테두리부(123) 및 후크부(124)를 포함한다.
안착부(121)는 용기 본체(200)에 담겨 있는 내용물(예, 주 내용물)과 다른 내용물(예, 부 내용물)이 위치하는 부분일 수 있다.
이러한 안착부(121)는 연장부(122)와 끊김없이 연결되어 위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안착부(121)는 연장부(122)와 연결되어 있어 연장부(122)에서 정해진 길이만큼 돌출되어 있는 측면과 이 측면과 연결되어 있는 상면을 가질 수 있다.
이때, 한 예로서, 안착부(121)의 상면 가운데 부분에는 움푹 들어간 함몰부(1211)가 존재할 수 있다. 하지만, 대안적인 예에서, 함몰부(1211)는 생략될 수 있고, 이런 경우, 안착부재(120)의 상부는 움푹 들어간 부분 없이 평탄면인 안착부(121)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안착부(121)의 상면에 함몰부(1211)가 위치하는 경우, 캡슐 형태의 영양재와 같은 고체 내용물(미도시)일 수 있는 부 내용물은 안정적으로 안착부(121)의 상면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안착부(121)는 연장부(122) 및 밀폐부재(130)로 에워싸여져 가운데 부분에 내용물 보관 공간인 중공을 구비할 수 있다.
이미 기술한 것처럼, 안착부재(120)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으므로, 밀폐부재(130)와 결합되기 전에 안착부(121)의 상부가 개방되어 있어, 부 내용물은 개방된 상부를 통해 안착부(121)에 위치하여 보관될 수 있다.
이러한 안착부(121)는 물리적인 힘에 의해 캡부재(110) 및 밀폐부재(130)와 결합 상태가 해제되어 캡부재(110) 및 밀폐부재(130)와 분리될 수 있고, 캡부재(110)와의 결합한 상태에서도 물리적인 힘에 의해 좌회전이나 우회전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연장부(122)는 안착부(121)의 측면과 연결되어 있고, 안착부(121)의 측면 단부와 순차적으로 이격되게 연결되어 있는 제1 평탄 부분(1221a)과 제2 평탄 부분(1221b) 및 제2 평탄 부분(1221b)과 끊김없이 연결되어 있는 복수 개의 기둥 부분(1222)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평탄 부분(1221a, 1221b)은 지면과 평행한 방향인 평면 방향을 따라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평탄면일 수 있다.
본 예에서, 제1 평탄 부분(1221a)의 높이는 제2 평탄 부분(1221b)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안착부(121), 제1 평탄 부분(1221a) 및 제2 평탄 부분(1221a, 1221b)은 아래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져 안착부재(120)의 측면은 계단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가장 높은 곳에는 부 내용물이 위치하는 안착부(121)가 위치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제1 및 제2 평탄 부분(1221a, 1221b)에 의해, 안착부(121)는 제1 평탄 부분(1221a)에서부터 위쪽 방향으로 정해진 높이만큼 돌출되게 위치한 구조이므로, 제1 평탄 부분(1221a)은 안착부(121)보다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것처럼, 제1 및 제2 평탄 부분(1221a, 1221b)은 각각 차단막(113)과 밀폐부재(130)의 일부가 위치하는 지지대로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평탄 부분(1221a)의 상면에는 밀폐부재(130)의 일부가 접하게 연장되어 위치할 수 있고, 제2 평탄 부분(1221b)의 상면에는 캡부재(110)의 차단막(113)이 접하게 연장되어 위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평탄 부분(1221a)에 위치하는 부분은 제1 차단막이라 칭할 수 있고, 제2 평탄 부분(1221a)에 위치하는 부분은 제2 차단막이라 칭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예에서, 제1 평탄 부분(1221a) 위에는 밀폐부재(130)의 일부는 제1 차단막이 되고, 제2 평탄 부분(1221b) 위에는 캡부재(110)의 차단막(113)은 제2 차단막이 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평탄 부분(1221a)과 제2 평탄 부분(1221b)는 각각 접하고 있는 해당 부위에 의해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받게 된다.
복수 개의 기둥 부분(1222)은 제2 평탄 부분(1221b)과 연결되어 제2 평탄 부분(1221b)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기둥 부분(1222)은 모두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1 및 제2 평탄 부분(1221a, 1221b)의 연장방향과는 다른 방향(예,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복수 개의 기둥 부분(1222)은 제2 평탄 부분(1221b)의 외측 둘레를 따라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인접한 두 기둥 부분(1222) 사이에는 빈 공간인 관통구(S122)가 위치할 수 있다.
각 관통구(S122)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연장부(122)의 측부를 관통하게 형성될 수 있고, 제2 평탄 부분(1221b)와 테두리부(12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각 기둥 부분(1222)의 일단은 제2 평탄 부분(1221b)에 연결될 있고, 타단은 테두리부(123)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각 기둥 부분(1222)은 하부에서 상부 쪽으로 연장될 때 지면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되다가 지면에 대해 90도보다 작은 각도로 위쪽 방향으로 연장된 후 다시 지면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각 기둥 부분(1222)은 직선으로 연장되거나 곡선으로 연장되거나 또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것처럼 직선 구간과 곡선 구간을 모두 구비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것처럼, 각 기둥 부분(1222)이 직선 구간(P12a)과 곡선 구간(P12b)을 모두 구비하는 경우, 안착부(121)와 인접한 하단부는직선 구간(P21a)일 수 있고, 안착부(121)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테두리부(123)와 인접한 상단부는 곡선 구간(P21b)일 수 있다.
따라서, 곡선 구간(P21b)의 내부면[즉, 차단막(113)과 인접한 면]은 직선 구간(P21a)의 내부면보다 좀더 외측에 위치하여, 차단막(113)과의 이격 거리(D1)는 아래쪽보다 위쪽이 클 수 있고, 또한 직선 구간(P21a)에서의 이격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이격 거리(D1)의 변화로 인해, 안착부재(120)의 테두리부(123)는 캡부재(110)의 결합벽(114)과 측부(112) 사이에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고, 제2 평탄 부분(1221b)에 삽입되어 있는 차단막(113)은 기둥 부분(1222)의 하부와 밀착되게 위치하여, 차단막(113)의 삽입 상태는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본 예에서, 안착부재(120)는 탄성을 갖는 재료(예, 실리콘(silicon)이나 천연 고무 등)를 함유할 수 있고, 이런 경우, 안착부재(120)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평탄 부분(1221b)의 연장 폭이 그 위에 위치하는 차단막(113)의 두께보다 작을 경우, 차단막(113)이 제1 평탄 부분(1221a)과 인접한 기둥 부분(1222) 사이의 빈 공간 속으로 삽입될 때, 차단막(113)은 밀접해 있는 안착부재(120)의 부분을 압축해 밀어서 해당 위치에 삽입될 수 있다.
캡부재(110)의 차단막(113)이 정해진 위치까지 하강하여 안착부재(120)와의 결합이 완료되면, 안착부재(120)의 해당 부분은 탄성에 의한 위치가 복원되어 차단막(113) 쪽으로 압력을 가해 밀폐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캡부재(110)의 차단막(113)이 안착부재(120)의 제2 평탄부분(1221b)에 삽입되어 위치함에 따라 복수 개의 관통구(S122)를 구비하고 있는 연장부(122)의 내측을 빙 둘러 막아, 복수 개의 관통구(S122)는 차단막(113)에 의해 막히게 된다.
용기 본체(200)에 담겨있는 내용물(예, 주 내용물)인 유체 내용물(예를 들어, 유산균 발효음료 등)은 개방된 관통구(S122)를 통해 용기 본체(200)의 유체 내용물이 안착부재(120) 위에 위치할 수 있다.
하지만, 위에 기재한 것처럼, 기둥 부분(1222)은 안착부(121)와 연결된 제2 평탄 부분(1221b)의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기둥 부분(1222)과 안착부(121) 사이에는 제1 및 제2 평탄 부분(1221a, 1221b)으로 하부가 막혀 있다.
또한, 차단막(113)에 의해 복수 개의 관통구(S122)는 막히게 되므로, 주 내용물은 관통구(S122)를 통과할 수 없거나 통과하기가 매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관통구(S122)를 막고 있는 차단막(113)의 밀폐력의 향상으로 인해, 관통구(S122)를 통해 용기 본체(200)의 유체 내용물인 주 내용물이 안착부재(120)의 내부 공간 속으로 유입되기가 더욱 곤란 해진다.
본 예에서, 곡선 구간(P21b)은 직선 구간(P21a)과의 연결 부분에서 곡면을 갖고 있고 나머지 부분에서는 외측으로 경사지거나 지면에 수직한 직선면을 가질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을 참고하면, 안착부재(120)의 테두리부(123)는 연장부재(122)의 복수 개의 기둥 부분(1222)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단으로부터 위쪽 방향으로 돌출된 후 외측으로 지면과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테두리부(123)는 위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1 부분(1231) 및 이 제1 부분(1231)과 연결되어 있고 지면과 평행하게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2 부분(1232)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예에서, 테두리부(123)의 제1 부분(1231)은 인접한 두 기둥 부분(1222) 사이에도 끊김없이 위치하므로, 테두리부(123)의 평면 형상은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테두리부(123)는 안착부재(120)가 용기 본체(200)의 주입구(204) 속으로 삽입되는 경우, 이미 기술한 것처럼, 주입구(204)와 인접한 용기 본체(200)의 상단부 즉, 결합벽(114)과 측부(112) 사이의 결합부(202) 내부면과 밀착될 수 있다. 이때, 결합벽(114)은 인접한 제1 부분(1231)와 내측면과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밀착 동작에 의해, 안착부재(120)는 용기 본체(200)와 캡부재(110)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결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후크부(124)는 테두리부(123)의 제2 부분(1232)으로부터 아래쪽 방향으로 연장된다. 후크부(124)는 용기 본체(200)의 결합부(202)의 상부 외측면에 밀착하여 결합된다.
즉,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것처럼, 후크부(124)의 단부는 외측 방향의 반대인 내측 방향[즉, 안착부재(120) 쪽]으로 돌출되어 있어 용기 본체(200)의 결합부(202) 외측면의 함몰된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후크부(124)를 통해 안착부재(120)는 용기 본체(20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밀폐부재(13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있고, 안착부재(120) 위에 안착부재(120)와 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밀폐부재(130)는 하부에 위치하는 안착부재(120), 즉 안착부(121) 및 제2 평탄 부분(1221b)과 유사한 평면 윤곽을 가질 수 있다. 한 예로서, 본 예의 밀폐부재(130)는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상부(131) 및 상부(131)에 연결된 차단막(예, 제1 차단막)(132)을 구비할 수 있다.
상부(131)는 원형의 평면 형상을 판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밀폐부재(130)의 상면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상부(131)는 캡부재(110)의 상부(111)에 위치한 상부 걸림턱(1111)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차단막(132)은 상부(131)의 내부면에서 아래 쪽으로 상부(131)의 내부면에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는 부분으로서,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벽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차단막(132)은 밀폐부재(130)의 측면을 이룰 수 있고, 밀폐부재(130)의 하부는 차단막(132)에 의해 완전히 에워싸여져 있는 원형의 빈 공간(S13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차단막(132)은 상부(131)의 외측 가장자리부에 연결되게 위치하는 대신 외측 가장자리부보다 내측에 위치한 부분에 연결되어 아래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차단막(132)에 의해 에워싸여진 빈 공간(S130)의 지름은 상부(131)의 지름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상부(131)와 차단막(132)로 인해,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밀폐부재(130)는 상부와 측부는 막혀져 있고 하부는 개방될 수 있다.
밀폐부재(130)의 상부(131)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캡부재(110)의 가운데 빈 공간과 인접해 있는 상부 걸림턱(1111)에 위치하여,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캡부재(110)의 가운데 빈 구멍(S110)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아래 쪽인 안착부재(120) 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밀폐부재(130)의 차단막(132)은 안착부재(120)의 제1 평탄 부분(1221a)의 상면까지 연장되어 제1 평탄 부분(1221a)의 상면에 접하게 위치하여 제1 평탄 부분(1221a)의 해당 부분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해진 간격으로 평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1 평면 부분(1221a)과 제2 평면 부분(1221b) 위에 각각 제1 차단막(132)과 제2 차단막(113)이 위치하므로, 제1 차단막(132)과 제2 차단막(113) 사이에는 밀폐된 밀폐 공간(S100)이 생성될 수 있다.
이 밀폐 공간(S100)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것처럼, 제1 및 제2 차단막(132, 113), 안착부재(120) 및 밀폐부재(130)의 상부(131)에 의해 에워싸여지 밀폐된 공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밀폐부재(130)의 차단막(132) 역시 인접한 기둥 부분(1222) 사이의 관통구(S122)를 막고 있는 캡부재(110)의 차단막(113)과 인접하게 위치하여, 관통구(S122)를 빙 둘러 막게 된다.
따라서,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것처럼, 밀폐부재(130)의 개방된 하부는 안착부재(120)의 안착부(121)에 의해 막혀 있고, 안착부재(120)의 관통구(S122)는 캡부재(110)의 차단막(113)과 밀폐부재(130)의 차단막(132)에 의해 이중으로 밀폐됩니다. 결국, 제1 차단막(132)과 제2 차단막(113)은 관통구(S122)를 막는 이중 차단막으로 기능하게 된다.
이러한 이중 차단막(132, 113)에 의해 관통구(S122)가 안전하게 밀폐되므로, 부 내용물이 위치하는 밀폐부재(130)의 내부 공간(S130)은 안전하게 밀폐력될 수 있다.
따라서, 용기 본체(200)에 위치하고 있는 주 내용물인 유체 내용물은 관통구(S122)를 통과하지 못해 안착부재(120)에 위치하고 있는 부 내용물인 고체 내용물과 혼합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안착부재(120)의 부 내용물은 밀폐된 내부 공간(S130) 속에 안전하게 단독으로 보관되어, 각 내용물의 보관 기간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해당 제품의 유통 기간 또한 증가한다.
이에 더해, 안착부재(120)의 관통구(S122)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제1 평탄 부분(1221a)과 제2 평탄 부분(1221b)에 위치하고 있는 제1 차단막(132)와 제2 차단막(113)에 의해 이중으로 밀폐되어 있으므로, 안착부재(120) 내의 밀폐된 공간(S130)의 밀폐력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 차단막(132)과 제2 차단막(113) 사이에 밀폐 공간(S100)이 존재하므로, 용기 본체(200)의 주 내용물 중 일부가 관통구(S122)를 통과하더라도 밀폐 공간(S100) 내에 머무르게 된다. 따라서, 안착부재(120)에 위치하는 부 내용물은 관통구(S122)를 통해 누출된 주 내용물과 분리 보관될 수 있다.
더욱이, 안착부재(120)의 측면이 계단 형태로 이루어져 부 내용물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안착부(121)에 위치하므로, 관통구(S122)를 통해 누출된 주 내용물은 안착부(121) 쪽으로 유입되기가 매우 곤란하거나 어려워진다.
임시고정부(140)는 용기 본체(200)를 둘러싸고 있고, 캡부재(110) 및 용기 본체(200)의 적어도 일부에 결합된다.
또한, 임시고정부(140)는 외력에 의해 캡부재(110)가 회전함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용기 본체(200)로부터 이탈된다. 이러한 임시고정부(140)는 캡부재(110)와 연결되어 있는 연결부(141) 및 연결부(141)에 연결되어 있고 용기 본체(200)의 외주면에 위치하는 언더컷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런 상태에서, 마개(100)의 개폐하기 위해 캡부재(110)가 회전되면, 연결부(141)는 연결 상태가 끊어지면서 언더컷부(142)로부터 분리되어 이탈될 수 있다.
연결부(141)는 도 1b에 도시한 것처럼 캡부재(110)와 언더컷부(142) 사이에 위치하여, 캡부재(110)와 언더컷부(142)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141)는 정해진 간격으로 캡부재(110)의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서 이격되게 위치하므로, 연결부(141)의 개수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141)를 상부 또는 하부에서 바라보면, 방사상으로 배치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141)는 캡부재(110)의 회전 동작에 의해 그 연결 상태가 파손되어, 본 예의 마개(100)를 용기 본체(2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캡부재(110)를 에워싸고 있는 보호 캡부재(150)를 제거한 후 외력을 가하여 캡부재(110)를 회전시키면, 연결부(141)가 상방으로 분리되고 언더컷부(142)는 제자리인 용기 본체(200)의 외주면에 남아있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연결부(141)는 연결되어 있는 캡부재(110) 및 언더컷부(142)과 분리되어, 캡부재(110) 역시 용기 본체(200)에 위치하는 언더컷부(142)와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마개(100)를 열 수 있게 된다.
언더컷부(142)는 내부가 비어 있는 형상으로 'V'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언더컷부(142)는 용기 본체(200)의 외주면에 위치한 걸림턱(미도시)과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걸림턱은 언더컷(142)의 회전 동작 역시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삽입 결합에 의해 캡부재(110)의 회전에 이루어질 때도, 언더컷부(142)는 용기 본체(200)의 해당 외주면에 회전되지 않고 위치하므로, 용이하게 연결부(141)가 파손되어 마개(100)의 개방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를 갖고 있는 마개(100)는 캡부재(110)가 용기 본체(200)의 결합부(202)와 나사 결합되어 용기 본체(200)의 주입구(204)를 막게 되면, 용기 본체(200)의 내부에는 밀폐된 내부 공간(S200)이 형성된다.
또한, 캡부재(1101)와 안착부재(120)가 결합된 마개(100)의 내부에는 상부 캡부재(110), 차단막(113) 및 안착부재(120)가 이루는 밀폐 공간(S130)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내부 캡(1101)의 상부(111), 차단막(113) 및 안착부(121)가 이루는 내부에 밀폐공간(S130)이 형성된다.
이때, 내부 캡(1101)의 내부로 안착부재(120)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차단막(113)의 끝단은 안착부재(120)의 제2 평탄 부분(1221b)에 밀착되게 삽입 고정되고, 밀폐부재(130)의 측부(132)는 제1 평탄 부분(1221a)에 밀착되게 위치할 수 있다.
보호 캡부재(150)는 캡부재(110)를 외측에서 감싸고 있는 부분으로서, 캡부재(1101)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보호 캡부재(150) 역시 상부과 측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부는 가운데에 빈 공간을 갖는 원형의 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캡부재(110)의 상부(111) 위에 상부(111)와 접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호 캡부재(150)의 상부에 위치하는 빈 공간은 캡부재(1101)의 상부(111)에 위치한 구멍(S110)과 대응되게 위치할 수 있다.
보호 캡부재(150)의 측부는 상부의 외측 가장자리부에 연결되어 있고, 캡부재(110)의 측부(112) 위에 측부(112)와 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보호 캡부재(150)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이런 상태에서 사용자가 보호 캡부재(150)를 제거한 후, 캡부재(110)를 손으로 잡고 외력을 가하여 회전시키면, 캡부재(1101)와 연결부(141)의 연결이 끊어져, 내부에 안착부재(120)와 밀폐부재(130)가 결합되어 있는 캡부재(110)가 용기 본체(2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언더컷부(142)는 용기 본체(200)의 외주면에 남아 있게 된다.
또한, 캡부재(110)의 상부 걸림턱(1111)에 밀폐부재(130)가 얹혀져 위치하므로, 캡부재(110)의 탈거 시 안착부재(120)와 결합되어 있는 밀폐부재(130) 역시 함께 탈거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마개(100)가 용기 본체(200)로부터 분리되면, 사용자는 분리된 용기 본체(200)에서 밀착부(120)를 제거하여 밀폐 공간(S130) 속에 담겨 있는 부 내용물과 용기 본체(200) 속에 담겨있는 주 내용물을 섭취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개봉 전 캡부재(110)가 안착부재(120)와 결합되면, 캡부재(110)의 차단막(113)은 관통구(S122)가 위치하는 기둥 부분(1222)와 안착부재(120) 사이에 위치하고 안착부재(120)의 복원력에 의해 차단막(113)쪽으로 압력이 인가된다. 이로 인해, 차단막(113)과 기둥 부분(1222) 사이의 밀폐력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밀폐부재(130)의 차단막(132)에 의해, 개방된 관통구(S122)는 다시 추가적으로 막히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 내용물이 위치하는 밀폐된 공간(S130)의 밀폐력이 증가하여 용기 본체(200)의 내부공간(S200)에 있는 주 내용물과 안착부재(120)에 위치한 부 내용물은 서로 섞이지 않게 된다.
또한, 개봉 후 캡부재(110) 및 밀폐부재(130)가 용기 본체(200)와 안착부재(120)로부터 분리되므로, 관통구(S122)를 막고 있는 차단막(113, 132)이 해당 위치에서 이탈하여 관통구(S122)는 개방 상태가 되어, 용기 본체(200)의 유체 내용물은 관통구(S122)를 통해 내부 공간(S130) 속으로 유입될 수 있는 개방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런 상태에서, 사용자가 용기 본체(200) 내의 주 내용물을 음용하게 될 때 용기 본체(200) 내의 주 내용물은 관통구(S122)를 통해 해당 공간(S130) 속으로 유입되면서 편하게 안착부재(120)에 위치하고 있는 부 내용물도 주 내용물과 함께 편안하고 간편하게 섭취하게 된다.
즉, 캡부재(110)를 개봉하기 전까지는 용기 본체(200)와 마개(100)에 각각 담겨있는 주 내용물과 부 내용물이 서로 섞이지 않도록 하여 두 내용물의 변질 등의 문제를 방지하여, 주 내용물과 부 내용물 각각의 성분을 변질없이 신선하게 유지하여 보관할 수 있다.
(제2 예)
다음, 도 5 내지 도 8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예의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100a)를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와 예들에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100)와 비교할 때, 동일한 구조를 갖고 같은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같은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이때, 동일한 구조라는 의미에는 크기까지 동일하다는 의미는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본 예의 마개(100a)는 역시 캡부재(110a), 안착부재(120), 밀폐부재(130a) 및 임시 고정부(140)를 구비할 수 있고, 부 캡부재(150)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본 예의 마개(100a)에서, 캡부재(110a) 및 밀폐부재(130a)는 구조는 제1 예의 마개(100)에 구비된 캡부재(110) 및 밀폐부재(130)와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본 예의 캡부재(110a)는 차단막(113)과 결합벽(114)을 구비하고 있지 않으며, 이로 인해, 차단막(113)으로 한정되는 가운데 부분에 빈 구멍 역시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예의 캡부재(110a)는 상부(111a)와 측부(11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부(111a)는 캡부재(110a)의 상면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판 형태일 수 있고, 가운데 움푹 들어간 부분인 함몰부(1111)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함몰부(1111) 역시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함몰부(1111)로 인해 상부(111a)의 외부면은 단차 구조를 갖는 반면, 내부면, 즉 외부면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밀폐부재(130)와 접하는 면은 단차 없는 평탄면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캡부재(110a)에서 차단막(113)과 결합벽(114)이 생략됨에 따라, 이러한 차단막(113)과 결합벽(114)의 기능은 밀폐부재(130a)에서 행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예의 밀폐부재(130a)는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상부(131a), 상부(131)에 연결된 제1 차단막(132) 및 제2 차단막(133), 그리고 결합벽(134)을 구비할 수 있고, 내부에 부 내용물이 위치하는 공간(S130a)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이중 차단막은 제1 평탄 부분(1221a)에 위치하는 제1 차단막(132)과 제2 평탄 부분(1221b)에 위치하는 제2 차단막(S133)에 의해 형성되고, 이 제1 차단막(132)과 제2 차단막(133) 사이에 밀폐 공간(S100)이 위치할 수 있다.
이미 기술한 것처럼, 캡부재(110)의 상부(111a)는 모두 막혀있는 구조이므로, 밀폐부재(130a)의 상부가 걸쳐져 위치하는 상부 걸림턱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예의 밀폐부재(130a)의 상부(131a)는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안착부재(120)의 테두리부(123) 위에 걸쳐져 위치하여, 캡부재(110a)의 상부(111a) 내부면과 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예의 밀폐부재(130a)의 상부(131a)의 지름은 제1 예의 밀폐부재(130)의 상부(131)의 지름보다 클 수 있다.
또한, 밀폐부재(130a)의 상부(131a)는 그 위에 접하게 위치한 캡부재(110)의 상부(111a)의 내부면과 접착제 등을 통해 접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에 의해 캡부재(110)의 회전이 이루어져 마개(100a)의 개방 동작이 행해질 때, 캡부재(110a)와 함께 이에 부착된 밀폐부재(130a)도 함께 용기 본체(200)에서 분리되어, 제1 및 제2 차단막(132, 133)에 의해 막혀 있던 관통구(S122)의 개방 동작이 행해질 수 있다.
본 예의 밀폐부재(130a)에서, 제2 차단막(133)과 결합벽(134)은 제1 차단막(132)으로부터 외측으로 정해진 거리만큼 차례대로 이격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제1 및 제2 차단막(132, 133) 및 결합벽(134)은 모두 아래쪽으로 정해진 길이만큼 연장되어 있고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있지만, 서로 다른 연장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제2 차단막(133)의 연장 길이가 제일 길고, 결합벽(134)의 연장 길이가 제일 짧을 수 있다.
본 예에서, 제2 차단막(133)과 결합벽(134)의 기능은 도 1 내지 도 5의 캡부재(110)에 위치한 차단막(113)과 결합벽(114)의 기능과 각각 동일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제2 차단막(133)은 밀착부(120)의 제2 평탄 부분(1221b)까지 삽입되어 제2 평탄 부분(1221b)의 상부면과 밀착되어 제2 평탄 부분(1221b)에 압력을 가하게 위치할 수 있고, 결합벽(134)은 인접한 기둥 부분(1222)의 부분과 밀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밀폐부재(130a)의 제1 차단막(132)은 제1 예에 따른 마개(100)의 경우와 동일하게 안착부재(120)의 제1 평탄 부분(1221a)까지 연장되어 제1 평탄 부분(1221a)의 상면과 밀착되어 제1 평탄 부분(1221a)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예의 마개(100a)에서는 마개(100)의 캡부재(110)에 위치하던 차단막(113)과 결합벽(114)이 밀폐부재(130a)에 모두 위치하므로, 캡부재(110a)의 구조가 간소화되는 효과가 추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제3 예)
다음, 도 9 내지 도 12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3 예를 설명한다.
제2 예의 마개(100a)와 비교할 때, 본 예의 마개(100b) 역시 캡부재(110b), 안착부재(120), 밀폐부재(130b) 및 임시 고정부(140)를 구비할 수 있다.
하지만, 제2 예의 마개(100a)와 달리, 캡부재(110b)에는 안착부재(120)의 제1 평탄 부분(1221a)에 위치하는 제1 차단막(115)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예의 캡부재(110b)는 상부(111a), 측부(112) 및 제1 차단막(115)을 구비할 수 있다.
상부(111a) 역시 가운데 부분에 함몰부(1111)을 구비하고 있는 원형의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차단막(115) 역시 상부(111a)의 내부면의 해당 부분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차단막(115)은, 이미 기술한 것처럼, 안착부재(120)의 제1 평탄 부분(1221a)의 상면까지 연장되어 제1 평탄 부분(1221a)의 상면과 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밀폐부재(130b)는 제1 및 제2 예의 밀폐부재(130, 130a)와 달리, 상부 가운데 부분에 구멍(S130b)을 구비할 수 있다.
안착부재(120)와 결합되는 본 예의 밀폐부재(130b)는 상부(131b), 상부(131b)의 내부면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안착부재(120)의 제2 평탄 부분(1221b)의 상부면과 접하게 위치하는 제2 차단막(133) 및 상부(131b)의 내부면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안착부재(120)의 기둥 부분(1222)과 접하게 위치하는 결합벽(134)을 구비할 수 있습니다.
밀폐부재(130b)의 제2 차단막(133)은 상부(131b)에 위치한 구멍(S130b)의 가장자리부에 연결되어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구멍(S130b)을 에워싸게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예에서, 제1 평탄 부분(1221a)에 위치하는 제1 차단막(115)과 제2 평탄 부분(1221b)에 위치하는 제2 차단막(133)에 관통구(S122)를 막는 이중 차단막이 형성되고, 이 제1 차단막(115)과 제2 차단막(133) 사이에 밀폐 공간(S100)이 위치할 수 있다.
본 예에서, 밀폐부재(130b)이 상부(131b)는 단차 없는 평탄면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예의 밀폐부재(130b)는 제2 예의 경우와 같이, 안착부재(120)의 테두리부(123) 위에 걸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한 것처럼, 밀폐부재(130b)의 상부(131b)의 내부면이 안착부재(120)의 테두리부재(123) 위에 접하게 위치하고 있고, 그 위에 위치하고 있는 캡부재(110)의 내부면과 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미 기술한 것처럼,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밀폐부재(130b)의 상부(131b)는 인접한 캡부재(110)의 상부(111a) 내부면과 접착될 수 있어, 캡부재(110b)의 개방 동작 시 밀폐부재(130b)도 함께 용기 본체(200)로부터 분리되어, 안착부재(120)와도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예에서, 안착부재(120)와 결합되는 제1 차단막(115), 제2 차단막(133) 및 결합벽(134)이 캡부재(110b)와 밀폐부재(130b, 130b1))에 분산되어 위치하므로 캡부재(110b)와 밀폐부재(130b, 131b)의 구조가 간소화되는 효과가 추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제4 예)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4 예의 마개(100c)는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한 마개(100b)와 비교할 때 다음과 같은 사항을 제외하면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한 마개(100b)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본 예의 마개(100c)는 밀폐부재(130b1)에서, 밀폐부재(130b1)의 상부(131b1)는 구멍(S130b)과 접해 있는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움푹 들어간(즉, 함몰된) 원형의 띠 형상을 갖는 함몰부(1311b)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기둥 부분(1222)은 제2 평탄 부분(1221b1)의 측면에서 연장되는 것이 아니라, 도 15에 도시한 것처럼, 제2 평탄 부분(1221b1)의 상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복수 개의 기둥 부분(1222)은 제2 평탄 부분(1221b1)의 측면이 아닌 상면에 연결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처럼, 제2 평탄 부분(1221b1)의 상면, 즉 내측 바닥면에 기둥 부분(1222)이 위치함에 따라, 본 예의 제2 평탄 부분(1221b1)의 폭, 즉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평탄면의 길이는 적어도 기둥 부분(1222)의 두께만큼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각 기둥 부분(1222)은 장착 위치만 상이할 때, 구조는 이미 기술한 기둥 부분(1222)과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함몰부(1311b)에 의해, 도 15에 도시한 것처럼, 캡부재(110b)와 밀폐부재(130b1) 사이에는 캡부재(110b)와 접착되지 않은 부분이 존재할 수 있다.
즉, 함몰부(1311b) 및 이 함몰부(1311b)와 인접한 캡부재(110b)의 상부 내부면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용기 본체(200)에서 캡부재(110b)가 분리된 후 캡부재(110b)의 내부면에 부착되어 있는 밀폐부재(130b1)를 캡부재(110b)에서 떼어 낼 때, 함몰부(1311)에 의해 접착 면적이 감소하므로, 좀 더 용이하게 캡부재(110b)에서 밀폐부재(130b1)의 분리 동작이 행해질 수 있는 추가적인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기둥 부분(1222)이 제2 평탄 부분(1221b)의 측면이 아니라 상면에 위치하므로, 복수 개의 기둥 부분(1222)은 제2 평탄 부분(1221b)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튀어나는 부분이 없어지거나 감소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기둥 부분(1222)에 의한 필요한 공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추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는 주입구를 구비하는 용기 본체와 결합되는 캡부재 및 상기 캡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주입구를 막고, 부 내용물이 위치하는 안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캡부재는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상부, 상부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제1 차단막 및 제1 차단막에서 외측으로 이격되어 있고, 상부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제2 차단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안착부재는 상기 부 내용물이 위치하는 안착부, 안착부와 연결되어 있고, 제1 차단막이 위치하는 제1 평탄 부분, 제1 평탄 부분과 연결되어 있고, 제2 차단막이 위치하는 제2 평탄 부분 및 제2 평탄 부분의 외측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기둥 부분의 사이에 위치하고, 제1 차단막과 상기 제2 차단막으로 막혀 있는 복수 개의 관통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6 내지 도 2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의 다양한 예를 설명한다.
도 16 내지 도 29에 도시한 본 실시예의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 역시 제1 실시예의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와 동일하게 용기 본체(200)와 결합되어, 용기 본체(200)와 함께 용기(1)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본 예에서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와 결합되는 용기 본체(200)의 구조 및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와의 결합 방식은 이미 제1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고, 본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예의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와 비교할 때, 본 실시예의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는 밀폐부재를 구비하지 않아 밀폐부재가 생략되어 있고, 캡부재, 안착부재 및 임시 고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임시 고정부의 구조 역시 이미 기술한 제1 실시예의 임시 고정부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어,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 역시 생략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캡부재가 안착부재와의 밀착 결합되어 안착부재 내에 위치하는 부 내용물과 용기 본체(200) 내에 위치한 주 내용물의 분리 수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예의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예)
먼저, 도 16 내지 도 19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예의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100d)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예의 마개(100d)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밀폐부재가 생략되어 있어, 캡부재(110d), 안착부재(120) 및 임시 고정부(14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캡부재(110d)에 안착부재(120)와의 결합을 위한 제1 및 제2 차단막과 결합벽이 모두 위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도 17 및 도 19에 도시한 것처럼, 캡부재(110d)는 가운데 부분에 함몰부(1111)를 구비한 상부(111b), 측부(112), 상부(111b)의 내부면에서 각 해당 위치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 차단막(115), 제2 차단막(113) 및 결합벽(114)이 위치할 수 있다.
이미 기술한 것처럼, 가장 낮은 위치에 위치한 안착부재(120)의 제2 평판 부분(1221b)에 위치하는 제2 차단막(113)의 연장 길이가 가장 길고, 가장 높은 위치에 위치한 안착부재(120)의 기둥 부분(1222)의 해당 부위와 접하게 위치하는 결합벽(114)의 연장 길이가 가장 짧을 수 있다.
제1 및 제2 차단막(115, 113)과 결합벽(114)은 모두 도 19에 도시한 것처럼 그 위치와 연장 길이만 상이할 뿐 모두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차단막(115, 113)과 결합벽(114)의 기능은 이미 기술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관통구(S122)를 막는 이중 차단막은 제1 차단막(115)과 제2 차단막(113)에 의해 형성되고, 이 제1 차단막(115)과 제2 차단막(113) 사이에 밀폐 공간(S100)이 위치할 수 있다.
본 예에서, 도 17에 도시한 것처럼, 캡부재(110d)와 밀폐부재(120)로 에워싸여진 공간(S110d) 속에 부 내용물이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예에서, 밀착부가 생략되므로, 마개(100d)의 구조가 간소화되고, 제조 비용도 절감되는 효과가 추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제2 예)
도 20 내지 도 23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2 예의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100e)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예의 마개(100e) 역시 캡부재(110e), 안착부재(120e) 및 임시 고정부(140)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예의 캡부재(110e)는 제1 예의 캡부재(110d)와 비교할 때 동일하게, 가운데 부분에 함몰부(1111)를 구비한 상부(111b), 측부(112), 상부(111b)의 내부면에서 각 해당 위치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 차단막(115), 제2 차단막(113) 및 결합벽(예, 제1 결합벽)(114)이 위치할 수 있다.
하지만, 캡부재(110d)와 달리, 본 예의 캡부재(110e)는 제1 결합벽(114)에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어 있어, 제1 결합벽(114)과 측부(112) 사이에 위치하는 결합벽(117)(예, 제2 결합벽)(117)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습니다.
본 예의 제1 및 제2 차단막(115, 113)과 제1 결합벽(114)은 제1 예의 경우와 비교할 때 그 위치와 연장 길이만 상이할 뿐, 도 21에 도시한 것처럼 모두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원형의 돌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3에 도시한 것처럼, 본 예의 경우, 그 연장 길이는 제1 차단막(115) > 제2 차단막(113) > 제1 결합벽(114) > 제2 결합벽(117)와 같이, 제1 차단막(115)의 연장 길이가 가장 길고, 제2 결합벽(117)의 연장 길이가 가장 짧을 수 있다.
제1 및 제2 차단막(115, 113)과 결합벽(114) 모두 도 19에 도시한 것처럼 그 위치와 연장 길이만 상이할 뿐 모두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예의 제1 결합벽(114)은 이미 기술한 것처럼, 캡부재(110e)와 안착부재(120e)가 결합될 때, 인접한 테두리부(123)의 제1 부분(1231)과 밀착될 수 있다.
또한, 도 23에 도시한 것처럼, 제1 결합벽(114)보다 짧은 연장 길이를 갖는 제2 결합벽(117)은 테두리부(123)의 제2 부분(1232)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후크부(124)의 인접한 면과 밀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도 23에 도시한 것처럼, 테두리부(123)의 제1 부분(1231)과 후크부(124)는 두 결합벽(114, 117) 사이에 밀착 결합될 수 있어, 캡부재(110d)와 안착부재(120d)의 결합 동작은 더욱 더 안전하게 행해질 수 있다. 또한, 본 예의 안착부재(120e) 역시 안착부(121)와 연장부재(122e)를 구비할 수 있다.
안착부(121)는 이미 기술한 것과 동일하게 연장부재(122e)에서 위쪽 방향으로 정해진 길이만큼 돌출된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부분으로서, 연장부재(122e)와 연결되어 있는 측면과 측면에 연결되어 있는 원형의 상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안착부(121)의 상면 가운데 부분에는 움푹 들어간 함몰부(1211)가 존재할 수 있고, 이러한 함몰부(1211)는 생략될 수 있다.
연장부재(122e)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안착부(121)의 측면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순차적으로 이격되어 있는 제1 평탄 부분(1221c) 및 제2 평탄 부분(1221d), 제2 평탄 부분(1221d)의 하단부와 끊김없이 연결되어 있는 복수 개의 기둥 부분(1222)을 구비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예의 연장부재(122e)는 제1 평탄 부분(1221c)과 제2 평탄 부분(1221d) 사이에서 위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기 부분(1223)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평탄 부분(1221c)와 제2 평탄 부분(1221d)는 돌기 부분(1223)에 의해 분리될 수 있어, 돌기 부분(1223)은 막음판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미 기술한 것처럼, 제1 및 제2 평탄 부분(1221c, 1221c)은 지면과 평행한 방향인 평면 방향을 따라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평탄면일 수 있다.
이때, 도 23에 도시한 것처럼, 본 예에서, 제1 평탄 부분(1221c)의 높이는 제2 평탄 부분(1221d)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이로 인해, 각 타단이 원형의 테두리부(123)에 연결되어 있는 본 예의 각 기둥 부분(1222)은 일단이 제1 평탄 부분(1221c)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한 제2 평탄 부분(1221d)의 끝단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각 기둥 부분(1222)는 돌기 부분(1223)의 외측면에 연결된 후 제2 평탄 부분(1221d)의 폭만큼 평면 방향으로 연장된 후 위쪽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관계를 제외하면, 본 예의 기둥 부분(1222)은 이미 기술한 것과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형상을 갖는 복수 개의 기둥 부분(1222)은 돌기 부분(1223)의 외측 둘레를 따라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인접한 두 기둥 부분(1222) 사이에는 빈 공간인 관통구(S122)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기둥 부분(1222)은 제2 평탄 부분(1221d)과 연결되어 제2 평탄 부분(1221d)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고, 제1 및 제2 평탄 부분(1221c, 1221d)의 연장방향과는 다른 방향(예,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예의 돌기 부분(1223)은, 이미 기술한 것처럼,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제1 평탄 부분(1221c)와 제2 평탄 부분(1221d) 사이에 위치함에 따라 제1 평탄 부분(1221c)과 제2 평탄 부분(1221d)를 분할하여 막는 원형의 막음벽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돌기 부분(1223)의 돌출 높이는 안착부(121)의 돌출 높이보다 높아 막음벽의 기능을 원활히 수행하며, 제1 차단막(115)의 파손 시 안착부(121)에 위치하는 부 내용물의 위치 한정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예의 돌기 부분(1223)에 의해, 제1 평탄 부분(1221c)의 양 측부는 안착부(121)의 측면과 돌기 부분(1223)의 내측면으로 막혀 있어 하나의 삽입홈(예, 제1 삽입홈)을 형성하고, 제2 평탄 부분(1221d)의 양 측부는 돌기 부분(1223)의 외측면과 기둥 부분(1222)의 내측면으로 막혀 있어 하나의 삽입홈(예, 제2 삽입홈)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차단막(115)은 제1 삽입홈에 삽입되어 하단이 내측 바닥면인 제1 평탄 부분(1221c)의 상면과 밀접할 때까지 삽입되고, 제2 차단막(113)은 제2 삽입홈에 삽입되어 하단이 내측 바닥면인 제2 평탄 부분(1221d)의 상면과 밀접할 때까지 삽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도 23에 도시한 것처럼, 관통구(S122)를 막는 이중 차단막인 제1 차단막(115)과 제2 차단막(113) 사이에는 캡부재(110d)와 안착부재(120d)에 의해 밀폐되는 밀폐 공간(S10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삽입홈과 제2 삽입홈에 각각 삽입되어 캡부재(110e)와 안착부재(120e)의 결합을 실시하는 제1 차단막(115)과 제2 차단막(113)은 각각 지지대 역할을 수행하는 제1 평탄 부분(1221c)과 제2 평탄 부분(1221d)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캡부재(110e)와 밀폐부재(120e)가 결합될 때, 캡부재(110e)와 밀폐부재(120e)로 에워싸여진 공간(S110c)이 형성되어, 이 공간(S110c) 속에 부 내용물이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이미 기술한 것처럼, 제1 차단막(115)과 제2 차단막(115)에 의한 이중 차단막 사이의 밀폐 공간에 의해, 용기 본체의 주 내용물과 마개의 보조 내용이 혼합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인접한 제1 및 제2 평탄 부분(1221c, 1221d)의 사이에 위치한 돌기 부분(1223)에 의해, 이중 차단막의 밀폐 기능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제3 예)
다음, 도 24 내지 도 26을 참고하고, 본 실시예에 따른 제3 예를 설명한다.
본 예의 마개(100f) 역시 캡부재(110e), 안착부재(120f) 및 임시 고정부(140)를 구비할 수 있다.
캡부재(110e)의 구조는 도 20 내지 도 23에 도시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예의 캡부재(110e)는 상부(111b)의 하부면의 각 해당 위치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 차단막(115), 제2 차단막(113), 제1 결합벽(114) 및 제2 결합벽(117)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 차단막(115)과 제2 차단막(113)의 연장 길이는 도 20 내지 도 23과 상이할 수 있다.
임시 고정부(140)의 구조 역시 이미 기술한 것과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예의 안착부재(120f)는 역시 함몰부(1211)를 구비한 안착부(121), 연장 부재(122f), 테두리부(123) 및 후크부(124)를 구비할 수 있다.
연장 부재(122f) 역시, 도 20과 도 23과 유사하게, 안착부(121)의 하단에 연결되어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제1 평탄 부분(1221e)와 제2 평탄 부분(1222f), 제1 평탄 부분(1221e)과 제2 평탄 부분(1221f) 사이에 위치하는 돌기 부분(1223), 및 복수 개의 기둥 부분(1222)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예의 경우, 도 26에 도시한 것처럼, 제1 평탄 부분(1221e)와 제2 평탄 부분(1221f)의 내측 바닥면은 서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제1 평탄 부분(1221e)와 제2 평탄 부분(1222f)의 외측 바닥면 역시 서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하지만, 안착부(121)는 제1 평탄 부분(1221e)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부분으로, 안착부(121)의 내측 바닥면과 외측 바닥면 모두 제1 평탄 부분(1221e)의 내측 바닥면과 외측 바닥면에 비해 높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안착부(121)와 돌기 부분(1223) 사이에 위치한 제1 삽입홈의 내측 및 외측 바닥면은 각각 돌기 부분(1223)과 기둥 부분(1222) 사이에 위치한 제2 삽입홈의 내측 및 외측 바닥면의 위치와 동일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이들 제1 삽입홈과 제2 삽입홈에 각각 삽입된 후 각각 바닥면을 형성하는 제1 평탄 부분(1221e)와 제2 평탄 부분(1222f)에 접할 때 까지 삽입되는 제1 차단막(115)과 제2 차단막(113)의 연장 길이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이중 차단막의 기능을 실시하는 제1 차단막(115)과 제2 차단막(113)에 의한 관통구(S122)의 밀폐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안착부재(120f)의 구조가 단순해져, 안착부재(120f)의 제조가 용이할 수 있다
(제4 예)
다음, 도 27 내지 도 29을 참고하고, 본 실시예에 따른 제4 예를 설명한다.
본 예의 마개(100g) 역시 캡부재(110e), 안착부재(120g) 및 임시 고정부(140)를 구비할 수 있다.
캡부재(110e)의 구조는 도 20 내지 도 23과 동일하여, 상부(111b)의 하부면의 각 해당 위치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 차단막(115), 제2 차단막(113), 제1 결합벽(114) 및 제2 결합벽(117)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 차단막(115)와 제2 차단막(113)의 아래쪽으로의 연장 길이는 동일할 수 있다.
안착부재(120g) 역시 제3 예와 동일하게 함몰부(1211)를 구비한 안착부(121g), 연장 부재(122f), 테두리부(123) 및 후크부(124)를 구비할 수 있다.
연장 부재(122f) 역시, 제3 예와 동일하게, 제1 평탄 부분(1221e), 제2 평탄 부분(1222f), 제1 평탄 부분(1221e)과 제2 평탄 부분(1221f) 사이에 위치하는 돌기 부분(1223) 및 복수 개의 기둥 부분(1222)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9에 도시한 것처럼, 제1 평탄 부분(1221e)과 제2 평탄 부분(1222f)의 내측 바닥면의 높이는 역시 서로 동일하며, 외측 바닥면의 높이 역시 서로 동일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예의 안착부(121g)는 제3 예와 상이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도 29에 도시한 것처럼, 안착부(121g)는 제1 평탄 부분(1221e)에서, 즉 제1 평탄 부분(1221e)의 상면에서 위쪽 방향으로 돌출된 구조가 아니라, 제1 평탄 부분(1221e)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바닥 부분(121g1)과 이 바닥 부분(121g1)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정해진 높이로 돌출된 격벽(121g2)을 구비할 수 있다.
바닥 부분(121g1)은, 도 27 및 도 29에 도시한 것처럼,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평탄면일 수 있고, 바닥 부분(121g1)의 외측 바닥면은 연결된 제1 평탄 부분(1221e)의 외측 바닥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고 있고, 내측 바닥면은 연결된 제1 평탄 부분(1221e)의 내측 바닥면과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격벽(121g2)은 원형의 바닥 부분(121g1)을 가장자리부에서 완전히 에워싸고 있는 원형의 벽일 수 있다.
이로 인해, 도 29에 도시한 것처럼, 동일한 원형의 판에 서로 이격되게 격벽(121g2)과 돌기 부분(1223)이 위쪽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고, 격벽(121g2)과 돌기 부분(1223)의 돌출 길이는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예의 안착부(121g)는 바닥 부분(121g1)과 격벽(121g2)에 의해 하부와 측부가 막혀있고, 상부는 개방된 구조를 가질 수 있어, 개방된 상부를 통해 안착부(121g) 내부에 부 내용물이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격벽(121g2)과 돌기 부분(1223) 사이에는 제1 삽입홈이 형성되고, 돌기 부분(1223)과 기둥 부분(1222) 사이에는 제2 삽입홈이 형성되어, 제1 삽입홈과 제2 삽입홈 사이에 제1 차단막(115)과 제2 차단막(113)이 삽입되어, 이중 차단막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부 내용물이 위치하는 안착부재(120g)의 개방된 상부는 캡부재(110e)의 상부(111b)에 의해 막히고, 격벽(121g1)에 의해 막혀 있지 않은 바닥 부분(121g1)의 측부는 제1 차단막(115)에 의해 완전히 막히게 된다.
따라서, 바닥 부분(121g1), 격벽(121g1)과 제1 차닥막(115), 그리고 캡부재(110d)에 의해 완전히 에워싸여진 공간(S110c) 속에 부 내용물이 안전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안착부재(120g)의 구조는 더욱 단순화되어, 마개(100g)의 구조가 간단해지는 효과가 추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해당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용기 100, 100a- 100e, 100c: 용기 마개
200: 용기 본체 110, 110a-110d: 캡부재
120,120e-120g: 안착부재 130, 130a, 130b, 130b1: 밀폐부재
121, 121g: 안착부 121g1: 바닥 부분
121g2: 격벽 1221a, 1221c, 1221e: 제1 평탄 부분
1221b, 1221d, 1221f: 제2 평탄 부분 1222: 기둥 부분
1223: 돌기 부분 114, 117, 134: 결합벽
132, 115: 제1 차단막 113, 133: 제2 차단막
131, 131a, 131b, 131b1: 상부 1111: 상부 걸림턱
131b: 함몰부 S110, S130b: 구멍:
S100: 밀폐 공간 S122: 관통구

Claims (27)

  1. 주입구를 구비하는 용기 본체와 결합되는 캡부재;
    상기 캡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주입구를 막고, 부 내용물이 위치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와 연결되어 있고 제1 차단막이 위치하는 제1 평탄 부분, 제1 평탄 부분과 연결되어 있고 제2 차단막이 위치하는 제2 평탄 부분 및 상기 제2 평탄 부분의 외측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기둥 부분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차단막과 상기 제2 차단막으로 막혀 있는 복수 개의 관통구를 포함하는 안착부재; 및
    상기 캡부재 및 상기 안착부재와 결합되어 있는 밀폐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차단막과 상기 제2 차단막은 상기 캡부재 및 상기 밀폐부재 또는 상기 밀폐부재에 위치하는 마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는,
    상부; 및
    상기 상부에서 아래쪽으로 상기 안착부의 상기 제1 평탄 부분까지 연장하여 상기 제1 평탄 부분에 위치하는 제1 차단막
    을 포함하고,
    상기 캡부재는,
    가운데에 빈 구멍을 갖는 상부; 및
    상기 구멍의 가장자리부에서 아래쪽으로 상기 안착부의 상기 제2 평탄 부분까지 연장하여 상기 제2 평탄 부분에 위치하는 제2 차단막을 포함하는 마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는 상기 구멍과 접해 있는 가장자리부에 위치하고 상기 밀폐부재의 상부가 위치하는 함몰된 상부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마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는,
    상부;
    상기 상부에서 상기 안착부의 상기 제1 평탄 부분까지 연장하여 상기 제1 평탄 부분에 위치하는 제1 차단막; 및
    상기 제1 차단막에서 외측으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상부에서 상기 제2 평탄 부분까지 연장하여 상기 제2 평탄 부분에 위치하는 제2 차단막
    을 포함하는 마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의 상기 상부는 인접한 상기 캡부재와 접착되어 있는 마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는,
    상부; 및
    상기 상부에서 상기 안착부의 상기 제1 평탄 부분까지 연장하여 상기 제1 평탄 부분에 위치하는 제1 차단막
    을 포함하고,
    상기 밀폐부재는,
    상부; 및
    상기 상부에서 상기 안착부의 상기 제2 평탄 부분까지 연장하여 상기 제2 평탄 부분에 위치하는 제2 차단막
    을 포함하는 마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상부의 가운데에 위치하는 구멍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차단막은 상기 구멍과 접하는 상기 구멍과 접해 있는 가장자리부에 연결되어 있는 마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의 상기 상부는 인접한 상기 캡부재와 접착되어 있는 마개.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구멍과 접해 있는 가장자리부에 위치하는 함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함몰부와 상기 캡부재의 인접한 부분은 서로 이격되어 있는 마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재 또는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기둥 부분에 밀착되어 있는 결합벽을 추가로 포함하는 마개.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벽은 상기 제2 차단막에서 외측으로 이격되어 있는 마개.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 상기 제1 평탄 부분 및 상기 제2 평탄 부분은 순차적으로 높이가 낮아지는 계단 구조를 갖는 마개.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단막과 상기 제2 차단막 사이에 위치하는 밀폐 공간을 더 포함하는 마개.
  14. 주입구를 구비하는 용기 본체와 결합되는 캡부재; 및
    상기 캡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주입구를 막고, 부 내용물이 위치하는 안착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캡부재는,
    상부;
    상기 상부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제1 차단막; 및
    상기 제1 차단막에서 외측으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상부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제2 차단막
    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재는,
    상기 부 내용물이 위치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차단막이 위치하는 제1 평탄 부분;
    상기 제1 평탄 부분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차단막이 위치하는 제2 평탄 부분; 및
    상기 제2 평탄 부분의 외측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기둥 부분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차단막과 상기 제2 차단막으로 막혀 있는 복수 개의 관통구
    를 포함하는 마개.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단막과 상기 제2 차단막 사이에 위치하는 밀폐 공간을 더 포함하는 마개.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평탄 부분과 상기 제2 평탄 부분의 높이는 서로 상이한 마개.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 상기 제1 평탄 부분 및 상기 제2 평탄 부분은 순차적으로 높이가 낮아지는 계단 구조를 갖는 마개.
  18.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재는 상기 제1 평탄 부분과 상기 제2 평탄 부분 사이에 위치하고 위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기 부분을 더 포함하는 마개.
  19.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평탄 부분과 상기 제2 평탄 부분의 높이는 서로 상이한 마개.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평탄 부분의 높이는 상기 제2 평탄 부분의 높이보다 낮은 마개.
  21.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평탄 부분과 상기 제2 평탄 부분의 높이는 서로 동일한 마개.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제1 평탄 부분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바닥 부분; 및
    상기 바닥 부분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정해진 높이로 돌출된 격벽을 포함하는 마개.
  23.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기둥 부분 상단에 연결되어 있는 테두리부 및 상기 테두리부에 연결되어 아래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후크부를 더 포함하는 마개.
  2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는 상기 제2 차단막에서 외측으로 이격된 상기 상부에서 부분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테두리부와 접해 있는 제1 결합벽을 더 포함하는 마개.
  25.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는 상기 제1 결합벽에서 외측으로 이격된 상기 상부의 부분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후크부와 접해 있는 제2 결합벽을 더 포함하는 마개.
  26. 주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주입구를 통해 주 내용물이 담기는 용기 본체; 및
    상기 용기 본체와 결합되어 있고, 부 내용물이 담기는 마개
    를 포함하고,
    상기 마개는,
    용기 본체와 결합되는 캡부재;
    상기 캡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주입구를 막고, 상기 부 내용물이 위치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와 연결되어 있고 제1 차단막이 위치하는 제1 평탄 부분, 제1 평탄 부분과 연결되어 있고 제2 차단막이 위치하는 제2 평탄 부분 및 상기 제2 평탄 부분의 외측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기둥 부분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차단막과 상기 제2 차단막으로 막혀 있는 복수 개의 관통구를 포함하는 안착부재; 및
    상기 캡부재 및 상기 안착부재와 결합되어 있는 밀폐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차단막과 상기 제2 차단막은 상기 캡부재 및 상기 밀폐부재 또는 상기 밀폐부재에 위치하는
    용기.
  27. 주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주입구를 통해 주 내용물이 담기는 용기 본체; 및
    상기 용기 본체와 결합되어 있고, 부 내용물이 담기는 마개
    를 포함하고,
    상기 마개는,
    상기 용기 본체와 결합되는 캡부재; 및
    상기 캡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주입구를 막고, 상기 부 내용물이 위치하는 안착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캡부재는,
    상부;
    상기 상부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제1 차단막; 및
    상기 제1 차단막에서 외측으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상부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제2 차단막
    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재는,
    상기 부 내용물이 위치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차단막이 위치하는 제1 평탄 부분;
    상기 제1 평탄 부분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차단막이 위치하는 제2 평탄 부분; 및
    상기 제2 평탄 부분의 외측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기둥 부분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차단막과 상기 제2 차단막으로 막혀 있는 복수 개의 관통구
    를 포함하는 용기.
KR1020210018558A 2021-01-05 2021-02-09 이중 차단막을 구비한 마개 및 이를 구비한 용기 KR102616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09298 WO2022149679A1 (ko) 2021-01-05 2021-07-20 마개 및 이를 구비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01081 2021-01-05
KR1020210001081 2021-01-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9460A true KR20220099460A (ko) 2022-07-13
KR102616898B1 KR102616898B1 (ko) 2023-12-22

Family

ID=82401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8558A KR102616898B1 (ko) 2021-01-05 2021-02-09 이중 차단막을 구비한 마개 및 이를 구비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689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354890Y (zh) * 1998-11-17 1999-12-22 尹健 带密封室的瓶盖
KR20110102112A (ko) 2010-03-10 2011-09-16 삼화왕관주식회사 용기마개의 밀봉부재
KR101499752B1 (ko) * 2013-08-06 2015-03-10 제이씨텍(주) 과립체와 용기내용물을 동시 음용토록 하는 용기마개
KR101916400B1 (ko) * 2014-03-07 2018-11-08 최재구 액상과 고체제의 분리 저장 및 동시 음용이 가능한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354890Y (zh) * 1998-11-17 1999-12-22 尹健 带密封室的瓶盖
KR20110102112A (ko) 2010-03-10 2011-09-16 삼화왕관주식회사 용기마개의 밀봉부재
KR101499752B1 (ko) * 2013-08-06 2015-03-10 제이씨텍(주) 과립체와 용기내용물을 동시 음용토록 하는 용기마개
KR101916400B1 (ko) * 2014-03-07 2018-11-08 최재구 액상과 고체제의 분리 저장 및 동시 음용이 가능한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6898B1 (ko) 2023-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36660B2 (en) Multi compartment container system
JP5810154B2 (ja) 粉末状サプリメントを分散させるためのボトルキャップ
US7886899B2 (en) Container closure having means for introducing an additive into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US6766903B1 (en) Container having separate storage chambers
US7861854B2 (en) Cartridge unit for a multi-compartment container assembly
US7578386B2 (en) Cover assembly enable to mix interior material at opening
US20160066749A1 (en) Drink container
US7823802B1 (en) Extensible straw for a disposable collapsible drink mixing container
US20150050405A1 (en) Single-use mixed drink container
MXPA02009446A (es) Envase de una mano para mezclar alimentos.
US8118182B1 (en) Ergonomic beverage container
AU2006237711B2 (en) Closure arrangement
JP2003024234A (ja) 内圧変動防止容器
KR20220099460A (ko) 이중 차단막을 구비한 마개 및 이를 구비한 용기
US20070231431A1 (en) Disposable collapsible drink mixing container
KR102092360B1 (ko) 액체, 고체 분리형 용기
JP2005118536A (ja) 点眼薬容器の滴下ノズル
KR102479972B1 (ko)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
GB2460933A (en) Fluid container having two compartments
KR100571747B1 (ko) 이종물질을 실시간 혼합시킬 수 있는 용기의 마개
KR200445126Y1 (ko)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뚜껑을 구비하는 물통
EP0909718A1 (en) Aseptic cap for containers of liquids
KR100571748B1 (ko) 이종물질을 실시간 혼합시킬 수 있는 용기의 마개
KR20230023132A (ko) 마개 및 이를 구비한 용기
KR102110847B1 (ko) 이종 재질의 혼합을 위한 이중 용기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