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4461B1 - 음료용기용 마개 - Google Patents

음료용기용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4461B1
KR101614461B1 KR1020140111445A KR20140111445A KR101614461B1 KR 101614461 B1 KR101614461 B1 KR 101614461B1 KR 1020140111445 A KR1020140111445 A KR 1020140111445A KR 20140111445 A KR20140111445 A KR 20140111445A KR 101614461 B1 KR101614461 B1 KR 101614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sealing member
fixing
beverage contain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1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4545A (ko
Inventor
이호재
이지선
Original Assignee
제이씨텍(주)
(주)케이제이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씨텍(주), (주)케이제이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제이씨텍(주)
Priority to KR1020140111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4461B1/ko
Publication of KR20160024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4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4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4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5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9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the element, e.g. a valve, opening an aperture of the auxiliary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16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 B65D81/3222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with additional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용기용 마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체상태의 음료용기의 마개부에 과립이나 분말 또는 알약형태의 첨가제를 구비하여 음료와 함께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음료용기용 마개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컨테이너와 실링부재 및 외캡으로 구성되는 음료용기용 마개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는 상부면이 개방되어 첨가제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와, 음료용기의 입구 내측면에 접촉하는 지지링과, 상기 지지링의 상부에 구비되어 음료용기의 입구를 감싸면서 고정되는 고정후크 및 상기 수용부와 지지링이 이격되도록 연결하여 음료가 통과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수용부를 지지링에 고정하는 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수용부 보다는 크고 상기 지지링 보다는 작게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의 개방된 상부면을 차폐하도록 구성되고, 하부면에는 제1 실링댐이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외캡은 상판 내측으로 상기 지지링과 상기 실링부재의 가장자리 사이에 제2 실링댐이 구비되되, 상기 제2 실링댐은 외측면이 상기 지지링의 내측면에 접촉하고 내측 끝단에는 상기 실링부재의 하부를 걸어서 지지하는 실링댐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음료용기용 마개{A BOTTLE CAP}
본 발명은 음료용기용 마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체상태의 음료용기의 마개부에 과립이나 분말 또는 알약형태의 첨가제를 구비하여 음료와 함께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음료용기용 마개에 관한 것이다.
음료용기용 마개는 액체상태의 음료가 들어있는 용기의 입구를 막는 것으로, 단순히 기밀성과 개방의 용이성을 주요기능으로 한다. 하지만 최근에는 음료용 마개에 음료와 함께 먹을 수 있는 첨가제를 구비할 수 있는 구조가 많이 출시되고 있다. 이는 음료의 기능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서로 다른 성질을 가진 내용물을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어서 품질과 먹는 재미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형태의 음료용기로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되어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44480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함)가 있다. 종래기술은 음료용기의 마개에 과랍체(12)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컨테이너(10)에 수용되어 있는 과립체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컨테이너(10)를 경사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음료용기용 마개는 컨테이너(10)의 기밀성을 유지하기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음료용기(2)와 외컵(30)이 3개의 층으로 형성되어 음료용기의 두께가 두꺼워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기술의 경우에 음료용기 입구에는 컨테이너(10)와 일체로 되어 있는 수평부(24)와 실링판(40) 및 외캡(3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어서 마개가 두꺼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실링판(40)의 가장자리가 외캡(30)의 내측에 직접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외캡(30)의 내측에 실링판끼움홈(32)이 형성되어 있어야 하고, 외캡(30)의 상부면 또한 상기 실링판끼움홈(32)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을 정도로 튼튼하여야 하였다. 따라서 외캡(30)의 두께도 두꺼워야 하였기 때문에 마개부의 두께는 더욱 두꺼워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1344480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실링판을 컨테이너의 지지링 내측에 구비하여 음료용기의 입구에는 고정후크의 수평부와 외캡만이 순차적으로 구비되도록 하여 마개부의 두께를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컨테이너와 실링부재 및 외캡으로 구성되는 음료용기용 마개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는 상부면이 개방되어 첨가제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와, 음료용기의 입구 내측면에 접촉하는 지지링 및 상기 수용부와 지지링이 이격되도록 연결하여 음료가 통과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수용부를 지지링에 고정하는 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수용부 보다는 크고 상기 지지링 보다는 작게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의 개방된 상부면을 차폐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실링부재의 가운데 부분에는 하부로 절곡되어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 장착되는 제1 실링댐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실링댐의 상단에 연결된 실링부재에는 중심부방향으로 돌출된 실링턱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외캡은 상기 제1 실링댐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제1 실링댐 방향으로 절곡된 실링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실링고정부의 하부 끝단에는 상기 제1 실링댐의 내경에 대응하도록 고정돌기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수용부의 상단은 상기 지지링의 상단에 대하여 상기 실링부재의 두께만큼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지지링의 상부에는 음료용기의 입구를 감싸면서 고정하는 고정후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외캡의 내측면 상단에는 상기 고정후크의 외측을 가압하는 캡돌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실링부재의 가장자리는 하부로 절곡되어 상기 지지링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제2 실링댐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용 마개는 실링판을 컨테이너의 지지링 내측에 구비하여 음료용기의 입구에는 고정후크의 수평부와 외캡만이 순차적으로 구비되기 때문에 음료용기 마개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외캡에 실링판의 가장자리를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외캡의 가운데 부분에 별도의 실링판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실링판고정부는 음료용기의 입구 내측에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실링판고정부의 두께를 크게 하더라도 외캡은 얇게 하여 슬림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용 마개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용 마개의 단면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용 마개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용 마개의 단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용 마개(100)는 컨테이너(110)와 실링부재(130) 및 외캡(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110)는 수용부(113), 지지링(115), 고정후크(117) 및 리브(119)를 포함하여 구성될 있다. 수용부(113)는 상부면(도 1을 기준으로 한 방향표시임, 이하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동일한 기준으로 정해짐)이 개방되고 내부에는 중공부(111)가 형성되어 상기 중공부(111)에 분말이나 과립체 또는 알약 등의 첨가제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수용부(113)는 첨가제를 수용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용 마개(100)는 음료용기(10)의 입구에 대응하도록 원통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하에서 마개의 각 구성이 원통형으로 구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예시가 본 발명의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각부의 세부적인 구성은 변형되어 설계할 수 있다.
지지링(115)은 음료용기(10)의 입구 내측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외측면이 상기 음료용기(10)의 입구 내측면에 억지끼움방식으로 접촉하며 결합 된다. 그리하여 지지링(115)과 음료용기(10)의 입구 사이의 기밀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마찰력에 의하여 지지링(115)이 음료용기(10)의 입구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한다.
고정후크(117)는 지지링(115)의 상부에 구비되어 음료용기(10)의 입구를 감싸도록 구성된다. 즉, 지지링(115)의 상단이 음료용기(10)의 입구 두께만큼 외측으로 절곡된 후에, 다시 하부로 절곡되어 단면의 형상이 개방부가 하부를 향하는 ㄷ자 형상으로 구성된다. 그리하여 고정후크(117)의 개방부가 음료용기(10)의 입구를 감싸면서 결합 된다. 이때 고정후크(117)의 내측면으로 음료용기(10)의 외측에 대면하는 부위에는 후크돌기(118)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용 마개(100)가 장착되는 음료용기(10)는 입구 외측에 후크홈(11)이 형성되어 컨테이너(110)가 음료용기(10)와 결합할 때 상기 후크돌기(118)가 후크홈(11)에 장착되면서 견고하게 고정된다.
리브(119)는 수용부(113)의 외벽과 지지링(115)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수용부(113)가 지지링(115)에 고정되도록 한다. 수용부(113)는 지지링(115)보다 지름이 작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지지링(115)과 수용부(113)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리브(119)가 수용부(113)와 지지링(115) 사이를 연결한다. 리브(119)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수용부(113)와 지지링(115) 사이를 견고하게 연결하면서 상기 리브(119)들 사이로 음료가 통과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로, 리브(119)는 판상의 구조가 수용부(113)의 외측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어 지지링(115)의 내측면과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컨테이너(110)는 지지링(115)의 외측면이 음료용기(10)의 입구 내측면에 억지끼움으로 밀착되면서 결합 되고, 고정후크(117)는 음료용기(10)의 입구를 감싸면서 후크돌기(118)가 후크홈(11)에 장착되면서 결합되어 외력을 가하더라도 음료용기(10)의 입구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 구조가 된다.
실링부재(130)는 원판형상으로 구성되며, 가운데 부분에는 전술하여 설명한 수용부(113)의 내측에 대응되도록 하부로 절곡된 제1 실링댐(13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실링댐(135)의 하단은 서로 연결되어 내측이 막힌 U자 형상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제1 실링댐(135)의 상단에 연결된 실링부재(130)에는 중심부방향으로 일부가 돌출되어 실링턱(13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실링부재(130)의 가장자리는 하부로 절곡되어 제2 실링댐(137)을 형성한다. 그리하여 실링부재(130)가 수용부(113)의 상부에 장착되는 경우에 제1 실링댐(135)의 외측이 수용부(113)의 내측면에 억지끼움방식으로 장착되어 상기 수용부(113)를 밀폐시키고, 제2 실링댐(137)의 외측이 지지링(115)의 내측면에 억지끼움방식으로 장착되어 상기 수용부(113)의 외측과 지지링(115) 사이에 형성된 통로를 차단한다. 이때 수용부(113)의 상부는 전술하여 설명한 실링부재(130)의 두께만큼 지지링(115)의 상단보다 낮게 형성된다. 그리하여 수용부(113)에 실링부재(130)가 장착되는 경우에 상기 실링부재(130)의 상부면이 지지링(115)의 상단과 대응되도록 한다.
외캡(150)은 통상의 음료용 캡과 유사하게 상판(157)과 상기 상판(157)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원통형상의 캡측벽(151)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캡측벽(151)의 하단에는 봉인링(155)이 구비되고, 내측면에는 음료용기(10)의 입구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수나사에 대응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용 마개는 외캡(150)의 내측면 상단(상판(157)에 인접한 위치)에 캡돌기(153)가 구비될 수 있다. 캡돌기(153)는 고정후크(117)의 외측을 가압하여 고정후크(117)가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외캡(150)의 가운데부분으로 전술하여 설명한 제1 실링댐(135)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제1 실링댐(135) 방향으로 절곡된 실링고정부(170)가 형성되어 있다. 실링고정부(170)는 제1 실링댐(135)의 내경 보다는 작은 외경을 가지도록 구성되며, 하부 끝단에는 상기 제1 실링댐(135)의 내경에 대응하도록 고정돌기(175)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하여 실링부재(130)가 외캡(150)의 내측에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실링부재(130)의 실링턱(133)이 외캡(150)의 상판(157)과 고정돌기(175)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고정돌기(175)는 실링턱(133)의 하부에 걸리도록 결합된다. 고정돌기(175)와 제1 실링댐(135)의 내측 및 실링턱(133)과 실링고정부(170) 사이는 다소 헐겁게 결합되어 상기 실링부재(130)가 외캡(150)에 결합된 상태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면에서는 외캡(150)의 상판(157)은 상기 고정돌기(175)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하부로 함몰되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본 발명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일 뿐 필요에 따라서는 외캡(150)의 상판(157)이 평평하게 형성되고 실링고정부(170)만 하부로 돌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외캡(150)의 가운데 부분 하부에 실링고정부(170)가 구비되는 구조라면 외캡(150)의 그외 구성은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용 마개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컨테이너(110)를 음료용기(10)의 입구에 삽입하면 상기 컨테이너(110)의 지지링(115)이 음료용기(10)의 입구 내측벽에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되고, 지지링(115)의 상부에 구비된 고정후크(117)가 음료용기(10)의 입구 상부를 감싸면서 체결된다. 이때 후크돌기(118)가 후크홈(11)에 장착되면서 컨테이너(110)는 일정수준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기 전까지는 음료용기(10)와 분리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된다. 컨테이너(110)의 수용부(113)에는 분말 또는 과립형태나 알약 형태의 첨가제가 저장된다.
컨테이너(110)가 음료용기(10)의 입구에 결합된 상태에서 실링부재(130)를 수용부(113) 상부에 장착하면, 상기 실링부재(130)의 제1 실링댐(135)이 수용부(113)의 상부 내측면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고, 제2 실링댐(137)이 지지링(115)의 내측면에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수용부(113) 및 상기 수용부(113)와 지지링(115) 사이의 통도를 차폐시킨다. 그런 후에 외캡(150)에 결합되면, 상기 외캡(150)의 실링고정부(170)가 제1 실링댐(135)의 내측에 장착된다.
상기와 같은 결합방법은 본 발명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결합방법의 순서는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마개부가 음료용기(10)에 결합되기 전에 미리 컨테이너(110)와 실링부재(130) 및 외캡(150)이 먼저 결합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음료를 마시고자 할 때는 외캡(150)을 회전시켜서 마개를 개방하게 되는데, 외캡(150)이 나사결합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상부로 올라가면 실링고정부(170)의 고정돌기(175)가 실링부재(130)의 실링턱(133)에 걸려있기 때문에 상기 실링부재(130)도 함께 끌려 올라가게 된다. 이때 실링턱(133)과 고정돌기(175)는 헐겁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외캡(150)이 회전하더라도 실링부재(130)는 회전하지 않고 그대로 끌려 올라가면서 수용부(113)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실링부재(130)가 분리되면 수용부(113)의 상부가 개방되므로 사용자는 수용부(113)에 저장되어 있는 첨가제를 음료와 함께 또는 첨가제만을 섭취할 수 있다. 한편, 음료는 지지링(115)과 수용부(113)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유출될 수 있기 때문에 컨테이너(110)가 장착된 상태에서도 음료를 마실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음료용기용 마개 110: 컨테이너
111: 중공부 113: 수용부
115: 지지링 117: 고정후크
118: 후크돌기 119: 리브
130: 실링부재 133: 실링턱
135: 제1 실링댐 137: 제2 실링댐
150: 외캡 151: 캡측벽
153: 캡돌기 155: 봉인링
157: 상판

Claims (4)

  1. 컨테이너와 실링부재 및 외캡으로 구성되는 음료용기용 마개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는 상부면이 개방되어 첨가제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와, 음료용기의 입구 내측면에 접촉하는 지지링 및 상기 수용부와 지지링이 이격되도록 연결하여 음료가 통과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수용부를 지지링에 고정하는 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수용부 보다는 크고 상기 지지링 보다는 작게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의 개방된 상부면을 차폐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실링부재의 가운데 부분에는 하부로 절곡되어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 장착되는 제1 실링댐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실링댐의 상단에 연결된 실링부재에는 중심부방향으로 돌출된 실링턱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실링부재의 가장자리는 하부로 절곡되어 상기 지지링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제2 실링댐이 더 구비되며,
    상기 외캡은 상기 제1 실링댐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제1 실링댐 방향으로 절곡된 실링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실링고정부는 상기 제1 실링댐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실링고정부의 하부 끝단에는 상기 제1 실링댐의 내경에 대응하도록 고정돌기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실링턱이 외캡의 상판과 고정돌기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고정돌기는 실링턱의 하부에 걸리도록 결합되되, 상기 고정돌기와 제1 실링댐의 내측 및 상기 실링턱과 실링고정부 사이는 상기 외캡의 회전 상태에서도 상기 실링부재가 회전하지 않도록 결합되어,
    상기 외캡이 회전되어 마개가 개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외캡이 회전하며 상부 방향으로 올라가면, 상기 실링부재는 회전하지 않고 상기 외캡에 걸려 수직으로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마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상단은 상기 지지링의 상단에 대하여 상기 실링부재의 두께만큼 낮게 형성되어 있는 음료용기용 마개.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지지링의 상부에는 음료용기의 입구를 감싸면서 고정하는 고정후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외캡의 내측면 상단에는 상기 고정후크의 외측을 가압하는 캡돌기가 더 구비되어 있는 음료용기용 마개.
  4. 삭제
KR1020140111445A 2014-08-26 2014-08-26 음료용기용 마개 KR101614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1445A KR101614461B1 (ko) 2014-08-26 2014-08-26 음료용기용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1445A KR101614461B1 (ko) 2014-08-26 2014-08-26 음료용기용 마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4545A KR20160024545A (ko) 2016-03-07
KR101614461B1 true KR101614461B1 (ko) 2016-04-21

Family

ID=55540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1445A KR101614461B1 (ko) 2014-08-26 2014-08-26 음료용기용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44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112B1 (ko) * 2017-02-02 2019-03-26 주식회사 엔바이오 환제 내장용 음료 용기 마개
CN109091033A (zh) * 2018-05-30 2018-12-28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料理机用搅拌杯组件及包括该搅拌杯组件的料理机
KR102479970B1 (ko) * 2020-09-10 2022-12-21 제이씨텍(주) 용기 및 보조 내용물 수용 기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556B1 (ko) * 2012-05-18 2013-10-11 김준희 액상음료와 고체보조제의 분리 저장 및 함께 음용이 가능한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4480B1 (ko) 2012-08-10 2013-12-23 이영재 입자형 첨가제를 경사면을 통하여 외부배출시키는 용기마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556B1 (ko) * 2012-05-18 2013-10-11 김준희 액상음료와 고체보조제의 분리 저장 및 함께 음용이 가능한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4545A (ko) 2016-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24539A (ko) 음료용기용 마개
JP6396511B2 (ja) 液体容器付着用の密閉キャップ
ES2406857T3 (es) Envase alimentario con tapa y sistema de cierre para un envase
RU2397933C2 (ru) Колпачок для бутылок
US7578386B2 (en) Cover assembly enable to mix interior material at opening
KR101554665B1 (ko) 기능성 입자 보관을 위한 수용체를 구비한 음료용기
US9254929B2 (en) Reusable food container with re-sealable cap
RU2613170C2 (ru) Емкость
KR20090014699A (ko) 첨가물 첨가 가능한 용기마개
KR101499752B1 (ko) 과립체와 용기내용물을 동시 음용토록 하는 용기마개
JP6529363B2 (ja) ヒンジキャップ
KR101614461B1 (ko) 음료용기용 마개
KR101916400B1 (ko) 액상과 고체제의 분리 저장 및 동시 음용이 가능한 용기
US9296526B2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utomatic cap for liquid vessel
KR102140623B1 (ko) 첨가제를 수용하는 용기마개
US9408778B2 (en) Chambered mixing bottle
KR101631438B1 (ko) 과립체와 용기내용물을 동시 음용토록 하는 용기마개
KR101450181B1 (ko) 캡슐의 장착이 가능한 컵 뚜껑
CN105324315B (zh) 带盖容器
KR20090098617A (ko) 이종물질 수용장치
JP5671381B2 (ja) 容器
KR20150075832A (ko) 과립체와 용기내용물을 동시 음용하는 용기마개
KR102068261B1 (ko) 일정 압력을 유지시키는 용기 구조
JP2007253948A (ja) プラスチック容器
KR101752364B1 (ko) 용기 캡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