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4665B1 - 기능성 입자 보관을 위한 수용체를 구비한 음료용기 - Google Patents

기능성 입자 보관을 위한 수용체를 구비한 음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4665B1
KR101554665B1 KR1020150070230A KR20150070230A KR101554665B1 KR 101554665 B1 KR101554665 B1 KR 101554665B1 KR 1020150070230 A KR1020150070230 A KR 1020150070230A KR 20150070230 A KR20150070230 A KR 20150070230A KR 101554665 B1 KR101554665 B1 KR 101554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receptacle
thread
beverage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0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표
Original Assignee
(주)엠앤디글로벌
박종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앤디글로벌, 박종표 filed Critical (주)엠앤디글로벌
Priority to KR1020150070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46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4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4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용성 비타민 캡슐, 과립, 알약, 환약 등 기능성 입자가 내장된 수용체를 음료용기 뚜껑에 도입하되, 개봉 전에는 기능성 입자에 음료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음료에 의해 용해되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하고, 개봉 후에는 음료와 함께 기능성 입자를 동시 음용토록 할 수 있는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음료보관부, 개구부, 개구부 둘레의 주둥이를 포함하는 본체와, 내측에 나사대응부를 가져 나사부를 갖는 상기 주둥이를 덮는 형태로 결합되고,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방수벽체를 구비한 캡과, 상기 캡의 하부에 구비되고, 기능성 입자 보관을 위한 수용공간을 갖고, 상기 수용공간 둘레에 서로 이웃되게 형성된 리브 및 유출구를 포함하는 수용체 및, 상기 방수벽체의 하부 내측에 구비된 제1나사산 및 상기 수용공간 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나사산과 결합하는 제2나사산으로 이루어져. 상기 캡과 상기 수용체를 결합시키되, 상기 캡의 개봉 시 상기 캡과 상기 수용체를 분리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기능성 입자 보관을 위한 수용체를 구비한 음료용기{BOTTLE EQUIPPED WITH POCKET FOR FUNCTIONAL PARTICLES}
본 발명은 기능성 입자 보관을 위한 수용체를 구비한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용성 비타민 캡슐, 과립, 알약, 환약 등 기능성 입자가 내장된 수용체를 음료용기 뚜껑에 도입하되, 개봉 전에는 기능성 입자에 음료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음료에 의해 용해되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하고, 개봉 후에는 음료와 함께 기능성 입자를 동시 음용토록 할 수 있는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 들어 과학의 발전과 더불어 증진된 건강에 대한 관심은 마시는 음료를 더 이상 미각의 충족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건강까지 충분히 고려되어야 하는 것으로 인식되게 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발 맞춰 현재의 음료는 비타민 캡슐, 과립, 알약, 환약 등과 같은 기능성 입자를 함유하고 있는데, 이러한 기능성 입자는 고형물로 물에 용해되기 쉬운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별도의 수용공간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수용공간을 갖는 음료용기(또는 이에 대응하는 것)와 관련한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499752호 (2015년03월02일) [과립체와 용기내용물을 동시 음용토록 하는 용기마개](이하 종래기술)가 있는데, 용기의 입구 단부를 둘러싸도록 결합하는 걸림후크를 가지며 소경관부의 바닥에 마개부를 가지고 과립체의 직경보다 작은 주입구를 가지는 탄성 엘라스토머 재질의 하캡과, 마개부와 실링 결합하여 과립체를 수용 및 배출토록 안내하는 수용관부와, 수용관부를 상하이동 가능토록 결합하는 상캡으로, 상캡 분리 시 하캡은 용기입구에 결합되어 있고 수용관부가 동시에 마개부를 개방하여 용기 내용물과 과립체를 동시에 마시도록 함으로써 과립체와 용기내용물을 동시 음용토록 하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특히 종래기술은 하캡을 통해 기능성 입자의 수용을 제공하고 있는데, 상캡, 하캡, 수용판부 3개의 분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하는 과정에서 많은 공정을 요하고, 아울러 규격 및 공차 등에 의해 발생하는 치수상의 오차로 인해 하캡과 수용판부의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유의 나사산 구조를 도입하여 수용체와 캡이 쉽게 결합되고 분리될 수 있도록 하되, 규격 상의 오차에 의한 민감도가 덜하여 사용자의 불편감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아울러 캡과 본체를 분리하기 위해 캡을 회전시킬 때, 캡과 수용체 역시 함께 분리되기 때문에, 한 번의 동작으로 인해 캡만 제거하고 수용체는 음료용기 본체의 주둥이에 결합된 채로 유지되게 하여 사용의 편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특유의 수용체 구조를 통해, 사용자가 기능성 입자와 음료를 동시에 음용할 때, 음용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음료보관부, 개구부, 개구부 둘레의 주둥이를 포함하는 본체와, 내측에 나사대응부를 가져 나사부를 갖는 상기 주둥이를 덮는 형태로 결합되고,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방수벽체를 구비한 캡과, 상기 캡의 하부에 구비되고, 기능성 입자 보관을 위한 수용공간을 갖고, 상기 수용공간 둘레에 서로 이웃되게 형성된 리브 및 유출구를 포함하는 수용체 및, 상기 방수벽체의 하부 내측에 구비된 제1나사산 및 상기 수용공간 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나사산과 결합하는 제2나사산으로 이루어져. 상기 캡과 상기 수용체를 결합시키되, 상기 캡의 개봉 시 상기 캡과 상기 수용체를 분리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나사산은 상기 캡의 나사대응부와, 상기 제2나사산은 상기 주둥이의 나사부와 동일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수용체는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상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수용공간의 둘레보다 작은 둘레를 가져 상기 캡의 방수벽체의 내면에 밀착하는 돌출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홈부와 상기 리브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캡의 방수벽체 하부가 삽입되는 삽입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나사산은 상기 돌출홈부의 외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수용체의 리브 및 유출구는 상기 수용공간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고,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은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유의 나사산 구조를 도입하여 수용체와 캡이 쉽게 결합되고 분리될 수 있도록 하되, 규격 상의 오차에 의한 민감도가 덜하여 사용자의 불편감을 해소할 수 있고,
아울러 한 번의 동작으로 인해 캡만 제거하고 수용체는 음료용기 본체의 주둥이에 결합된 채로 유지되게 하고, 사용자가 기능성 입자와 음료를 동시에 음용할 때 음용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단면도(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상세도(수용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용성 비타민 캡슐, 과립, 알약, 환약 등 기능성 입자가 내장된 수용체(30)를 음료용기(B) 뚜껑에 도입하되, 개봉 전에는 기능성 입자에 음료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음료에 의해 용해되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하고, 개봉 후에는 음료와 함께 기능성 입자를 동시 음용토록 할 수 있는 음료용기(B)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입자 보관을 위한 수용체(30)를 구비한 음료용기(B)(이하 본 음료용기(B))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통해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본 음료용기(B)는 크게 본체(10), 이 본체(10) 상부에 구비된 캡(20), 본체(10)와 캡(20) 사이에 구비된 수용체(30) 및 캡(20)과 수용체(30)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본체(10)는 음료보관부(11), 개구부(13), 개구부(13) 둘레의 주둥이(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음료보관부(11)는 음료를 내장하는 본체(10) 내부 구성을 의미한다.
또한 개구부(13)는 음료의 유출이 이루어지는 곳으로, 일반적으로 음료용기(B)의 상부에 구비된다.
아울러 주둥이(15)는 음료용기(B)의 개구부(13) 측, 즉 개개부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고, 일반적으로 음료보관부(11)보다 작은 직경(또는 폭)을 갖는다.
다음으로 도 1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주둥이(15)의 외면에는 나사부(151)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 나사부(151)와 캡(20)의 내면에 구비된 나사대응부(251)가 결합되어, 캡(20)을 돌려서 끼워 덮는 형태로 주둥이(15)와 캡(20)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20)은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방수벽체(21)를 구비고 있는데, 방수벽체(21)는 캡(20)과 수용체(30)의 결합 시 수용공간(300)을 밀폐시켜 수용체(30)의 유출구(32)를 통해 음료가 수용공간(300)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방수벽체(21)를 통해 수용공간(300)에 내장된 기능성 입자가 수용성으로 이루어진 경우, 물에 용해되거나 그 형태가 변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캡(20)의 하부, 주둥이(15)의 상부에 구비되는 수용체(30)는 기능성 입자 보관을 위한 수용공간(300)을 갖는데, 이 수용공간(300)은 캡(20)(상부), 받침부(36)(하부), 리브(31) 및 유출구(32)(측부)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의미하고, 기능성 입자가 이 수용공간(300) 내에 자리 잡게 된다.
아울러 수용공간(300)의 측부를 이루는 리브(31) 및 유출구(32)는 순차적으로 서로 이웃되게 형성되게 형성되어 있음을 도 1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정리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체(30)는 상부는 끼움부(35), 하부는 받침부(36)로 이루어지고, 이 끼움부(35)와 받침부(36)를 리브(31)가 연결하고 있고, 리브(31)와 리브(31) 사이에 유출구(32)가 형성되어 있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부(35)는 캡(20)의 내측, 방수벽체(21)의 둘레에 이격되게 구비된 끼움지지부(미도시)와 캡(20)의 내벽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성으로, 수용체(30)와 캡(20) 간의 결합을 지지한다.
아울러 받침부(36)는 수용공간(300) 내에 내장된 기능성 입자를 하부에서 받치는 역할을 한다.
수용체(30)의 구조는 본 발명의 핵심으로, 도 2 내지 도 4의 설명에서 추가적으로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수단(40)은 캡(20)과 수용체(30)를 결합시키되, 캡(20)의 개봉 시 캡(20)과 수용체(30)를 분리시켜, 본체(10)의 주둥이(15)에 수용체(30)가 결합된 채로 남도록 하고, 캡(20)만 본체(10)에서 분리되도록 한다.
도 1을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이러한 캡(20)은 방수벽체(21)의 하부 내측에 구비된 제1나사산(41) 및 수용공간(300) 내에 구비되어 제1나사산(41)과 결합하는 제2나사산(42)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본체(10)의 주둥이(15)에 구비된 나사부(151)와 캡(20)에 구비된 나사대응부(251)를 통해 캡(20)과 본체(10)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수용체(30)는 주둥이(15)의 상부, 즉 개구부(13)를 막는 형태로 주둥이(15)에 안착되고, 사용자가 캡(20)을 돌려서 개봉하면 나사부(151) 및 나사대응부(251)의 작용으로 캡(20)이 분리될 때, 제1나사산(41)과 제2나사산(42)의 작용으로 수용체(30)와 캡(20) 역시 분리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캡(20)만 분리되고, 개구부(13)를 막는 형태로 주둥이(15)와 계속 결합되게 된다.
이 후, 캡(20)의 방수벽체(21)에 의해 밀폐되어 있던 수용체(30)의 수용공간(300)은 개방되기 때문에, 음용자는 본체(10)를 기울여 유출구(32)를 통해 나오는 음료를 마시는 행위만으로 기능성 입자를 동시 음용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는 본 음료용기(B)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2를 통해, 제1나사산(41)은 캡(20)의 나사대응부(251)와, 제2나사산(42)은 본체(10)의 주둥이(15)의 나사부(151)와 동일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제1나사산(41) 및 제2나사산(42)의 방향 특징은 캡(20)을 회전시켜 본체(10)와 결합하는 과정에서 캡(20)과 수용체(30) 역시 함께 결합되어, 캡(20), 본체(10)(주둥이(15)), 수용체(3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캡(20)을 회전시켜 본체(10)와 분리하는 과정에서 캡(20)과 수용체(30) 간의 분리 역시 함께 이루어져, 캡(20)만이 본체(10)에서 분리되도록 하여, 상기한 편리한 기능성 입자의 음용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는 도 1에서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없었던, 각 구성간의 결합 위치를 보다 명확하게 알 수 있다.
도 3을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수용체(30)는 수용공간(300) 내부에 상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수용공간(300)의 둘레보다 작은 둘레를 갖는 돌출홈부(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돌출홈부(33)는 수용공간(300)의 하부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캡(20)의 방수벽체(21)의 내측면과 돌출홈부(33)의 외측면이 접촉하는 형태로 결합되는데, 이는 방수벽체(21) 내부 공간에 돌출홈부(33)가 삽입되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또한 도 3을 통해 확인 가능하듯, 돌출홈부(33)는 홈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 돌출홈부(33)에 기능성 입자가 안착되고 따라서 수용공간(300) 내 기능성 입자의 유동을 어느 정도 제한하여 과도한 유동에 의해 기능성 입자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벽체(21)의 내측에 구비된 제1나사산(41)과의 접촉을 위해 제2나사산(42)은 돌출홈부(33)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체(30)는 돌출홈부(33)와 리브(31) 사이에 형성되어 캡(20)의 방수벽체(21) 하부가 삽입되는 삽입홈부(3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는 삽입홈부(34)는 돌출홈부(33)와 유출구(32)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삽입홈부(34)는 돌출홈부(33)의 수용공간(300) 내 돌출에 의해 형성된 구성으로, 방수벽체(21)가 이 삽입홈부(34)에 삽입되어 끼움 결합되고, 이를 통해 캡(20)과 수용체(30)간의 결합 안정성을 부가할 수 있다.(리브(31) 및 유출구(32)의 위치는 도 2 또는 도 4를 통해 추론 가능하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핵심인 수용체(30)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체(30)의 리브(31) 및 유출구(32)는 수용공간(3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고, 경사지게 배치되어, 수용공간(300)은 하측으로 갈수록 폭(w300)이 좁아지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하측으로 갈수록 폭(w300)이 좁아지는 구조(이하 상광하협(上廣下狹)구조)를 갖는 수용체(30)는 본체(10)의 주둥이(15) 부분에 삽입될 때, 주둥이(15) 안 쪽 공간에 대한 점유를 최소화하여 사용자가 음료 음용을 위해 본체(10)를 기울였을 때, 수용체(30)의 하부 즉, 받침부(36)에 의해 음료의 유출이 방해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체(30)의 리브(31) 역시 상광하협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리브(31)의 상광하협구조는 유출구(32)의 크기를 하측으로 갈수록 크게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리브(31)의 상광하협구조는 유출구(32)의 상협하광구조라고도 볼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구조를 통해, 본체(10)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즉 수용체(30)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유출구(32)를 통해 배출되는 음료가 유출 될수록 좁은 유출구(32)를 통과해야 하기 때문에 일종의 병목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음료 유출의 속도를 늦추는 바, 과도한 양의 음료가 순식간에 유출되지 않도록 하여 음용자의 불편을 절감하는 효과를 갖는다.
추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31)는 수용체(30)의 가장자리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형측부(31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리브(31)는 음료보관부(11) 내 음료를 마실 때, 보다 쉽게 유출될 수 있도록 하여 유출되는 양이 너무 작아 음용이 불편할 수 있는 문제를 해소하였고, 나아가 상기한 리브(31)의 상광하협구조에 의한 유출속도제한에 따를 수 있는 불편감을 해소하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음료용기(B)의 수용체(30) 하면에는 리세스(333)가 구비되고, 상기 리세스(333)의 중앙에는 볼록부(33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에서는 돌출홈부(33) 하면에 구비된 리세스(333)를 확인할 수 있고, 이 리세스(333)의 중앙에는 볼록부(331)가 구비된 것을 추가로 확인할 수 있다.
먼저 리세스(333) 및 볼록부(331)는 돌출홈부(33)의 형성에 따라 함께 형성된 것인데, 특히 볼록부(331)는 본 음료용기(B)의 밀폐 시 내부 압력에 대한 내성을 가져, 개구부(13) 측으로의 가압에 대한 저항력을 부여하여 내구성을 보장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음료용기(B)의 리브(31)는 외면에 구비된 강화부(3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강화부(313)는 본체(10)의 음료보관부(11) 측에서 개구부(13) 측으로, 또는 개구부(13) 측에서 음료보관부(11) 측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대한 저항력을 강화시킨다.
도 5 [A]에는 이러한 강화부(313)의 실시가 도시되어 있는데, 좌측에는 강화부(313)를 돌출부(313a)로 구비한 실시를 도시하고 있고, 우측에는 강화부(313)를 홈부(313b)로 구비한 실시를 도시하고 있다.
돌출부(313a)는 리브(31)의 두께를 증가시켜 외력(상기한 압력)에 의한 저항력을 강화시킨다.
또한 홈부(313b)는 리브(31)에 가해지는 외력(상기한 압력)을 분산시켜 외력에 의한 저항력을 강화시킨다. 아울러 홈부(313b)는 살빼기 기능을 부가적으로 구비하고 있어, 제품 단가 절감의 효과도 갖는다.
또한 도 5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음료용기(B)의 유출구(32)는 상단이 일 측으로 좁아지는 음료 퍼짐 방지용 협소부(32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 5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협소부(321)는 리브(31)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도록 인접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웃하는 두 리브(31) 중 하나의 좌우 인접 유출구(32)에는 협소부(321)가 구비되고, 또 다른 리브(31)의 좌우 인접 유출구(32)에는 협소부(321)가 구비되지 않는 형태의 구조를 갖는다.
이 협소부(321)는 유출되는 음료의 양을 제한하고, 또한 유출되는 음료의 방향성을 한정하여, 음용자의 입 주변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정확하게 입 안으로 흘러들어갈 수 있도록 유도 및 안내 기능을 한다.
아울러 유출구(32)의 크기는 기능성 입자의 크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러한 유출구(32)의 크기 특징을 통해, 기능성 입자가 유출구(32) 사이에 끼어 배출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도 5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체(30)의 돌출홈부(33)는 외측 둘레의 상단에 형성된 이탈방지단부(3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홈 형태로 이루어진 돌출홈부(33)의 가장자리에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이 이탈방지단부(335)는 수용체(30) 내측, 즉 돌출홈부(33) 내측에 수용된 기능성 입자의 이탈 또는 과도한 유동에 의한 파손을 방지한다.
또한 도 5 [B] 우측에 도시된 실시에서는 이탈방지단부(335)의 상측 끝단에 구비된 음료 배출용 편평단부(337)가 구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편평단부(337)는 이탈방지단부(335)를 통한 기능성 입자의 이탈방지 및 파손방지 효과를 살리면서도 이탈방지단부(335)에 의해 음료의 유출이 방해받는 것을 막아준다.
아울러 도 5 [B]의 우측 실시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부(35)의 외측단부는 고리형태로 이루어지고, 이 끝단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돌기(3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걸림돌기(37)를 통해 수용체(30)와 본체(10)의 주둥이(15) 간의 결합이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한 '캡(20)의 개봉 시 수용체(30)와 본체(10) 간의 결합 유지 특성'이 보다 강화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B: 본 음료용기
10: 본체 11: 음료보관부
13; 개구부 15: 주둥이
151: 나사부
20: 캡 21: 방수벽체
23: 끼움지지부 251: 나사대응부
30: 수용체 300: 수용공간
31: 리브 32: 유출구
33: 돌출홈부 34: 삽입홈부
40: 체결수단 41: 제1나사산
42: 제2나사산

Claims (4)

  1. 음료보관부(11), 개구부(13), 개구부(13) 둘레의 주둥이(15)를 포함하는 본체(10);
    내측에 나사대응부(251)를 가져 나사부(151)를 갖는 상기 주둥이(15)를 덮는 형태로 결합되고,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방수벽체(21)를 구비한 캡(20);
    상기 캡(20)의 하부에 구비되고, 기능성 입자 보관을 위한 수용공간(300)을 갖고, 상기 수용공간(300) 둘레에 서로 이웃되게 형성된 리브(31) 및 유출구(32)를 포함하는 수용체(30); 및
    상기 방수벽체(21)의 하부 내측에 구비된 제1나사산(41) 및 상기 수용공간 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나사산(41)과 결합하는 제2나사산(42)으로 이루어져. 상기 캡(20)과 상기 수용체(30)를 결합시키되, 상기 캡(20)의 개봉 시 상기 캡(20)과 상기 수용체(30)를 분리시키는 체결수단(4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나사산(41)은 상기 캡(20)의 나사대응부(251)와, 상기 제2나사산(42)은 상기 주둥이(15)의 나사부(151)와 동일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수용체(30)는 상기 수용공간(300) 내부에 상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수용공간(300)의 둘레보다 작은 둘레를 가져 상기 캡(20)의 방수벽체(21)의 내면에 밀착하는 돌출홈부(33)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홈부(33)와 상기 리브(31)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캡(20)의 방수벽체(21) 하부가 삽입되는 삽입홈부(3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나사산(42)은 상기 돌출홈부(33)의 외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수용체의 유출구(32)는 상단이 일 측으로 좁아지는 음료 퍼짐 방지용 협소부(321)를 갖되, 상기 협소부(321)는 상기 리브(31)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도록 인접 형성되고,
    상기 리브(31)는 수용체(30)의 가장자리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형측부(311) 및, 외면에 구비된 강화부(313)를 포함하되,
    상기 강화부(313)는 상기 리브(31)의 두께를 증가시켜 외력에 대한 저항력을 강화하는 돌출부(313a)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체(30)는 하면에 구비된 리세스(333), 이 리세스(333)의 중앙에 형성된 볼록부(331)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체(30)의 돌출홈부(33)는 외측 둘레의 상단에 홈 형태로 형성된 이탈방지단부(335) 및 이 이탈방지단부(335)의 상측 끝단에 구비된 음료 배출용 편평단부(33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30)의 리브(31) 및 유출구(32)는
    상기 수용공간(3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고,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300)은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3. 삭제
  4. 삭제
KR1020150070230A 2015-05-20 2015-05-20 기능성 입자 보관을 위한 수용체를 구비한 음료용기 KR101554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230A KR101554665B1 (ko) 2015-05-20 2015-05-20 기능성 입자 보관을 위한 수용체를 구비한 음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230A KR101554665B1 (ko) 2015-05-20 2015-05-20 기능성 입자 보관을 위한 수용체를 구비한 음료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4665B1 true KR101554665B1 (ko) 2015-10-06

Family

ID=54345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0230A KR101554665B1 (ko) 2015-05-20 2015-05-20 기능성 입자 보관을 위한 수용체를 구비한 음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4665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6274A (ko) * 2015-11-13 2017-05-23 제이씨텍(주) 브이자형 위조방지스커트링을 가지는 수용부를 겸비한 투명캡
WO2019226577A1 (en) * 2018-05-21 2019-11-28 Esprit Innovations, LLC Pill bottle with removable pill container cap
KR102262459B1 (ko) * 2020-02-17 2021-06-07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텀블러
KR20210114191A (ko) 2020-03-10 2021-09-23 주식회사 드림시스얼 기능성 입자 보관용 수용체를 구비한 음료용기
KR20210135029A (ko) 2020-05-04 2021-11-12 금성실업 주식회사 고액 분리형 용기마개
KR20220088821A (ko) 2020-12-20 2022-06-28 김명훈 2 액형 디스펜서
KR20230062948A (ko) 2021-11-01 2023-05-09 주식회사 정민 기능성식품이 충진된 용기의 뚜껑
KR20230143695A (ko) 2022-04-06 2023-10-13 주식회사 정민 기능성 식품이 충진된 병마개
KR20230172094A (ko) 2022-06-15 2023-12-22 서정석 정제 분리 결합용 용기캡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593B1 (ko) * 2014-10-22 2015-03-26 (주)엠앤디글로벌 회동 캡부재를 구비한 첨가제 혼합 용기용 마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593B1 (ko) * 2014-10-22 2015-03-26 (주)엠앤디글로벌 회동 캡부재를 구비한 첨가제 혼합 용기용 마개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6274A (ko) * 2015-11-13 2017-05-23 제이씨텍(주) 브이자형 위조방지스커트링을 가지는 수용부를 겸비한 투명캡
KR102593975B1 (ko) 2015-11-13 2023-10-27 제이씨텍(주) 브이자형 위조방지스커트링을 가지는 수용부를 겸비한 투명캡
WO2019226577A1 (en) * 2018-05-21 2019-11-28 Esprit Innovations, LLC Pill bottle with removable pill container cap
KR102262459B1 (ko) * 2020-02-17 2021-06-07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텀블러
KR20210114191A (ko) 2020-03-10 2021-09-23 주식회사 드림시스얼 기능성 입자 보관용 수용체를 구비한 음료용기
KR102353170B1 (ko) * 2020-03-10 2022-01-19 주식회사 드림시스얼 기능성 입자 보관용 수용체를 구비한 음료용기
KR20210135029A (ko) 2020-05-04 2021-11-12 금성실업 주식회사 고액 분리형 용기마개
KR20220088821A (ko) 2020-12-20 2022-06-28 김명훈 2 액형 디스펜서
KR20230062948A (ko) 2021-11-01 2023-05-09 주식회사 정민 기능성식품이 충진된 용기의 뚜껑
KR20230143695A (ko) 2022-04-06 2023-10-13 주식회사 정민 기능성 식품이 충진된 병마개
KR20230172094A (ko) 2022-06-15 2023-12-22 서정석 정제 분리 결합용 용기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4665B1 (ko) 기능성 입자 보관을 위한 수용체를 구비한 음료용기
CN208573507U (zh) 具有单一盖结构的液体容器
KR101774176B1 (ko) 이중 마개 구조를 가지는 액체 용기
JP5810154B2 (ja) 粉末状サプリメントを分散させるためのボトルキャップ
US9701453B2 (en) Closure cap for attaching to a liquid container
CN108349621A (zh) 分隔瓶和杯子
KR101317556B1 (ko) 액상음료와 고체보조제의 분리 저장 및 함께 음용이 가능한 용기
KR20150075818A (ko) 첨가제 수용구조를 갖는 용기마개
KR101749699B1 (ko) 환제 내장용 음료 용기 마개
KR101528199B1 (ko) 용기의 마개
CN103764512B (zh) 液体容器用自动盖的开闭装置
US20130160655A1 (en) Tea pot with one-way valve
US20060175330A1 (en) Enhanced liquid container
KR20160012490A (ko) 이종물질 혼합용기
TW200540077A (en) Plastic container
KR101648624B1 (ko) 음료추출 카트리지 및 그것을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
KR101614461B1 (ko) 음료용기용 마개
KR101389114B1 (ko) 응축수 형성 방지기능을 위한 단열 공간부를 구비한 용기
CN116142629A (zh) 将内容物从分开的杯子同时送入使用者口中的杯子系统
KR200495854Y1 (ko) 분리편이 구비된 환제 내장용 음료 용기 마개
KR101752364B1 (ko) 용기 캡 구조체
KR20180002032U (ko) 음료용기 마개
KR100547266B1 (ko) 위조방지용 첨가제 첨가용 이중마개
KR101962112B1 (ko) 환제 내장용 음료 용기 마개
CN216612061U (zh) 瓶盖及瓶装饮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