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8199B1 - 용기의 마개 - Google Patents

용기의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8199B1
KR101528199B1 KR1020140067525A KR20140067525A KR101528199B1 KR 101528199 B1 KR101528199 B1 KR 101528199B1 KR 1020140067525 A KR1020140067525 A KR 1020140067525A KR 20140067525 A KR20140067525 A KR 20140067525A KR 101528199 B1 KR101528199 B1 KR 101528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main body
upper cap
cap
peripher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7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3102A (ko
Inventor
김진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아이에스푸드
주식회사 비타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아이에스푸드, 주식회사 비타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아이에스푸드
Publication of KR20140143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3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8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8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5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9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the element, e.g. a valve, opening an aperture of the auxiliary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5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6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the element being a plug or like element closing a passage between the auxiliary container and the main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용기의 마개는, 용기(110)의 입구부(111)에 결합되며 관통구멍(124)을 가지는 하부 본체(120); 및 상기 하부 본체(120)에 결합되며 내부에 첨가물 수용공간을 가지는 상부 캡(130)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본체(120)는, 상기 용기(110)의 입구부(111)의 외주면의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외측 하부부재(128), 상기 외측 하부부재(128)와 동심으로 배치되며 상기 용기(110)의 입구부(111)로 삽입되는 내측 하부부재(121), 상기 외측 하부부재(128) 및 상기 내측 하부부재(121)로부터 윗쪽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상부부재(122), 상기 내측 하부부재(121)의 하단부의 내측 둘레부에서 중앙을 향하여 원추형상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저면부(126), 상기 저면부(126)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구멍(124) 및 상기 저면부(126)의 상기 내측 하부부재(121)의 하단부의 내측 둘레부에서 상기 관통구멍과 동심으로 형성된 아치 형상의 복수의 관통슬롯(125)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캡(130)은, 상기 하부본체(120)의 상기 외측 상부부재(128)의 외주면의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외측 부재(133), 상기 외측 부재(133)와 동심으로 배치되며 상기 하부 본체(120)의 내측 하부부재(121)의 안으로 삽입되는 원통 부재(131) 및 중앙에 배치되며 원통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실린더 부재(130)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캡(130)의 상기 실린더 부재(132)의 하단부가 상기 하부 본체(120)의 상기 관통구멍(124)에 밀봉되게 결합되며, 상기 상부 캡(130)의 상기 원통부재(131)의 하단부(131a)가 상기 하부 본체(120)의 상기 복수의 관통슬롯(125)을 밀봉되게 폐쇄한다.

Description

용기의 마개{CONTAINER CAP}
본 발명은 용기의 마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부 공간부에 첨가물을 수용한 상태에서 용기의 입구부에 결합되어, 사용시에 용기의 내부로 첨가물을 투입할 수 있는 용기의 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 의약품, 화학약품 등의 분야에서의 액상 형태의 제품들은 대부분 각종 성분이 모두 혼합되어 제조된 후 액상의 제품이 유리병, 패트병, 단지(jar) 등과 같은 용기에 주입되어 마개에 의해 밀봉되어 유통 및 판매되어 지고 있다. 예를 들어, 비타민 음료의 경우, 비타민이 다양한 첨가물과 함께 물에 혼합되어 제조되어 유통 및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비타민은 열이나 빛에 노출되면 쉽게 파괴되는 매우 민감한 물질이기 때문에, 비타민 음료의 보관 및 취급에는 세심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비타민 음료를 수용하는 용기는 빛이나 열에 의한 비타민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도록 차광 및 단열 효과가 비교적 우수한 두꺼운 유리 재질의 갈색 병을 사용하고 있으나, 유통기간이 길어지거나 외부에 노출되는 시간이 많아질 경우에는 비타민 파괴 방지의 효과가 저하된다. 또한, 소비자의 관심을 끌기 위하여 음료의 내용물이 외부에서 보일 수 있도록 투명 용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비타민 음료의 파괴 현상이 더 심하게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비타민을 포함한 모든 성분들이 혼합되어 음료가 제조된 상태에서는, 열, 빛 등의 외부적 요인 뿐만아니라 음료 내에 혼합되어 있는 비타민 이외의 다른 성분들에 의한 내부적 요인에 의해서도 비타민이 쉽게 파괴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비타민의 조기 파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음료의 제조시에 비타민을 혼합하지 않고, 용기의 마개내에 비타민 등의 첨가물을 수납한 상태로 음료 제품을 생산 판매하여, 소비자가 음료를 마시기 직전에 용기의 마개에 수납된 비타민을 용기내에 투입함으로써, 비타민의 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용기의 마개가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로서, 한국 공개특허 제10-2011-0086488호에는 비타민의 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용기의 마개가 개시되어 있다(도 8a 및 도 8b 참조). 상기 한국 공개특허에 개시된 용기의 마개는, 용기의 입구 내부에 오도록 하는 관체형 내부캡(526) 하단 측면으로 배출구(526a)를 가지는 하부캡인 저장부재(520), 내부캡(526) 내경으로 안내되는 첨가제 콘테이너 기능의 슬라이더(536)를 가지는 개방부재(530), 슬라이더(536)의 하단을 막으며 상부캡 분리시 슬라이더와 분리되는 저면마개(550)로 이루어지는 용기의 마개에서, 저면마개(550)는 슬라이더(536)의 내경 단부에 끼워져 내경을 막도록 기능하는 삽입부(556)와, 슬라이더(536)의 하단을 실링하도록 삽입부(556) 단부 측면 방향으로 연장된 실링링(551)과, 실링링(551)의 아래로 연장되고 외부 누름 압력시 직경이 작아지도록 적어도 한 곳 이상 길이방향으로 절단된 수축유도홈(554)을 가지는 연장관(557)과, 연장관(557) 외측에 외경방향으로 직경이 커지게 돌출하여 내부캡(526) 단부측 내경 측면에서 중앙으로 돌출한 걸림돌기(526b) 저면에 걸리는 후크(5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한국 공개특허 제10-2011-0086488호의 용기의 마개는 사용시에 개방부재(530)가 용기본체(510)에 결합된 저장부재(520)와 분리되므로, 슬라이더(536)에 수용된 첨가제가 배출구(526a)를 통과하여 용기본체내부로 첨가된다. 이 경우 저면마개(550)는 연장관(557)의 외경부에 실링링(551)과 후크(553)를 이루고 그 사이의 공간에 걸림돌기(526b)가 안치되므로, 결합된 상태에서는 후크(553)의 외경이 축소되지 않아 강한 고정력을 유지하여 저면마개(550)가 분리되지 않아 사용자가 안심하고 용기의 내용물을 마실 수 있도록 작용한다.
그러나, 도 8a 및 도 8b의 용기의 마개에서는, 저면마개(550)가 별도로 구성되므로 부품수가 증가하여 비용이 증가하고 조립공정이 번거롭게 된다. 또한, 저면마개(550)가 개방부재(530)로부터 분리된 다음에 저면마개가 용기 내부로 빠져버리는 것을 해소하기 위하여 내부캡의 하단부에 브리지를 설치하기 때문에, 내부캡의 구성이 복잡하게 된다. 또한, 오목하게 형성된 저면마개(550)의 실링홈(552)내에 첨가물이 들어가므로 첨가물이 완전히 용기의 내부로 투입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 공개특허 제10-2013-0022369호와 같은 용기의 마개가 개발되었다(도 9a 및 도 9b 참조). 한국 공개특허 제10-2013-0022369호에 개시된 용기의 마개는, 음료용기(601)의 입구부(601a)에 나사 결합되고,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 부재로서 내부에 이종물질(P)을 수용하는 저장공간(611)이 형성되며, 상기 저장공간(611)의 하부에 이종물질(P)을 음료용기(601) 내로 배출하는 배출구(612)가 형성된 이종물질 수용부재(610)와; 상기 이종물질 수용부재(610)의 상부 개구를 통해 삽입 나사 결합되고, 상면이 폐쇄된 원통형 부재로서 상기 이종물질 수용부재(610)의 내부에 삽입됨과 동시에 이종물질(P)을 담도록 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의 수용부재(621)가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의 수용부재(621) 중앙에 하부로 돌설되어 상기 이종물질 수용부재(610)의 배출구(612)에 삽입되는 개폐돌설대(622)가 형성된 이종물질 배출캡(62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물질을 수용한다.
그러나, 상기 한국 공개특허 제10-2013-0022369호에 개시된 용기의 마개에서는, 용기의 마개에 수용된 첨가물이 배출구(612)를 통하여 용기 내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용기 내에 있던 공기가 배출구(612)를 통해 마개내의 첨가물 수용공간으로 원활하게 들어가지 못하므로 마개내의 첨가물 상부의 공간의 압력이 낮아지게 되어 용기내부와 마개의 공간부 사이에 압력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첨가물이 용기의 내부로 신속히 투입되지 못할 뿐아니라, 마개내의 공간부에 수용된 첨가물의 일부가 잔존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상기 한국 공개특허 제10-2013-0022369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저장공간(611)의 둘레벽에 압력 해제홀(621a)을 형성하였지만, 상기 둘레벽이 용기의 입구의 내주면에 밀착되기 때문에 압력 해제의 기능을 원활하게 달성할 수 없다. 또한, 상기 한국 공개특허 제10-2013-0022369호에서는 개폐돌설대(622)의 개폐단(623)이 배출구(612)에 끼워지는 구조이어서, 개폐단(623)과 배출구(612) 사이의 밀봉기능이 저하되어, 음료 제품의 유통 및 보관 과정에서 용기의 내용물이 배출구(612)와 개폐단(623)의 사이로 침투되어 첨가물에 혼입되어서 비타민 등의 파괴를 야기할 우려가 있다.
또한, 전술한 종래의 기술의 용기의 마개들은 상부의 캡을 개방할 때, 하부의 캡도 함께 회전함으로써, 불필요하게 용기의 마개가 개방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용기의 마개내에 수납되는 비타민, 인삼 분말 등과 같은 첨가물을 장기간 변질되지 않게 안전하게 유지하면서, 첨가물을 용기의 내부에 투입할 때 첨가물을 신속하게 용기의 내부로 투입시킬 수 있으며, 첨가물이 용기의 마개의 내부에 잔존하지 않게 되며, 액체물 제품의 유통 및 보관 과정에서 용기의 내용물이 첨가물로 침투되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용기의 마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용기의 마개는, 용기의 입구부에 결합되며 관통구멍을 가지는 하부 본체 및 상기 하부 본체에 결합되며 내부에 첨가물 수용공간을 가지는 상부 캡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본체는, 상기 용기의 입구부의 외주면의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외측 하부부재, 상기 외측 하부부재와 동심으로 배치되며 상기 용기의 입구부로 삽입되는 내측 하부부재, 상기 외측 하부부재 및 상기 내측 하부부재로부터 윗쪽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상부부재, 상기 내측 하부부재의 하단부의 내측 둘레부에서 중앙을 향하여 원추형상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저면부, 상기 저면부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구멍 및 상기 저면부의 상기 내측 하부부재의 하단부의 내측 둘레부에서 상기 관통구멍과 동심으로 형성된 아치 형상의 복수의 관통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캡은, 상기 하부본체의 상기 외측 상부부재의 외주면의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외측 부재, 상기 외측 부재와 동심으로 배치되며 상기 하부 본체의 내측 하부부재의 안으로 삽입되는 원통 부재 및 중앙에 배치되며 원통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실린더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캡의 상기 실린더 부재의 하단부가 상기 하부 본체의 상기 관통구멍에 밀봉되게 결합되며, 상기 상부 캡의 상기 원통부재의 하단부가 상기 하부 본체의 상기 복수의 관통슬롯을 밀봉되게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마개에서는, 하부 본체의 내측 하부 부재의 복수의 관통슬롯들 사이를 원주상으로 연장하며,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원형 홈이 상부 캡의 원통 부재의 하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 캡의 상기 원통 부재의 하단부가 상기 하부 본체의 원형 홈안에 밀봉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마개에서는, 하부 본체의 관통구멍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부 캡의 실린더 부재의 하단부의 외부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 부재의 하단부가 상기 관통구멍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마개에서는, 하부 본체의 원형 홈의 안쪽벽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부 캡의 원통 부재의 하단부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원통 부재의 하단부가 상기 원형 홈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마개에서는, 하부 본체의 원형 홈의 바깥쪽벽의 내주면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부 캡의 원통 부재의 하단부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원통 부재의 하단부가 상기 원형 홈에 나사결합될 수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마개에서는, 하부 본체의 내측 하부부재의 하단부가 중앙을 향하여 상측으로 경사져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마개에서는, 하부 본체의 저면부에 대향하며 용기 내측을 향하는 바닥부가 중앙을 향하여 원추형상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마개에서는, 용기의 입구부의 외주면의 형성된 나사산과 하부 본체의 외측 하부부재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이 오른나사로 이루어지고; 하부 본체의 상부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상부 캡의 외측 부재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은 오른나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마개에서는, 용기의 입구부의 외주면의 형성된 나사산과 하부 본체의 외측 하부부재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은 오른나사로 이루어지고; 하부 본체의 상부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상부 캡의 외측 부재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은 왼나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마개에서는, 용기의 입구부의 외주면의 형성된 나사산과 하부 본체의 외측 하부부재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은 왼나사로 이루어지고; 하부 본체의 상부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상부 캡의 외측 부재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은 오른나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마개에서는, 상부 캡의 상부면에 개폐식 뚜껑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마개에서는, 둘레부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중앙 상부에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개폐 부재가 구비된 개폐식 뚜껑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부 캡의 공간부에 수용된 첨가물(P)이 용기내로 투입이 완료된 후에, 상기 상부 캡을 하부 본체로부터 해제하고, 상기 개폐식 뚜껑이 상기 하부 본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마개에서는, 하부 본체를 용기의 입구부에 결합시킨 후에, 하부 본체를 용기의 입구부와 함께 비닐 테이핑하여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의 마개내에 수납되는 비타민, 인삼 분말 등과 같은 첨가물을 장기간 변질되지 않게 안전하게 유지하면서, 첨가물을 용기의 내부에 투입할 때 첨가물을 신속하게 용기의 내부로 투입시킬 수 있으며, 음료를 마신 다음에 첨가물이 용기의 마개의 내부에 잔존하지 않게 되며, 액체물 제품의 유통 및 보관 과정에서 용기의 내용물이 첨가물로 침투되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마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용기의 마개에서의 하부 본체의 내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용기의 마개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마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용기의 마개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용기의 마개에서 첨가물이 용기의 내부로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마개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8a는 종래 기술의 용기의 마개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용기의 마개에서 첨가물이 용기의 내부로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a는 종래 기술의 용기의 마개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용기의 마개에서 첨가물이 용기의 내부로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명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출원의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의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의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마개는 용기(110)의 입구부(111)에 결합되며 관통구멍(124)을 가지는 하부 본체(120)와 상기 하부 본체(120)에 결합되며 내부에 첨가물 수용공간(136)을 가지는 상부 캡(130)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본체(120)는 외측 하부부재(128), 내측 하부부재(121), 상부부재(122), 저면부(126), 관통구멍(124) 및 복수의 관통슬롯(125)을 구비한다.
상기 하부 본체(120)의 외측 하부부재(128)에는 상기 용기(110)의 입구부(111)의 외주면의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용기(110)의 입구부(111)의 외부면에 형성된 나사산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기의 캡(미도시)이 나사 결합될 수 있는 규격의 오른나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하부 본체(120)의 외측 하부부재(128)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기의 캡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동일한 규격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본 발명의 용기의 마개에서 첨가물을 용기의 내부에 투입한 후에, 일반적인 용기의 캡을 이용하여 용기의 입구부(111)를 잠글 수 있다.
상기 하부 본체(120)의 상기 외측 하부부재(128)의 내측에는 상기 용기(110)의 입구부(111)로 삽입되는 내측 하부부재(121)가 상기 외측 하부부재(128)와 동심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 본체(120)가 용기(110)의 입구부(111)에 결합될 때, 상기 용기(110)의 입구부(111)는 상기 하부 본체(120)의 외측 하부부재(128)의 내주면과 상기 내측 하부부재(121)의 외주면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외측 하부부재(128) 및 상기 내측 하부부재(121)는 상부에서 하나로 합쳐져서 윗쪽으로 소정의 높이까지 연장하는 상부부재(122)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부재(122)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상부 캡(130)의 외측 부재(133)와 나사결합된다.
상기 내측 하부부재(121)의 하단부에는 내측 둘레부에서 중앙을 향하여 원추형상으로 하향 경사진 저면부(126)가 형성된다. 상기 저면부(126)는 후술하는 상부 캡(130) 내부의 첨가물 수용공간(136)의 상부 개구부를 덮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저면부(126)의 중앙에는 관통구멍(124)이 형성되고, 상기 저면부(126)의 상기 내측 하부부재(121)의 하단부의 내측 둘레부에서는 상기 관통구멍과 동심으로 형성된 복수의 아치 형상의 관통슬롯(125)이 구비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아치 형상의 관통슬롯(125) 사이에는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아치 형상의 홈들이 상기 관통슬롯들(125)과 동일한 반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의 깊이는 하부 본체(120)의 저면부(126)의 두께의 약1/2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아치 형상의 홈들이 상기 관통슬롯들(125)과 원주상으로 연결되면서 하나의 원형 홈(12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면부(126)에서 상기 원형 홈(129)이 형성되는 위치는 후술하는 상부 캡(130)의 원통 부재(131)의 하단부(131a)의 위치에 대응한다. 이에 따라, 상부 캡(130)을 하부 본체(120)에 결합시키면, 상부 캡(130)의 원통 부재(131)의 하단부(131a)가 하부 본체(120)의 원형 홈(129)안에 끼워 맞춰질 수 있다. 상기 원통 부재(131)의 하단부(131a)는 상기 하부 본체(120)의 원형 홈(129)내에 밀봉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단부(131a)와 원형 홈(129)의 끼워 맞춤은 억지 끼워맞춤으로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본체(120)에 결합되는 상부 캡(130)은 외측 부재(133), 원통 부재(131) 및 실린더 부재(132)를 구비한다.
상기 상부 캡(130)의 외측 부재(133)에는 상기 하부본체(120)의 상기 외측 상부부재(128)의 외주면의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 캡(130)의 외측 부재(133)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은 왼나사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경우에 상기 하부 본체(120)의 상부부재(122)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도 왼나사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부 캡(130)과 하부 본체(120)를 왼나사 방식으로 결합하고, 하부 본체(120)와 용기의 입구부(111)는 오른나사 방식으로 결합하는 경우, 용기(110)의 입구부(111)의 외주면의 나사산이 오른나사로 형성된 일반 용기에 본 발명의 용기를 적용할 수 있다. 이경우에, 용기(110)의 입구부(111)와 하부 본체(120)의 외측 하부부재(128)가 오른나사 결합되고, 상부 캡(130)과 하부 본체(120)의 상부부재(122)가 왼나사로 결합된다. 따라서, 상부 캡(130)을 개방할 때(오른쪽으로 회전시킬 때), 하부 본체(120)가 용기(110)의 입구부(111)에 대하여 오른쪽으로 회전되어, 하부 본체(120)가 용기(110)의 입구부(111)에 대하여 잠기는 작용을 하므로, 하부 본체(120)가 상부 캡(130)과 함께 용기(110)의 입구부(111)로부터 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용기(110)의 입구부(111)의 외주면의 형성된 나사산과 상기 하부 본체(120)의 외측 하부부재(128)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왼나사로 형성하고; 상기 하부 본체(120)의 상부부재(122)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상기 상부 캡(130)의 외측 부재(133)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은 오른나사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부 캡(130), 하부 본체(120) 및 용기(110)의 입구부(111) 사이를 나사결합하면, 상부 캡(130)을 개방할 때(왼쪽으로 회전시킬 때), 하부 본체(120)가 용기(110)의 입구부(111)에 대하여 왼쪽으로 회전되므로, 하부 본체(120)가 용기(110)의 입구부(111)에 대하여 잠기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상부 캡(130)을 개방할 때, 하부 본체(120)가 상부 캡(130)과 함께 용기(110)의 입구부(111)로부터 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입구부(111)가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오른나사방식으로 제조된 용기를 사용하여, 용기의 입구부(111)와 하부 본체(120)를 오른나사방식으로 결합하고, 하부 본체(120)의 상부부재(122)와 상부 캡(130)의 외측 부재(133)도 오른나사방식으로 결합하는 경우에는, 상부 캡(130)을 개방할 때(왼쪽으로 회전시킬 때), 하부 본체(120)가 용기(110)의 입구부(111)에 대하여 왼쪽으로 회전되므로, 하부 본체(120)가 용기(110)의 입구부(111)에 대하여 풀리는 작용을 한다.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 본체(120)를 상기 용기(110)의 입구부(111)에 결합시킨 후에, 상기 하부 본체(120)를 상기 용기(110)의 상기 입구부(111)와 함께 비닐 테이핑 등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비닐 테이핑은 공지의 기술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외측 부재(133)의 내측에는 상기 하부 본체(120)의 내측 하부부재(121)의 안으로 삽입되는 원통 부재(131)가 상기 외측 부재(133)와 동심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 캡(130)이 상기 하부 본체(120)에 결합될 때, 상기 하부 본체(120)의 상부부재(122)는 상기 상부 캡(130)의 외측 부재(133)의 내주면과 상기 원통 부재(131)의 외주면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원통 부재(131)의 내측 중앙에는 원통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실린더 부재(130)가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 부재(130)의 외주면과 상기 원통 부재(131)의 내주면 사이에 공간부(136)가 제공되며, 이 공간부에 용기의 내부에 투입되어 질 첨가물(P)이 수납된다.
상기 상부 캡(130)의 상기 실린더 부재(132)의 하단부는 상기 하부 본체(120)의 상기 관통구멍(124)에 밀봉되게 결합되며, 상기 상부 캡(130)의 상기 원통부재(131)의 하단부(131a)는 상기 하부 본체(120)의 상기 복수의 관통슬롯(125)을 밀봉되게 폐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실린더 부재(130)의 외주면과 상기 원통 부재(131)의 내주면 사이의 공간부에 첨가물(P)이 수납된 다음에, 하부 본체(120)를 상부 캡(130)에 결합시키면, 하부 본체(120)에 형성된 관통구멍(124)과 복수의 관통슬롯(125)이 밀봉되므로, 본 발명의 용기의 마개내에 수납된 첨가물을 장기간 안전하고 양호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부 본체(120)의 상기 관통구멍(124)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캡(130)의 상기 실린더 부재(132)의 하단부(132a)의 외부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 부재(132)의 하단부(132a)가 상기 관통구멍(124)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통구멍을 나사결합방식으로 밀폐하면, 용기의 마개내의 첨가물(P) 수용 공간부의 밀폐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관통구멍(124)의 나사결합방식은, 상기 실린더 부재(132)의 하단부(132a)의 외부면에 암나사를 형성하고, 상기 관통구멍(124)의 내주면에 수나사산을 형성할 수 있지만, 그 반대로 나사산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상부 캡(130)의 원통 부재의 하단부(131a)를 상기 하부 본체(120)의 원형 홈(129)내에 끼워 맞춰서 밀봉결합하여 관통슬롯들(125)을 폐쇄할 때, 나사결합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원통 부재의 하단부(131a)와 상기 하부 본체(120)의 원형 홈(129)은 억지 끼워맞춤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본체(120)의 상기 원형 홈(129)의 안쪽벽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탭(130)의 상기 원통 부재(131)의 하단부(131a)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원통 부재(131)의 하단부(131a)가 상기 원형 홈(129)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본체(120)의 상기 원형 홈(129)의 바깥쪽벽의 내주면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탭(130)의 상기 원통 부재(131)의 하단부(131a)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원통 부재(131)의 하단부(131a)가 상기 원형 홈(129)에 나사결합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마개에서의 하부 본체(120)의 내측 하부부재(121)의 하단부(121a)는 중앙을 향하여 상측으로 경사져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단부(121a)의 경사 가공은 공지의 모따기 가공(chamfering) 기술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마개에서의 하부 본체(120)에서는 저면부(126)에 대향하며 용기 내측을 향하는 바닥부(123b)가 중앙을 향하여 원추형상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캡(130)의 상부면에 개폐식 뚜껑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 캡(130)의 상부면에 개폐식 뚜껑을 일체로 형성하면, 상부 캡(130)이 결합된 하부 본체(120)를 음료 등이 수용된 용기(110)의 입구부(111)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개폐식 뚜껑의 개폐 부재를 개방하여 첨가물(P)을 공간부(136)에 주입한 다음에 상기 개폐 부재를 닫을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용기의 마개를 구성하면, 사용자가 용기의 마개만을 구입하여 음료 등이 수용되 용기(110)의 입구부(111)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첨가물(P)을 첨가물 공간부(136)에 주입한 다음, 은박지와 같은 소재로 개폐 부재의 주입구를 밀봉하고, 필요시에 상기 은박지를 개봉하고 첨가물(P)을 용기의 내부로 투입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캡(130)의 공간부(136)에 수용된 첨가물(P)이 용기(110)내로 투입이 완료된 후에, 상기 상부 캡(130)을 하부 본체(120)로부터 해제하고, 개폐식 뚜껑(230)을 상기 하부 본체(120)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개폐식 뚜껑(230)은 액체 수납용기에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수단으로서, 그 둘레부(233)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중앙 상부에 관통구멍(233a)이 형성되며, 개폐 부재(234)가 상부에 부착된다.
본 발명의 용기의 마개의 상부 캡은 PP(Polypropylene), ABS 수지, PTFE, 레진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하부 본체는 PP, PE 수지, PTFE, 레진 등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과 엘라스토머(TSC사 제조, 상품명 SR-9000N)를 7:3의 비율로 혼합한 재질로 제조될 수도 있다. 상기 용기의 마개의 상부 캡 및 하부 본체의 재질은 본 명세서에서 예시적으로 기재한 것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어떠한 재질로도 제조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마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예를 들어, 상부 캡(130)의 원통 부재(131)의 하단부를 상방향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첨가물(P) 수용공간에 비타민, 인삼 분말 등의 첨가물을 주입한 다음, 하부 본체(120)의 관통구멍(124)과 관통슬롯들(125)이 밀봉되도록 상부 캡(130)에 하부 본체(120)를 결합시킨다. 그 다음에, 음료가 채워진 용기(110)의 입구부(111)에 하부 본체(120)를 결합시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의 마개를 용기에 조립하는 공정이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부 캡(130)의 첨가물(P) 수용공간(136)에 첨가물(P)이 밀봉되게 수용되므로, 비타민, 인삼 분말 등의 첨가물이 외부의 빛이나 열로부터 차단되고, 음료내에 혼입된 다른 성분들과도 분리된다. 또한, 첨가물(P) 수용공간(136)의 밀봉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액체물 제품의 유통이나 보관 과정에서 액체 내용물이 상기 첨가물 수용공간(136)으로 침투되어 액체 내용물이 첨가물(P)에 혼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소비자가 음료를 마시기까지 첨가물(P)이 최초의 상태로 온전하게 유지될 수 있다.
다음에, 소비자가 음료를 마시기 위하여 마개에 수납된 첨가물(P)을 용기의 내부로 투입하고자 할 때는, 상부 캡(130)의 외측 부재(133)를 개방 방향(오른나사방식의 경우에는 왼쪽 방향이고, 왼나사방식의 경우에는 오른쪽 방향임)으로 회전시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캡(130)의 외측 부재(133)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이 하부 본체(120)의 상부부재(122)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으로부터 해제되면서 상부 캡(130)이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부 캡(130)이 상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실린더 부재(132)도 함께 상방으로 이동하여 관통구멍(124)을 밀봉하고 있던 실린더 부재(132)의 하단부(132a)가 관통구멍(124)으로부터 해제되어, 관통구멍(124)이 개방된다. 이때, 하부 본체(120)의 저면부(126)의 복수의 관통슬릿(125)을 밀봉하고 있던 상부 캡(130)의 원통 부재(131)의 하단부(131a)도 동시에 원형 홈(129)로부터 해제되어, 관통슬릿들(125)도 개방된다.
이에 따라, 상부 캡(130)의 첨가물(P) 수용 공간부(136)내에 수납되었던 첨가물(P)이 관통구멍(124) 및 관통슬릿들(125)을 통하여 용기(110)의 내부로 투입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마개에서는 관통구멍(124) 및 관통슬릿들(125)이 모두 첨가물의 낙하방향(수직방향)으로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첨가물(P)의 자중에 의해 첨가물(P)이 용이하게 용기의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용기의 마개에서는 하부 본체(120)의 저면부(126)가 하부 본체(120)의 내측 하부부재(121)의 하단부의 내측 둘레부에서 중앙(관통구멍(124))을 향하여 원추형상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마치 깔대기를 통하여 분말의 첨가제(P)를 용기의 내부로 투입하는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부 캡(130)의 첨가물(P) 수용 공간(136)내에 수용된 첨가물(P)이 전량 용기의 내부로 투입될 수 있으므로, 첨가물(P) 투입후에 첨가물(P) 수용 공간(136) 내에 첨가물(P)이 잔존하는 현상이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본체(120)의 저면부(126)의 둘레부에 복수의 관통슬릿(125)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용기의 마개에 수용된 첨가물(P)이 관통구멍(124)을 통하여 용기 내부로 투입되는 과정에서, 용기 내에 있던 공기가 복수의 관통슬릿들(125)을 통해 마개내의 첨가물 수용공간(136)으로 원활하게 들어가므로 마개 내의 첨가물 상부의 공간의 압력이 용기 내부의 압력과 균등하게 되어, 용기 내부와 마개의 첨가물 수용공간(136) 사이에 압력 차이가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하여 첨가물이 용기의 내부로 신속히 투입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마개 내의 공간부에 수용된 첨가물의 일부가 잔존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마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본체(120)의 내측 하부부재(121)의 하단부(121a)가 중앙을 향하여 상측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음료를 마시고 마지막으로 잔존하는 음료가 상기 내측 하부부재(121)의 하단부(121a)의 경사부로 모여서 복수의 관통슬롯(125) 안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내측 하부부재(121)의 하단부(121a)의 경사부는 음료 용기를 거꾸로 위치시킬 때는 음료를 복수의 관통슬롯(125) 안으로 안내하는 깔대기와 같은 작용을 하게 되어, 음료가 하부 본체(120)의 밑면과 용기의 입구부(111)의 내주면 사이에 잔존하게 되는 현상이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마개에서는 하부 본체(120)의 저면부(126)에 대향하며 용기 내측을 향하는 바닥부(123b)가 중앙(관통구멍(124))을 향하여 원추형상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하부 본체(120)의 바닥부(123b)의 경사부는 음료 용기를 거꾸로 위치시킬 때는 음료를 관통구멍(124) 안으로 안내하는 깔대기와 같은 작용을 하게 되어 음료가 하부 본체(120)의 밑면과 용기의 입구부(111)의 내주면 사이에 잔존하게 되는 현상이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음료 용기에 비타민, 인삼 분말 등과 같은 첨가물을 본 발명의 용기의 마개에 수용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용기의 마개 내의 첨가물(P)의 수용 공간에는 커피, 녹차, 홍차 등의 분말 첨가물 뿐 아니라, 과일농축 원액, 홍초 원액, 흑초 원액, 커피 원액, 녹차 원액, 인삼 원액, 소주 원액, 소주 칵테일용 원액, 위스키 원액 등의 액체 첨가물을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에는 생수, 녹차, 옥수수차, 커피, 우유, 과일 주스, 야채 주스 등의 식음료가 주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용기의 마개는 음료 용기 이외에 의약품, 화학약품 등의 용기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소정의 의약 첨가물 또는 화학 첨가물이 용기의 마개에 수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10 : 용기 111 : 용기 입구부
120 : 하부 본체 121 : 내측 하부부재
122 : 상부부재 123 : 배출부
124 : 관통구멍 125 : 관통슬롯
126 : 저면부 128 : 외측 하부부재
129 : 원형 홈 130 : 상부 캡
131 : 원통 부재 131a : 원통 부재의 하단부
132 : 실린더 부재 132a : 실린더 부재의 하단부
133 : 외측 부재 136 : 공간부
230 : 개폐식 뚜껑 P : 첨가물

Claims (13)

  1. 용기의 입구부에 결합되며 관통구멍을 가지는 하부 본체; 및 상기 하부 본체에 결합되며 내부에 첨가물 수용공간을 가지는 상부 캡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본체는,
    상기 용기의 입구부의 외주면의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외측 하부부재, 상기 외측 하부부재와 동심으로 배치되며 상기 용기의 입구부로 삽입되는 내측 하부부재, 상기 외측 하부부재 및 상기 내측 하부부재로부터 윗쪽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상부부재, 상기 내측 하부부재의 하단부의 내측 둘레부에서 중앙을 향하여 원추형상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저면부, 상기 저면부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구멍 및 상기 저면부의 상기 내측 하부부재의 하단부의 내측 둘레부에서 상기 관통구멍과 동심으로 형성된 아치 형상의 복수의 관통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캡은,
    상기 하부본체의 상기 외측 상부부재의 외주면의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외측 부재, 상기 외측 부재와 동심으로 배치되며 상기 하부 본체의 내측 하부부재 안으로 삽입되는 원통 부재 및 중앙에 배치되며 원통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실린더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캡의 상기 실린더 부재의 하단부가 상기 하부 본체의 상기 관통구멍에 밀봉되게 결합되며,
    상기 상부 캡의 상기 원통부재의 하단부가 상기 하부 본체의 상기 복수의 관통슬롯을 밀봉되게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마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본체의 내측 하부 부재의 상기 복수의 관통슬롯들 사이를 원주상으로 연장하며,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원형 홈이 상기 상부 캡의 상기 원통 부재의 하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 캡의 상기 원통 부재의 하단부가 상기 하부 본체의 원형 홈 안에 밀봉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마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본체의 상기 관통구멍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캡의 상기 실린더 부재의 하단부의 외부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 부재의 하단부가 상기 관통구멍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마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본체의 상기 원형 홈의 안쪽벽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캡의 상기 원통 부재의 하단부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원통 부재의 하단부가 상기 원형 홈에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마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본체의 상기 원형 홈의 바깥쪽벽의 내주면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캡의 상기 원통 부재의 하단부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원통 부재의 하단부가 상기 원형 홈에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마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본체의 내측 하부부재의 하단부가 중앙을 향하여 상측으로 경사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마개.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본체의 상기 저면부에 대향하며 용기 내측을 향하는 바닥부가 중앙을 향하여 원추형상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마개.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입구부의 외주면의 형성된 나사산과 상기 하부 본체의 외측 하부부재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은 오른나사;
    상기 하부 본체의 상부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상기 상부 캡의 외측 부재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은 왼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마개.
  9.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입구부의 외주면의 형성된 나사산과 상기 하부 본체의 외측 하부부재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이 오른나사이고;
    상기 하부 본체의 상부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상기 상부 캡의 외측 부재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이 오른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마개.
  10.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입구부의 외주면의 형성된 나사산과 상기 하부 본체의 외측 하부부재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이 왼나사;
    상기 하부 본체의 상부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상기 상부 캡의 외측 부재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이 오른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마개.
  11.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캡의 상부면에 개폐식 뚜껑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마개.
  12.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둘레부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중앙 상부에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개폐 부재가 구비된 개폐식 뚜껑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상부 캡의 공간부에 수용된 첨가물(P)이 용기내로 투입이 완료된 후에, 상기 상부 캡을 상기 하부 본체로부터 해제하고, 상기 개폐식 뚜껑이 상기 하부 본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마개.
  13.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본체를 상기 용기의 입구부에 결합시킨 후에, 상기 하부 본체를 상기 용기의 상기 입구부와 함께 비닐 테이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마개.
KR1020140067525A 2013-06-05 2014-06-03 용기의 마개 KR1015281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4896 2013-06-05
KR1020130064896 2013-06-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102A KR20140143102A (ko) 2014-12-15
KR101528199B1 true KR101528199B1 (ko) 2015-06-12

Family

ID=52008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7525A KR101528199B1 (ko) 2013-06-05 2014-06-03 용기의 마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28199B1 (ko)
WO (1) WO201419679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7617B1 (ko) 2021-01-05 2021-08-10 (주)유기농사랑 병뚜껑
KR102619274B1 (ko) 2023-04-10 2024-01-02 문국봉 음료 용기용 마개 조립체
KR20240059377A (ko) 2022-10-27 2024-05-07 드림바이오 주식회사 음료 용기용 캡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45581B1 (fr) * 2015-12-21 2021-02-12 R S Company Dosette de boisson
KR101708226B1 (ko) * 2016-06-08 2017-02-21 한중커머스 주식회사 혼합음료 제조 용기
KR102012196B1 (ko) * 2018-03-05 2019-08-20 안웅진 음료 살균 텀블러
GB2574480A (en) * 2018-06-08 2019-12-11 Dexos Drinks Ltd Bottle closure with first liquid dispenser
CN108584141B (zh) * 2018-06-25 2024-02-27 山东俊强五金股份有限公司 一种多功能储料瓶盖及其使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2369A (ko) * 2011-08-26 2013-03-06 김진국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7043A (ja) * 2003-04-09 2004-11-04 Mayumi Kikuchi ボトルキャップ
JP4714696B2 (ja) * 2003-11-22 2011-06-29 リー、ジュン ミン 第2物質の貯蔵空間を有する瓶の蓋及びそれを用いる製品
JP4485189B2 (ja) * 2003-12-26 2010-06-16 日本高圧電気株式会社 飲料容器のキャップ構造
KR101029910B1 (ko) * 2006-10-18 2011-04-18 이선희 내마개형 이종물질 수용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2369A (ko) * 2011-08-26 2013-03-06 김진국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7617B1 (ko) 2021-01-05 2021-08-10 (주)유기농사랑 병뚜껑
KR20240059377A (ko) 2022-10-27 2024-05-07 드림바이오 주식회사 음료 용기용 캡 조립체
KR102619274B1 (ko) 2023-04-10 2024-01-02 문국봉 음료 용기용 마개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96792A1 (ko) 2014-12-11
KR20140143102A (ko) 2014-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8199B1 (ko) 용기의 마개
KR101554665B1 (ko) 기능성 입자 보관을 위한 수용체를 구비한 음료용기
US20150232318A1 (en) Bottle Cap Dispenser with Re-attachable Perforated Cartridge Chamber
KR101515423B1 (ko) 첨가물 투입 병마개
JP4340313B2 (ja) ボトルキャップ
KR101376289B1 (ko) 혼합음료제조키트
US9902537B2 (en) Multipurpose bottle cap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KR20110137003A (ko)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
CN112875037A (zh) 一种高密封性多料腔即配式瓶盖及采用此瓶盖的瓶
KR101546530B1 (ko) 캡 용기
CN216302028U (zh) 一种高密封性即配式瓶盖及采用该瓶盖的瓶
KR101668109B1 (ko) 혼합분말 등의 첨가를 위한 캡슐이 장착된 혼합음료용기
US20140131302A1 (en) Removable Bottle Cap Assembly with Internal Storage Compartment
CN211663814U (zh) 一种瓶盖及饮料瓶
KR101643341B1 (ko) 누출방지용 중공부가 구비된 캡슐캡
KR101628344B1 (ko) 용기 캡
KR101752364B1 (ko) 용기 캡 구조체
KR101398750B1 (ko) 첨가물 혼합용 병마개
WO2021031945A1 (zh) 一种瓶盖及饮料瓶
KR101538632B1 (ko) 이중 내용물 혼합용 배출 마개
CN216003701U (zh) 瓶盖及具有其的饮料瓶
US10934057B2 (en) Aseptic screw-cap assembly
CN113619932A (zh) 饮料
KR200478362Y1 (ko) 포장용기 뚜껑
CN107215567B (zh) 可更换的冲剂盒、含有冲剂盒的瓶盖及瓶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