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8750B1 - 첨가물 혼합용 병마개 - Google Patents

첨가물 혼합용 병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8750B1
KR101398750B1 KR1020130107510A KR20130107510A KR101398750B1 KR 101398750 B1 KR101398750 B1 KR 101398750B1 KR 1020130107510 A KR1020130107510 A KR 1020130107510A KR 20130107510 A KR20130107510 A KR 20130107510A KR 101398750 B1 KR101398750 B1 KR 101398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bottle
closing
additives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7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화석
Original Assignee
황화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화석 filed Critical 황화석
Priority to KR1020130107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87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8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8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1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said element being a film or a f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17/00Details of mixing containers or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첨가물 혼합용 병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체 음료 등의 내용물이 저장된 음료용기에 결합되는 병마개의 내측에 내용물과 다른 첨가물을 저장한 후 필요 시 내용물과 혼합되도록 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된 첨가물 혼합용 병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병의 병목에 결합되는 병마개의 내부 구조를 다양한 첨가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다단으로 형성하였고, 다단으로 형성 시 수용부 내부의 주내용물이 하부의 병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개폐뭉치가 구성된 개폐부를 구성한 첨가물 혼합용 병마개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어, 병 내부의 음료에 혼합되는 첨가물을 다양하게 구비할 수 있어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에서처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음료와 혼합 시 다양한 맛 또는 향을 나타낼 수도 있으며, 병마개의 상측에 구성된 개폐부의 작동 시 개폐부재가 상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개폐부재의 끝부에 형성된 개폐뭉치가 수용부의 저면을 관통하게 되고, 그로 인해 병 내부와 가까운 수용부에서 순차적으로 관통되도록 하여 각각의 수용부에 수용된 첨가물을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병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는 첨가물 혼합용 병마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첨가물 혼합용 병마개{Cap for the mixing of additives}
본 발명은 첨가물 혼합용 병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체 음료 등의 내용물이 저장된 음료용기에 결합되는 병마개의 내측에 내용물과 다른 첨가물을 저장한 후 필요 시 내용물과 혼합되도록 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된 첨가물 혼합용 병마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유통 및 판매되는 대부분의 드링크류 및 음료류는 병에 한 종류의 물질만을 보관 및 사용하게 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드링크류 및 음료류를 마시면서 액체 또는 분말로 된 영양제 등을 혼음하고자 할 경우에는 영양제를 먼저 먹은 후 병에 혼입된 음료를 마시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병에 들어있는 술에 매실추출물이나 레몬, 양주 또는 술을 덜 취하게 하는 액체 음료 등을 혼합하여 마시고자 할 때에도 병 속으로 매실추출물 등을 투입하거나 주전자에 술을 옮긴 후 술이 든 주전자에 매실 추출물 등을 투입하여 음용하게 된다.
종래기술의 음료병 등은 하나의 용기에 한가지의 물질을 담고 있어 두 가지의 물질을 혼합하여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많은 불편함과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종래 사용되는 기술들을 살펴보면,
출원번호 10-2004-0097745호는 ‘이종물질 수용용 병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병뚜껑은 용기의 구부 등에 장착되는 개폐용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저장공간이 형성된 밀폐부를 결합하고, 상기 저장공간에는 내용물이 내입된 상태에서 본체를 열게되면 본체와 밀폐부의 사이에 유격이 생기면서 저장공간의 내용물이 낙하되도록 된 병뚜껑에 있어서, 상기한 본체의 내부에는 작동부를 형성하여, 본체가 열리는 과정에 밀폐부가 상향되지 못하도록 작동부와 그 대응되는 밀폐부의 부위에 나사산 등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이종물질 수용용 병뚜껑을 나타내고 있다.
출원번호 10-2004-0113416호는 ‘음료용기의 뚜껑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주내용물이 저장되고 이 주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가지는 용기, 상기 배출구에 분리 가능케 결합되며 내측에는 연통구멍을 가지는 파괴부가 구비된 중간뚜껑, 상기 중간뚜껑에 분리 가능케 결합되며 내측에는 이종물질이 저장된 저장부를 가지는 외부뚜껑 및 상기 저장부에 부착되어 파괴부에 의해 파손되어 이종물질을 용기의 내측으로 배출시키는 시일부재를 포함하는 음료용기의 뚜껑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출원번호 10-2011-0000497호는 ‘첨가물 동시 용해 병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병마개가 개방되면 첨가물이 낙하되어 병 내부 음료에 혼합되는 첨가물 동시 용해 병마개에 있어서, 상기 병의 병목에 구성되고 내부가 중공인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상부 외주연에 수용부와 일체형으로 구성된 플랜지와, 상기 수용부의 저부에 수용부와 일체형으로 구성된 수용저부와, 상기 수용저부의 중앙에 관통된 유출공이 구성된 첨가물수용부와, 상기 병의 병목 외부에 결합되는 마개결합부와, 상기 마개결합부의 상부에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마개결합부의 상부면을 밀폐하는 마개상부와, 상기 마개상부면과 일체형으로 구성되되 내부 중앙에 원주형으로 돌출되고 상기 유출공을 개폐하는 개폐부가 구성되는 병마개로 구성되어, 상기 병마개가 개방되면 개폐부가 유출공을 개방하여 첨가물수용부에 충진된 첨가물이 낙하되어 병 내부 음료에 혼합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은 병마개의 구조가 복잡하여 병마개의 제조에 있어 비용이 상승하게 되어 사용자에 대한 부담감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구조가 간단한 경우에는 병마개의 수용부에 수용된 첨가물이 단일로 첨가될 수 없는 구조로서, 첨가물을 다양하게 수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서, 병의 병목에 결합되는 병마개의 내부 구조를 다양한 첨가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다단으로 형성하였고, 다단으로 형성 시 수용부 내부의 주내용물이 하부의 병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개폐뭉치가 구성된 개폐부를 구성한 첨가물 혼합용 병마개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해낸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병마개의 작동으로 상기 병마개 내부의 첨가물이 낙하되어 병 내부 음료에 혼합되는 병마개에 있어서, 상기 병마개의 하측에는 첨가물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구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상측에는 병마개의 상측 외주에 형성된 나사산으로 잠김 또는 풀림 되며 상기 수용부의 첨가물을 병 내부로 유입시키는 개폐부로 구성되되, 상기 수용부에는 첨가물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에는 수용부의 저면까지 관통되는 개폐부재가 구성되고, 상기 개폐부재의 끝부에는 개폐뭉치가 형성되어, 상기 개폐부를 풀림하면, 상기 개폐부가 상측방향으로 풀림 되어 개폐부재가 상측으로 이송되고, 상기 개폐부재의 끝부에 형성된 개폐뭉치가 상기 수용부의 저면을 관통하게 되어 상기 수용부의 첨가물이 관통된 수용저부를 통해 병 내부로 유입되어 병 내부의 음료와 혼합되는 첨가물 혼합용 병마개를 제공함으로서 그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첨가물 혼합용 병마개에 의하면, 병 내부의 음료에 혼합되는 첨가물을 다양하게 구비할 수 있어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에서처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음료와 혼합 시 다양한 맛 또는 향을 나타낼 수도 있으며, 병마개의 상측에 구성된 개폐부의 작동 시 개폐부재가 상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개폐부재의 끝부에 형성된 개폐뭉치가 수용부의 저면을 관통하게 되고, 그로 인해 병 내부와 가까운 수용부에서 순차적으로 관통되도록 하여 각각의 수용부에 수용된 첨가물을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병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는 등 획기적인 발명이라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인 병마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병마개의 구성 중 수용부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병마개의 구성 중 개폐부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병마개의 작동을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병마개의 구성 중 수용공간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병마개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7은 도 6의 병마개 구성 중 수용부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8은 도 6의 병마개 구성 중 개폐부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이에 본 발명인 첨가물 혼합용 병마개(10)를 도 1 내지 도 8을 참고로 그 구성을 설명하면,
병마개의 작동으로 상기 병마개 내부의 첨가물이 낙하되어 병 내부 음료에 혼합되는 병마개에 있어서, 상기 병마개(10)의 하측에는 첨가물(300)이 수용되는 수용부(100)가 구성되고, 상기 수용부(100)의 상측에는 병마개(10)의 상측 외주에 형성된 나사산(11)으로 잠김 또는 풀림 되며 상기 수용부(100)의 첨가물(300)을 병 내부로 유입시키는 개폐부(200)로 구성되되, 상기 수용부(100)에는 첨가물(300)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110)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200)에는 수용부(100)의 저면까지 관통되는 개폐부재(210)가 구성되고, 상기 개폐부재(210)의 끝부에는 개폐뭉치(211)가 형성되어, 상기 개폐부(200)를 풀림하면, 상기 개폐부(200)가 상측방향으로 풀림 되어 개폐부재(210)가 상측으로 이송되고, 상기 개폐부재(210)의 끝부에 형성된 개폐뭉치(211)가 상기 수용부(100)의 저면을 관통하게 되어 상기 수용부(100)의 첨가물(300)이 관통된 수용저부(111)를 통해 병 내부로 유입되어 병 내부의 음료와 혼합된다.
상기 개폐뭉치(211)는 끝부로 갈수록 넓게 형성되어 수용부(100)의 저면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00)는 다수개를 형성하여 사용에 따라 다단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첨가물 혼합용 병마개(10)의 다른 실시 예를 살펴보면,
병마개를 작동하여 상기 병마개 내부의 첨가물이 낙하되어 병 내부 음료에 혼합되는 병마개에 있어서, 상기 병마개(10)의 상측 외주에는 다수개의 걸림 홈(12)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첨가물(300)이 수용되는 수용부(100)가 구성되며, 상기 수용부(100)의 상측에는 상기 수용부(100)의 첨가물(300)을 병 내부로 유입시키는 개폐부(200)로 구성되되, 상기 수용부(100)에는 첨가물(300)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110)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200)의 내주면에 상기 병마개(10)의 걸림 홈(12)에 걸림 되도록 돌출부(220)가 형성되며, 하측에는 수용부(100)의 저면까지 관통되는 개폐부재(210)가 구성되고, 상기 개폐부재(210)의 끝부에는 개폐뭉치(211)가 형성되어, 상기 개폐부(200)를 상측방향으로 당김 하면, 상기 개폐부(200)가 상측방향으로 당김 되어 상기 개폐부(200)의 돌출부(220)가 병마개(10)의 걸림 홈(12)에 걸림 되게 되어 상측으로 이송되고, 상기 개폐부재(210)의 끝부에 형성된 개폐뭉치(211)가 상기 수용부(100)의 저면을 관통하게 되어 상기 수용부(100)의 첨가물(300)이 관통된 수용저부(111)를 통해 병 내부로 유입되어 병 내부의 음료와 혼합된다.
상기한 본 발명과 그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구성에 대해 도 1 내지 도 8을 참고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인 첨가물 혼합용 병마개(10)는 크게 수용부(100)와 개폐부(200)로 대분 구성되며, 상기 병마개(10)의 하측 내주연에는 병목의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산과 연결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병마개(10)의 하측 내주연에 형성된 나사산의 상측으로는 수용부(100)가 구성되며, 상기 수용부(100)의 상측에는 개폐부(200)가 순차적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용부(100)는 병마개(10)의 사용에 따라 상기 개폐부(200)의 하측 내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개폐부(200)의 내주연에는 병마개(10)의 상측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산과 연결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상기한 병마개(10)와 병목과 연결되는 나사산의 방향과, 병마개(10)와 개폐부(200)를 연결하는 나사산의 방향은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나사산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다른 실시 예를 들면, 상기 병마개(10)와 개폐부(200)를 연결 시 상기처럼 나사산을 이용하지 않고, 상기 병마개(10)의 상측 외주에 걸림 홈(12)을 형성하고, 개폐부(200)의 내측에 돌출부(220)를 형성하되 상기 수용부(100)의 간격에 맞게 형성하여 개폐부(200)를 상측방향으로 당겨 상기 개폐부(200)의 돌출부(220)가 병마개(10)의 걸림 홈(12)에 걸림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한 걸림 홈(12)과 돌출부(220)의 형성은 병마개(10)의 사용에 따라 상호 반대로 형성할 수도 있어 상기한 설명에 한정하지 않는다.
더불어 상기한 병마개(10)와 개폐부(200)의 잠김과 풀림에 대한 방법은 병마개(10)의 구성에 따라 가변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 또한 본 발명과 다른 실시 예의 설명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병마개(10)의 구성 중 먼저, 수용부(100)에 대해 설명하면,
수용부(100)는 병마개(10)의 하측 내부에 구성되며, 상기 수용부(100)를 형성하도록 상, 하측에 수용상부와 수용저부(111)가 형성되어 수용공간(110)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공간(110)에 혼합하려는 첨가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수용공간(110)은 도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110)에 수용되는 첨가물(300)의 수에 따라 다단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용저부(11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으로 형성할 수도 있지만,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첨가물(300)이 하측 방향으로 손쉽게 유입될 수 있도록 ‘∪’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개폐부(200)는 상기 수용부(100)의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첨가물(300)을 병 내부로 유입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개폐부(200)에는 상기 수용부(100)의 저면인 수용저부(111)까지 관통되는 개폐부재(210)가 구성되며, 상기 개폐부재(210)의 끝부에는 개폐뭉치(21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200)의 상부 내측에는 병마개(10)의 상부 외측에 형성된 나사산(11)에 연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폐부재(210)는 개폐부(200)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부(100)의 수용공간(110)을 관통하여 수용저부(111)까지 관통된다.
상기 수용저부(111)까지 관통된 개폐부재(210)의 끝부에는 개폐뭉치(211)가 있어야 한다.
이때, 상기 개폐부재(210)의 끝부에 형성된 개폐뭉치(211)는 그 형상이 ‘△’의 형상으로 하여 개폐부재(210)가 상측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개폐뭉치(211)의 좁은 부분이 수용저부(111)를 관통하여 수용공간(110)의 첨가물(300)이 병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본 발명인 첨가물 혼합용 병마개(10)에 대한 작동방법을 도 1 내지 도 8을 토대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이하, 작동방법에 관한 설명에서는 개폐부(200)가 병마개(10)의 상측에 형성된 나사산을 통해 잠김, 풀림 되는 것을 토대로 설명하겠다.
우선, 병 내부의 음료와 혼합하려는 첨가물(300)이 병마개(10)의 수용부(100)에 수용되어 있어야 한다.
수용부(100)의 수용공간(110)에 첨가물(300)이 수용된 병마개(10)는 병목의 외주에 형성된 나사산과 연결되어 잠김 하게 된다.
병마개(10)가 잠김 되면, 상기 병마개(10)의 상측에 구성된 개폐부(200)를 풀림하게 되는데, 이때 풀림하게 되는 개폐부(200)의 방향은 상기 병마개(10)의 잠김 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하여 풀림하게 된다. 그로 인해 개폐부(200)의 풀림 시 병마개(10)가 풀림 되지 않게 된다.
상기에서 개폐부(200)를 풀림 하게 되면, 상기 개폐부(200)가 상측 방향으로 풀림 되면서 개폐부재(210)와 개폐뭉치(211)도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개폐뭉치(211)가 수용부(100)의 수용저부(111)를 관통하게 된다.
상기에서 개폐뭉치(211)가 수용공간(110)의 수용저부(111)를 관통하게 되면,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첨가물(300)이 수용저부(111)의 관통된 부분을 통해 병 내부로 유입되며, 그로 인해 첨가물(300)이 병 내부의 음료와 혼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개폐부(200)를 일정 부분 더 풀림 되게 하면, 상기 수용공간(110)의 상측에 형성된 다단의 수용공간(110a)을 개폐뭉치(211)가 수용저부(111a)를 관통하게 되어 수용공간(110a)에 수용된 첨가물(300a)도 수용저부(111a)의 관통된 부분을 통해 병 내부로 유입되며, 그로 인해 첨가물(300a)이 병 내부의 음료와 혼합하게 되고, 그로 인해 다단으로 형성된 수용공간(110, 110a)의 첨가물(300, 300a)을 병 내부의 음료와 혼합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설명과 같이 본 발명은 병 내부의 음료에 혼합되는 첨가물(300)을 다양하게 구비할 수 있어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에서처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음료와 혼합 시 다양한 맛 또는 향을 나타낼 수도 있으며, 병마개의 상측에 구성된 개폐부(200)의 작동 시 개폐부재(210)가 상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개폐부재(210)의 끝부에 형성된 개폐뭉치(211)가 수용부(100)의 저면을 관통하게 되고, 그로 인해 병 내부와 가까운 수용부(100)에서 순차적으로 관통되도록 하여 각각의 수용부(100, 100a)에 수용된 첨가물(300, 300a)을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병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는 등 획기적인 발명이라 하겠다.
10 : 병마개 11 : 나사산 12 : 걸림 홈
100 : 수용부 110 : 수용공간 111 : 수용저부
200 : 개폐부 210 : 개폐부재 211 : 개폐뭉치
220 : 돌출부
300 : 첨가물

Claims (4)

  1. 병마개의 작동으로 상기 병마개 내부의 첨가물이 낙하되어 병 내부 음료에 혼합될 수 있도록 상측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내부에 첨가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수용부가 구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상측 외주에 형성된 나사산에 의해 잠김 또는 풀림되되 내부에는 상기 수용공간의 저면까지 관통되는 개폐부재가 구성되어 있는 개폐부가 구성된 병마개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 형성된 수용공간(110)은 다단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110)의 저면까지 관통되는 개폐부재(210)의 끝부에는 끝단으로 갈수록 넓게 형성된 개폐뭉치(211)가 형성되되,
    개폐부를 풀림 시, 상기 개폐부재(210)에 형성된 개폐뭉치(211)가 다단으로 다수개 형성된 수용공간(110)의 하측에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개폐부의 풀림을 조절함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110)의 관통 수를 선택하여 병 내부로 유입되는 첨가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첨가물 혼합용 병마개
  2. 병마개의 작동으로 상기 병마개 내부의 첨가물이 낙하되어 병 내부 음료에 혼합될 수 있도록 상측 외주에 다수개의 걸림 홈이 형성되고 내부에 첨가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수용부가 구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상측 외주에 형성된 걸림 홈에 끼움 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잠김 또는 풀림되되 내부에는 상기 수용공간의 저면까지 관통되는 개폐부재가 구성되어 있는 개폐부가 구성된 병마개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 형성된 수용공간(110)은 다단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110)의 저면까지 관통되는 개폐부재(210)의 끝부에는 끝단으로 갈수록 넓게 형성된 개폐뭉치(211)가 형성되되,
    개폐부를 풀림 시, 상기 개폐부재(210)에 형성된 개폐뭉치(211)가 다단으로 다수개 형성된 수용공간(110)의 하측에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개폐부의 풀림을 조절함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110)의 관통 수를 선택하여 병 내부로 유입되는 첨가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첨가물 혼합용 병마개
  3. 삭제
  4. 삭제
KR1020130107510A 2013-09-06 2013-09-06 첨가물 혼합용 병마개 KR101398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7510A KR101398750B1 (ko) 2013-09-06 2013-09-06 첨가물 혼합용 병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7510A KR101398750B1 (ko) 2013-09-06 2013-09-06 첨가물 혼합용 병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8750B1 true KR101398750B1 (ko) 2014-05-27

Family

ID=50895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7510A KR101398750B1 (ko) 2013-09-06 2013-09-06 첨가물 혼합용 병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87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7219A (ko) 2020-08-04 2022-02-11 이명구 렌즈 관리용 조성물 보관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9444B1 (ko) * 2004-04-12 2006-05-16 조영국 용기 마개
KR100753608B1 (ko) * 2006-08-11 2007-08-30 이근천 첨가물 저장공간을 갖는 병마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9444B1 (ko) * 2004-04-12 2006-05-16 조영국 용기 마개
KR100753608B1 (ko) * 2006-08-11 2007-08-30 이근천 첨가물 저장공간을 갖는 병마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7219A (ko) 2020-08-04 2022-02-11 이명구 렌즈 관리용 조성물 보관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53814C (en) A closure cap for attaching to a liquid container
RU2397933C2 (ru) Колпачок для бутылок
US10226153B2 (en) Drink container
US7918336B2 (en) Closure device with corrugated ring plunger part
US20160123786A1 (en) Dual lid container-dispenser apparatus
US20040200741A1 (en) Cap device for mixing different kinds of materials separately contained therein and in bottle
US20050115845A1 (en) Cap device for mixing different kinds of materials separately contained therein and in bottle
KR101348415B1 (ko) 2액형 음료용기
KR101528199B1 (ko) 용기의 마개
EA031088B1 (ru) Крышка с внутренней полостью
CA2629089A1 (en) Container system for successively producing multiple servings of reconstituted liquid product
KR101515423B1 (ko) 첨가물 투입 병마개
KR20110119143A (ko) 재사용 가능한 이종물질 혼합용 용기
KR101296093B1 (ko) 마개 장치
US20160207676A1 (en) Closure cap for mounting on a liquid container
KR101398750B1 (ko) 첨가물 혼합용 병마개
KR20130022369A (ko)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
US10981689B2 (en) Multiple container device
KR200480321Y1 (ko) 혼합용 용기
JP5785060B2 (ja) 混合容器
JP2007253948A (ja) プラスチック容器
KR102110847B1 (ko) 이종 재질의 혼합을 위한 이중 용기조립체
CN208647356U (zh) 一种具有多个瓶口的瓶子
US20170050783A1 (en) Storing and mixing device
KR20090105772A (ko) 이종물질 수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