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7556B1 - 액상음료와 고체보조제의 분리 저장 및 함께 음용이 가능한 용기 - Google Patents

액상음료와 고체보조제의 분리 저장 및 함께 음용이 가능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7556B1
KR101317556B1 KR1020120052976A KR20120052976A KR101317556B1 KR 101317556 B1 KR101317556 B1 KR 101317556B1 KR 1020120052976 A KR1020120052976 A KR 1020120052976A KR 20120052976 A KR20120052976 A KR 20120052976A KR 101317556 B1 KR101317556 B1 KR 101317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ealing
liquid beverage
solid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2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구
김준희
Original Assignee
김준희
최재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963828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31755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준희, 최재구 filed Critical 김준희
Priority to KR1020120052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75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7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7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20Sealing means
    • B65D2251/205Inser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5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edicinal tablets or p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 용기 내에 액상의 음료와 고체의 복용제가 분리되도록 저장되고 음용시 음료와 복용제를 동기에 음용이 가능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상음료와 고체보조제의 분리 저장 및 함께 음용이 가능한 용기는, 액상음료를 수용하는 액상음료 용기와; 상기 액상음료 용기 상단 개구부에 끼워지는 끼움 외곽틀과, 내부에 고체보조제가 담기는 컨테이너와, 상기 끼움 외곽틀과 컨테이너를 연결하는 브릿지를 포함하고, 브릿지간에는 액체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들이 형성되는 고체보조제 용기와; 상기 고체보조제 용기내로 액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 및 상기 고체보조제 용기의 개폐를 수행하며 상단측에서 보조캡과 연결되는 밀봉체와; 외측 내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액상음료 용기의 외측면의 나사부와 나사결합되고, 내측으로는 상기 밀봉체가 연결될 수 있는 밀봉체연결편이 형성된 보조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액상음료와 고체보조제의 분리 저장 및 함께 음용이 가능한 용기{CONTAINER FOR SEPARATED STORING AND DRINKING OF LIQUID DRINK AND SOLID ASSISTANT FOOD}
본 발명은 음료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 용기 내에 액상의 음료와 고체의 복용제가 분리되도록 저장되고 음용시 음료와 복용제를 동기에 음용이 가능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차나 음료는 일정한 형상의 음료 용기에 담겨져 판매되고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음료 용기에는 마실 수 있는 액상의 음료나 차가 들어있고, 캡을 개봉하여 음용하게 된다.
하지만, 건강보조식품이나 비타민제와 같은 복용제를 먹을 때 음료(이 경우는 건강보조음료)와 같이 마시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러한 것을 고려하여 일본국 특개 2010-6405에는 용기캡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 2010-6405에는 용기캡을 이중 나사캡으로 형성하고 용기캡 내부에 고체의 복용제를 수용하고, 용기 내부에는 액상의 음료를 수용한 상태에서 용기캡을 열면 고체의 복용제가 용기 내부의 음료와 섞여 복용제와 음료가 혼합된 상태에서 음용이 가능한 용기캡 및 용기가 개시된다.
하지만, 일본국 특개 2010-6405는 복용제와 음료를 동시에 음용할 수 있도록 개선은 되었지만, 일반적으로 복용제와 음료가 섞인 상태에서 음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며 특히 복용제가 알약 형태로 되어 있는 건강보조제인 경우 이를 음료와 섞인 상태에서 마시는 것은 불쾌하거나 역겨울 수 있는 부분이 있다.
이와 달리, 미국 공개특허 2006-0151414에는 고체의 복용제와 음료가 분리된 상태로 보관하고 음용시 각각 별개로 음용될 수 있는 용기캡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미국 공개특허 2006-0151414에 개시된 용기캡은 고체의 복용제를 먹기 위해 개구부를 개구할 수 있는 커버를 일차적으로 떼어내고 복용제를 먹은 다음 이차적으로 캡을 열어 음료를 마시는 구조로 되어 있는 데, 이는 종래와 같이 복용제를 먹고 음료를 마시는 방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2 단계에 걸친 개봉이 필요한 구조로서 종래와 같은 방식으로 혼음용하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
JP 특개 2010-6405A(2010.01.14) US 2006-0151414 A1(2006.07.13)
본 발명의 목적은 액상의 음료와 고체의 복용제를 하나의 음료 용기내에 분리 보관할 수 있는 음료 용기용 이중 캡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용제와 음료를 복용시 이중 캡을 단 1회에 의해 개봉하고 이 상태에서 복용제와 음료를 동시에 복용할 수 있는 구조의 음료 용기용 이중 캡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시 복용시 복용전(캡이 개봉된 상태에서) 고체의 복용제와 액상의 음료가 서로 섞이지 않는 구조로 형성하여 두 물질이 서로 섞임에 따른 불쾌감이나 역겨움을 없앨 수 있는 음료 용기용 이중 캡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본 발명에 따른 액상음료와 고체보조제의 분리 저장 및 함께 음용이 가능한 용기는, 액상음료를 수용하는 액상음료 용기와; 상기 액상음료 용기 상단 개구부에 끼워지는 끼움 외곽틀과, 내부에 고체보조제가 담기는 컨테이너와, 상기 끼움 외곽틀과 컨테이너를 연결하는 브릿지를 포함하고, 브릿지간에는 액체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들이 형성되는 고체보조제 용기와; 상기 고체보조제 용기내로 액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 및 상기 고체보조제 용기의 개폐를 수행하며 상단측에서 보조캡과 연결되는 밀봉체와; 외측 내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액상음료 용기의 외측면의 나사부와 나사결합되고, 내측으로는 상기 밀봉체가 연결될 수 있는 밀봉체연결편이 형성된 보조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끼움 외곽틀의 상단부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선단날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선단날개부의 상면은 상기 보조캡의 일면과 맞닿고, 상기 선단날개부의 하면은 상기 액상음료 용기의 선단면과 맞닿으며, 상기 선단날개부의 하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실링을 위한 실링돌기가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밀봉체의 하면에는 상기 고체보조제 용기의 상단면과 맞닿아 실링을 위한 실링돌기가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밀봉체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상단연결턱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캡의 밀봉체연결편의 내측에는 내측으로 턱이 형성된 턱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단연결턱과 턱부의 맞물림으로 인하여 상기 밀봉체가 상기 보조캡에 일체로 움직이도록 연결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끼움 외곽틀은 상기 액상음료 용기의 내측면으로 강제 끼움 방식으로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보조캡의 외측으로는 커버가 더 형성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상음료와 고체보조제의 분리 저장 및 함께 음용이 가능한 용기는, 액상음료를 수용하는 액상음료 용기와; 상기 액상음료 용기 상단 개구부에 끼워지는 끼움 외곽틀과, 내부에 고체보조제가 담기는 컨테이너와, 상기 끼움 외곽틀과 컨테이너를 연결하는 브릿지와, 상기 컨테이너의 상단에 형성되며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실링 컨테이너를 포함하고, 브릿지간에는 액체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들이 형성되는 고체보조제 용기와; 외측 내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액상음료 용기의 외측면의 나사부와 나사결합되고, 내측으로는 상기 실링 컨테이너가 삽입되어 밀착되는 실링 안착부가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 보조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링 안착부는 단면이 이등변삼각형 형태의 홈을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링 안착부는 상기 실링 컨테이너의 내측면과 맞닿는 면이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끼움 외곽틀의 상단부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선단날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선단날개부의 상면은 상기 보조캡의 일면과 맞닿고, 상기 선단날개부의 하면은 상기 액상음료 용기의 선단면과 맞닿으며, 상기 선단날개부의 하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실링을 위한 실링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실링 컨테이너의 상면에는 상기 실링 안착부의 내측 상면과 맞닿아 실링되는 실링돌기가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컨테이너는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실링 컨테이너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컨테이너와 상기 실링 컨테이너는 이중 사출 방식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액상의 음료와 고체의 복용제를 하나의 음료 용기내에 분리 보관할 수 있고, 복용제와 음료를 복용시 이중 캡을 단 1회에 의해 개봉하고 이 상태에서 복용제와 음료를 동시에 복용할 수 있으며, 복용전(캡이 개봉된 상태에서) 고체의 복용제와 액상의 음료가 서로 섞이지 않는 구조의 음료 용기용 이중 캡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상음료와 고체보조제의 분리 저장 및 함께 음용이 가능한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상음료와 고체보조제의 분리 저장 및 함께 음용이 가능한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상음료와 고체보조제의 분리 저장 및 함께 음용이 가능한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상음료와 고체보조제의 분리 저장 및 함께 음용이 가능한 용기의 이중 캡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상음료와 고체보조제의 분리 저장 및 함께 음용이 가능한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상음료와 고체보조제의 분리 저장 및 함께 음용이 가능한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상음료와 고체보조제의 분리 저장 및 함께 음용이 가능한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상음료와 고체보조제의 분리 저장 및 함께 음용이 가능한 용기의 이중 캡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액상음료와 고체보조제의 분리 저장 및 함께 음용이 가능한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액상음료와 고체보조제의 분리 저장 및 함께 음용이 가능한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액상음료와 고체보조제의 분리 저장 및 함께 음용이 가능한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액상음료와 고체보조제의 분리 저장 및 함께 음용이 가능한 용기의 이중 캡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액상음료와 고체보조제의 저장 및 음용이 가능한 용기의 구조 및 작용효과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상음료와 고체보조제의 분리 저장 및 함께 음용이 가능한 용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상음료와 고체보조제의 분리 저장 및 함께 음용이 가능한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상음료와 고체보조제의 저장 및 음용이 가능한 용기(10)는 본체(11)와 뚜껑(12)으로 이루어진다.
본체(11)는 일반적인 플라스틱, 펄프(종이), 유리 또는 금속재 등으로 내부에 액상음료를 담아둘 수 있는 용기이다.
본체(11)는 다시 액상음료를 저장하는 액상음료 용기(21)와 고체보조제를 저장하는 고체보조제 용기(22)로 나뉜다.
고체보조제 용기(22)는 연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액상음료 용기(21)의 개구부 측에 강제 끼움 방식 또는 나사선 끼움방식으로 끼워지고, 액상음료 용기(21)의 개구부의 내측에 강제 끼움되는 끼움 외곽틀(22a)과 내부에 고체보조제를 담아둘 수 있는 원통형의 컨테이너(22b)와 끼움 외곽틀(22a)과 컨테이너(22b)를 서로 연결시키는 하나 이상의 브릿지(22c)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브릿지(22c)에 의해 끼움 외곽틀(22a)과 컨테이너(22b)가 서로 연결됨과 동시에 브릿지(22c)들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22d)들은 액상음료 용기(21)에 담겨진 액상음료가 토출되는 부분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액상음료는 일반 과일음료, 과일맛음료, 건강기능음료, 건강보조음료 등 그 제한이 없으며, 고체보조제는 비타민, 건강기능보조제, 캡슐형태의 식품 등 물이나 음료와 같이 섭취할 수 있는 식품이나 약품 등이 이에 해당된다.
뚜껑(12)은 최외측에 형성되는 커버(23)와, 커버(23)의 내측에 형성되며 액상음료 용기(21)의 개구부 외측에 형성된 나사부(미도시)와 결합되도록 내측에 나사부(미도시)를 갖는 보조캡(24)과, 상단측은 보조캡(24)과 결합되고 하단측은 고체보조제 용기(22)의 컨테이너(22b)의 내측에 결합되어 컨테이너(22b)의 개폐를 담당하는 밀봉체(2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용기(10)는 액상음료 용기(21) 내에 액상음료가 담기고, 고체보조제 용기(22) 내에 고체보조제가 담긴 상태에서 서로 섞이지 않도록 분리되어 뚜껑(12)을 덮어 밀폐된다. 이 상태에서 뚜껑(12)을 열면 이와 함께 밀봉체(25)가 열리면서 액상음료 용기(21) 및 고체보조제 용기(22) 모두가 개구된 상태에 놓이고 이를 사람이 복용하면 고체보조제와 액상음료를 동시에 섭취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아래 도 3 및 도 4의 단면도를 참조하여 그 구조를 좀 더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상음료와 고체보조제의 분리 저장 및 함께 음용이 가능한 용기의 단면도(도 1에서 본체와 뚜껑이 결합된 상태에서의 A-A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상음료와 고체보조제의 분리 저장 및 함께 음용이 가능한 용기의 이중 캡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용기(10)는 본체(11)와 뚜껑(12)의 나사 결합에 의해 체결되며, 액상음료 용기(21)의 상단측 용기 개구부(21a)에는 고체보조제 용기(22)가 결합되는 데 용기 개구부(21a) 선단측에 끼움 외곽틀(22a)이 강제 끼움 방식으로 체결되고, 커버(23) 내측으로는 보조캡(24)이 체결되고 보조캡(24) 내측으로는 밀봉캡(25)이 체결된다.
이 상태에서 본체(11)와 뚜껑(12)이 결합될 때, 끼움 외곽틀(22a)의 선단부인 선단날개부(22e)가 보조캡(24)의 끼움홈(24a)에 맞물리게 되며, 밀봉체(25)는 상단으로는 보조캡(24)과 연결되고 하단으로는 컨테이너(22b)에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4를 참조하면, 용기의 결합구조를 더 상세히 볼 수 있게 된다.
(A)는 본체(11)와 뚜껑(12)이 결합된 상태에서의 확대도이고, (B)는 (A)의 부품들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본체(11)와 뚜껑(12)은 용기 개구부(21a)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면(21b)과 보조캡(24)의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면(24d)의 나사 결합에 의해 체결된다.
커버(23)와 보조캡(24)은 A 부분에서와 같이 서로의 턱끼리 맞물려 일체화되어 결합되고, 밀봉캡(25)은 보조캡(24)의 밀봉체연결편(24b)과 일체화되어 결합된다. 밀봉체연결편(24b)은 내측으로 턱부가 형성된 턱부(24c)가 형성되며, 밀봉체(25)의 상단은 외측으로 돌출된 상단연결턱(25b)이 형성되어 턱부(24c)와 상단연결턱(25b)이 서로 맞물리면서 결합되어 일체로 연동되어 움직이게 된다.
고체보조제 용기(22)는 액상음료 용기(21)와 일체화되어 결합되며, 이 결합은 액상음료 용기(21)의 용기 개구부(21a)의 내면과 고체보조제 용기(22)의 끼움 외곽틀(22a)의 외면의 강제 끼움 방식으로 결합된다.
여기서, 밀봉체(25)는 고체보조제 용기(22) 내부로 인입되는 몸체(25a)와, 보조캡(24)의 턱부(24c)와 체결되는 상단연결턱(25b)과, 고체보조제 용기(22)의 상단부에 면접되어 내부로 액체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날개부(25c)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용기는 고체보조제와 액상음료가 서로 섞이지 않도록 하고 액상음료가 용기 외부로 토출되지 않도록 2중 실링구조를 갖으며, 고체보조제 용기(22) 내부로 액상음료 용기(21) 내의 액체가 유입되지 않도록 밀봉체(25)의 날개부(25c)에는 실링돌기(25d)가 형성되며, 액상음료 용기(21)의 용기 개구부(21a)의 선단부과 맞닿는 고체보조제 용기(22)의 끼움 외곽틀(22a)의 선단날개부(22e)의 하면으로 실링돌기(22f)가 형성된다.
실링돌기(22f, 25d) 각각은 용기 개구부(21a)의 선단면 및 컨테이너(22b) 선단면에 각각 면접촉되어 일정한 힘으로 눌려져 액체의 유입 및 유출을 막는 실링 역할을 한다. 실링돌기(22f, 25d) 각각은 원주 방향으로 원을 그리며 형성된다.
본 발명의 용기(10)는 본체(11)와 뚜껑(12)의 나사결합으로 이루어지며, 결합된 상태에서 A 내지 E 부분에서 서로간의 부품들이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A에서는 커버(23)와 보조캡(24)간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B에서는 보조캡(24)과 용기 개구부(21a)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며, C에서는 용기 개구부(21a)와 끼움 외곽틀(22a)이 결합된 상태에서 보조캡(24)과 연결되고, D에서는 보조캡(24)과 밀봉캡(25)이 결합되며, E에서는 보조캡(24)과 고체보조제 용기(22) 사이에서 밀봉캡(25)의 날개부(25c)가 매개되어 연결된다.
여기서, A와 D의 결합부는 일체화된 형태를 유지하여 서로 분리되지 않은 결합구조를 가지며, C와 E의 결합부는 액체의 유입 및 유출을 막기 위한 실링 구조의 결합구조를 가지고, B는 결합력과는 다른 본체와 뚜껑의 나사결합에 의한 선단결합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원발명의 용기(10)는 도 3를 참조하면 본체(11)와 뚜껑(12)이 나사 결합되어 닫힌 상태에서는 액상음료 용기(21) 내부에는 액상 음료가 수용되어 있고 고체보조제 용기(22) 내부에는 고체상의 캡슐 형태의 식품이나 약품이 수용되며, 이때 각각의 실링돌기(22f, 25d)에 의해 액체와 고체가 섞일 염려가 없으며 액체가 용기 외부로 토출될 염려도 없게 되어 다른 이종의 물질을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하나의 용기 내에 수용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1로 돌아가 살펴보면, 본체(11)로부터 나사결합된 뚜껑(12)을 열게 되면 도 1과 같은 형태가 된다.
뚜껑(12)의 열림과 함께 커버(23), 보조캡(24) 및 밀봉캡(25)은 일체로 본체(11)로부터 분리되며, 본체(11)는 뚜껑(12)이 열린 상태에서 액상음료 용기(21)와 고체보조제 용기(22)만이 남게 된다.
이때, 액상음료 용기(21) 내에는 액상 음료가 수용된 상태이고, 고체보조제 용기(22) 내에는 고체보조제가 수용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음용자는 고체보조제와 액상 음료를 동시에 음용 또는 섭취가 가능하게 된다.
즉, 본원발명의 용기는 고체보조제와 액상 음료를 동시에 음용 및 섭취가 가능하며, 서로 섞이지 않은 상태로 보관이 가능하고, 뚜껑의 개폐동작 1회에 의해 액상음료 용기와 고체보조제 용기의 개구 상태가 확보되는 편리한 구조를 갖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상음료와 고체보조제의 분리 저장 및 함께 음용이 가능한 용기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상음료와 고체보조제의 분리 저장 및 함께 음용이 가능한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상음료와 고체보조제의 분리 저장 및 함께 음용이 가능한 용기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상음료와 고체보조제의 분리 저장 및 함께 음용이 가능한 용기의 이중 캡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의 (A)는 본체(31)와 뚜껑(32)이 결합된 상태에서의 확대도이고, (B)는 (A)의 부품들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고체보조제 용기의 실링 구조에서 차이가 있으며 나머지 기본 구조는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구조 설명으로 대체하며 고체보조제 용기의 실링 구조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밀봉체(25)가 없는 구조이다.
밀봉체(25) 대신에 컨테이너(42b)의 상단부에 실링 컨테이너(42e)가 형성된다. 컨테이너(42b)는 경질의 합성수지재이고 실링 컨테이너(42e)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서 이 둘은 이중사출 방식으로 하여 하나의 사출물로서 형성이 가능하다.
실링 컨테이너(42e)의 상단에는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실링돌기(42f)가 더 형성되어 실링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보조캡(44)의 구조도 제1 실시예의 보조캡(24) 구조와 다소 다르게 형성되는 데, 제2 실시예의 보조캡(44)은 실링 컨테이너(42e)와 맞물릴 수 있는 실링안착부(44e)가 더 형성된다.
실링 안착부(44e)는 보조캡(44)의 내측에서 원통형으로 하방향으로 뻗은 포스트(44f)에서 하단면을 대략 단면이 이등변삼각형 형태로 홈으로 파서 원주방향으로 형성토록 한 구조를 갖는다.
실링 안착부(44e)와 실링 컨테이너(42e)의 결합에 의해 고체보조제 용기(42) 내부로 액체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며, 보조캡(44)이 본체(11)로부터 분리되는 것에 따라 고체보조제 용기(42) 및 액상음료 용기(41)의 개구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액상음료와 고체보조제의 분리 저장 및 함께 음용이 가능한 용기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액상음료와 고체보조제의 분리 저장 및 함께 음용이 가능한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액상음료와 고체보조제의 분리 저장 및 함께 음용이 가능한 용기의 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액상음료와 고체보조제의 분리 저장 및 함께 음용이 가능한 용기의 이중 캡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의 (A)는 본체(51)와 뚜껑(52)이 결합된 상태에서의 확대도이고, (B)는 (A)의 부품들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고체보조제 용기의 실링 구조에서 차이가 있으며 나머지 기본 구조는 동일하다. 또한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비교하여 고체보조제 용기의 실링 구조의 유사성을 갖으나 실링 안착부(64e)의 구조에서 상이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구조 설명으로 대체하며 고체보조제 용기의 실링 구조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밀봉체(25) 대신에 컨테이너(62b)의 상단부에 실링 컨테이너(62e)가 형성된다. 컨테이너(62b)는 경질의 합성수지재이고 실링 컨테이너(62e)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서 이 둘은 이중사출 방식으로 하여 하나의 사출물로서 형성이 가능하다.
실링 컨테이너(62e)의 상단에는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실링돌기(62f)가 더 형성되어 실링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보조캡(64)의 구조도 제1 실시예의 보조캡(64) 구조와 다소 다르게 형성되는 데, 제3 실시예의 보조캡(64)은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실링 컨테이너(62e)와 맞물릴 수 있는 실링 안착부(64e)가 더 형성된다.
실링 안착부(64e)는 보조캡(64)의 내측에서 원통형으로 하방향으로 뻗은 포스트(64f)에서 하단면에 홈을 파서 원주방향으로 형성토록 한 구조를 갖으며, 실링 안착부(64)의 내측으로 실링 컨테이너(62e)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실링 컨테이너(62e)의 내측면과 맞닿는 실링 안착부(64)의 면이 경사면(64g)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데, 이는 경사면(64g)이 실링 컨테이너(62e) 내면 하방향으로 일정한 힘으로 누르면서 들어가면 연질의 실링 컨테이너(62e)는 경사면(64g)을 따라 압접되면서 좌우측으로 벌어지는 형상을 갖게 되며 이는 실링 구조의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를 가져오게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30, 50 : 용기 11, 31, 51 : 본체
12, 32, 52 : 뚜껑 21, 41, 61 : 액상음료 용기
22, 42, 62 : 고체보조제 용기 23, 43, 63 : 커버
24, 44, 64 : 보조캡 25 : 밀봉체
21a, 41a, 61a : 용기 개구부
21b, 41b, 61b, 24d, 44d, 64d : 나사면
22a, 42a, 62a : 끼움 외곽틀 22b, 42b, 62b : 컨테이너
22c, 42c, 62c : 브릿지 22d, 42d, 62d : 공간
22e, 42e, 62e : 선단날개부
22f, 42f, 62f, 25d, 45d, 65d : 실링돌기
24a, 44a, 64a : 끼움홈 24b : 밀봉체연결편
24c : 턱부 25a : 몸체
25b : 상단연결턱 25c : 날개부
42e, 62e : 실링 컨테이너 44e, 64e : 실링 안착부
44f, 64f : 포스트 64g : 경사면

Claims (12)

  1. 액상음료를 수용하는 액상음료 용기와;
    상기 액상음료 용기 상단 개구부에 끼워지는 끼움 외곽틀과, 내부에 고체보조제가 담기는 컨테이너와, 상기 끼움 외곽틀과 컨테이너를 연결하는 브릿지를 포함하고, 브릿지간에는 액체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들이 형성되는 고체보조제 용기와;
    상기 고체보조제 용기내로 액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 및 상기 고체보조제 용기의 개폐를 수행하며 상단측에서 보조캡과 연결되는 밀봉체와;
    외측 내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액상음료 용기의 외측면의 나사부와 나사결합되고, 내측으로는 상기 밀봉체가 연결될 수 있는 밀봉체연결편이 형성된 보조캡;을 포함하는, 액상음료와 고체보조제의 분리 저장 및 함께 음용이 가능한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 외곽틀의 상단부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선단날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선단날개부의 상면은 상기 보조캡의 일면과 맞닿고, 상기 선단날개부의 하면은 상기 액상음료 용기의 선단면과 맞닿으며,
    상기 선단날개부의 하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실링을 위한 실링돌기가 형성되는, 액상음료와 고체보조제의 분리 저장 및 함께 음용이 가능한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체의 하면에는 상기 고체보조제 용기의 상단면과 맞닿아 실링을 위한 실링돌기가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액상음료와 고체보조제의 분리 저장 및 함께 음용이 가능한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체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상단연결턱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캡의 밀봉체연결편의 내측에는 내측으로 턱이 형성된 턱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단연결턱과 턱부의 맞물림으로 인하여 상기 밀봉체가 상기 보조캡에 일체로 움직이도록 연결되는, 액상음료와 고체보조제의 분리 저장 및 함께 음용이 가능한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 외곽틀은 상기 액상음료 용기의 내측면으로 강제 끼움 방식 또는 나사선 끼움 방식으로 끼워지는,액상음료와 고체보조제의 분리 저장 및 함께 음용이 가능한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캡의 외측으로는 커버가 더 형성되어 결합되는, 액상음료와 고체보조제의 분리 저장 및 함께 음용이 가능한 용기.
  7. 액상음료를 수용하는 액상음료 용기와;
    상기 액상음료 용기 상단 개구부에 끼워지는 끼움 외곽틀과, 내부에 고체보조제가 담기는 컨테이너와, 상기 끼움 외곽틀과 컨테이너를 연결하는 브릿지와, 상기 컨테이너의 상단에 형성되며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실링 컨테이너를 포함하고, 브릿지간에는 액체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들이 형성되는 고체보조제 용기와;
    외측 내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액상음료 용기의 외측면의 나사부와 나사결합되고, 내측으로는 상기 실링 컨테이너가 삽입되어 밀착되는 실링 안착부가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 보조캡;을 포함하는, 액상음료와 고체보조제의 분리 저장 및 함께 음용이 가능한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안착부는 단면이 이등변삼각형 형태의 홈을 갖는, 액상음료와 고체보조제의 분리 저장 및 함께 음용이 가능한 용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안착부는 상기 실링 컨테이너의 내측면과 맞닿는 면이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액상음료와 고체보조제의 분리 저장 및 함께 음용이 가능한 용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 외곽틀의 상단부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선단날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선단날개부의 상면은 상기 보조캡의 일면과 맞닿고, 상기 선단날개부의 하면은 상기 액상음료 용기의 선단면과 맞닿으며,
    상기 선단날개부의 하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실링을 위한 실링돌기가 형성되는, 액상음료와 고체보조제의 분리 저장 및 함께 음용이 가능한 용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컨테이너의 상면에는 상기 실링 안착부의 내측 상면과 맞닿아 실링되는 실링돌기가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액상음료와 고체보조제의 분리 저장 및 함께 음용이 가능한 용기.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는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실링 컨테이너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컨테이너와 상기 실링 컨테이너는 이중 사출 방식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액상음료와 고체보조제의 분리 저장 및 함께 음용이 가능한 용기.
KR1020120052976A 2012-05-18 2012-05-18 액상음료와 고체보조제의 분리 저장 및 함께 음용이 가능한 용기 KR101317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976A KR101317556B1 (ko) 2012-05-18 2012-05-18 액상음료와 고체보조제의 분리 저장 및 함께 음용이 가능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976A KR101317556B1 (ko) 2012-05-18 2012-05-18 액상음료와 고체보조제의 분리 저장 및 함께 음용이 가능한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7556B1 true KR101317556B1 (ko) 2013-10-11

Family

ID=49638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2976A KR101317556B1 (ko) 2012-05-18 2012-05-18 액상음료와 고체보조제의 분리 저장 및 함께 음용이 가능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7556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798B1 (ko) * 2014-01-03 2015-03-19 최재구 액상과 고체제의 분리 저장 및 동시 음용이 가능한 용기
KR101531230B1 (ko) * 2015-01-20 2015-06-24 이상옥 고체상태의 기능성 첨가제 수용이 가능한 버틀캡
KR101614461B1 (ko) * 2014-08-26 2016-04-21 제이씨텍(주) 음료용기용 마개
CN105615467A (zh) * 2015-04-24 2016-06-01 杨晓峰 冲泡容器、盖体、冲泡料的储存方法及冲泡方法
KR101740663B1 (ko) * 2016-07-15 2017-05-26 주식회사 엔바이오 환제 내장용 음료 용기 마개
KR101749699B1 (ko) 2016-12-26 2017-06-23 주식회사 엔바이오 환제 내장용 음료 용기 마개
WO2018084367A1 (ko) * 2016-11-03 2018-05-11 주식회사 케이제이테크놀러지 내열용기마개
KR102079732B1 (ko) * 2019-10-01 2020-02-20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기능성 용기
KR20210022893A (ko) * 2019-08-21 2021-03-04 박대한 첨가물을 수납하는 음료용기
KR102290769B1 (ko) * 2021-07-23 2021-08-18 정도용 병마개
WO2022055027A1 (ko) * 2020-09-10 2022-03-17 제이씨텍(주) 용기 및 보조 내용물 수용 기구
USD957196S1 (en) 2020-10-27 2022-07-12 Yeti Coolers, Llc Bottle
USD1005776S1 (en) 2021-09-15 2023-11-28 Yeti Coolers, Llc Lid
US11912471B2 (en) 2020-10-27 2024-02-27 Yeti Coolers, Llc Lid assembly for a contain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9431A (ko) * 2003-04-12 2004-10-21 조영국 이종물질을 실시간 혼합시킬 수 있는 용기의 마개
KR100622627B1 (ko) 2004-10-07 2006-09-20 조영국 용기의 마개
JP2010006405A (ja) 2008-06-26 2010-01-14 Mip:Kk ボトルキャップおよびこのボトルキャップを有する容器
KR20120003229U (ko) * 2010-11-01 2012-05-09 김종수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뚜껑 및 그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9431A (ko) * 2003-04-12 2004-10-21 조영국 이종물질을 실시간 혼합시킬 수 있는 용기의 마개
KR100622627B1 (ko) 2004-10-07 2006-09-20 조영국 용기의 마개
JP2010006405A (ja) 2008-06-26 2010-01-14 Mip:Kk ボトルキャップおよびこのボトルキャップを有する容器
KR20120003229U (ko) * 2010-11-01 2012-05-09 김종수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뚜껑 및 그 용기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798B1 (ko) * 2014-01-03 2015-03-19 최재구 액상과 고체제의 분리 저장 및 동시 음용이 가능한 용기
KR101614461B1 (ko) * 2014-08-26 2016-04-21 제이씨텍(주) 음료용기용 마개
KR101531230B1 (ko) * 2015-01-20 2015-06-24 이상옥 고체상태의 기능성 첨가제 수용이 가능한 버틀캡
CN105615467A (zh) * 2015-04-24 2016-06-01 杨晓峰 冲泡容器、盖体、冲泡料的储存方法及冲泡方法
KR101740663B1 (ko) * 2016-07-15 2017-05-26 주식회사 엔바이오 환제 내장용 음료 용기 마개
WO2018084367A1 (ko) * 2016-11-03 2018-05-11 주식회사 케이제이테크놀러지 내열용기마개
KR101749699B1 (ko) 2016-12-26 2017-06-23 주식회사 엔바이오 환제 내장용 음료 용기 마개
KR20210022893A (ko) * 2019-08-21 2021-03-04 박대한 첨가물을 수납하는 음료용기
KR102244284B1 (ko) * 2019-08-21 2021-04-23 박대한 첨가물을 수납하는 음료용기
KR102079732B1 (ko) * 2019-10-01 2020-02-20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기능성 용기
WO2022055027A1 (ko) * 2020-09-10 2022-03-17 제이씨텍(주) 용기 및 보조 내용물 수용 기구
USD957196S1 (en) 2020-10-27 2022-07-12 Yeti Coolers, Llc Bottle
USD1011136S1 (en) 2020-10-27 2024-01-16 Yeti Coolers, Llc Bottle
US11912471B2 (en) 2020-10-27 2024-02-27 Yeti Coolers, Llc Lid assembly for a container
KR102290769B1 (ko) * 2021-07-23 2021-08-18 정도용 병마개
USD1005776S1 (en) 2021-09-15 2023-11-28 Yeti Coolers, Llc Lid
USD1015804S1 (en) 2021-09-15 2024-02-27 Yeti Coolers, Llc L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7556B1 (ko) 액상음료와 고체보조제의 분리 저장 및 함께 음용이 가능한 용기
AU2014397171B2 (en) Closure cap for attachment to a liquid container
ES2351769T3 (es) Recipiente, uso de un recipiente, cámara complementaria y método para llenar un recipiente.
US9592940B2 (en) Ingredient release spout
ES2883692T3 (es) Un envase para bebidas con dispensador
US20100170910A1 (en) Hinged closure
KR20150075818A (ko) 첨가제 수용구조를 갖는 용기마개
US20150173557A1 (en) Tea bag storage case for mineral water bottle having integrated cap
CN104787464A (zh) 内置功能性添加剂的食品饮料用容器盖
KR101554665B1 (ko) 기능성 입자 보관을 위한 수용체를 구비한 음료용기
US20100044254A1 (en) Beverage mix dispensing closure
CN103391886A (zh) 用于容纳异质材料的设备
US20130032566A1 (en) Compound sports water bottle
KR101916400B1 (ko) 액상과 고체제의 분리 저장 및 동시 음용이 가능한 용기
KR101503798B1 (ko) 액상과 고체제의 분리 저장 및 동시 음용이 가능한 용기
US9902537B2 (en) Multipurpose bottle cap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KR101376289B1 (ko) 혼합음료제조키트
KR20130011553A (ko) 첨가제 보관이 가능한 용기 마개
KR100794167B1 (ko) 이종물질 낙하 및 혼합용 병뚜껑
US10906696B1 (en) Edible supplement and liquid container assembly
KR101599443B1 (ko) 티백 보관이 가능한 생수병
US20150210462A1 (en) Combined medicament and beverage container
KR20130035791A (ko) 생수병 뚜껑
KR102548724B1 (ko) 기능성 보충제가 수용된 음료용기
KR101056403B1 (ko) 이종물질 혼합용 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40311

Effective date: 20150122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50224

Effective date: 20151023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51118

Effective date: 20160218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60304

Effective date: 2016040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08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0002447;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220831

Effective date: 2023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