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9732B1 - 기능성 용기 - Google Patents

기능성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9732B1
KR102079732B1 KR1020190121806A KR20190121806A KR102079732B1 KR 102079732 B1 KR102079732 B1 KR 102079732B1 KR 1020190121806 A KR1020190121806 A KR 1020190121806A KR 20190121806 A KR20190121806 A KR 20190121806A KR 102079732 B1 KR102079732 B1 KR 102079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portion
space
contents
circumferential surface
inn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1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철
이정호
권민정
박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Priority to KR1020190121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97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65D25/08Partitions with provisions for removing or destroying, e.g. to facilitate mixing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16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 B65D81/3222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with additional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의 제1내용물과 고상의 제2내용물이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분리 저장할 수 있으며, 캡 개봉 시 상기 제1내용물과 제2내용물을 동시에 마실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선도가 유지된 음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기능성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능성 용기{FUNCTIONAL CONTAINER}
본 발명은 액상의 제1내용물과 고상의 제2내용물을 분리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개봉 시 상기 제1내용물과 제2내용물을 동시 마실 수 있는 기능성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는 물품 또는 포장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 금속제나 유리제, 플라스틱제의 병이나 캔 또는 목재나 금속제의 통이나 상자 등의 강성 용기, 종이, 셀로판, 플라스틱 필름, 알루미늄박, 천 등 유연한 재료로 만들어진 유연성 용기와, 강성은 있더라도 약간 유연성을 갖는 플라스틱제 병 등 반강성 용기로 나누어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용기에는 서로 다른 내용물이 혼합된 용액을 수용하기도 하였다. 즉 상기 용기에는 혼합 용액을 사용자가 음용하기 전에 이미 제조 과정부터 혼합된 상태로 보관 수용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용기 내에는 서로 다른 내용물이 혼합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방지하고자 보존료, 산화방지제 등의 식품첨가물을 첨가하였으나, 이로 인해 서로 다른 내용물의 혼합 용액의 신선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9670호(공고일: 2004.12.09)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액상의 제1내용물과 고상의 제2내용물이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분리 저장할 수 있으며, 캡 개봉 시 상기 제1내용물과 제2내용물을 동시에 마실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선도가 유지된 음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기능성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용기는, 내부에 액상의 제1내용물이 수납될 수 있도록 적어도 상측이 개구된 제1수용공간이 마련되는 본체부; 상기 개구 내에 결합되고, 음용 시 상기 제1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공이 구비되며, 고상의 제2내용물이 수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제2수용공간이 마련되는 바스켓부; 상기 개구가 형성된 본체부의 외주연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제2수용공간을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획해줄 수 있도록 제1구획판이 구비되며, 상기 제1구획판의 일측에 투입공이 형성되는 내캡부; 및 상기 내캡부의 외주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내캡부를 개방시키기 위한 회전 조작 시 소정각도 공회전되면서 상기 투입공을 먼저 개방시켜주는 제2구획판이 구비되어, 최초 상기 투입공의 폐쇄 상태에서 상기 상부공간에 상기 제2내용물을 수납해주고, 상기 투입공의 개방 시 상기 상부공간에 수납된 제2내용물을 상기 하부공간으로 이동시켜주는 외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외캡부의 내주면에는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하나 이상의 제1돌기;가 소정각도 이격되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내캡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외캡부의 회전 조작 시 소정지점에서 상기 제1돌기와 맞닿아 일체로 회전되면서 개방될 수 있도록 제2돌기;가 대응되게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돌기의 하단 끝단부에는, 상기 내캡부의 하부 테두리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턱;이 더 구비되어, 상기 외캡부와 내캡부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1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중심축선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보조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내캡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보조돌기가 걸림 고정되는 위치설정용 돌기;가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여, 상기 외캡부를 소정 이상의 힘으로 개방 조작 시 상기 보조돌기가 위치설정용 돌기로부터 걸림이 해제되면서 상기 외캡부가 소정각도 공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스켓부의 상부 외둘레에는, 상기 본체부의 개구 테두리를 감싸 고정해주는 플랜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부에는 상기 배출공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공은 상기 본체부의 개구 내주면을 따라 배치되도록 형성된 플랜지부의 오목홈부 내에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부에는 상기 내캡부의 내주면에 대응되게 형성된 결합돌부;가 끼움 결합되어 상기 배출공을 밀폐시켜주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스켓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개구의 내주면으로부터 소정각도 이격시켜 상기 배출공과 연통되는 배출유로를 형성해줌과 아울러 상기 바스켓부의 구조를 보강해주는 복수의 리브;가 이격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스켓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하부공간에 수납되는 제2내용물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해주는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캡부의 상면에는, 상기 상부공간과 연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는 덮개;가 결합되는 것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제1수용공간에 수납된 제1내용물의 핫-필링(Hot-Filling) 공정이 완료된 후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부공간에 제2내용물을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는, 상기 상부공간 내부를 들여다볼 수 있는 투명창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공간에 수납된 제1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른 기능성 용기는, 액상의 제1내용물과 고상의 제2내용물이 서로 혼합되지 않게 분리 저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내용물의 변질 방지를 위해 기존에 투입되던 첨가제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캡 개봉 시에 상기 제1내용물과 제2내용물을 동시에 마실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의 신선도를 유지해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스켓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용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5는 도 4의 'A' 부분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내캡부와 외캡부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저면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내캡부와 외캡부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부분절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수용공간이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획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상세도,
도 9는 도 8의 I-I'선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이 연통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상세도,
도 11은 도 10의 Ⅱ-Ⅱ'선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캡부가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상세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내용물 및 제2내용물이 배출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상세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스켓부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용기(100)는, 본체부(110), 바스켓부(120), 내캡부(130), 외캡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부(110)는 기능성 용기(100)의 주된 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내부에 액상의 제1내용물(M1)이 수납될 수 있도록 적어도 상측이 개구(111)된 제1수용공간(113)이 마련된다.
이 경우 본체부(110)는 원통 형상 또는 다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의 일례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상기 개구(111)가 구비된 본체부(110)의 상부 외주면에는 후술할 내캡부(130)가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바스켓부(120)는 본체부(110)의 개구(111)에 결합되는 것으로, 개구(111) 내에 삽입되는 바스켓부(120)의 중심부에는 고상의 제2내용물(M2)이 수납될 수 있도록 제2수용공간(123)이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바스켓부(120)의 상부 테두리에는 음용 시 제1수용공간(113)에 수납된 제1내용물(M1)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복수의 배출공(121)이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바스켓부(120)의 상부 외둘레에는 본체부(110)의 개구(111) 테두리를 감싸 고정해주는 플랜지부(125)가 구비되고, 플랜지부(125)에는 복수의 배출공(121)이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플랜지부(125)의 테두리 끝단에는 개구(111)의 외주연에 형성된 테두리홈(117)(도 2 참조)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돌기(126)가 구비되어 바스켓부(120)를 결합상태를 유지해줄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바스켓부(120)의 배출공(121)은 본체부(110)의 개구(111) 내주면을 따라 배치되도록 형성된 플랜지부(125)의 오목홈부(127)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오목홈부(127)에는 내캡부(130)의 내주면에 대응되게 형성된 결합돌부(135)가 끼움 결합되어 배출공(121)을 밀폐시켜줄 수 있다. 즉 상기 내캡부(130)의 결합돌부(135)가 오목홈부(127)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제1수용공간(113)에 수납된 제1내용물(M1)이 상기 배출공(121)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한편, 상기 바스켓부(120)의 외주면에는 개구(111)의 내주면으로부터 바스켓부(120)의 몸체 외주면을 중심축선 방향으로 소정각도 이격시켜 주는 복수의 리브(128)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리브(128)는 배출공(121)과 연통되는 배출유로(L)를 형성해줌과 아울러, 상기 바스켓부(120)의 구조를 보강해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복수의 리브(128)가 바스켓부(120)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됨에 따라 기능성 용기(100)의 핫-필링(Hot-Filling) 공정 시 고온 환경에서 바스켓부(120)가 열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스켓부(120)의 내주면에는 하부공간(123b)에 수납되는 제2내용물(M2)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도록 돌기부(129)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129)는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복수 개가 소정각도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도 3 참조).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내캡부(130)는 본체부(110)의 상부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부(115)에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 이러한 내캡부(130)는 상기 바스켓부(120)의 제2수용공간(123)을 상부공간(123a)과 하부공간(123b)(도 4 참조)으로 구획해줄 수 있도록 제1구획판(131)이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제1구획판(131)의 일측에는 투입공(132)이 형성된다. 상기 투입공(132)의 역할과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할 외캡부(140)의 구조와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외캡부(140)는 내캡부(130)의 외주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이러한 외캡부(140)는 내캡부(130)를 개방시키기 위한 일방향(일례로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 조작 시 소정각도 공회전되면서 상기 투입공(132)을 먼저 개방시켜주는 제2구획판(141)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외캡부(140)는 제2구획판(141)의 구조를 통해 최초 투입공(132)의 폐쇄 상태에서 상부공간(123a)에 고상의 제2내용물(M2)을 수납해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외캡부(140)의 회전 조작을 통한 투입공(132)의 개방 시 상부공간(123a)에 수납된 제2내용물(M2)을 바스켓부(120)의 하부공간(123b)으로 이동(도 10 참조)시켜주게 된다.
도 9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해보면, 상기 외캡부(140)의 내주면에는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하나 이상의 제1돌기(143)가 소정각도 이격되게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캡부(130)의 외주면에는 외캡부(140)의 회전 조작 시 소정지점에서 제1돌기(143)와 맞닿아 일체로 회전되면서 개방될 수 있도록 제2돌기(133)가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돌기(143)의 하단 끝단부에는 내캡부(130)의 하부 테두리(130a)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턱(143a)이 구비된다(도 7 참조). 따라서 상기 외캡부(140)와 내캡부(130)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1돌기(14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중심축선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보조돌기(143b)가 구비될 수 있다(본 발명에서는 대향되는 위치에 한 쌍이 설치됨). 그리고 상기 내캡부(130)의 외주면에는 보조돌기(143b)가 걸림 고정되는 위치설정용 돌기(133a)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캡부(140)를 소정 이상의 힘으로 개방 조작 시(도면 상에서 반시계 방향) 보조돌기(143b)가 위치설정용 돌기(133a)로부터 걸림이 해제되면서 외캡부(140)가 소정각도 공회전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외캡부(140)의 공회전 조작을 통해 상기 제2내용물(M2)을 상부공간(123a)에서 하부공간(123b)으로 이동시켜주는 이유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정의 자동화공정을 통해 본체부(110)의 제1수용공간(113)에 제1내용물(M1)을 수납한 후 살균을 위한 핫-필링(Hot-Filling) 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렇게 핫-필링(Hot-Filling) 공정을 거친 직후 고상의 제2내용물(M2)을 하부공간(123b)에 바로 수납하는 경우 제1내용물(M1)의 온도에 의해 상기 제2내용물(M2)이 변형되거나 변질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내용물(M2)을 제1수용공간(113)과 최대한 떨어진 상부공간(123a)에 수납해줌으로써, 제2내용물(M2)의 신선도를 유지해줄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내캡부(130)와 외캡부(140)의 구조를 통해 바스켓부(120) 내에 상부공간(123a)과 하부공간(123b) 구조를 구비해줌으로써, 상기 핫-필링(Hot-Filling) 공정 이외에 기타 추가적인 살균 공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캡부(140)의 상면에는 상부공간(123a)과 연통되는 관통홀(145)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45)에는 덮개(147)(도 10 참조)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수용공간(113)에 수납된 제1내용물(M1)의 핫-필링(Hot-Filling) 공정이 완료된 후, 상기 관통홀(145)을 통해 상부공간(123a)에 제2내용물(M2)을 수납해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덮개(147)는 상부공간(123a) 내부를 들여다볼 수 있는 투명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투명창을 통해 상부공간(123a)에 수납된 제1내용물(M1)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그러면,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용기(100)의 작동원리에 대하여 다시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해 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외캡부(140)는 제2구획판(141)의 구조를 통해 최초 투입공(132)의 폐쇄 상태에서 상부공간(123a)에 고상의 제2내용물(M2)을 수납해줄 수 있다(도 8 및 도 9 참조).
그리고 상기 외캡부(140)의 회전 조작을 통한 투입공(132)의 개방 시 상부공간(123a)에 수납된 제2내용물(M2)을 바스켓부(120)의 하부공간(123b)으로 이동시켜주게 된다(도 10 및 도 11 참조).
상기 외캡부(140)의 공회전(본 발명에서는 대략 180°)을 통해 제2내용물(M2)이 하부공간(123b)으로 이동시키고 난 후에는, 상기 외캡부(140)의 제1돌기(143)에 형성된 걸림턱(143a)이 내캡부(130)의 제2돌기(133)에 걸리게 되면서 내캡부(130)를 회전 개방시켜주게 된다.
즉 내캡부(130)과 외캡부(140)가 일체로 동시에 회전되면서 본체부(110)의 개구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된다(도 12 참조).
이에 따라 바스켓부(120)의 배출공(121)이 개방되면서 제1수용공간(113)에 수납된 제1내용물(M1)과 바스켓부(120)의 제2수용공간(123)에 수납된 제2내용물(M2)을 동시에 음용할 수 있게 된다(도 13 참조).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용기(100)는 액상의 제1내용물(M1)과 고상의 제2내용물(M2)이 서로 혼합되지 않게 분리 저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내용물의 변질 방지를 위해 기존에 투입되던 첨가제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캡 개봉 시에 상기 제1내용물(M1)과 제2내용물(M2)을 동시에 마실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의 신선도를 유지해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M1 : 제1내용물 M2 : 제2내용물
100 : 기능성 용기 110 : 본체부
111 : 개구 113 : 제1수용공간
115 : 나사부 117 : 테두리홈
120 : 바스켓부 121 : 배출공
123 : 제2수용공간 123a : 상부공간
123b : 하부공간 125 : 플랜지부
126 : 끼움돌기 127 : 오목홈부
128 : 리브 129 : 돌기부
130 : 내캡부 131 : 제1구획판
132 : 투입공 133 : 제2돌기
133a : 위치설정용 돌기 135: 결합돌부
140 : 외캡부 141 : 제2구획판
143 : 제1돌기 143a : 걸림턱
143b : 보조돌기 145 : 관통홀
147 : 덮개 L : 배출유로

Claims (10)

  1. 내부에 액상의 제1내용물이 수납될 수 있도록 적어도 상측이 개구된 제1수용공간이 마련되는 본체부;
    상기 개구 내에 결합되고, 음용 시 상기 제1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공이 구비되며, 고상의 제2내용물이 수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제2수용공간이 마련되는 바스켓부;
    상기 개구가 형성된 본체부의 외주연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제2수용공간을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획해줄 수 있도록 제1구획판이 구비되며, 상기 제1구획판의 일측에 투입공이 형성되는 내캡부; 및
    상기 내캡부의 외주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내캡부를 개방시키기 위한 회전 조작 시 소정각도 공회전되면서 상기 투입공을 먼저 개방시켜주는 제2구획판이 구비되어, 최초 상기 투입공의 폐쇄 상태에서 상기 상부공간에 상기 제2내용물을 수납해주고, 상기 투입공의 개방 시 상기 상부공간에 수납된 제2내용물을 상기 하부공간으로 이동시켜주는 외캡부;를 포함하는 기능성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캡부의 내주면에는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하나 이상의 제1돌기;가 소정각도 이격되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내캡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외캡부의 회전 조작 시 소정지점에서 상기 제1돌기와 맞닿아 일체로 회전되면서 개방될 수 있도록 제2돌기;가 대응되게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하는 기능성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기의 하단 끝단부에는,
    상기 내캡부의 하부 테두리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턱;이 더 구비되어,
    상기 외캡부와 내캡부가 일체로 결합되는 것인 기능성 용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중심축선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보조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내캡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보조돌기가 걸림 고정되는 위치설정용 돌기;가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여,
    상기 외캡부를 소정 이상의 힘으로 개방 조작 시 상기 보조돌기가 위치설정용 돌기로부터 걸림이 해제되면서 상기 외캡부가 소정각도 공회전되도록 한 것인 기능성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부의 상부 외둘레에는,
    상기 본체부의 개구 테두리를 감싸 고정해주는 플랜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부에는 상기 배출공이 구비되는 것인 기능성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은 상기 본체부의 개구 내주면을 따라 배치되도록 형성된 플랜지부의 오목홈부 내에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부에는 상기 내캡부의 내주면에 대응되게 형성된 결합돌부;가 끼움 결합되어 상기 배출공을 밀폐시켜주는 것을 더 포함하는 기능성 용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개구의 내주면으로부터 소정각도 이격시켜 상기 배출공과 연통되는 배출유로를 형성해줌과 아울러 상기 바스켓부의 구조를 보강해주는 복수의 리브;가 이격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하는 기능성 용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하부공간에 수납되는 제2내용물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해주는 돌기부;가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하는 기능성 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캡부의 상면에는,
    상기 상부공간과 연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는 덮개;가 결합되는 것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제1수용공간에 수납된 제1내용물의 핫-필링(Hot-Filling) 공정이 완료된 후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부공간에 제2내용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한 것인 기능성 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상부공간 내부를 들여다볼 수 있는 투명창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공간에 수납된 제1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인 기능성 용기.
KR1020190121806A 2019-10-01 2019-10-01 기능성 용기 KR102079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806A KR102079732B1 (ko) 2019-10-01 2019-10-01 기능성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806A KR102079732B1 (ko) 2019-10-01 2019-10-01 기능성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9732B1 true KR102079732B1 (ko) 2020-02-20

Family

ID=69647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1806A KR102079732B1 (ko) 2019-10-01 2019-10-01 기능성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97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5029A (ko) * 2020-05-04 2021-11-12 금성실업 주식회사 고액 분리형 용기마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9670Y1 (ko) 2004-09-08 2004-12-09 김응일 액체 및 분말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
KR101317556B1 (ko) * 2012-05-18 2013-10-11 김준희 액상음료와 고체보조제의 분리 저장 및 함께 음용이 가능한 용기
KR101503798B1 (ko) * 2014-01-03 2015-03-19 최재구 액상과 고체제의 분리 저장 및 동시 음용이 가능한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9670Y1 (ko) 2004-09-08 2004-12-09 김응일 액체 및 분말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
KR101317556B1 (ko) * 2012-05-18 2013-10-11 김준희 액상음료와 고체보조제의 분리 저장 및 함께 음용이 가능한 용기
KR101503798B1 (ko) * 2014-01-03 2015-03-19 최재구 액상과 고체제의 분리 저장 및 동시 음용이 가능한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5029A (ko) * 2020-05-04 2021-11-12 금성실업 주식회사 고액 분리형 용기마개
KR102355846B1 (ko) 2020-05-04 2022-01-26 금성실업 주식회사 고액 분리형 용기마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05506A1 (en) Bottle cap having filling function
KR101135572B1 (ko) 포장 용기
KR102079732B1 (ko) 기능성 용기
US20230165355A1 (en) Eye cream packaging material
JPH09226785A (ja) 液体注出容器
KR101229152B1 (ko) 밀폐수단을 구비한 음료용기 뚜껑
KR200446283Y1 (ko) 세로접이선이 구비된 용기
KR200367789Y1 (ko) 포장용기용 안전 캡 구조
JP6675787B2 (ja) 二剤混合容器
KR200483377Y1 (ko) 분말, 곡물과 같은 식품류 사용 편의성을 갖춘 트위스트캡 보관용기
KR200188238Y1 (ko) 음료용기의 컵겸용 마개
KR200388703Y1 (ko) 화장품용 크림타입 저장용기
KR200371205Y1 (ko) 이중격실 용기
KR102377077B1 (ko) 음식물 저장용기
KR200496017Y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뚜껑
JPH10287350A (ja) 食品のチューブ容器
KR200230231Y1 (ko) 액체 용기용 뚜껑
KR102126762B1 (ko) 기능성 용기
KR200398052Y1 (ko) 복수의 음료 저장 공간을 갖는 음료수 병
KR200487556Y1 (ko) 포장 용기
JP7072987B2 (ja) 吐出容器
JP2017088192A (ja) ヒンジキャップ
KR200280793Y1 (ko) 음료용기의 마개겸용컵 및 이를 구비한 음료용기
KR200290775Y1 (ko) 식품보관용기
KR200490020Y1 (ko) 식품 용기용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