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020Y1 - 식품 용기용 뚜껑 - Google Patents

식품 용기용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020Y1
KR200490020Y1 KR2020180001370U KR20180001370U KR200490020Y1 KR 200490020 Y1 KR200490020 Y1 KR 200490020Y1 KR 2020180001370 U KR2020180001370 U KR 2020180001370U KR 20180001370 U KR20180001370 U KR 20180001370U KR 200490020 Y1 KR200490020 Y1 KR 2004900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lid
closing body
receiving groov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3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카모토 아츠코
Original Assignee
하리오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리오코리아(주) filed Critical 하리오코리아(주)
Priority to KR20201800013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0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0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0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3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lug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turning a cylindrical or conical plug without axial passage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품 용기용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중앙홀이 구비된 하부몸체와, 수용홈이 구비된 상부몸체로 이루어진 뚜껑을 형성하고, 배출홀이 구비된 개폐몸체를 상기 수용홈이 구비된 뚜껑에 회전되게 결합 구성하는 데, 상기 개폐몸체의 일측에는 밸브부와, 개폐몸체의 타측에는 레버를 돌출 되게 형성하여 밸브부가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배출홀이 중앙홀과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하거나 또는 밸브부가 중앙홀을 차단할 수 있으며, 상기 밸브부가 면 접촉되는 수용홈의 바닥부에는 밀폐돌기가 구비된 밸브시트를 형성하여 밸브부가 중앙홀을 차단시 밀폐돌기에 밸브부가 최대한으로 밀착되면서 중앙홀을 차단할 수 있고, 배출홀의 출구단에는 가이드날개를 더 형성하여 배출홀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식품 음료가 수용홈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식품 용기용 뚜껑 { Food container cap }
본 고안은 식품 용기용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중앙홀이 구비된 하부몸체와, 중앙홀과 연통 되는 수용홈이 구비된 상부몸체로 이루어진 뚜껑을 형성하고, 배출홀이 구비된 개폐몸체를 상기 수용홈이 구비된 뚜껑에 회전되게 결합 구성하는 데, 상기 개폐몸체의 일측에는 밸브부와, 개폐몸체의 타측에는 레버를 돌출 되게 형성하여 밸브부가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배출홀이 중앙홀과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하거나 또는 밸브부가 중앙홀을 차단할 수 있으며, 상기 밸브부가 면 접촉되는 수용홈의 바닥부에는 밀폐돌기가 구비된 밸브시트를 형성하여 밸브부가 중앙홀을 차단시 밸브시트와 밀폐돌기를 이용하여 상기 중앙홀을 이중으로 차단하여 식품용기를 이동하는 도중에 식품 음료 등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중앙홀과 배출홀을 일치시켜 식품용기에 수용된 식품 음료 등을 외부로 유출시 개폐몸체에 구비된 접촉단부가 밀폐돌기에 밀착되기 때문에 개폐몸체를 이용하여 식품 음료 등이 외부로 유출되는 도중에 수용홈으로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으며, 상기 배출홀의 출구단에는 가이드날개를 더 형성하여 배출홀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식품 음료가 수용홈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식품 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뚜껑이란 용기의 개구부에 결합 구성되어 용기의 내부에 들어 있는 식품 음료 등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용기의 개구부를 차단하는 뚜껑은 선 등록된 특허 제 10-0716060 호와 같이 용기의 상부에 뚜껑이 결합 되는 개구단이 구비된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그리고 개구부에 구비된 나사산과 대응되게 뚜껑의 뚜껑 몸체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산이 구비된 뚜껑의 내부 상단에는 개구부의 내면에 밀착되는 밀착돌기가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밀착돌기가 개구부의 내면에 밀착되게 뚜껑을 결합한 상태에서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용기에 구비된 나사산과 뚜껑에 구비된 나사산에 의해 용기의 개구부에 뚜껑이 회전 결합 된다.
이때, 밀착돌기는 용기에 구비된 개구부의 내면에 밀착되어 용기 내부에 수용된 식품 음료 등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식품 용기용 뚜껑의 문제점은 용기의 내부에 들어 있는 식품 음료 등을 섭취하기 위해서는 뚜껑이 용기에 결합 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용기로부터 뚜껑을 완전히 분리한 후에 섭취해야만 하므로, 용기 내부에 들어 있는 식품 음료의 섭취하는 도중에 식품 음료가 한꺼번에 외부로 유출되어 용기의 내부에 들어 있는 식품 음료의 섭취가 용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그리고 식품 음료 등을 섭취한 후에 용기 개구부를 차단하기 위해서는 다시 용기의 개구부에 뚜껑을 회전시켜 결합해야만 하기 때문에 용기에 수용된 식품 음료 등의 섭취가 용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용기의 내부에 들어 있는 식품 음료를 섭취하기 위해서는 용기의 개구부에 나사 결합 된 뚜껑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야만 하기 때문에 용기로부터 뚜껑을 분리하기가 용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중앙홀이 구비된 하부몸체와, 중앙홀과 연통 되는 수용홈이 구비된 상부몸체로 이루어진 뚜껑을 형성하고, 배출홀이 구비된 개폐몸체를 상기 수용홈이 구비된 뚜껑에 회전되게 결합 구성하는 데, 상기 개폐몸체의 일측에는 밸브부와, 개폐몸체의 타측에는 레버를 돌출 되게 형성하여 밸브부가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배출홀이 중앙홀과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하거나 또는 밸브부가 중앙홀을 차단할 수 있으며, 상기 밸브부가 면 접촉되는 수용홈의 바닥부에는 밀폐돌기가 구비된 밸브시트를 형성하여 밸브부가 중앙홀을 차단시 밸브시트와 밀폐돌기를 이용하여 상기 중앙홀을 이중으로 차단하여 식품용기를 이동하는 도중에 식품 음료 등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중앙홀과 배출홀을 일치시켜 식품용기에 수용된 식품 음료 등을 외부로 유출시 개폐몸체에 구비된 접촉단부가 밀폐돌기에 밀착되기 때문에 개폐몸체를 이용하여 식품 음료 등이 외부로 유출되는 도중에 수용홈으로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으며, 상기 배출홀의 출구단에는 가이드날개를 더 형성하여 배출홀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식품 음료가 수용홈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식품 용기 뚜껑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개구부를 구비한 식품용기와;
개구부에 결합 되고, 중앙부에 중앙홀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몸체와, 하부몸체의 상부에 형성되고, 개폐부재가 설치될 수 있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상부몸체로 구성된 뚜껑과;
개폐몸체를 관통하도록 배출홀이 형성되고, 그 개폐몸체의 일측에는 중앙홀을 차단하기 위한 밸브부가 형성되며, 개폐몸체의 타측에는 레버가 돌출되어 수용홈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부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고안에 의하면, 중앙홀이 구비된 하부몸체와, 중앙홀과 연통 되는 수용홈이 구비된 상부몸체로 이루어진 뚜껑을 형성하고, 배출홀이 구비된 개폐몸체를 상기 수용홈이 구비된 뚜껑에 회전되게 결합 구성하는 데, 상기 개폐몸체의 일측에는 밸브부와, 개폐몸체의 타측에는 레버를 돌출 되게 형성하여 밸브부가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개페몸체가 중앙홀을 차단하거나 개방하여 식품용기에 수용된 식품 음료 등의 섭취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밸브부가 면 접촉되는 수용홈의 바닥부에는 밀폐돌기가 구비된 밸브시트를 형성하여 밸브부가 중앙홀을 차단시 밸브시트와 밀폐돌기를 이용하여 상기 중앙홀을 이중으로 차단하여 식품용기를 이동하는 도중에 식품 음료 등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중앙홀과 배출홀을 일치시켜 식품용기에 수용된 식품 음료 등을 외부로 유출시 개폐몸체에 구비된 접촉단부가 밀폐돌기에 밀착되기 때문에 개폐몸체를 이용하여 식품 음료 등이 외부로 유출되는 도중에 수용홈으로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배출홀의 출구단에는 가이드날개를 더 형성하여 배출홀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식품 음료가 수용홈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식품 용기용 뚜껑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식품 용기용 뚜껑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뚜껑과 개폐부재와 분리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뚜껑과 개폐부재와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뚜껑에 결합 된 개폐부재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용기에 결합 된 뚜껑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6을 이용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게 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면에 의하며 본 고안은,
개구부(2)를 구비한 식품용기(1)와;
개구부(2)에 결합 되고, 중앙부에 중앙홀(13)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몸체(11)와, 하부몸체(11)의 상부에 형성되고, 개폐부재(20)가 설치될 수 있는 수용홈(15)이 형성되는 상부몸체(14)로 구성된 뚜껑(10)과;
개폐몸체(21)를 관통하도록 배출홀(22)이 형성되고, 그 개폐몸체(21)의 일측에는 중앙홀(13)을 차단하기 위한 밸브부(23)가 형성되고, 개폐몸체(21)의 타측에는 레버(24)가 돌출되어 수용홈(15)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부재(2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부재(20)가 결합 되는 수용홈(15)의 내벽에 상부가 개방된 힌지홈(16)을 형성하고,
개폐몸체(21)의 양측에는 힌지홈(16)에 끼워지는 힌지축(25)을 돌출 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브부(23)가 결합 되는 수용홈(15)의 바닥부에는 밸브부(23)와 면 접촉을 위한 밸브시트(17)가 형성되고, 중앙홀(13)과 접하는 밸브시트(17)의 중심부에는 밀폐돌기(18)를 돌출 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출홀(22)의 입구측 외주면을 이루는 개폐몸체(21)에는 밸브시트(17)와 면접촉되는 접촉단부(26)를 더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식품 음료가 수용되는 식품용기(11)와, 용기(10)의 상부를 차단하는 뚜껑(10)과,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뚜껑(10)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재(20)로 대별된다.
상기 식품용기(1)는 투명한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식품용기(1)의 상부에는 나사산이 구비된 개구부(2)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2)에 구비된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구비된 뚜껑(10)을 개구부(2)에 회전 결합하는 데, 상기 개구부(2)와 뚜껑(10) 사이로 실링막(3)이 구비된 실링부(3)를 도 1과 같이 개구부(2)의 내부에 밀착되게 결합 구성하여 개구부(2)의 상단과 뚜껑(10) 사이 공간(GAP)을 실링부(2)로 차단한다.
이와 같이 식품용기(1) 상단을 차단하는 뚜껑(10)은 도 1과 같이 하부몸체(11)와 상기 하부몸체(11)의 상단에 결합 되는 상부몸체(14)로 대별된다.
상기 하부몸체(11)에는 중앙홀(13)을 형성하고, 상부몸체(14)에는 중앙홀(13)과 연통 되는 수용홈(15)을 형성하며, 수용홈(15)에는 도 1와 같이 탄성력 재질인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개폐부재(20)를 상,하로 회전되게 결합한다.
상기 개폐부재(20)가 회전되게 결합 되도록 수용홈(15)의 내부에 힌지홈(16)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홈(15)의 바닥부에는 개폐부재(20)에 구비된 밸브부(23)가 결합 되는 밸브시트(17)를 형성한다.
상기 수용홈(15)에 결합 되는 개폐부재(20)는 도 3과 같이 개페몸체(21) 중앙 부분을 관통하는 배출홀(22)을 형성하고, 배출홀(22)이 출구단에는 가이드날개(27)를 형성하여 배출홀(22)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식품 음료 등이 개폐몸체(21)의 일단을 따라 흘러 수용홈(15)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배출홀(22)이 구비된 개폐몸체(21)의 일측에는 밸브시트(17)에 결합 되는 밸브부(23)를 만곡지게 형성한다.
이때, 밸브부(23)가 결합 되는 밸브시트(17) 또한 만곡지게 형성한다.
따라서, 뚜껑(10)의 수용홈(15)에 결합 된 개폐부재(2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용홈(15)에 구비된 밸브시트(17)에 밸브부(23)가 밀착되게 결합하여 수용홈(15)과 연통 되게 형성된 중앙홀(13)을 밸브부(23)가 최대한으로 밀착되면서 차단하도록 한다.
한편, 중앙홀(13)과 접하는 밸브시트(17)의 상부에 도 4와 같이 밀폐돌기(18)를 돌출 형성하고, 밀폐돌기(18)에 접촉되도록 개폐몸체(21)의 후단인 배출홀(22)의 유입단에는 접촉단부(26)를 형성한다.
따라서, 밸브시트(17)에 밸브부(23)가 접촉되게 도 4와 같이 결합 수용홈(15)에 개폐몸체(21)를 결합 시 상부로 돌출 형성된 밀폐돌기(18)는 타성력 재질로 이루어진 개폐몸체(21)의 밸브부(23)를 가압하면서 뚜껑(10)에 구비된 중앙홀(13)의 상부를 차단할 수 있으며, 상기 중앙홀(18)이 개방되게 개폐몸체(21)를 도 5와 같이 상부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개폐몸체(21)에 구비된 접촉단부(26)가 밀폐돌기(18)에 밀착되기 때문에 식품용기(1)에 수용된 식품 음료 등이 배출홀(22)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도중에 뚜껑(10)에 구비된 수용홈(15)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결합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 상태 및 효과를 설명하게 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용홈(15)에 구비된 밸브시트(17)의 상부면에 개폐몸체(21)에 구비된 밸브부(23)가 밀착되게 도 2와 같이 뚜껑(10)의 수용홈(15)에 개폐부재(20)를 결합한다.
이때, 개폐몸체(21)가 수용홈(15)에 끼워지게 결합 됨과 동시에 탄성력 재질로 이루어진 개폐몸체(21)의 밸브부(23)는 밸브시트(17)에 구비된 밀폐돌기(18)에 밀착되면서 뚜껑(10)에 구비된 중앙홀(13)을 이중으로 차단한다.
상기 개폐부재(20)가 뚜껑(10)에 결합 되면, 식품용기(1)의 상단에 뚜껑(10)을 회전 결합하여 식품용기(1)의 개구부(2)를 개폐부재(20)가 결합 된 뚜껑(10)이 차단하도록 한다.
이때, 뚜껑(10)을 먼저 식품용기(1) 상단에 결합한 상태에서 뚜껑(10)에 구비된 수용홈(15)에 개폐부재(20)의 개폐몸체(21)를 회전되게 결합할 수 있음을 밝히는 바이다.
이와 같이 밸브부(23)가 중앙홀(23)을 차단한 상태에서 식품용기(1)에 수용된 식품 음료 등을 섭취하기 위해서는 도 6과 같이 개폐몸체(21)에 돌출 형성된 레버(24)를 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압력을 가해 힌지축(25)을 중심으로 개폐몸체(21)를 상부로 회전시킨다.
상기 개폐몸체(21)가 상부로 회전되기 때문에 중앙홀(13)을 차단하고 있는 밸브부(23)는 도면상 좌측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중앙홀(13)을 개방한다.
상기 밸브부(23)가 중앙홀(13)을 개방함에 따라 개폐몸체(21)의 후단에 구비된 접촉단부(26)은 중앙홀(13)이 형성된 방향인 뚜껑(10)의 중앙으로 회전 이동되면서 밸브시트(17)에 구비된 밀폐돌기(18)에 밀착된다.
상기 접촉단부(26)가 밀폐돌기(18)에 밀착됨과 동시에 개폐몸체(21)에 구비된 배출홀(22)은 도 5와 같이 중앙홀(13)과 일치되면서 뚜껑(10)을 개방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식품용기(1)에 수용된 식품 음료 등은 뚜껑(1)에 구비된 중앙홀(13) 및 개폐부재(20)의 개폐몸체(21)에 구비된 배출홀(22)을 통과하여 외부로 유출되며, 그 유출되는 식품 음료를 사용자가 섭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탄성력 재질로 이루어진 개폐몸체(21)를 뚜껑(10)에 구비된 수용홈(15)에 회전되게 결합 구성하여, 상기 개폐몸체(21)가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밸브부(23)가 중앙홀(13)을 차단하거나 또는 상기 중앙홀(13)과 배출홀(22)이 일치되면서 식품용기(1)에 수용된 식품 음료 등이 개폐부재(20)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게 하기 때문에 상기 식품용기(1)에 수용된 식품 음료 등의 섭취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중앙홀(13)을 차단하는 밸브부(23)는 수용홈(15)에 바닥부에 구비된 밸브시트(17)와 그 밸브시트(17)에 구비된 밀착돌기(18)에 의해 이중으로 차단하기 때문에 식품용기(1)에 들어 있는 식품 음료 등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개폐몸체(21)에 구비된 배출홀(22)과 뚜껑(10)에 구비된 중앙홀(13)과 일치하게 개폐몸체(21)를 뚜껑(10) 상부로 회전 시 상기 개폐몸체(21)에 구비된 접촉단부(26)가 밀폐돌기(18)에 밀착되기 때문에 상기 식품용기(1)에 들어 있는 식품 음료 등이 외부로 유출되는 동안에 수용홈(15)으로 유출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배출홀(22)의 개구단인 개폐몸체(21) 전단에는 가이드 날개(27)를 형성하므로 상기 배출홀(22)을 통해 유출되는 식품 음료 등이 개폐몸체(21)의 외주면을 따라 수용홈(15)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1: 식품용기, 2: 개구부,
3: 실링부, 4: 실링막,
10: 뚜껑, 11: 하부몸체,
13: 중앙홀, 14: 상부몸체,
15: 수용홈, 16: 힌지홈,
17: 밸브시트, 18: 밀폐돌기,
20: 개폐부재, 21: 개폐몸체,
22: 배출홀, 23: 밸브부,
24: 레버, 25: 힌지축,
26: 접촉단부, 27: 가이드 날개,

Claims (4)

  1. 개구부(2)를 구비한 식품용기(1)와;
    개구부(2)에 결합 되고, 중앙부에 중앙홀(13)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몸체(11)와, 하부몸체(11)의 상부에 형성되고, 개폐부재(20)가 설치될 수 있는 수용홈(15)이 형성되는 상부몸체(14)로 구성된 뚜껑(10)과;
    개폐몸체(21)를 관통하도록 배출홀(22)이 형성되고, 그 개폐몸체(21)의 일측에는 중앙홀(13)을 차단하기 위한 밸브부(23)가 형성되고, 개폐몸체(21)의 타측에는 레버(24)가 돌출되어 수용홈(15)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부재(20);로 구성하고,
    수용홈(15)의 바닥부에는 밸브부(23)와 면 접촉을 위한 밸브시트(17)가 형성되고, 중앙홀(13)과 접하는 밸브시트(17)의 중심부에는 밀폐돌기(18)를 돌출 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용기용 뚜껑.
  2.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수용홈(15)의 내벽에 상부가 개방된 힌지홈(16)을 형성하고,
    개폐몸체(21)의 양측에는 힌지홈(16)에 끼워지는 힌지축(25)을 돌출 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용기용 뚜껑.
  3. 삭제
  4.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배출홀(22)의 입구측 외주면을 이루는 개폐몸체(21)에는 밸브시트(17)와 면접촉되는 접촉단부(26)를 더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용기용 뚜껑.
KR2020180001370U 2018-03-29 2018-03-29 식품 용기용 뚜껑 KR2004900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370U KR200490020Y1 (ko) 2018-03-29 2018-03-29 식품 용기용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370U KR200490020Y1 (ko) 2018-03-29 2018-03-29 식품 용기용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020Y1 true KR200490020Y1 (ko) 2019-09-10

Family

ID=67903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370U KR200490020Y1 (ko) 2018-03-29 2018-03-29 식품 용기용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020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3259B1 (ko) * 2010-11-24 2011-09-22 하현탁 액상 식품용 용기 캡
JP5314335B2 (ja) * 2008-06-20 2013-10-16 伸晃化学株式会社 容器の開閉機構
US20140138395A1 (en) * 2012-11-20 2014-05-22 Lifefactory, Inc. Fluid Container Cover
US20150307265A1 (en) * 2014-04-24 2015-10-29 Trimr, Llc Water bottle with straw having integrated filter and downstream flavor table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14335B2 (ja) * 2008-06-20 2013-10-16 伸晃化学株式会社 容器の開閉機構
KR101063259B1 (ko) * 2010-11-24 2011-09-22 하현탁 액상 식품용 용기 캡
US20140138395A1 (en) * 2012-11-20 2014-05-22 Lifefactory, Inc. Fluid Container Cover
US20150307265A1 (en) * 2014-04-24 2015-10-29 Trimr, Llc Water bottle with straw having integrated filter and downstream flavor tabl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4175B1 (ko) 단일 마개 구조를 가지는 액체 용기
US8672174B1 (en) Multi-function lid for beverage containers
US11390432B2 (en) Coaxial rotary lid and drinking cup thereof
US6216903B1 (en) Bi-directional operating closure for a liquid container
US4060182A (en) Bottle with electrically-operated pump
CN113180364B (zh) 联动密封杯盖以及杯子
TWI628116B (zh) 飲料用容器及其瓶蓋結構
KR200490020Y1 (ko) 식품 용기용 뚜껑
US11066216B2 (en) Flip lid and container including the same
KR101229152B1 (ko) 밀폐수단을 구비한 음료용기 뚜껑
JP7090489B2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KR200409658Y1 (ko) 마개용 패킹 부재
KR200391215Y1 (ko) 빨대가 형성된 음료 용기 뚜껑
KR102388913B1 (ko) 원터치 캡
KR20210042025A (ko)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US6018638A (en) Developer container cover with rotary sealing means
US11246434B2 (en) Closing device for a beverage container
KR200315101Y1 (ko) 컵 뚜껑
KR19980061202U (ko) 액체용기의 뚜껑 개폐장치
JP2001151257A (ja) 冷水筒
KR200230231Y1 (ko) 액체 용기용 뚜껑
KR200347140Y1 (ko) 음료용기용 원터치형 캡
KR200315702Y1 (ko) 음료용기의 마개
CN218942769U (zh) 一种水杯
CN216060083U (zh) 一种水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