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0793Y1 - 음료용기의 마개겸용컵 및 이를 구비한 음료용기 - Google Patents

음료용기의 마개겸용컵 및 이를 구비한 음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0793Y1
KR200280793Y1 KR2020020009932U KR20020009932U KR200280793Y1 KR 200280793 Y1 KR200280793 Y1 KR 200280793Y1 KR 2020020009932 U KR2020020009932 U KR 2020020009932U KR 20020009932 U KR20020009932 U KR 20020009932U KR 200280793 Y1 KR200280793 Y1 KR 2002807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beverage container
stopper
container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99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혁
Original Assignee
박상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혁 filed Critical 박상혁
Priority to KR20200200099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07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07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0793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료용기의 마개겸용컵 및 이를 구비한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마개겸용컵을 구비한 음료용기는, 내부에 음료수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주입구를 구비한 병형상의 용기본체와; 상기 주입구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에 수용된 음료수의 누설을 방지하는 마개부와, 상기 마개부의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음료용기를 도립상태로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의 연부로부터 상기 음료용기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음료용기의 둘레면에 접촉되는 측부를 구비하여 내부에 음료수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컵부를 구비한 마개겸용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컵기능을 구비함과 아울러 음료용기를 도립상태로 보관할 수 있어 내부의 개스가 누설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음료용기의 마개겸용컵 및 이를 구비한 음료용기{COMBINATION STOPPER AND CUP FOR DRINKABLES CONTAINER AND DRINKABLES CONTAINER HAVING THEREOF}
본 고안은, 음료용기의 마개겸용컵 및 이를 구비한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컵기능을 구비함과 아울러 음료용기를 도립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음료용기의 마개겸용컵 및 이를 구비한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수는 유리병 또는 피이티(PET)병류의 내부에 수용되어 유통된다. 유리병류는 비교적 작은 용량으로서 개봉후 음료를 모두 음용하게 되며, 피이티병류에 보관 및 유통되는 음료수는 상대적으로 큰 용량을 가지며 통상 마개를 개봉후 소정 량을 덜어 음용한 후 다시 마개로 주입구를 차단하여 냉장실 등에 보관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음료용기에 있어서는, 마개를 개봉하여 소정 량을 덜고 다시 마개를 닫아 보관할 경우, 주입구가 상측으로 향하게 보관하도록 되어 있어, 보관중 액체는 음료용기의 하부영역에 위치하고 음료수중의 개스는 음료용기의 상부영역에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음료용기와 마개사이의 틈새를 통해 개스의 누설이 발생되기 쉬울 뿐만 아니라, 마개를 다시 개방할 경우 상부영역에 존재하는 개스가 먼저 외부로 방출되므로 음료수 본래의 풍미가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컵기능을 구비함과 아울러 음료용기를 도립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음료용기의 마개겸용컵 및 이를 구비한 음료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컵기능을 구비함과 아울러 음료용기를 도립상태로 보관할 수 있고 내부에 수용된 물질의 용량을 계량할 수 있는 음료용기의 마개겸용컵 및 이를 구비한 음료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의 마개겸용컵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개겸용컵을 구비한 음료용기의 결합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마개겸용컵의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보관상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의 마개겸용컵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1 : 용기본체 32 : 주입구
34 : 수나사부 35 : 함몰부
41 : 마개겸용컵 42 : 마개부
43 : 암나사부 45 : 컵부
46a : 지지면 46b : 측부
47 : 돌출부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음료용기의 주입구에 결합되어 음료수의 누설을 방지하는 마개부와; 중앙영역에 상기 마개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마개부의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음료용기를 도립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면과, 상기 음료용기의 둘레면에 접촉가능하게 상기 지지면의 연부로부터 상기 음료용기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측부를 구비하며 내부에 음료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의 마개겸용컵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컵부는 내부에 수용된 액체의 수위를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부재 및 반투명부재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며, 상기 컵부의 개구영역에는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소정 돌출되어 상기 컵부의 내부에 수용된 음료수의 유출을 안내하는 안내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컵부의 측부에는 내부에 수용된 물질의 용량을 계량할 수 있도록 눈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내부에 음료수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주입구를 구비한 병형상의 용기본체와; 상기 주입구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본체의내부에 수용된 음료수의 누설을 방지하는 마개부와, 상기 마개부의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음료용기를 도립상태로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의 연부로부터 상기 음료용기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음료용기의 둘레면에 접촉되는 측부를 구비하여 내부에 음료수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컵부를 구비한 마개겸용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겸용컵을 구비한 음료용기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컵부 및 상기 용기본체의 상호 접촉면중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컵부 및 상기 용기본체의 상호 접촉면중 다른 하나에 상기 돌출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함몰된 함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컵부는 내부에 수용된 액체의 수위를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부재 및 반투명부재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며, 상기 컵부의 개구영역에는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소정 돌출되어 상기 컵부의 내부에 수용된 음료수의 유출을 안내하는 안내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컵부의 측부에는 내부에 수용된 물질의 용량을 계량할 수 있도록 눈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의 마개겸용컵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음료용기의 마개겸용컵(10)은, 통상의 음료용기(미도시)의 주입구에 결합되어 음료수의 누설을 방지하는 마개부(11)와, 마개부(11)의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된 지지면(22a)과 지지면(22a)의 연부로부터 음료용기의 축선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음료용기의 둘레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컵부(22b)를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마개부(11)는 통상의 음료용기의 마개와 같이 캡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주입구의 수나사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암나사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음료용기의 마개를 제거하고, 마개부(11)의 암나사부(12)가 음료용기의 수나사부에 나사결합되도록 한다. 다음, 냉장실의 도어의 포켓 등에 컵부(21)의 지지면(22a)이 바닥면에 접촉되도록 음료용기를 도립시키면 컵부(21)의 지지면(22a)이 포켓의 저부면에 접촉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음료용기가 도립되면 내부의 음료수는 음료용기의 하부영역으로 유동되고 음료수중의 개스는 음료용기의 상부영역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개스의 누설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한편, 내부의 음료수를 음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음료용기로부터 마개겸용컵(10)을 분리해내고 분리된 컵부(21)의 내부에 음료수를 따르는 간단한 동작으로 음료수를 음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개겸용컵을 구비한 음료용기의 결합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마개겸용컵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보관상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마개겸용컵을 구비한 음료용기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주입구(32)를 구비한 병형상의 용기본체(31)와, 용기본체(31)의 주입구(32)영역에 결합되어 주입구(32)를 차단함과 아울러 용기본체(31)를 도립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마개겸용컵(41)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용기본체(31)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부영역에는 주입구(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주입구(32)의 외면에는 수나사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용기본체(31)의 대구경부의 외면에는 표면으로부터 함몰되고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된 함몰부(35)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마개겸용컵(41)은, 주입구(32)를 차단할 수 있도록 주입구(32)에 결합되어 주입구(32)를 차단하는 마개부(42)와, 마개부(42)의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용기본체(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용기본체(31)의 대구경부의 둘레면에 접촉결합되는 컵부(45)를 구비하고 있다.
마개부(42)의 내부에는 수나사부(34)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암나사부(43)가 형성되어 있으며, 컵부(45)의 개구영역의 내면에는 내경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된 리브형상의 돌출부(47)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용기본체(31)의 내부의 음료수를 음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용기본체(31)로부터 마개겸용컵(41)을 분리해내고, 컵부(45)에 음료수를 따라 음용하면 된다. 남은 음료수를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주입구(32)에 마개부(42)를 대고 상대 회전시키면 주입구(32)가 마개부(42)에 의해 차단되는 시점에서 컵부(45)의 내면에 형성된 돌출부(47)가 용기본체(31)의 함몰부(35)에 삽입되어 용기본체(31) 및 마개겸용컵(41)의 상호 간의 결합이 더욱 공고하게 된다. 결합이 완료된 후 냉장고의 도어의 포켓 등에 컵부(45)가 하측을 향하도록 도립된 상태로 보관하면 용기본체(31)의 내부의 개스는 용기본체(31)의 상부영역에 위치하게 되어 개스의 누설이 억제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의 마개겸용컵의 사시도이다.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음료용기의 마개겸용컵(50)은, 용기본체(31)의 주입구(32)에 결합되어 주입구(32)를 차단하는 마개부(51)와, 마개부(51)의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용기본체(31)를 도립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지지면(56a)과 지지면(56a)의 연부로부터 용기본체(31)의 대구경부의 둘레면에 접촉가능하도록 연장되는 측부(56b)를 구비한 컵부(5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마개부(51)의 내부에는 암나사부(52)가 형성되어 있으며, 컵부(55)의 입구영역에는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소정 돌출되어 내부에 수용된 액체를 용이하게 따를 수 있도록 액체의 유출을 안내하는 안내부(57)가 형성되어 있다.
컵부(55)는 내부에 수용되는 액체의 수위를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부재 및 반투명부재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며, 측부(56b)에는 내부에 수용되는 액체의 용량을 계량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을 따라 눈금부(58)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통상의 음료용기 또는 용기본체(31)의 주입구(32)에 마개부(51)를 나사결합하고, 컵부(55)가 하측을 향햐도록 도립된 상태로 음료용기 또는 용기본체(31)를 보관하면 내부에 수용된 음료수중의 개스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음료수를 음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음료용기 또는 용기본체(31)로부터 마개부(51)를 분리하고, 컵부(55)의 내부에 음료수를 따라 음용하면 된다.
한편, 본 음료용기의 마개겸용컵(50)은 투명부재 또는 반투명부재로 형성되고 일측에 눈금부(56b)가 형성되어 있어 액체 또는 기타 물질의 계량컵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음료용기 또는 용기본체의 수나사부에 나사결합되도록 마개부를 구성한 경우를 예를 들고 있지만, 마개부를 주입구의 내부에 삽입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피이티병류의 음료용기 또는 용기본체의 경우에 적용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맥주, 와인 등의 병류에 본 고안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음료용기의 주입구를 차단하도록 결합되는 마개부와, 마개부의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음료용기를 도립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면과 지지면의 연부로부터 음료용기의 길이방향을 따라 음료용기의 대구경부에 접촉가능하게 연장되는 측부를 구비한 컵부를 마련함으로써, 컵기능을 구비하며 음료용기를 도립된 상태로 보관할 수 있어 개스의 누설을 억제시킬 수 있는 음료용기의 마개겸용컵이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주입구를 구비한 병형상의 용기본체와, 주입구를 차단하도록 결합되는 마개부와 마개부의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용기본체를 도립상태로 지지하는 지지면과 지지면의 연부로부터 용기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둘레면에 접촉되는 측부를 구비한 컵부를 마련함으로써, 컵기능을 구비하며 내부의 음료수중의 개스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마개겸용컵을 구비한 음료용기가 제공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르면, 내부에 수용되는 물질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도록 투명부재 및 반투명부재중 어느 하나로 마개부 및 컵부를 형성하고, 컵부의 입구영역에 수용된 물질의 유출을 안내하는 안내부와, 컵부의 측부에 눈금부를 마련함으로써, 컵기능을 구비하고 음료수중의 개스의 누설을 억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계량컵으로 활용이 가능한 음료용기의 마개겸용컵 및 이를 구비한 음료용기가 제공된다.

Claims (5)

  1. 음료용기의 주입구에 결합되어 음료수의 누설을 방지하는 마개부와; 중앙영역에 상기 마개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마개부의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음료용기를 도립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면과, 상기 음료용기의 둘레면에 접촉가능하게 상기 지지면의 연부로부터 상기 음료용기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측부를 구비하며 내부에 음료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의 마개겸용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부는 내부에 수용된 액체의 수위를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부재 및 반투명부재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며, 상기 컵부의 개구영역에는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소정 돌출되어 상기 컵부의 내부에 수용된 음료수의 유출을 안내하는 안내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컵부의 측부에는 내부에 수용된 물질의 용량을 계량할 수 있도록 눈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의 마개겸용컵.
  3. 내부에 음료수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주입구를 구비한 병형상의 용기본체와; 상기 주입구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에 수용된 음료수의 누설을 방지하는 마개부와, 상기 마개부의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음료용기를 도립상태로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의 연부로부터 상기 음료용기의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음료용기의 둘레면에 접촉되는 측부를 구비하여 내부에 음료수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컵부를 구비한 마개겸용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겸용컵을 구비한 음료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컵부 및 상기 용기본체의 상호 접촉면중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컵부 및 상기 용기본체의 상호 접촉면중 다른 하나에 상기 돌출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함몰된 함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겸용컵을 구비한 음료용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컵부는 내부에 수용된 액체의 수위를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부재 및 반투명부재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며, 상기 컵부의 개구영역에는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소정 돌출되어 상기 컵부의 내부에 수용된 음료수의 유출을 안내하는 안내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컵부의 측부에는 내부에 수용된 물질의 용량을 계량할 수 있도록 눈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겸용컵을 구비한 음료용기.
KR2020020009932U 2002-04-02 2002-04-02 음료용기의 마개겸용컵 및 이를 구비한 음료용기 KR2002807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932U KR200280793Y1 (ko) 2002-04-02 2002-04-02 음료용기의 마개겸용컵 및 이를 구비한 음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932U KR200280793Y1 (ko) 2002-04-02 2002-04-02 음료용기의 마개겸용컵 및 이를 구비한 음료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0793Y1 true KR200280793Y1 (ko) 2002-07-06

Family

ID=73120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9932U KR200280793Y1 (ko) 2002-04-02 2002-04-02 음료용기의 마개겸용컵 및 이를 구비한 음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079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274B1 (ko) * 2011-06-21 2011-09-28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장컵을 결합한 병뚜껑을 가진 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274B1 (ko) * 2011-06-21 2011-09-28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장컵을 결합한 병뚜껑을 가진 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08131A (ko) 캡수용부가 구비된 음료수 용기
JP6430430B2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用ボトルキャップ
HUP0101075A2 (hu) Hibrid italtároló edény
KR200280793Y1 (ko) 음료용기의 마개겸용컵 및 이를 구비한 음료용기
KR20130061060A (ko) 음료 및 주류 용기
KR101382196B1 (ko) 반복 개폐가 가능한 유리병용 뚜껑
KR200449488Y1 (ko) 가스누출 방지병
KR200326054Y1 (ko) 일회용 이중얼음컵
KR102637986B1 (ko) 냉각 특성이 향상된 컵
KR200188238Y1 (ko) 음료용기의 컵겸용 마개
KR200244806Y1 (ko) 냉장이 가능한 휴대용 음료통
KR200259252Y1 (ko) 음료분말 또는 티백이 내장되는 생수병 뚜껑
KR200405395Y1 (ko) 배기 장치가 구비된 용기 마개
KR200398052Y1 (ko) 복수의 음료 저장 공간을 갖는 음료수 병
KR200402809Y1 (ko) 얼음컵
KR200328710Y1 (ko) 탄산가스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탄산 음료병용 컵
KR200244484Y1 (ko) 음료용 페트병 구조
KR20190013369A (ko) 다용도 페트병
KR200396029Y1 (ko) 가스 누출 방지 마개
KR200203047Y1 (ko) 플라스틱 병마개 및 속마개
KR200376948Y1 (ko) 탄산음료패트병용 컵
KR100432731B1 (ko) 냉장고의 도어바스켓
KR200202293Y1 (ko) 탄산음료용 용기
KR200280926Y1 (ko) 음료수 용기 마개
KR200261359Y1 (ko) 다기능 병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