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1359Y1 - 다기능 병마개 - Google Patents

다기능 병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1359Y1
KR200261359Y1 KR2020010030670U KR20010030670U KR200261359Y1 KR 200261359 Y1 KR200261359 Y1 KR 200261359Y1 KR 2020010030670 U KR2020010030670 U KR 2020010030670U KR 20010030670 U KR20010030670 U KR 20010030670U KR 200261359 Y1 KR200261359 Y1 KR 2002613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bottle
cup
bottle cap
upside dow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06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왕수창
Original Assignee
고려알파라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알파라인(주) filed Critical 고려알파라인(주)
Priority to KR20200100306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13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13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1359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기능 병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병입구에 결합되는 원통상의 캡부와; 상기 캡부의 단부면으로부터 판면방향을 따라 소정 폭 확장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병을 거꾸로 보관하여 음료의 맛과 풍미를 그대로 즐길 수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병마개{bottle cap having a multi-function}
본 고안은 다기능 병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병을 뒤집어서 보관할 수 있으며 컵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병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은 유체의 저장물을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서, 개구를 차단하기 위한 병마개를 가지며, 병마개는 용기의 형상이나 재질에 따라 다양한 형상과 재질로 형성된다.
이러한 용기에 결합되는 마개는 단지 저장물의 유출을 방지하는 것으로서,용기에 저장된 상태로 유통되는 물품의 경우, 한 번 용기를 개봉하게 되면 다시 마개를 결합시키더라도, 용기를 개봉하기 전의 상태로 저장물을 보관할 수 없다.
예를 들면, 탄산음료나 향신료가 가미된 액체를 보관하는 병의 경우에는 병마개를 개봉한 순간부터 탄산이나 향기가 유출되고, 병마개를 다시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병 속에 유입된 공기 속에 탄산과 향기가 녹게 된다. 따라서, 병마개를 차단한 뒤 재 개봉시에는 탄산과 향기가 외부로 유출되기 때문에 탄산음료나 향신료가 가미된 액체를 본래 그대로 보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오래 보관할 수도 없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병을 뒤집어서 보관하게 되면, 뒤집어지는 순간 탄산음료에 탄산과 향기가 혼합되게 된다. 이에 따라, 병을 뒤집어서 보관하여 맛과 향을 그대로 즐길 수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병들이 병입구와 병마개가 좁게 형성되어 있고, 이에 따라, 병을 뒤집어서 보관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한편, 이렇게 유체를 보관하는 병의 경우, 저장물의 음용을 위해 컵을 필요로 한다. 이에 따라, 병을 휴대하여 외부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별도의 컵을 휴대하거나 구입하여 사용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병마개를 컵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면 컵을 별도로 마련해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병을 뒤집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컵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병마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병마개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병마개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병마개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1, 21 : 병마개 3, 13, 23 : 캡부
5, 15, 25 : 컵부 7, 17, 27 : 받침부
15 : 지지부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병입구에 결합되는 원통상의 캡부와; 상기 캡부의 단부면으로부터 판면방향을 따라 소정 폭 확장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부의 연부로부터 상기 받침부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연장방향을 따라 그 폭이 점차 증가되어 형성된 컵부를 포함함으로써, 별도의 컵이 필요없게 된다.
상기 받침부의 연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캡부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형성된 컵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병마개는 병을 뒤집어서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컵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마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입구에 결합되는 캡부(3)와, 캡부(3)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컵부(5)와, 캡부(3)의 단부면에 형성된 판상의 받침부(7)를 포함한다.
캡부(3)는 병입구를 향해 개방된 원통상으로 형성되며, 캡부(3)의 내경면에는 병입구에 형성된 수나사에 대응되도록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컵부(5)는 캡부(3)의 연부로부터 연장되며, 연장방향을 따라 그 폭이 점차 확장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컵부(5)는 캡부(3)와 연통되어 병에 수용된 유체를 임시 수용시킬 때 사용한다.
받침부(7)는, 캡부(3)의 단부면에 판면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병을 뒤집어서 보관할 때 병이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한편, 컵부(5)와 받침부(7)는 각각 그 연부에서 지지부(9)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지지부(9)는 캡부(3)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9)는, 병을 거꾸로 보관시 받침부(7)를 보강해주고, 외관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받침부(7)에 의해 병을 거꾸로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컵부(5)에 병에 수용된 저장물을 부어서 음용할 수 있게 되므로, 별도의 컵이 필요없게 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병마개(11)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의 병마개(11)는, 도 1의 병마개(1)와 마찬가지로, 병입구에 결합되는 캡부(13)와, 캡부(13)의 단부로부터 확장된 받침부(17)를 가지고 있다. 거기다가, 도 2의 병마개(11)는, 받침부(17)의 연부로부터 캡부(13)의 개구방향으로 절곡된 다음, 캡부(13)와 평행하게 소정 연장된 컵부(15)를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도 1의 병마개(1)와 마찬가지로, 도 2의 병마개(11)를 사용할 경우, 받침부(17)에 의해 병을 거꾸로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컵부(15)를 컵 대용으로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컵이 필요없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병마개(21)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의 병마개(2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병마개(1,11)에서, 병입구와의 결합을 위한 캡부(23)와, 병을 거꾸로 지지하기 위한 받침부(27)만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도 3의 병마개(21)는 단지 병을 거꾸로 지지하기 위해 사용할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병마개(1,11,21)에 받침부(7,17,27)를 형성함으로써, 병을 거꾸로 보관할 수 있다. 병속의 탄산음료를 인출하기 위해, 병을 바로 뒤집으면, 병 속에서 탄산음료와 분리되어 있던 탄산과 향기가 탄산음료와 혼합되게 된다. 이에 따라, 탄산음료의 맛과 풍미를 그대로 즐길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병마개는 컵부(5,15)를 가짐으로써, 별도의 컵 없이도 음료를 간편하게 음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병을 거꾸로 보관하여 음료의 맛과 풍미를 그대로 즐길 수 있으며, 별도의 컵이 필요없는 병마개가 제공된다.

Claims (3)

  1. 병입구에 결합되는 원통상의 캡부와;
    상기 캡부의 단부면으로부터 판면방향을 따라 소정 폭 확장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병마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의 연부로부터 상기 받침부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연장방향을 따라 그 폭이 점차 증가되어 형성된 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병마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의 연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캡부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형성된 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병마개.
KR2020010030670U 2001-10-08 2001-10-08 다기능 병마개 KR2002613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670U KR200261359Y1 (ko) 2001-10-08 2001-10-08 다기능 병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670U KR200261359Y1 (ko) 2001-10-08 2001-10-08 다기능 병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1359Y1 true KR200261359Y1 (ko) 2002-01-24

Family

ID=73069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0670U KR200261359Y1 (ko) 2001-10-08 2001-10-08 다기능 병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135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6446A (en) Stoppers for individual bottle-type beverage container
US9162810B2 (en) Device for attaching a figurine onto a beverage bottle, combination of a figurine and a device, and a combination of a figurine and device attached to a beverage bottle
WO2005079260A2 (en) Segregated container for holding multiple substances
WO2008020301A1 (en) A drinking vessel
US5018636A (en) Safety mug for liquids with improved top which permits the liquid to retain its temperature while it is in the mug and further retain the liquid if the mug is bumped
KR200261359Y1 (ko) 다기능 병마개
JP2006321540A (ja) 飲料用ボトル
CA3050396A1 (en) Stackable container with built-in channel
KR200244484Y1 (ko) 음료용 페트병 구조
KR200237608Y1 (ko) 알 형상의 음료수 용기
KR200271145Y1 (ko) 캔에 탈착가능한 혼합주 제조용기
KR200328710Y1 (ko) 탄산가스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탄산 음료병용 컵
JP4817221B2 (ja) 蓋体付き容器
KR200200551Y1 (ko) 병 뚜껑이 달린 용기
KR200267944Y1 (ko) 종이팩 용기
KR200202293Y1 (ko) 탄산음료용 용기
KR200170710Y1 (ko) 여러가지의 음료원액이 내장된 음료용기
KR200323811Y1 (ko) 다용도 병따개
JP2004155430A (ja) 二重蓋付き容器及び二重蓋
KR101606036B1 (ko) 음료 및 주류 용기
KR200276214Y1 (ko) 컵형 뚜껑
KR200192656Y1 (ko) 다중 수용부를 갖는 음료용기
KR200376549Y1 (ko) 주전자
KR20000000759U (ko) 개폐용 컵이 구비된 용기 뚜껑 구조
KR200355752Y1 (ko) 탄산음료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