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4806Y1 - 냉장이 가능한 휴대용 음료통 - Google Patents

냉장이 가능한 휴대용 음료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4806Y1
KR200244806Y1 KR2020010014865U KR20010014865U KR200244806Y1 KR 200244806 Y1 KR200244806 Y1 KR 200244806Y1 KR 2020010014865 U KR2020010014865 U KR 2020010014865U KR 20010014865 U KR20010014865 U KR 20010014865U KR 200244806 Y1 KR200244806 Y1 KR 2002448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ase
container
cooling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48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웅
Original Assignee
이수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웅 filed Critical 이수웅
Priority to KR20200100148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48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48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4806Y1/ko

Links

Landscapes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중심부에 설치되는 냉각통 내부에 드라이 아이스나 얼음을 장입하여 음료통에 담겨 있는 음료의 온도를 낮춤으로써 운반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시원하고 신선한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한 냉장이 가능한 휴대용 음료통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냉장이 가능한 휴대용 음료통은 음료(2)를 수용하도록 외체를 형성하고 있는 케이스(3)와 상기 케이스(3)의 음료 토출구(5)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는 뚜껑(7)으로 이루어진 음료통(1)에 있어서, 냉각재(10)를 수용하는 냉각통(13)이 상기 케이스(3)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음료통(1)에 의하면 음료(2)가 담기는 케이스(3) 내부에 냉각재(10)가 충진된 냉각통(13)을 삽입함으로써 음료(2)를 장시간에 걸쳐 운반, 보관한 후라도 시원하고 신선한 상태로 마실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냉장이 가능한 휴대용 음료통{cold-storage type portable beverage bucket}
본 고안은 휴대용 음료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심부에 냉각통을 설치하고 냉각통 내부에 드라이 아이스나 얼음을 장입하여 승화나 증발 잠열에 의해 음료통에 담겨 있는 음료의 온도를 낮춤으로써 시간이나 공간에 제한을 받지 않고 항상 시원하고 신선한 상태의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한 냉장이 가능한 휴대용 음료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수는 플라스틱이나 병으로 제작된 일정한 용기 내에 포장되어 판매되며, 이중에서도 특히 맥주나 탄산음료 등은 탄산가스가 음료 내에 녹아 있기 때문에 완전 밀폐된 용기에 담겨 냉장 보관된다.
그런데, 위와 같은 병맥주나 탄산음료와는 달리 생맥주의 경우에는 대형 저장용기에 담겨 영업장에 배달된 뒤, 각 영업장에 설치된 별도의 냉장통에 보관되었다가 주문이 있을 때 한 잔씩 따라 팔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영업장 내에 있는 손님의 주문이 있는 경우에는 그 즉시 냉장통에서 냉장 보관되어 있는 생맥주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생맥주통(101)에 따라 제공하므로 시원하면서 신선한 맛이 그대로 유지된 생맥주를 손님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최근에는 영업장 밖에서도 생맥주를 주문하는 일이 종종 발생하고 있는 바, 대부분의 생맥주 영업점은 도 1에 도시된 생맥주통(101)에 생맥주를 따라 담고 뚜껑(103)을 덮어 그대로 배달을 하기 때문에, 배달지가 원격지이거나 옥외의 기온이 높은 경우에는 위와 같은 종래의 맥주통(101)이 보냉 기능을 전혀 갖추고 있지 않으므로 맥주통(101)에 담겨 있는 생맥주의 온도가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맥주는 본래의 시원하고 신선한 맛을 급격히 상실하게 되며, 주문한 사람의 불평을 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생맥주 등을 보관, 운반하는 용기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특히 생맥주와 같이 주문 배달이 가능한 음료를 외기의 온도나 배달 소요시간과 관계없이 저온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배달 주문자에게 항상 시원하고 신선한 상태로 주문한 음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생맥주통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음료통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A부분 상세 확대도.
도 4는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압착 뚜껑의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통의 종단면도.
도 7은 도 6의 B부분 상세 확대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음료통에서 냉각통을 탈거한 상태로 도시한 음료통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 : 음료통 2 : 음료
3 : 케이스 7 : 케이스 뚜껑
9 : 케이스 바닥면 10 : 냉각재
11 : 삽입공 13 : 냉각통
15 : 압착 뚜껑 17 : 통기구
19 : 통기구 마개 23,21 : 암수나사부
25,35 : 패킹 37 : 걸림돌기
39 : 나선형 돌기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음료를 수용하도록 외체를 형성하고 있는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음료 토출구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는 뚜껑으로 이루어진 음료통에 있어서, 드라이 아이스나 얼음과 같은 냉각재를 수용하는 냉각통이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냉장이 가능한 휴대용 음료통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냉장이 가능한 휴대용 음료통을 첨부 도면을 참조로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음료통(1)은 전체적으로 마실 물 등을 냉장 보관할 때 사용하는 일반적인 음료수통과 유사한 형태로서, 외체를 이루는 케이스(3)와 케이스(3) 상단의 토출구(5)를 개폐하는 뚜껑(7)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케이스(3)나 뚜껑(7)은 음료를 저장하는 기능과 음료를 마시고자 할 때 뚜껑(7)의 케이스(3)를 개폐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것이면 어떤 형태나 재질의 것이든 본 고안에 적용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케이스(3)는 하나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제안된 것이다. 뚜껑(7)도 또한 가장 일반적인 형태, 즉 연결띠(33)에 의해 뚜껑(7) 측면에 연결된 마개(31)로 뚜껑의 토출구멍을 막는 일반적인 형태로서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본 고안에 따른 음료통(1)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케이스(3)의 바닥면(9)에 삽입공(11)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이 삽입공(11)을 통해 케이스(3) 밑으로부터 중심축선 상에 삽입 장착되는 냉각통(13)이 구비된다. 이 냉각통(13)은 음료통(1)에 담겨지는 음료를 냉각시키는 드라이 아이스나 얼음과 같은 냉각재(10)를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원통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다른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또한 냉각통(13)에는 내부에 장입하는 냉각재(10)로 드라이 아이스나 얼음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압착 뚜껑(15)이 도 3과 같이 결합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압착 뚜껑(15)은 냉각통(13)에 돌려 끼우는 형태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뚜껑(15)의 내주면에 복수의 걸림돌기(37)가 돌출되어 있고, 냉각통(13) 하단의 뚜껑(15) 결합 부분에 돌기(37)와 맞물림되는 나선형 돌기(39)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뚜껑(15)이 도 3에 상세히 도시된 것처럼 냉각통(13) 하단 에지 부분과 압착되도록 하기 위해 압착 뚜껑(15)의 바닥면에는 모서리 부분을 따라 링 형상의 고무 패킹(35)이 부착되어 있다.
이것은 병 뚜껑을 병에 압착 밀봉시켜 결합하는 일반적인 병 뚜껑의 한 형태이나 본 고안에 따른 압착 뚜껑(15)은 이러한 일반 뚜껑과는 달리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15) 중앙 부분에 소직경의 통기구(17)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 통기구(17)는 냉각통(13) 내부에 냉각재(10)로서 드라이 아이스를 장입한 경우 뚜껑(15)을 완전 밀봉하면 드라이 아이스(10)의 승화로 인해 냉각통(13) 내부에 고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냉각재(10)로 얼음을 사용할 때는 도시된 것처럼 마개(19)를 부착된 상태 그대로 두면 되고, 드라이 아이스를 사용할 때만 마개(19)를 분리하여 개방하면 된다. 따라서 통기구(17)를 통해 드라이 아이스(10) 입자가 외부로 빠져나가므로 압착 뚜껑(15)으로 냉각통(13) 막은 다음에도 냉각통(13) 내부의 압력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냉각통(13)은 또한 케이스(3) 삽입공(11)에 일체식으로 또는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데, 도시된 것처럼 냉각통(13)을 케이스 삽입공(11)에 착탈식 가능하게 삽입 장착하기 위해서는 냉각통(13) 삽입된 뒤, 케이스(3) 내부에 저장되는 음료의 무게를 지탱함과 동시에 음료의 누설을 방지해야 한다. 냉각통(13)을 위와같은 목적으로 케이스(3)에 장착하는 데는 여러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통(13)의 외주면 하단에 수나사부(21)를 가공하고, 이와 대응하여 삽입공(11) 내주면에 암나사부(23)를 가공하여 냉각통(13)을 나사 결합식으로 삽입공(11)에 체결한다. 한편, 압착 뚜껑(15)의 모서리벽 상단과 케이스(3)의 바닥면(9)이 접하는 부분에 개재되는 링 형태의 고무패킹(25)을 압착 뚜껑(15)의 모서리벽 상단면에 부착함으로써 암수나사부(23,21)의 결합 틈새로 누설되는 음료를 밀봉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통은 도면번호 201로 도시된 것처럼, 냉각통(213)이 케이스(203)의 음료 토출구(205)로 삽입되는 형태로, 냉각통(213) 자체로 음료(203)를 밀봉하도록 되어 있고, 별도의 압착 뚜껑을 필요로 하지 않고 케이스(203)의 뚜껑(207)에 의해 한꺼번에 밀폐된다.
따라서, 냉각통(213)에는 도 7에 보다 상세히 도시된 것처럼, 음료 토출구(205)의 테두리 부분에 걸려 고정될 수 있는 걸림턱(239)이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테두리 부분과 접하게 되는 걸림턱(239)의 저면에는 토출구(205)의 내주면과 냉각통(213)의 외주면이 접하는 부분에서 누설되는 음료(202)를 밀봉하기 위한 링 형태의 패킹(225)이 부착되어 있고, 뚜껑(207) 자체의 밀봉 패킹(241)에 의해 냉각통(213)의 상단 테두리 부분과 뚜껑(207) 사이의 틈새로 냉각재(210)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203)의 뚜껑(207)에는 위 실시예의 압착 뚜껑에서와 마찬가지로 냉각재(210)로서 드라이 아이스를 사용하는 경우 뚜껑(207)을 닫았을 때마개(219)를 쉽게 개방하여 냉각통(213)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통기구(217)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음료통(1)을 통해 음료를 배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냉각통(13)을 케이스(3)에서 분리한 뒤 압착 뚜껑을 냉각통(13)을 분리한다. 그리고 나서, 적정량의 냉각재(10)를 냉각통(13)에 장입하고, 압착 뚜껑(15)을 냉각통(13) 입구 부분에 압착 밀봉하여 결합한다. 다음에, 냉각통(13)을 뒤집어 삽입공(11)을 통해 케이스(3) 바닥면(9) 중앙에 끼워 결합한다. 이때 냉각통(13)을 바닥면(9)에 최대한 압박하여 돌려 넣음으로써 음료의 누설을 예방하는 한편, 냉각재(10)로서 드라이 아이스를 사용한 경우에는 마개(19)를 분리하여 통기구(17)를 개방하면 냉장 배달 준비가 완료된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음료통(201)의 경우에는 먼저, 케이스(203) 내에 음료를 채운 다음, 냉각재(210)를 장입한 냉각통(213)을 음료 토출구(205)로부터 케이스(203) 안으로 삽입하고, 최종적으로 케이스 뚜껑(207)을 잠그면 배달 준비가 완료되는데, 이때에도 마찬가지로 드라이 아이스를 냉각재(210)로 사용하게 되면 마개(219)를 분리하여 통기구(219)를 개방하여야 한다. 다만, 배달된 음료(210)를 마시기 위해서는 배달된 상태 그대로 음료(10)를 따라 마실 수 있는 도 2의 실시예와 달리,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통(201)은 마실 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통(213)을 빼내고 음료(210)를 보관하거나 냉각통(213)의 삽탈을 반복해야 한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고안의 냉장이 가능한 휴대용 음료통에 따르면, 별도의 냉각통에 드라이 아이스나 얼음과 같은 냉각재를 장입하여 음료와 함께 음료통 케이스에 삽입 장착한 다음 배달, 운반하는 간단한 냉각 구조에 의해서도 냉장 보관이 관건인 생맥주나 탄산음료와 같은 각종 음료를 장시간에 걸쳐 배달, 운반한 후라도 냉장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 음료 고유의 신선하고 시원한 맛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7)

  1. 음료(2)를 수용하도록 외체를 형성하고 있는 케이스(3)와 상기 케이스(3)의 음료 토출구(5)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는 뚜껑(7)으로 이루어진 음료통(1)에 있어서, 냉각재(10)를 수용하는 냉각통(13)이 상기 케이스(3)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이 가능한 휴대용 음료통.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3)는 바닥면(9)에 상기 냉각통(13)을 장착하기 위한 삽입공(1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이 가능한 휴대용 음료통.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통(13)은 상기 냉각재(10)를 넣고 뺄 수 있도록 압착 뚜껑(15)에 의해 개폐되며, 상기 압착 뚜껑(15)에는 개방이 용이한 마개(19)로 폐쇄되어 있는 통기구(17)가 관통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이 가능한 휴대용 음료통.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통(13)은 외주면 하부에 가공된 수나사부(21)가 상기 삽입공(11)의 내주면에 가공된 암나사부(23)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케이스(3)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이 가능한 휴대용 음료통.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뚜껑(15)의 상기 바닥면(9) 접촉부분에는 상기 나사 체결 부분(21,23)을 통해 누설되는 음료를 밀봉하는 패킹(25)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이 가능한 휴대용 음료통.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207)에는 개방이 용이한 마개(219)로 폐쇄되어 있는 통기구(217)가 관통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이 가능한 휴대용 음료통.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통(213)은 상기 케이스(203)의 음료 토출구(205)에 삽입 장착되며, 상기 음료 토출구(205)의 테두리 부분에 걸려 고정되도록 상단에 걸림턱(239)이 돌출되어 있고, 상기 테두리 부분과 접하는 상기 걸림턱(239) 저면에 밀봉 패킹(225)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이 가능한 휴대용 음료통.
KR2020010014865U 2001-05-21 2001-05-21 냉장이 가능한 휴대용 음료통 KR2002448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865U KR200244806Y1 (ko) 2001-05-21 2001-05-21 냉장이 가능한 휴대용 음료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865U KR200244806Y1 (ko) 2001-05-21 2001-05-21 냉장이 가능한 휴대용 음료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4806Y1 true KR200244806Y1 (ko) 2001-10-15

Family

ID=73101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4865U KR200244806Y1 (ko) 2001-05-21 2001-05-21 냉장이 가능한 휴대용 음료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480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049B1 (ko) 2014-10-24 2016-02-23 강성탁 생맥주통
KR20160052142A (ko) * 2014-11-04 2016-05-12 김태상 아이스 컵
WO2021076967A1 (en) * 2019-10-18 2021-04-22 Cryoport, Inc. Vapor plug retention strap
KR200493844Y1 (ko) * 2019-12-31 2021-06-1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아이스컵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049B1 (ko) 2014-10-24 2016-02-23 강성탁 생맥주통
KR20160052142A (ko) * 2014-11-04 2016-05-12 김태상 아이스 컵
KR101652179B1 (ko) * 2014-11-04 2016-08-29 김태상 아이스 컵
WO2021076967A1 (en) * 2019-10-18 2021-04-22 Cryoport, Inc. Vapor plug retention strap
US11097873B2 (en) 2019-10-18 2021-08-24 Cryoport, Inc. Vapor plug retention strap
GB2604067A (en) * 2019-10-18 2022-08-24 Cryoport Inc Vapor plug retention strap
US11713167B2 (en) 2019-10-18 2023-08-01 Cryoport, Inc. Vapor plug retention strap
GB2604067B (en) * 2019-10-18 2024-03-13 Cryoport Inc Vapor plug retention strap
KR200493844Y1 (ko) * 2019-12-31 2021-06-1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아이스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62029A (en) Cooler chest/liquid dispenser combination
US20030178433A1 (en) Beverage can cap with an ice compartment
US5261554A (en) Insulated beverage container
US9022252B2 (en) Insulating holder with elastomer foam material
US5417327A (en) Insulated modular vessel for transporting beverage containers
US5165569A (en) Keg for draft beer
US4745776A (en) Single can cooler
US4531383A (en) Cooling the liquid in an insulating container
US20020148247A1 (en) Drinking bottle having a separate thermally regulating container
US965129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everage container cooler with deflected compliant seal
US20070090077A1 (en) Container arrangement
MXPA04003802A (es) Metodo y aparato de enfriamiento de bebidas, con conjunto para retener el hielo y el agua.
US20200223603A1 (en) Food jar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US7891199B2 (en) Cryogenic apparatus for chilling beverages and food products and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244806Y1 (ko) 냉장이 가능한 휴대용 음료통
CN112707011B (zh) 冷藏箱
US20060201165A1 (en) Portable Bottle with Refrigeration/Heater System
GB2284254A (en) Thermally-insulated cooling arrangement with removable refrigerant gel cassette
KR200344346Y1 (ko) 이중 용기
KR200460978Y1 (ko) 물통
KR200250105Y1 (ko) 물통
JP2007197041A (ja) ボトル容器
KR200259194Y1 (ko) 냉매기구를 갖춘 음료저장용기
US20120228311A1 (en) Disposable cask with disposable tap
JPH05221462A (ja) 液体容器のバル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