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017Y1 -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뚜껑 - Google Patents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017Y1
KR200496017Y1 KR2020220001196U KR20220001196U KR200496017Y1 KR 200496017 Y1 KR200496017 Y1 KR 200496017Y1 KR 2020220001196 U KR2020220001196 U KR 2020220001196U KR 20220001196 U KR20220001196 U KR 20220001196U KR 200496017 Y1 KR200496017 Y1 KR 2004960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ntainer
cap body
circular coupling
dropper
pressing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11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승근
Original Assignee
임승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승근 filed Critical 임승근
Priority to KR20202200011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0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0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0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3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brushes or rods for applying or stir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25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뚜껑은, 탄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내부가 비어있는 누름 고무와;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공을 통해 상기 누름 고무의 하단과 결합하는 캡 바디와; 상기 캡 바디 아랫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누름 고무의 안쪽에 내삽 장착되는 유리관을 포함하고, 상기 캡 바디는,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화장품 용기 입구에 회전방식으로 결합하는 원형 결합부와; 상기 원형 결합부와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되 사용자에 의한 회전 토크를 높이도록 상기 원형 결합부보다 더 큰 반경을 가지는 외부 돌림부와; 상기 원형결합부와 상기 외부 돌림부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캡 바디 상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뚜껑{DROPPER-SHAPED CAP OF COSMETIC CONTAINER}
본 고안은 화장품 용기 뚜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 용기 뚜껑에는 다양한 형태가 있는데, 특히 화장품 용기 내에 포함된 기능성 액체 성분(예를 들어 '앰플')을 빨아들여 피부에 조금씩 찍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뚜껑이 개시된 바 있다.
이러한 앰플이 담긴 화장품 용기의 전체를 찍은 사진이 도 1에 도시되어있다.
그런데 다양한 목적으로 화장품 용기의 사이즈를 다변화할 필요가 있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뚜껑의 경우 동일한 형태를 유지함으로써, 몇몇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는 동일한 입구를 갖되 그 몸통의 사이즈는 서로 다른 화장품 용기(13,13')에 동일한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뚜껑(12,12')이 덮여 있는 경우를 단순화시킨 측면도가 나타나 있다.
도 2(a)의 경우보다 도 2(b)의 경우가 화장품 용기(13) 몸통의 사이즈 가로 길이는 더 크게 되어 있는 것인데,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몸통을 갖는 화장품 용기(13,13')임에 불구하고 동일한 사이즈의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뚜껑(12,12')이 장착됨으로써, 미관상 좋지도 않을 뿐만 아니라 화장품 용기(13,13')의 윗면(용기 주입 부분을 제외한 윗면)에 해당하는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뚜껑(12,12') 주변 영역(11,11')이 도 2(b)의 경우는 많이 노출되어 있어서 수직 충격에 취약하다는 문제점도 있다.
그렇다고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뚜껑(12,12')의 측면을 두껍게 만드는 것은 비용 증가를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화장품 용기(13,13')의 대량 생산 특성상 용기 입구 부분의 가로 사이즈를 변경시키는 것도 쉬운 일은 아니다.
또한 화장품 용기(13,13')마다 뚜껑 개폐에 필요한 최소 토크가 다르도록 설계할 필요도 있는데, 도 2와 같이 동일한 형태의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뚜껑(12,12')으로는 이러한 설계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53126호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몸통의 크기가 종래보다 크면서도 종래와 동일한 사이즈의 주입구를 갖는 화장품 용기에 최대 토크를 전달하면서도 최소 비용으로 제작 가능한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뚜껑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뚜껑은, 탄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내부가 비어있는 누름 고무와;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공을 통해 상기 누름 고무의 하단과 결합하는 캡 바디와; 상기 캡 바디 아랫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누름 고무의 안쪽에 내삽 장착되는 유리관을 포함하고, 상기 캡 바디는,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화장품 용기 입구에 회전방식으로 결합하는 원형 결합부와; 상기 원형 결합부와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되 사용자에 의한 회전 토크를 높이도록 상기 원형 결합부보다 더 큰 반경을 가지는 외부 돌림부와; 상기 원형결합부와 상기 외부 돌림부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캡 바디 상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원형 결합부 외주면에는 세로방향으로 돌출형 리브가 기 설정된 간격마다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캡 바디의 상면 중앙의 통공은 상기 캡 바디의 상면으로부터 아랫방향으로 단턱진 후에 형성되고, 상기 통공의 내주면은 끼움돌기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누름 고무 하단에 형성된 홈에 상기 끼움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누름 고무와 상기 캡 바디가 상호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리관에 끼워진 상태로 해당 유리관의 움직임을 방지하며, 상기 화장품 용기의 입구 내에 형성된 끼움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바깥면 특정 위치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유리관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캡 바디의 원형 결합부와 상기 외부 돌림부를 잇는 복수 개의 연결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 돌림부의 두께와, 상기 캡 바디 상단부의 두께는 1.5mm ~ 3mm이고, 상기 연결 지지대의 상하 높이와 상기 외부 돌림부의 상하 높이의 비는 1:14 ~ 1:5 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형 리브는 4의 배수의 개수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 지지대는 상기 4의 배수의 개수로서 끝단이 상기 돌출형 리브 중 어느 하나와 각각 일체화된 것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뚜껑에서 실제 화장품 용기의 입구와 결합하는 부분과 사용자가 뚜껑 개폐를 위해 돌리는 부분이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기존과 동일한 입구 크기를 가지면서도 그 몸체는 더 큰 화장품 용기에 장착되는 경우 더 높은 토크 전달이 가능하고 또한 화장품 용기의 윗면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원형 결합부와 외부 돌림부가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면서도, 원형 결합부에 돌출형 리브가 형성되도록 하여 손상을 최소화하고, 더 나아가 원형 결합부와 외부 돌림부 간을 서로 연결 지지대를 통해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외부 돌림부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유리관 지지대를 더 포함시킴으로써, 움직임에 따라 유리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뚜껑을 가지는 화장품 용기의 일 예이고,
도 2는 동일한 주입구를 가지면서도 몸통 자체는 서로 차이가 있는 화장품 용기에 동일한 크기의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뚜껑을 장착한 상태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뚜껑의 전체적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뚜껑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뚜껑에 포함된 캡 바디의 저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뚜껑의 캡 바디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3의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뚜껑이 화장품 용기에 결합된 상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뚜껑에 포함된 캡 바디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뚜껑에 포함된 캡 바디의 저면도이고,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뚜껑의
도 11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뚜껑의 사시도이고,
도12는 도 11의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뚜껑과 화장품 용기를 포함하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1의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뚜껑과 화장품 용기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고안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고안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개별 기능, 또는 개별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뚜껑(100)의 전체적인 사시도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또한 도 4에는 이러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뚜껑(100)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었다.
동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뚜껑(100)은 누름 고무(110), 캡 바디(120), 유리관(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누름 고무(110)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내부가 비어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예를 들어 집게손가락으로 반복적으로 누르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화장품 용기 내에 들어 있는 액체(예를 들어 앰플)가 유리관(130)을 통해 그 비어있는 내부로 빨아올리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캡 바디(120)는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그 형성된 통공을 통해 누름 고무(110)의 하단과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캡 바디(120)는 결국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뚜껑(100)이 화장품 용기에 결합하도록 하여 일종의 마개 또는 뚜껑이 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그 구체적인 구조에 대한 설명은 후술토록 한다.
유리관(130)은 캡 바디(120) 아랫방향으로 삽입되어 누름 고무(110)의 안쪽에 내삽 장착되는 것으로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누름 고무(110)의 반복 누름 동작이 있는 경우 압력차에 의해 화장품 용기 안에 있는 액체를 빨아들이는 기능을 수행한다.
유리관(130)의 상단 끝단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누름 고무(110)의 내부에 형성된 홈(111)에 끼어져서 서로 밀착될 수 있는데, 이렇게 상호 밀착된 경우 누름 고무(110)의 반복 누름 동작에 따라 화장품 용기 내부의 액체가 보다 쉽게 유리관(130) 내부로 빨려 들어갈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뚜껑(100)의 캡 바디(12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캡 바디(120)의 저면도이고, 도 6은 캡 바디(120)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동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바디(120)는 원형 결합부(123)와, 외부 돌림부(122), 캡 바디 상단부(1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원형 결합부(123)는 내부에 나사산(121)이 형성되어 대응되어 있어서, 이러한 내부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화장품 용기 입구에 회전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화장품 용기의 주입구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원형 결합부(123)의 내부에 형성된 나사산(121)이 이러한 화장품 용기의 주입구 외주면 나사산과 상호 맞물리며 열고 닫힐 수 있게 되는데, 이러한 나사산 결합 구조 자체는 종래의 회전식 병뚜껑에서 널리 이용되는 것이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원형 결합부(123) 외주면에는 세로방향으로 돌출형 리브(125)가 기 설정된 간격마다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원형 결합부(123)를 전체적으로 얇게 만들면서도 체결(즉, 화장품 용기와의 체결)시 원형 결합부(123)가 찌그러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외부 돌림부(122)는 이러한 원형 결합부(123)와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되 사용자에 의한 회전 토크를 높이도록 원형 결합부(123)보다 더 큰 반경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즉, 외부 돌림부(122)와 원형 결합부(123)의 사이에는 대부분 빈 공간이 되도록 서로 이격되어 있고, 다만 원형으로 형성된 외부 돌림부(122)의 반경이 원형 결합부(123)의 반경보다 더 크므로 더 많은 토크를 전달할 수 있어서 본 고안에 따른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뚜껑(100)이 화장품 용기에 결합되는 경우 보다 단단하게 잠글 수 있고, 또한 풀 때도 더 쉽게 풀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화장품 용기의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뚜껑(100) 주변 영역을 줄임으로써, 외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화장품 용기에 가해지는 충격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하고, 그러한 충격에도 보다 견고히 화장품 용기가 견딜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특히 화장품 용기가 유리병으로 이루어진 경우 이러한 효과는 더욱 극대화될 수 있다.
캡 바디 상단부(124)는 이러한 원형 결합부(123)와 외부 돌림부(122)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여 중앙에 형성된 통공(A)을 제외하고는 상단이 밀폐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캡 바디 상단부(124)와 외부 돌림부(122)는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단지 원형 결합부(123)의 끝단이 캡 바디 상단부(124)와 맞닿는 구조로 될 수도 있고, 이러한 다양한 방식은 금형의 구조에 따라 얼마든지 변형 가능하다.
한편, 캡 바디(120)의 상면 중앙의 통공은 캡 바디(120)의 상면으로부터 아랫방향으로 단턱(B)진 후에 형성되고, 이러한 통공의 내주면은 끼움돌기(126)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통공의 내주면에 형성된 끼움돌기(126)는 누름 고무(110) 하단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누름 고무(110)와 캡 바디(120)가 상호 결합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7에는 이러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뚜껑(100)이 화장품 용기에 결합된 상태가 나타나 있고, 도 8에는 그 단면도가 나타나 있다.
특히 도 8을 참고하면, 누름 고무(110)의 홈과 캡 바디(120)에 형성된 통공의 끼움돌기가 상호 결합되어 있는 상태가 잘 나타나 있고, 또한, 원형 결합부(123)와 외부 돌림부(122)가 캡 바디 상단부(124)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면서도,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구조가 잘 나타나 있다.
즉, 실제 화장품 용기의 주입구와 결합하는 역할을 하는 것(즉, 원형 결합부(123)의 역할)과 사용자가 뚜껑 개폐를 위해 잡아 돌리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즉, 외부 돌림부(122)의 역할)이 서로 다른 구조물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다.
특히, 원형 결합부(123)와 외부 돌림부(122)가 서로 이격되면서 그 사이의 대부분이 빈 공간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뚜껑(100)의 전체적인 무게를 줄임과 동시에 제조 원가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뚜껑(100')은 앞서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조 이외에 복수 개의 연결 지지대(127)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지지대(127)는 캡 바디(120)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다른 구조는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9 및 도 10에는 이러한 연결 지지대(127)가 나타나 있는데, 동 도면들에 개시된 바와 같이 연결 지지대(127)는 캡 바디(120)의 원형 결합부(123)와 외부 돌림부(122)를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서, 이는 외부 돌림부(122)가 사용 중 외력에 의해 찌그러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참고로, 도 9는 캡 바디(120)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캡 바디(120)의 저면도이다.
특히 외부 돌림부(122)는 상단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캡 바디 상단부(124)에 의해 원형 결합부(123)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외력(특히 수평방향의 힘)에 의해 찌그러지거나 손상될 가능성이 높지 않으나, 외부 돌림부(122)의 아래쪽 즉, 화장품 용기에 가까워지는 부분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원형 결합부(123)와 이격되어 있어서 그 사이의 공간이 비어 있으므로 외력, 특히 수평 방향의 힘에 의해 눌려서 찌그러지거나 손상될 가능성이 있는데,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연결 지지대(127)가 존재하는 것이다.
연결 지지대(127)의 높이가 높을수록 더 튼튼할 수는 있으나 이는 제조 원가를 높이는 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외부 돌림부(122)의 두께와, 캡 바디 상단부(124)의 두께(T)는 1.5mm ~ 3mm인 경우, 연결 지지대(127)의 상하 높이(H1)와 외부 돌림부(122)의 상하 높이(H2)의 비는 1:14 ~ 1:5 임이 바람직하다.
즉, 캡 바디(120) 자체가 PP(Polypropylene) 또는 PE(Polyethylene) 소재로 만들어지고, 외부 돌림부(122)의 두께의 두께(T)는 1.5mm ~ 3mm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 외부 돌림부(122)의 상하 높이(H2)가 연결 지지대(127)의 상하 높이(H1)보다 14배 이상인 경우에는 수평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외부 돌림부(122)의 하단부(즉, 유리병에 근접한 부위)가 안쪽으로 휘어지거나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외부 돌림부(122)의 상하 높이(H2)가 연결 지지대(127)의 상하 높이(H1)보다 5배 미만인 경우에는 불필요한 재료가 더 많이 사용되는 셈이어서 제조 단가만 높일 뿐이다.
특히, 돌출형 리브(125)는 4의 배수의 개수로 구성되는 경우, 연결 지지대(127) 역시 4의 배수의 개수로 구성되면서, 그 끝단이 돌출형 리브(125) 중 어느 하나와 각각 일체화됨이 바람직하고, 특히 연결 지지대(127)의 개수는 돌출형 리브(125)보다 적게 구성됨이 외부 돌림부(122)에 대한 충분한 보호를 함과 아울러 비용 상승을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형 리브(125)가 서로 같은 간격으로 8개 구성된 경우, 연결 지지대(127)는 서로 같은 간격으로 4개로 구성되면서, 그 끝단이 돌출형 리브(125) 중 어느 하나와 일체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예가 도 10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뚜껑(100")이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되었다.
도 11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뚜껑(100")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화장품 용기를 포함하는 그 분해 사시도이며, 도 13은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뚜껑(100")과 화장품 용기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동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 역시 앞서 설명한 첫 번째 실시예와 크게 다르지 않으며, 단지 유리관 지지대(140)를 더 포함한다는 점이 차이점이다. 바로 앞서 설명한 연결 지지대(127)를 포함하는 실시예에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유리관 지지대(140)는 유리관(130)에 끼워진 상태로 해당 유리관(130)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유리관 지지대(140)의 특정 위치의 외주면을 따라서 삽입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유리관 지지대(140)의 삽입 돌기는 화장품 용기의 입구 내에 형성된 끼움홈에 삽입되는 형태로 상호 결합할 수 있다.
특히, 도 13을 참고하면,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뚜껑(100")이 화장품 용기와 결합한 상태에서 유리관(130)이 유리관 지지대(140)에 의해 고정되어 있음이 잘 나타나 있다.
예를 들어 비중이 높은 액체가 화장품 용기에 담겨 있는 경우 화장품 용기를 흔들거나 할 때 그 액체의 움직임에 따라 유리관(130)이 움직이면서 손상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와 같이 유리관 지지대(140)가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뚜껑(100")의 일부로써 구비되는 경우 이러한 문제 발생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고안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00, 100', 100" :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뚜껑
110 : 누름 고무 120 : 캡 바디
130 : 유리관 140 : 유리관 지지대
122 : 외부 돌림부 123 : 원형 결합부
124 : 캡 바디 상단부 125 : 돌출형 리브
127 : 연결 지지대

Claims (6)

  1. 삭제
  2.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뚜껑에 있어서,
    탄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내부가 비어있는 누름 고무와;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공을 통해 상기 누름 고무의 하단과 결합하는 캡 바디와;
    상기 캡 바디 아랫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누름 고무의 안쪽에 내삽 장착되는 유리관을 포함하고,
    상기 캡 바디는,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화장품 용기 입구에 회전방식으로 결합하는 원형 결합부와; 상기 원형 결합부와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되 사용자에 의한 회전 토크를 높이도록 상기 원형 결합부보다 더 큰 반경을 가지는 외부 돌림부와; 상기 원형 결합부와 상기 외부 돌림부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캡 바디 상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형 결합부 외주면에는 세로방향으로 돌출형 리브가 기 설정된 간격마다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뚜껑.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 바디의 상면 중앙의 통공은 상기 캡 바디의 상면으로부터 아랫방향으로 단턱진 후에 형성되고,
    상기 통공의 내주면은 끼움돌기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누름 고무 하단에 형성된 홈에 상기 끼움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누름 고무와 상기 캡 바디가 상호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뚜껑.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관에 끼워진 상태로 해당 유리관의 움직임을 방지하며, 상기 화장품 용기의 입구 내에 형성된 끼움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바깥면 특정 위치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유리관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뚜껑.
  5.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뚜껑에 있어서,
    탄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내부가 비어있는 누름 고무와;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공을 통해 상기 누름 고무의 하단과 결합하는 캡 바디와;
    상기 캡 바디 아랫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누름 고무의 안쪽에 내삽 장착되는 유리관을 포함하고,
    상기 캡 바디는,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화장품 용기 입구에 회전방식으로 결합하는 원형 결합부와; 상기 원형 결합부와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되 사용자에 의한 회전 토크를 높이도록 상기 원형 결합부보다 더 큰 반경을 가지는 외부 돌림부와; 상기 원형결합부와 상기 외부 돌림부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캡 바디 상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 바디의 원형 결합부와 상기 외부 돌림부를 잇는 복수 개의 연결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뚜껑.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돌림부의 두께와, 상기 캡 바디 상단부의 두께는 1.5mm ~ 3mm이고,
    상기 연결 지지대의 상하 높이와 상기 외부 돌림부의 상하 높이의 비는 1:14 ~ 1: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뚜껑.
KR2020220001196U 2022-05-16 2022-05-16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뚜껑 KR2004960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196U KR200496017Y1 (ko) 2022-05-16 2022-05-16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196U KR200496017Y1 (ko) 2022-05-16 2022-05-16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6017Y1 true KR200496017Y1 (ko) 2022-10-13

Family

ID=83596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1196U KR200496017Y1 (ko) 2022-05-16 2022-05-16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017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3695Y1 (ko) * 1985-12-19 1988-10-15 태평양화학공업 주식회사 수평가압식 쟈바라를 설한 스포이트
KR200453126Y1 (ko) 2010-07-23 2011-04-13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200454099Y1 (ko) * 2008-08-04 2011-06-15 (주)아모레퍼시픽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의 누름주머니 구조
KR20170081788A (ko) * 2016-01-04 2017-07-13 (주)아모레퍼시픽 체크밸브가 구비된 역류방지 스포이드 용기
KR20200135235A (ko) * 2020-06-15 2020-12-02 김선태 와이퍼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3695Y1 (ko) * 1985-12-19 1988-10-15 태평양화학공업 주식회사 수평가압식 쟈바라를 설한 스포이트
KR200454099Y1 (ko) * 2008-08-04 2011-06-15 (주)아모레퍼시픽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의 누름주머니 구조
KR200453126Y1 (ko) 2010-07-23 2011-04-13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20170081788A (ko) * 2016-01-04 2017-07-13 (주)아모레퍼시픽 체크밸브가 구비된 역류방지 스포이드 용기
KR20200135235A (ko) * 2020-06-15 2020-12-02 김선태 와이퍼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05506A1 (en) Bottle cap having filling function
CN101870387A (zh) 具有堆垛结构的容器组件
KR101121860B1 (ko) 마개 및 이 마개를 갖는 용기
EP2634109A2 (en) Side-pressure type safety cap
KR102518964B1 (ko) 손잡이 하부에 따개가 형성된 수직형 병따개
US3473681A (en) Safety medicine bottle closure
KR200496017Y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뚜껑
KR101850856B1 (ko) 상부 개별 토출 디스펜서
KR102179354B1 (ko) 스프링 없는 스포이드형 에코 오토드롭퍼
US20140183223A1 (en) Combination child-resistant package and collapsible tube, and method of using same
US3140020A (en) Container closure assembly
JPH11130035A (ja) 薄肉容器
CN211686383U (zh) 一种新型液体容置瓶
JP2007161298A (ja) 容器ユニット
KR200448108Y1 (ko) 펌프를 가지는 튜브형 이중화장품용기
KR200286135Y1 (ko) 서로 다른 성분의 분말 또는 용액을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할 수 있는 용기
WO2005014428A1 (en) Container assembly for blending contents kept separately by removing cap
KR200358810Y1 (ko) 상승 기능을 갖는 크림자
ES2944068T3 (es) Estuche cosmético que comprende una pared lateral deformable
US20040217136A1 (en) Dispenser bottle
KR102356558B1 (ko) 음료병의 약품 수용캡
CN112849717B (zh) 一种出料结构及出料盒
KR200395480Y1 (ko) 용기용 밀폐덮개
KR102620222B1 (ko) 리필이 용이한 내용물 용기
KR102673009B1 (ko) 리필 타입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