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9670Y1 - 액체 및 분말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 - Google Patents

액체 및 분말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9670Y1
KR200369670Y1 KR20-2004-0025768U KR20040025768U KR200369670Y1 KR 200369670 Y1 KR200369670 Y1 KR 200369670Y1 KR 20040025768 U KR20040025768 U KR 20040025768U KR 200369670 Y1 KR200369670 Y1 KR 2003696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d
powder
rib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57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응일
Original Assignee
김응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응일 filed Critical 김응일
Priority to KR20-2004-00257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96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96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96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65D25/08Partitions with provisions for removing or destroying, e.g. to facilitate mixing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3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brushes or rods for applying or stirring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체와 분말을 혼합할 수 있는 용기에 있어서, 상부뚜껑과 그 하부에 하부뚜껑 및 하부뚜껑 하부에 위치한 용기로 이루어지되, 상부뚜껑은 내부 상부에 상부리브와, 상부리브의 내측으로 일 이상의 개방돌기와 일방향으로만 하부로 회전이동이 가능한 내측 하부에 형성된 상부나사선으로 이루어지고, 하부뚜껑은 내부에 분말을 수용하기 위한 보조용기와, 상기 상부리브와 대응되도록 위치한 하부리브와, 뚜껑의 외측에 상부뚜껑의 상부나사선과 대응되는 하부제1나사선과, 용기의 개방 및 밀폐를 위하여 하부뚜껑의 내측에 형성된 하부제2나사선이 구비되며, 용기는 하부제2나사선에 대응되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부뚜껑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보조용기의 바닥면에 분출구를 형성되며 보조용기에 수용되어 있는 분말이 하부로 낙하하여 용기내의 액체와 혼합되고 상부뚜껑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회전력을 하부뚜껑에 전달하면 하부뚜껑이 용기에서 이탈되는 혼합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액체 및 분말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CONTAINER FOR MIXING LIQUID AND POWDER}
본 고안은 분말 혼합이 용이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 용기에서 분말과 액체가 다른 혼합수단없이 간단히 용기의 뚜껑을 회전시킴으로서 액체와 분말의 혼합이 가능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말을 액체와 혼합하여 음용하는 종류로는 약품이나 커피 등을 예로 들수 있다. 이들은 액체에 분말을 혼합하기 위한 혼합수단이 항상 존재하여야 한다. 또한 불특정 장소에서 음용하고자 액체와 분말을 혼합하고자 하는 경우 액체나 분말을 각각의 용기에 별도로 보관하거나 이를 혼합하기 위한 용기를 별도로 준비해야 하기 때문에 긴급하게 약을 복용하여야 하거나 야외에서 혼합음료를 음용하기에 매우 불편한 점이 있었다.
최근 인스턴트 커피 수요가 증가하면서 일회용 커피용기에 대한 제안이 다수 이루어져 왔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170084호에서는 "액상의 커피가 수용되는 컵부재(10)와, 상기 컵부재(10)의 상부를 덮는 플라스틱 재질의 뚜껑부재(30)를 구비하여 된 프림 및 설탕이 내장된 일회용 커피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재(30)의 상면에 볼록하게 형성된 제1 및 제2누름부(21,31); 상기 제1 및 제2누름부(21,31)의 저면에 형성되어 분말 또는 액상의 프림(25) 및 액상 또는 분말설탕(35)이 각각 저장되며, 내부공간의 바닥면이 호일(23)로 막혀져 있는 제1 및 제2저장부(22,32); 및 상기 제1 및 제2누름부(21,31)의 밑면에 형성되어 상기 호일(23)을 절개하는 푸싱부재(24)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림 및 설탕이 내장된 일회용 커피용기"가 제안되었다.(도 1) 상기 고안은 서로 다른 분말을선택적으로 혼합시켜 이용할 수 있는 점은 있으나 약품에 적용하기에는 용기의 특성에 제한이 있다.
또한 분말과 액체를 혼합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여야 하므로 혼합수단의 준비 및 장소의 제약이 있다. 따라서 분말과 액체의 종류에 관계없이 장소나 혼합수단을 제한받지 않으면서 간이하게 혼합할 수 있는 용기에 대한 필요성이 매우 요청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약품 등의 분말제재와 이와 혼합되는 액체를 하나의 용기에 보관할 수 있으며 이들을 혼합하여 음용하는 경우 뚜껑만을 간단히 회전시킴으로서 분말과 액체가 혼합되어 음용할 수 있어 장소나 별도의 혼합수단없이도 혼합성분을 복용 또는 음용할 수 있는 혼합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액체와 분말을 혼합할 수 있는 용기에 있어서, 상부뚜껑과 그 하부에 하부뚜껑 및 하부뚜껑 하부에 위치한 용기로 이루어지되, 상부뚜껑은 내부 상부에 상부리브와, 상부리브의 내측으로 일 이상의 개방돌기와 일방향으로만 하부로 회전이동이 가능한 내측 하부에 형성된 상부나사선으로 이루어지고, 하부뚜껑은 내부에 분말을 수용하기 위한 보조용기와, 상기 상부리브와 대응되도록 위치한 하부리브와, 뚜껑의 외측에 상부뚜껑의 상부나사선과 대응되는 하부제1나사선과, 용기의 개방 및 밀폐를 위하여 하부뚜껑의 내측에형성된 하부제2나사선이 구비되며, 용기는 하부제2나사선에 대응되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부뚜껑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보조용기의 바닥면에 분출구를 형성되며 보조용기에 수용되어 있는 분말이 하부로 낙하하여 용기내의 액체와 혼합되고 상부뚜껑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회전력을 하부뚜껑에 전달하면 하부뚜껑이 용기에서 이탈되는 혼합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개방돌기가 상부뚜껑의 회전에 의해 하부뚜껑의 바닥면에 원주형태의 분출구를 형성하기 위하여 바닥면과 접하는 부분의 형상이 경사진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바닥면의 두께에 구배가 형성되어 일 반원 두께를 얇게하고, 타 반원은 두께를 보다 두껍게 하며 이루어진 용기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혼합용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뚜껑의 결합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뚜껑의 분리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혼합용기 110 : 상부뚜껑
112 : 상부리브 114 : 상부나사선
120 : 하부뚜껑 122 : 하부리브
124 : 하부제1나사선 126 : 하부제2나사선
130 : 개방돌기 140 : 주용기
이하 본 고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뚜껑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뚜껑의 분리단면도이며, 도 4는 혼합용기 내의 분말 및 액체가 혼합되기 위해 뚜껑이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의 혼합용기는 상부뚜껑(110), 하부뚜껑(120) 및 주용기(150)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뚜껑(110)은 내부 상부에 상부리브(112)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 내측으로 개방돌기(130)가 일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개방돌기(130)는 상부뚜껑의 회전에 의해 하부뚜껑(120)의 바닥면(128)에 원주형태의 분출구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부리브 내측으로부터 상부뚜껑(110)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것보다는 중심부에서 일정거리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방돌기(130)는 바닥면과 접하는 부분의 형상이 경사진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바닥면과 닿는 부분이 보다 단단하게 사출될 수 있다. 상부뚜껑(110)의 내측 하부에는 회전을 위한 상부나사선(114)이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상부나사선(114)은 일방향으로만 하부로 회전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방향 회전이동의 나사선 구성은 공지의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하부뚜껑(120)은 외측에 상부뚜껑의 상부나사선(114)과 대응되는 하부제1나사선(12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측은 용기의 개방 및 밀폐를 위한 하부제2나사선(126)이 구비되어 있는데 하부제2나사선(126)은 양방향 회전이동이 가능한 일방적인 형태이다. 한편 상기 하부뚜껑(120)은 분말(200)을 수용하기 위한 보조용기(14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조용기(140)의 바닥면(128)은 개방돌기(130)에 의해 용이하게 절단될 수 있도록 되어야 하는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반원부분은 상기 개방돌기(130)에 의해 용이하게 파손되도록 보다 약하게 사출되고, 타 반원부분은 개방돌기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는 바닥면의 두께의 구배를 줌으로서 구현할 수도 있는바 일 반원은 그 두께를 얇게하고,타 반원은 두께를 보다 두껍게 하며, 개방돌기의 강도를 바닥면의 일 반원의 강도보다 강하게 바닥면의 일 반원이 개방돌기에 의해 절단되어 분출구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개방돌기와 바닥면의 재질은 플라스틱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기타 재질의 적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혼합용기는 보존의 안정성을 위하여 전체적으로 진공포장될 수 있다.
상기 주용기(150)는 일반적인 형상으로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구성 및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부뚜껑(110)과 하부뚜껑(120)은 상부리브(112)와 하부리브(122)가 맞닿은 형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는 용기제조시 높이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오작동으로 인하여 개방돌기가 바닥면에 분출구를 형성하는 불량률을 저감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상부리브(112)와 하부리브(122)는 상부뚜껑(110)의 회전력에 의한 압력에 의해 서로 압착될 수 있을 정도의 압착강도를 유지하는 정도면 족하다. 따라서 상기 상부리브와 하부리브는 플라스틱재질로 그 두께는 용기제조시 개방돌기가 바닥면에 분출구를 형성하는 오작동을 방지하고 회전압력에 의해 압착될 수 있는 정도의 두께가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뚜껑(110)은 일방향으로만 회전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므로 사용자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회전에 의해 하부로 나선형의 이동경로를 나타내는 개방돌기(130)가 하부뚜껑(120)의 바닥면(128)에 원주형태의 분출구(160)를 형성시킨다. 상기 형성된 분출구(160)로 보조용기(140)에 수용되어 있는 분말이 하부로 낙하되어 주용기(150)내에 수용된 액체(300)성분과 혼합된다. 상기 혼합된 분말(200)과 액체(300)는 본 고안에 의한 용기가 하부뚜껑(120)에 의해 밀폐성이 유지되므로 용기자체를 교반하거나 상하로 흔듦으로서 보조도구없이 분말과 액체의 혼합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하부뚜껑(120)이 주용기(150)에서 분리되는 원리는 상부뚜껑(110)이 일방향으로만 회전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부뚜껑(110)이 최단부까지 회전하면 그 회전력이 하부뚜껑(120)에 전달되어 하부뚜껑(120)이 용기에서 개방된다. 이는 상부나사선(114)과 하부제1나사선(124), 하부제2나사선(126)과 주용기의 나사선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즉 상부나사선과 하부제1나사선은 S방향으로 구성되고 하부제2나사선과 주용기의 나사선은 Z 방향으로 구성됨으로서 가능하다. (또는 그 역으로 구성도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부뚜껑(11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보조용기(140)의 바닥면(128)에 분출구(160)를 형성시키면 보조용기(140)에 수용되어 있는 분말(200)이 하부로 낙하하여 주용기(150)내의 액체(300)와 혼합된다. 혼합력을 보다 강화하기 위해 사용자는 혼합용기(100) 자체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소정의 혼합도가 이루어진 경우 상부뚜껑(110)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회전력을 하부뚜껑(120)에 전달한다. 회전력을 전달받은 하부뚜껑(120)은 주용기(150)에서 이탈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사용자는 분말이 혼합된 액체(음료 또는 약제)를 음용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용기는 사용자가 특별한 노력없이 용기뚜껑의 간단한 회전만으로 보조용기내의 분말이 하부의 액체와 혼합될 수 있고 일반용기에서 뚜껑을 제거하여 음용하는 원리와 동일한 방식으로 음료를 취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리브와 하부리브가 존재하여 제조과정에서 불량률을 저감시킬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사용시에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방돌기에 의해 바닥면에 분출구가 형성되어 분말과 액체가 혼합되어도 혼합용기 자체의 밀폐성이 유지되어 시간이나 장소에 제한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Claims (3)

  1. 액체와 분말을 혼합할 수 있는 용기에 있어서,
    상부뚜껑과 그 하부에 하부뚜껑 및 하부뚜껑 하부에 위치한 용기로 이루어지되,
    상부뚜껑은 내부 상부에 상부리브와, 상부리브의 내측으로 일 이상의 개방돌기와 일방향으로만 하부로 회전이동이 가능한 내측 하부에 형성된 상부나사선으로 이루어지고,
    하부뚜껑은 내부에 분말을 수용하기 위한 보조용기와, 상기 상부리브와 대응되도록 위치한 하부리브와, 뚜껑의 외측에 상부뚜껑의 상부나사선과 대응되는 하부제1나사선과, 용기의 개방 및 밀폐를 위하여 하부뚜껑의 내측에 형성된 하부제2나사선이 구비되며,
    용기는 하부제2나사선에 대응되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부뚜껑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보조용기의 바닥면에 분출구를 형성되며 보조용기에 수용되어 있는 분말이 하부로 낙하하여 용기내의 액체와 혼합되고 상부뚜껑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회전력을 하부뚜껑에 전달하면 하부뚜껑이 용기에서 이탈됨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돌기는 상부뚜껑의 회전에 의해 하부뚜껑의 바닥면에 원주형태의 분출구를 형성하기 위하여 바닥면과 접하는 부분의 형상이 경사진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의 두께에 구배가 형성되어 일 반원 두께를 얇게하고, 타 반원은 두께를 보다 두껍게 하며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용기.
KR20-2004-0025768U 2004-09-08 2004-09-08 액체 및 분말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 KR2003696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768U KR200369670Y1 (ko) 2004-09-08 2004-09-08 액체 및 분말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768U KR200369670Y1 (ko) 2004-09-08 2004-09-08 액체 및 분말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9670Y1 true KR200369670Y1 (ko) 2004-12-09

Family

ID=49442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5768U KR200369670Y1 (ko) 2004-09-08 2004-09-08 액체 및 분말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9670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608B1 (ko) 2006-08-11 2007-08-30 이근천 첨가물 저장공간을 갖는 병마개
KR100771341B1 (ko) 2006-11-08 2007-10-29 권경중 첨가물 첨가용 캡
WO2008051032A1 (en) * 2006-10-26 2008-05-02 Kyoung Joong Kwon Cap for adding addition
KR100856945B1 (ko) 2006-10-26 2008-09-04 권경중 첨가물 첨가용 캡
KR20190071394A (ko) 2017-12-14 2019-06-24 주식회사대경피앤씨 스크류 타입 이종물질 혼합기
KR102079732B1 (ko) 2019-10-01 2020-02-20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기능성 용기
US11919688B2 (en) 2020-03-26 2024-03-05 Kolmar Bnh Co., Ltd Content container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608B1 (ko) 2006-08-11 2007-08-30 이근천 첨가물 저장공간을 갖는 병마개
WO2008051032A1 (en) * 2006-10-26 2008-05-02 Kyoung Joong Kwon Cap for adding addition
KR100856945B1 (ko) 2006-10-26 2008-09-04 권경중 첨가물 첨가용 캡
KR100771341B1 (ko) 2006-11-08 2007-10-29 권경중 첨가물 첨가용 캡
KR20190071394A (ko) 2017-12-14 2019-06-24 주식회사대경피앤씨 스크류 타입 이종물질 혼합기
KR102079732B1 (ko) 2019-10-01 2020-02-20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기능성 용기
US11919688B2 (en) 2020-03-26 2024-03-05 Kolmar Bnh Co., Ltd Content contai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1261B2 (en) Stackable container system
AU2001273678B2 (en) Single handed container for mixing foods
US20090178940A1 (en) Stacked-container reusable bottle, system and method providing flexible use and mixing
US8777044B1 (en) Beverage container device
US20060226035A1 (en) Multimix bottle
US8376134B1 (en) Drink bottle with multiple drink dosage device
US9522770B2 (en) Dispensing closure
US20160123786A1 (en) Dual lid container-dispenser apparatus
US10532866B2 (en) Container cap assembly
WO2014056079A1 (en) Shaker bottle
US20120024812A1 (en) Water bottle with multiple drink dosage device
US20100044254A1 (en) Beverage mix dispensing closure
JP2004083022A (ja) ペットボトル等ドリンク用ボトルのキャップ
CN101730651A (zh) 分配器
WO2013138490A1 (en) Beverage container device
KR200369670Y1 (ko) 액체 및 분말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
US20090283528A1 (en) Enhanced liquid container
CN102803086A (zh) 容器分配封闭
WO2005105612A1 (ja) プラスチック容器
US20100237079A1 (en) Container and divider therefor
KR100794167B1 (ko) 이종물질 낙하 및 혼합용 병뚜껑
EP3652506B1 (en) Device for storage and dosage of a powder or a liquid
KR20100009115A (ko) 이중 컵
KR100571747B1 (ko) 이종물질을 실시간 혼합시킬 수 있는 용기의 마개
WO2006010962A1 (en) Mechanical container for liquid or solid substances that is applied in a bottle opening and used as a drinking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