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1553A - 첨가제 보관이 가능한 용기 마개 - Google Patents

첨가제 보관이 가능한 용기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1553A
KR20130011553A KR1020110072783A KR20110072783A KR20130011553A KR 20130011553 A KR20130011553 A KR 20130011553A KR 1020110072783 A KR1020110072783 A KR 1020110072783A KR 20110072783 A KR20110072783 A KR 20110072783A KR 20130011553 A KR20130011553 A KR 20130011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additive
storage
storage box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2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팔형
Original Assignee
이팔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팔형 filed Critical 이팔형
Priority to KR1020110072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1553A/ko
Publication of KR20130011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15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5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6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the element being a plug or like element closing a passage between the auxiliary container and the main container
    • B65D51/2871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the element being a plug or like element closing a passage between the auxiliary container and the main container the plug falling into the main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20Sealing means
    • B65D2251/205Inserted

Abstract

본 발명은 병마개 안에 각종 천연재료나 영양제의 장기보관이 가능하고 아무것도 들어있지 않는 순수한 상태의 음료수에 필요에 따라서 언제든지 자신의 기호에 맞는 천연재료제의 첨가가 가능하도록 한 병마개와 첨가제보관함, 오링, 중간기둥, 보관마개로 구성되어진 용기 마개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마개(1)와 첨가제보관함(6)와 실리콘 오링(3), 중간기둥(18), 보관마개(2)로 주요 부분으로 구성이 되어 있으며 마개(1)의 내부에는 첨가제를 보관할 수 있는 첨가제보관함(6)을 형성하고 보관마개(2)와 첨가제보관함(6)부위에는 첨가제(16)의 유출을 방지를 위해서 오링(3)과 볼록돌기(7), 오목홈(14)으로 이중누출방지장치를 만듦으로써, 유통 과정상 생길 수 있는 첨가제(16)의 누출이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도록 하였으며 마개(1)를 열 때에 보관마개(2)에 형성되어 있는 끼움돌기(8)가 병목(10)에 걸려서 빠지지 않고서 저항을 함으로써 상방으로 작용하는 힘이 보관마개(2)를 첨가제보관함(6)과 분리되는 힘으로 작용을 하게 되어 내부에 있던 첨가제(16)가 음료와 섞이도록 하였다. 또한 소비자가 볼록하게 만든 마개(1)의 중심부 주위에 형성된 누름판(19)을 누르면 탄성 이동이 가능하도록 얇게 제작된 탄성부(20)에 의해서 마개 내부의 중간기둥(18)이 하방이동을 하여 보관마개(2)를 분리시키거나, 봉인막파열판(22)을 움직여 얇은 봉인막(21)을 찢게 하여 보관함 내부에 있던 첨가물이 음료병 안의 음료수(9)와 섞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병마개 안에 각종 천연재료나 영양제의 장기보관이 가능 하도록 하여 아무것도 들어있지 않는 순수한 상태의 생수에 필요에 따라서 언제든지 자신의 기호에 맞는 재료제를 첨가할 수 있도록 고안된 용기 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각종 재료를 필요에 따라서 언제 어디서든지 간편하게 섞어서 마실 수 있도록 한 동시에 음료의 보관을 극대화한 효과를 가지고 있는 마개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첨가제 보관이 가능한 용기 마개{Bottle cap for adding addition in use}
본 발명은 병마개 안에 각종 첨가제를 보관할 수 있는 첨가제보관함을 만들어서 각종 천연재료나 영양제의 장기보관이 가능하도록 하여서 아무것도 들어있지 않는 순수한 상태의 생수에 필요에 따라서 언제든지 소비자의 기호에 맞는 각종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도록 고안된 용기의 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라스틱이나 병으로 된 용기에 일반적인 비타민 음료나, 각종 성분의 음료수, 기타 건강음료를 장기간 보관할 경우 햇빛이나 온도, 기타 보관 환경에 의해서 유효성분의 효능이 시간이 갈수록 떨어지고 효과가 사라지는 경우가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음료를 좀 더 장기 보존하기 위해서 미량의 보존 화학물을 음료에 첨가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로 인하여 오히려 음료를 장기 음용할 경우에는 인체에 부작용을 초래하는 경우가 많은 것이 현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의 다양한 첨가물 재료를 필요에 따라서 언제 어디서든지 간편하게 섞어서 마실 수 있도록 한 동시에 음료의 보관을 극대화한 효과를 가지고 있는 마개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각종 음료수의 내용물에는 각종 비타민이나 미네랄, 영양제, 커피, 옥수수, 보리, 차 추출물등 여러 가지 다양한 재료가 물과 혼합됨으로써 정작 소비자들을 위하여 시장에 유통이 될 때에는 빠른 부패와 변질이 올 수가 있고 내용물의 신선도와 맛과 유효성분의 효능이 감소될 수 가 있는 단점이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음료를 장기간 보존하기 위하여 미량의 안정제, 보존제, 산도조절제, 방부제 등의 각종 화학물을 첨가하게 됨으로써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게 하지만 오히려 영양이나 몸에 수분을 공급하는 음료를 통하여 각종 화학물을 함께 마시게 됨으로써 장기간 복용을 했을 경우 알려지지 않은 여러 가지 부작용을 초래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었다.
일반적으로 용기의 마개는 용기 내에 있는 음료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필수적인 것이다. 따라서 용기의 마개 안에 따로 첨가제를 보관할 수 있는 첨가제보관함을 만들어서 각종 영양제나 천연재료와 같은 첨가제를 안전하게 분리 보관함으로써 음료를 마실 때 마개의 보관함에 보관한 재료를 물과 섞어서 혼합하도록 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기술들이 현재 제안되어 있으나 실제 적용하기 위해서는 생산의 기술과 비용면에서 많은 제약이 있는 것이 현재의 실정이다.
현재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일회용 용기에 들어있는 각종 음료수는 인체에 수분을 공급하는 동시에 맛과 영양을 함께 전달하려고 비타민, 미네랄, 커피, 옥수수, 차 등 여러 가지 다양한 재료들을 음료수와 함께 혼합하게 된다. 맛과 영양을 위하여 첨가한 이러한 각종 다양한 재료의 혼합으로 인하여 오히려 음료의 부패와 변질을 가지고 올 수가 있고 유효성분의 효능이 시간이 갈수록 떨어지고 사라지는 경우가 있으며, 음료의 장기간의 보관이 어려워지고 유통기간이 급격하게 짧아지는 경향을 초래 하는 바 결국에는 유통기간을 늘리고 음료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해서 경우에 따라서는 각종 화학물을 첨가하게 되어 장기간 음료를 마실 경우 인체에 부작용을 초래 할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장기간 각종재료를 밀폐된 상태로 안전하게 보관 할 수 있도록 첨가제보관함이 내장되어 있는 마개를 발명하여 음료수병 내에서 물과 각종 재료를 분리하여 보관하게 함으로써 언제 어디에서나 화학첨가물 없이 즉시에 소비자가 원하는 재료를 혼합함으로써 재료의 유효성분과 맛과 영양과 함께 안전하게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첨가제를 보관하기 위한 마개를 생산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 구성품으로 되어있는 타 제품과는 달리 불필요한 요소를 제거하여 마개, 첨가제보관함, 보관마개, 오링의 단순한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단순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본 발명은 첨가제 보관 병마개의 조립이나 대량 생산이 간단하여서 생산자에게는 생산 비용절감의 이익을 주고 소비자들은 언제든지 보다 손쉽게 자신들이 원하는 첨가제를 살균, 위생 처리된 물에 섞어서 건강 음료를 바로 마실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본 발명은 마개 내부에 부착되는 보관 마개를 실리콘과 같은 인체에 무해한 탄성 오링을 이용하여 봉인을 하여 음료병 내부의 수분으로부터 철저하게 분리를 하여 처음 상태 그대로의 첨가제를 보관하도록 하였다.
종래의 다른 마개들은 소비자들이 보관마개 내의 첨가물을 음료수와 섞기 위해서 복잡한 과정과 많은 힘을 필요로 했는데 본 발명은 병마개를 열면 보관마개가 자동적으로 음료수 병 안으로 분리되면서 첨가제보관함 안에서 안전하게 밀봉 보관된 첨가제가 음료에 투입되는 방식을 이용하여 이러한 단점을 줄였으며 기타의 오염, 위조, 부정한 내용물 투입, 노출, 또 다른 음료수 첨가물에 의한 품질 저하를 막기 위해서 병 속의 음료수와 보관된 첨가제가 안전하게 공기의 접촉을 막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구성품을 단순하게 하여 첨가제를 따로 보관할 수 있는 마개를 생산하는데 적은 비용과 보다 단순한 생산과정이 진행되게 함으로써 생산자들은 비용의 절감과 제품의 위조 방지를 꾀할 수가 있고, 경우에 따라서 종래의 음료들처럼 여러 가지 주성분 이외에 장기보관을 하기 위해서 들어가 있는 각종 화학물 없이 소비자들은 안전하게 보관된 첨가제를 언제든지 음료에 섞어서 마실 수 있도록 하여 각종 화학물의 첨가로부터 인체를 건강하고 안전하게 보호 하도록 하였다.
특히 음료수 첨가물의 여러 가지 성분들이 플라스틱병에 장기간 노출이 되는 경우에는 맛과 향이 변할 뿐만 아니라 비타민의 경우에는 음료에 녹아있는 성분의 유효효과가 시간이 가면 갈수록 사라지기 때문에 이에 대한 문제점과 장기 저장이 어렵다는 단점을 본 발명이 개선시킬 수가 있으며 첨가물의 성분에 영향을 주는 햇빛, 열, 공기, 습기와 철저하게 분리되어 첨가제를 건조보관 할 수가 있어서 오랜 시간 동안 음료에 첨가될 첨가제의 성분과 품질을 처음 상태 그대로 유지할 수가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음료병(15), 마개(1), 첨가제보관함(6), 보관마개(18)가 결합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마개(1), 첨가제보관함(6)과 보관마개(18)가 분리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음료병(15), 마개(1), 첨가제보관함(6), 중간기둥(18), 보관마개(6)가 결합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음료병(15), 마개(1), 첨가제보관함(6), 중간기둥(18), 봉인막(21), 봉인막파열판(24)이 결합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첨가제보관함(16)의 칸(27)을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오링과 걸침발(26)을 가진 위조방지마개(2)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위조방지마개(2)의 다양한 걸침발(26)을 나타낸 정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의 주요 부분은 마개(1)와 일체화되어있는 첨가제보관함(6)과 중간기둥(18), 오링(3), 보관마개(2)로 구성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마개의 역할은 음료수병에 담겨진 생수와 같은 내부의 음료를 외부로 누출되거나 차단시키는 역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도 1의 제 1 실시 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마개(1)의 내부에는 첨가제(16)를 보관할 수 있는 첨가제보관함(6)을 형성하고 보관마개(2)와 결합되는 첨가제보관함(6)에는 첨가제의 유출을 방지를 위해서 보관마개(2)와 완벽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오링(3)을 끼우기 위한 오링홈(13a)을 형성하고 반대편인 보관마개(2)의 같은 부위에도 오링홈(13b)을 형성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보관마개(2)와 첨가제보관함(6)이 반대로 결합 될 수도 있다. 첨가제보관함(6)의 끝단 부위에는 볼록돌기(7)를 형성하고 보관마개(2)에는 오목홈(14)을 형성하여 오링(3)과 볼록돌기(7), 오목홈(14)이 첨가제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이중누출방지장치를 만듦으로써 첨가제보관함(6)과 보관마개(2)가 서로가 밀접하게 결합하도록 하여 수분이나 공기로 인한 첨가제(16)의 손상이나 유통 과정상 생길 수 있는 부주의로 인한 첨가제(16)의 누출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마개(1)의 첨가제보관함(6)에는 여러 가지 종류의 첨가제(16)를 넣을 수가 있어서 소비자는 시간이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서 언제든지 간편하게 자신의 기호에 맞는 첨가제(16)가 들어 있는 음료를 선택 구입하여 병의 마개(1)를 돌려서 보관마개(2)가 열리도록 하여 첨가제보관함(6)에 들어 있던 첨가제가 음료수(9)와 섞이도록 하여 마실 수가 있다.
상기의 과정은 먼저 생산과정에서 마개(1)의 첨가제보관함(6)에 첨가제(16)를 투입하고 보관마개(2)로 닫은 후 마개(1)를 병 주둥이(12)에 결합을 시켜서 안전하게 첨가제(16)를 보관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마개(1)를 병 주둥이(12)에 끼울 때 보관마개(2)의 끼움돌기(8)가 병 주둥이(12) 내부의 지름보다 조금 더 크게 밖으로 돌출 되도록 되어 보관마개(2)가 음료수(9) 병에 들어갈 때 병의 입구에서 저항력 받을 수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보관마개(2)에 형성이 되어 있는 끼움돌기(8)의 사이사이에 일정 크기의 틈과 간격을 형성하여 저항력을 받을 때 끼움돌기(8)가 안쪽으로 모이도록 탄성력을 계산하여 디자인되도록 하였다. 또한 끼움돌기(8)는 원하는 용도에 맞추어서 필요한 모양과 다양한 형태로 제작을 할 수가 있다. 병의 마개(1)를 닫을 때 보관마개(2)의 끼움돌기(8)가 병 입구에서 약간의 저항을 하면서 안쪽으로 탄성 작용하며 밀려들어가 결과적으로 병 주둥이(12)의 내부지름 크기로 줄어들면서 자연스럽게 병 주둥이(12) 안쪽으로 밀려들어 가게 되면서 마개(1)는 병 주둥이(12)와 시계방향으로 완전하게 결합을 하게 되고 음료수(9)가 병에서 새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마개(1)가 병 주둥이(12)에 완전하게 안착 되면 결과적으로 끼움돌기(8)도 병목(10)에 안착하게 되는 동시에 탄성 작용에 의해서 병 주둥이(12) 내부 지름보다 더 크게 원래의 크기로 벌어지게 되어서 소비자가 마개(1)를 열 때 보관마개(2)는 끼움돌기(8)에 의해서 첨가제보관함(6)과 분리가 된다.
즉 자세하게 말하자면 소비자가 음료를 마시기 위해서 마개(1)를 열 때에 끼움돌기(8)가 병목(10)에 걸려서 빠지지 않고서 저항을 함으로써 상방으로 작용하는 힘이 오히려 보관마개(2)를 아래로 미는 힘으로 작용하여 첨가제보관함(6)과 분리되는 역할을 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보관함 내부에 있던 첨가제(16)가 음료수(9)와 섞이게 된다.
상기의 생산과정을 거쳐서 본 발명은 제 2의 실시 예로써 도 2에서 보는 것처럼 시중에서 시판되어지는 음료를 선택한 소비자는 생산과정에서 체결되어진 마개(1)와 병 주둥이(12)의 결합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힘을 주어서 마개(1)를 열게 되고 마개 스토퍼(11)에 안착 되어 있던 병마개 하단 봉인(17)과 마개(1)가 분리되면서 병의 수 나사산(5)과 마개의 암 나사산(4)을 타고서 상방으로 진행을 하게 된다. 동시에 첨가제(16)를 봉인하여 보관하고 있던 보관마개(2)의 끼움돌기(8)가 병목(10)에 걸려서 저항을 받음으로써 자연적으로 오링(3)에 의해서 단단하게 결합되어 있던 첨가제보관함(6)의 볼록돌기(7)와 보관마개(2)의 오목홈(14)사이의 간격이 점차 벌어지게 되고, 열리려는 힘을 받은 병마개(1)가 위쪽으로 이동하면 할수록 보관마개(2)에는 반대의 힘이 작용을 하게 되어서 첨가제보관함(6)과 점차 분리가 되고 음료병(15) 안으로 떨어지게 되어서 첨가제보관함(6)에 있던 첨가제(16)는 음료수(9) 안으로 떨어져 음료와 섞이게 되며 특히 보관마개(2)가 열리는 주요역할을 하는 끼움돌기(6)는 필요에 따라서 보관마개(2)에 오링(3)을 끼우거나 여러 개의 걸침발(26)을 형성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시킬 수도 있다. 또한 마개(1)가 상방으로 진행되면서 보관마개(2)가 열리게 되고 첨가제(16)가 음료병 안으로 떨어지게 되면 소비자는 마개(1) 돌리는 것을 멈추고 음료 혼합물을 만들기 위해서 병을 흔들게 되는데 이때 마개(1)와 병 주둥이(12)의 간격이 느슨해서 틈이 생기게 되면 음료가 누출이 될 수가 있어서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병의 주둥이(12)와 맞닿는 첨가제보관함(6)의 적당한 부위에 오링(3)을 끼워 넣을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소비자는 병을 흔들어서 자연스럽게 음료수(9) 안으로 떨어진 첨가제(16)를 같이 섞어서 균일화된 맛의 음료를 마실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음료에 첨가되는 첨가제(16)의 용량의 조절은 보관마개(2)의 길이를 원하는 만큼 길게 늘이거나, 마개(1)의 첨가제보관함(6)을 상방으로 키움으로써 내부에 첨가제(16)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더욱 크게 하여 첨가제(16) 양을 늘릴 수가 있으며, 보관마개(2)를 늘릴 경우 보관마개(2)가 음료의 내부로 들어가서 마개(1)를 열 때에 음료에 의해서 부력이 발생하여 보관마개(2)가 저항을 받으면서 풀리지 않고 겉돌 수가 있기 때문에 보관마개(2)의 필요한 부위마다 병목(10)에 굳게 지지를 할 수가 있는 오링(3)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서 보는 것처럼 생산 공정의 필요에 따라서는 첨가제보관함(6)과 보관마개(2)를 외부에서 하나의 카틸리지 식으로 조립공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제작을 한 뒤에 첨가제보관함(6)에 첨가제를 넣은 뒤 보관마개(2)로 밀봉을 하고서 마개(1)의 내부의 오목홈(14)에 첨가제보관함(6) 끝단의 볼록돌기(7)를 이용하여 카틸리지를 끼워 넣는 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는 것을 제시하였으며 암 나사산(4)과 수 나사산(5), 오링(3) 및 여러 가지 다양한 방법을 통해서도 조립이 가능하다는 것을 말하여 둔다.
특히 본 발명의 도 5에서는 첨가제보관함(6)을 필요에 따라서 한 칸, 두 칸, 또는 여러 칸으로 칸(25)을 만들어서 여러 가지의 다양한 첨가제(16)의 첨가가 가능하도록 예시를 하였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마개(1)의 윗부분을 볼록하게 만들어서 마개(1)의 내부 중심부에 중간기둥(18)을 형성하고 마개의 가장자리의 볼록한 탄성부(20)는 상하부로 어느 정도의 탄성 이동이 가능하도록 얇게 제작을 하였다. 소비자가 음료수(9)를 마실 때 보다 손쉽게 음료와 첨가제(16)가 섞이도록 하기 위하여 손으로 마개의 누름판(19)을 누르면 탄성부(20)의 움직임에 의해서 중간기둥(18)이 하방으로 이동을 하면서 첨가제보관함(6)을 봉인하고 있던 보관마개(2)에 힘을 가하여 분리시키게 되어 결과적으로 보관함 내부의 첨가제(16)가 음료와 섞이게 될 수 있도록 한 것을 예시하였다.
본 발명의 도 4의 제 4 실시 예에서는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힘을 받으면 쉽게 찢어질 수 있는 재료로 만든 얇은 봉인막(21), 봉인막파열판(22)으로 추가구성을 하여 중간기둥(18)의 끝 부위에 형성되어져 있는 오목부(24)에 봉인막파열판(22)의 볼록부(23)가 끼움결합 되도록 하였고 소비자가 누름판(19)을 누르면 도 3에서와 마찬가지의 과정을 거쳐서 첨가제보관함(6)의 둘레를 초음파 접착이나 고주파 접착 등 여러 가지 접착방법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접착되어 있는 얇은 봉인막(21)을 봉인막파열판(22)이 찢으면서 내부에 있던 첨가물(16)이 음료병 안의 음료수(9)와 섞이도록 한 것을 예시하였으며 필요에 따라서 봉인막파열판(22)이 없이 중간기둥(18) 끝부분에 봉인막파열판(22)의 끝단에 형성한 것과 같은 날을 형성하여 봉인막(21)을 찢을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6과 도 7의 예시에서 보는 것처럼 도 6에서는 걸침발(26)을 가지거나 실리콘 오링(3)으로 감싸진 위조방지마개(2)처럼 여러 가지의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 변형할 수가 있는 예를 도시 하였으며 도 7에서는 위조방지마개(2)의 끝 부위인 걸침발(26)의 다양한 형태의 모양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언급한 음료병에 첨가하는 음료수 첨가물은 식용으로 가능한 과일, 식물, 꽃, 해초류, 견과류, 각종 아미노산, 전해질, 효소, 노화방지제, 허브, 씨앗, 차, 커피, 알콜, 화학첨가물, 섬유질, 단백질, 뿌리, 열매, 주스, 잎사귀, 비타민, 미네랄, 보충제, 약물, 약, 약품, 나무, 풀, 음료 농축물등의 각종 액상이나 추출물, 분말, 고형물의 상태를 의미하며 병은 목과 주둥이를 가지는 플라스틱, 유리, 크리스탈, 금속, 파우치 팩으로 한정하지 않고 통상적으로 불침투성 재료로 만들어서 유체 및 액체를 담을 수 있는 용기를 의미하고 마개는 병의 개구부위나 꼭대기, 끝부분을 차단하고 보호하고 봉인하는 역할을 하는 마개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여기에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에 속하는 당업자들이 통상 이해하고 있는 것과 같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마개 2: 보관마개 3: 오링 4: 암 나사산 5: 수 나사산
6: 첨가제보관함 7: 볼록돌기 8: 끼움돌기 9: 음료수 10: 병목
11: 마개 스토퍼 12: 병 주둥이 13a: 첨가제보관함 오링 홈
13b: 보관마개 오링 홈 14: 오목홈 15: 병 16: 첨가제 17: 봉인
18: 중간기둥 19: 누름판 20: 탄성부 21: 봉인막 22: 봉인막파열판
23: 볼록부 24: 오목부 25: 칸 26: 걸침발

Claims (7)

  1. 마개(1)와 보관마개(2)를 별도 구성하고,
    상기 마개(1)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첨가제보관함(6)과 보관마개(2)의 연결부에는 오링(3),
    볼록돌기(7), 오목홈(14))을 대응 형성하여 상호 끼움착탈이 가능하도록 하고,
    병 주둥이(12)와 맞닿는 첨가제보관함(6)에 오링(3)을 설치하고,
    상기 보관마개(2)의 끝 부위에는 끼움돌기(6)를 형성하여 첨가제(16)를 첨가제보관함(6)에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보관함(6)은 따로 제작하여 첨가제보관함(6)에 첨가제(16)를 첨가시키고 끼움돌기(8)가 있는 보관마개(2)로 밀봉하여 닫은 뒤 마개(1)와 첨가제보관함(6)에 볼록돌기(7), 오목홈(14))을 대응 형성하여 상호 끼움착탈이 가능하도록 하여 카틸리지 식으로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3. 제 1 항에 있어서;
    보관마개(2)의 중간부위를 오링(3)으로 감싸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 마개.
  4. 제 1 항에 있어서;
    보관마개(2)에는 걸침발(2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 마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첨가제보관함(6) 내부에 한 개 이상의 칸(25)을 만들어 첨가제(16) 보관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6. 마개(1)와 보관마개(2)를 별도 구성하고,
    보관마개(2)의 연결부에는 오링(3), 볼록돌기(7), 오목홈(14))을 대응 형성하여 상호 끼움착탈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마개(1)는 중간기둥(18), 누름판(19), 탄성부(20)로 된 첨가제보관함(6)과 보관마개(2)로 구성하여 중간기둥(18)과 보관마개(2)의 연결부에는 볼록부(23), 오목부(24)를 대응 형성하여 상호 끼움착탈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보관마개(2)의 끝 부위에는 끼움돌기(6)를 형성하여 첨가제(16)를 첨가제보관함(6)에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7. 제 6 항에 있어서;
    첨가제보관함(6)은 봉인막(21)으로 밀봉하고 첨가제보관함(6)의 중간기둥(18)의 끝 부위와 봉인막파열판(22) 연결부에는 볼록돌기(7), 오목홈(14))을 대응 형성하여 상호 끼움착탈이 가능하도록 하여 첨가제(16)를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KR1020110072783A 2011-07-22 2011-07-22 첨가제 보관이 가능한 용기 마개 KR201300115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783A KR20130011553A (ko) 2011-07-22 2011-07-22 첨가제 보관이 가능한 용기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783A KR20130011553A (ko) 2011-07-22 2011-07-22 첨가제 보관이 가능한 용기 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553A true KR20130011553A (ko) 2013-01-30

Family

ID=47840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2783A KR20130011553A (ko) 2011-07-22 2011-07-22 첨가제 보관이 가능한 용기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1155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0572A (ko) 2015-03-09 2016-09-22 농업회사법인 코엔에프(유) 용기 홀더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거치 구조
RU2657225C2 (ru) * 2016-10-11 2018-06-08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Антенор" Тара для смешивания компонентов в бутылке при открытии
CN108888843A (zh) * 2018-08-10 2018-11-27 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 用于人体空腔伤口的粉末止血剂推进器
KR20220032179A (ko) * 2020-09-07 2022-03-15 주식회사 동우크리스탈 활성생물소재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살균 조성물
WO2023043206A1 (ko) * 2021-09-16 2023-03-23 이명용 마개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0572A (ko) 2015-03-09 2016-09-22 농업회사법인 코엔에프(유) 용기 홀더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거치 구조
RU2657225C2 (ru) * 2016-10-11 2018-06-08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Антенор" Тара для смешивания компонентов в бутылке при открытии
CN108888843A (zh) * 2018-08-10 2018-11-27 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 用于人体空腔伤口的粉末止血剂推进器
CN108888843B (zh) * 2018-08-10 2023-06-27 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 用于人体空腔伤口的粉末止血剂推进器
KR20220032179A (ko) * 2020-09-07 2022-03-15 주식회사 동우크리스탈 활성생물소재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살균 조성물
WO2023043206A1 (ko) * 2021-09-16 2023-03-23 이명용 마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8317037B2 (en) Safety sealed reservoir cap
EP1270435A2 (en) Closure member for a bottle
US20080116086A1 (en) Bottle cap type additive container
KR20130011553A (ko) 첨가제 보관이 가능한 용기 마개
US20220153500A1 (en) Mixing container combined with drinking container
MX2010004472A (es) Tapa de liberacion de concentrado.
KR20100131984A (ko) 저장 격실이 내장된 덮개
KR20150075818A (ko) 첨가제 수용구조를 갖는 용기마개
JP2020506124A (ja) ディスペンサを備えた飲料容器
CN101351125A (zh) 饮料系统
KR101515423B1 (ko) 첨가물 투입 병마개
US9902537B2 (en) Multipurpose bottle cap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US20090120892A1 (en) Bottle delivery system and methods thereof
KR101376289B1 (ko) 혼합음료제조키트
KR101599443B1 (ko) 티백 보관이 가능한 생수병
CN212290863U (zh) 一种蜂蜜饮料瓶
KR20090041265A (ko) 고형 및 액상물질을 분리 수용하는 용기
KR101444020B1 (ko) 버튼식 용기마개
CN203865210U (zh) 一种内置固体泡腾营养物的饮料瓶
KR101668109B1 (ko) 혼합분말 등의 첨가를 위한 캡슐이 장착된 혼합음료용기
KR200259252Y1 (ko) 음료분말 또는 티백이 내장되는 생수병 뚜껑
TWM358800U (en) Safety sealed reservoir cap
CN208683463U (zh) 一种固液分装瓶
KR101881260B1 (ko) 음료 용기용 첨가제 혼합마개
KR20090004375U (ko) 이중용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