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2094A - 정제 분리 결합용 용기캡 - Google Patents

정제 분리 결합용 용기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2094A
KR20230172094A KR1020220072495A KR20220072495A KR20230172094A KR 20230172094 A KR20230172094 A KR 20230172094A KR 1020220072495 A KR1020220072495 A KR 1020220072495A KR 20220072495 A KR20220072495 A KR 20220072495A KR 20230172094 A KR20230172094 A KR 20230172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wall
support
container
block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2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석
Original Assignee
서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석 filed Critical 서정석
Priority to KR1020220072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2094A/ko
Publication of KR20230172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209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65D25/08Partitions with provisions for removing or destroying, e.g. to facilitate mixing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16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제 분리 결합용 용기캡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액체 내용물을 저장하는 용기본체의 입구(B1)에 고체 내용물을 고액 분리 상태로 보관하고 있다가 상기 액체 내용물을 마실 때 상기 고체 내용물도 함께 복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정제 분리 결합용 용기캡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정제 분리 결합용 용기캡{Bottle cap for tablet separation}
본 발명은 정제 분리 결합용 용기캡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액체 내용물을 저장하는 용기본체의 입구(B1)에 고체 내용물을 고액 분리 상태로 보관하고 있다가 상기 액체 내용물을 마실 때 상기 고체 내용물도 함께 복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정제 분리 결합용 용기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의약품이나 비타민제, 영양제, 건강보조식품, 기능성 음료 등은, 종종 액체 또는 시럽 형태의 액상 제제와 정제나 캡슐 형태의 고형 제제를 함께 복용한다. 이 경우, 과거에는 액상 제제와 고형 제제를 따로 포장 및 유통하여 왔기 때문에 이들을 함께 복용하기 위해서는 액상 제제와 고형 제제를 각각 따로 구입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액체 내용물이 저장되어 있는 용기의 마개에다 고체 내용물을 분리된 상태로 보관하고 있다가, 사용자가 액체 내용물을 복용할 때 고체 내용물도 함께 복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고액 분리형 음료용기 마개들이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 제10-1499752호(2015년 03월 02일) 및 특허 제10- 1631438호(2016년 06월 13일)에는 액체 내용물과 과립 형태의 고체 내용물을 동시에 음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용기마개가 소개되어 있고, 특허 제10-1554665호(2015년 09월 15일)에는 기능성 입자를 보관하는 수용체를 구비한 음료용기가 소개되어 있다.
첨부 도 1은 상기 특허 제10-1554665호의 음료용기를 인용한 것으로, 음료보관부(11)와 개구부(13) 및 주둥이(15)를 포함하는 본체(10)와, 상기 주둥이(15)의 바깥둘레에 결합되는 캡(20)과, 상기 캡(20)의 하부에 배치되어 개구부(13) 속으로 결합되는 수용체(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캡(20)의 저면에는 수용체(30) 속으로 확장되는 방수벽체(21)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수용체(30)에는 리브(31)와 유출구(32)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방수벽체(21)의 하단과 수용체(30)의 바닥면에는 이들을 서로 결합시키는 체결수단(40), 즉 제1 나사산(41)과 제2 나사산(42)이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본체(10)에 캡(20)이 체결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방수벽체(21) 내부에 고체 내용물이 수납되어 있고, 방수벽체(21)의 하단은 체결수단(40)에 의해서 밀폐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본체(10)의 음료보관부(11)에 수용되어 있는 액체 내용물과 방수벽체(21)에 보관되어 있는 고체 내용물이 체결수단(40)에 의해서 서로 분리되어 있다.
상기 캡(20)을 개봉하면, 상기 체결수단(40)이 분리되면서 고체 내용물은 수용체(30) 내부에 잔류하고, 캡(20)만 분리 제거된다. 그리고, 본체(10) 내부의 액체 내용물을 마시면, 이때 수용체(30)의 유출구(32)를 통해 유입되는 액체 내용물과 함께 상기 고체 내용물도 사용자의 구강 속으로 유입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고체 내용물과 액체 내용물을 동시에 편리하게 복용할 수 있다.
특허 제10-1499752호(2015년 03월 02일) 특허 제10-1631438호(2016년 06월 13일) 특허 제10-1554665호(2015년 09월 15일)
그러나 첨부 도 1과 같은 종래의 고액분리형 마개는 본체(10)에 캡(20)을 체결할 때 체결수단(40)이 견고하게 체결되지 않으면, 보관 또는 유통과정에서 상기 체결수단(40)을 통해서 방수벽체(21) 속으로 액체 내용물이 침투해 들어올 가능성이 있다.
이처럼 액체 내용물이 방수벽체(21) 속으로 침투하면, 고체 내용물이 변질되거나 그 코팅 물질이 녹아서 수용체(30) 바닥에 들러붙을 가능성이 있고, 이렇게 되면 사용자가 액체 내용물을 복용할 때 고체 내용물이 액체 내용물과 함께 순조롭게 유입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그리고 액체 내용물의 침투를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체결수단(40)을 너무 견고하게 밀봉하면, 캡(20)을 개봉할 때 체결수단(40)이 분리되지 않아서 상기 캡(20)과 수용체(30)가 함께 분리되는 개봉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고액분리형 마개의 조립과정은, 먼저 캡(20)을 뒤집어 높은 상태에서 방수벽체(21) 내부에 고체 내용물을 투입한 다음, 조립라인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상기 캡(10) 위에 수용체(30)를 결합한다.
이와 같이 상기 캡(20)이 조립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서 방수벽체(21) 속에 투입된 고체 내용물이 밖으로 유출될 가능성이 있고, 이렇게 되면 최종 제품에서 고체 내용물이 누락되는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참고로 수용체(30) 내부에 고체 내용물을 투입한 상태에서 상기 수용체(30) 위에 캡(20)을 결합할 경우, 상기 고체 내용물이 체결수단(40)의 체결을 방해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액체 내용물의 누액이나, 마개의 개봉 불량, 또는 고체 내용물의 누락과 같은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없는 새로운 구조의 고액 분리형 용기마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기 도 1과 상관없이 독자적인 명칭과 독자적인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정제’라 함은 정제 이외에도 캡슐제, 환제, 과립제 등과 같은 고체 내용물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제 분리 결합용 용기캡은, 용기본체의 입구(B1)를 덮는 마개상판(11)과, 상기 마개상판(11)의 테두리에서 하향 절곡되어 상기 입구(B1)의 외면에 나사 결합되는 캡 둘레벽(12)과, 상기 마개상판(11)의 천장면에서 캡 둘레벽(12)과 동심원을 이루도록 하향 돌출된 제1 차단벽(13)과, 상기 제1 차단벽(13)의 하단에서 중심부를 향하여 소정의 폭과 길이로 확장된 다수개의 받침날개살(14)을 갖는 외부캡(10)과;
용기본체의 입구(B1) 내면에 밀착 결합되는 내부지지벽(21)과, 상기 내부지지벽(21)의 하단에 관통된 배액통로(22)와, 상기 내부지지벽(21)의 하단에서 중심부를 향하여 절곡된 바닥판(23)과, 상기 바닥판(23)의 중심부에서 상향 돌출된 원주형 받침돌부(24)와, 상기 받침돌부(24)의 상단 외주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돌출된 외향걸림턱(25)과, 상기 제1 차단벽(13)의 하단 테두리부가 밀착 삽입되도록 상기 바닥판(23)에 구비된 제1 기밀홈(26)을 갖는 내부캡(2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날개살(14)들은 각각 일측단부가 가요성 미세연결부(14a)에 의해서 제1 차단벽(13)의 하단에 지지되어 있어서, 외부캡(10)과 내부캡(20)을 결합하면, 상기 받침돌부(24)가 상기 받침날개살(14)의 자유단부를 밀어올려서 각 받침날개살(14)들이 중심부를 향하여 상향경사를 이루고, 이 상태에서 외부캡(10)을 분리하면 상기 외향걸림턱(25)이 받침날개살(14)들의 자유단부를 끌어내려서 각 받침날개살(14)들이 중심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를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캡(10)의 마개상판(11)에는, 캡 둘레벽(12)과 제1 차단벽(13) 사이에 상기 내부지지벽(21)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배액통로(22)를 차단하는 제2 차단벽(15)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내부캡(20)의 바닥판(23)에는 상기 제2 차단벽(15)의 하단 테두리부가 밀착 삽입되도록 구비된 제2 기밀홈(27)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제 분리 결합용 용기캡은, 하나의 용기 내에 정제나 캡슐제, 환제, 과립제 등과 같은 고체 내용물과, 드링크나 주스, 시럽 제제 등과 같은 액체 내용물을 함께 안전하게 저장하고 있다가 이들을 동시에 복용할 수 있어서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액분리형 용기마개는, 고체 내용물과 액체 내용물 사이에 2중 차단구조가 설치되어 있어서 유통 및 보관 과정에서 액체 내용물의 누액이나 마개의 개봉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없고, 나아가 내부캡과 외부캡의 조립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고액 분리형 용기마개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제 분리 결합용 용기캡의 분리사시도(A) 및 분리사시 단면도(B),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제 분리 결합용 용기캡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결합단면도(A) 및 분리단면도(B)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한 것이므로 이들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꼭 필요한 구성이라 하더라도 종래기술에 소개되어 있거나, 통상의 기술자가 공지기술로부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사항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액 분리형 용기마개는, 첨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액체 내용물이 저장된 용기본체의 입구(B1)에 결합되는 외부캡(10)과, 고체 내용물을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외부캡(10)의 내부에 결합되는 내부캡(20)의 투피스(two pieces)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용기본체는 통상적인 병 용기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입구(B1)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외부캡(10)은 마개상판(11)과, 캡 둘레벽(12), 제1 차단벽(13), 그리고 다수개의 받침날개살(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외부캡(10)은 한몸으로 사출 성형될 수 있고, 이 중에서 마개상판(11)은 용기본체의 입구(B1)를 덮는 것으로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캡 둘레벽(12)은 저면이 개방된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지며, 그 안쪽 둘레면에는 용기본체의 입구(B1)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차단벽(13)은 상기 마개상판(11)의 천장면에서 캡 둘레벽(12)과 동심원을 이루도록 하향 돌출된 원통형 구조로서, 하단부가 개방되어 있고, 용기본체의 입구(B1) 속으로 수용된다.
상기 받침날개살(14)은 제1 차단벽(13)의 하단에서 중심부를 향하여 소정의 폭으로 소정의 길이 만큼 확장된 것으로, 상기 제1 차단벽(13)에 지지된 지지단부에서 중심부 쪽 자유단부로 갈수록 차츰 얇아지는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날개살(14)들은 각각 가요성 구조를 가지며,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이도록 분리되어 있다.
상기 받침날개살(14)의 길이는 각각 제1 차단벽(13)에 대하여 1/3 내지 2/3 정도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상기 제1 차단벽(13)과 각 받침날개살(14)들은 모두 동심원 상에 배치되고, 상기 받침날개살(14)들의 중심부에는 원형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받침날개살(14)들은 각각 일측단부가 가요성 미세연결부(14a)에 의해서 제1 차단벽(13)의 하단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미세연결부(14a)는 외력에 의해서 각 받침날개살(14)의 상하간 각도 변화는 허용하지만, 원래 위치로 회복시키는 능력은 거의 없다.
다음으로, 상기 내부캡(20)은 내부지지벽(21)과, 배액통로(22), 바닥판(23),받침돌부(24), 외향걸림턱(25) 및 제1 기밀홈(26)을 갖는다. 먼저 내부지지벽(21)은 용기본체의 입구(B1) 내면에 견고하게 밀착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내부지지벽(21)의 하단에는 용기본체 내부에 저장된 액체 저장물을 배출하는 배액통로(22)가 관통되어 있다.
상기 바닥판(23)은 상기 내부지지벽(21)의 하단에서 중심부를 향하여 절곡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바닥판(23)의 중앙에는 원주형 받침돌부(24)가 상향 돌출되어 있고, 상기 받침돌부(24)의 상단 외주면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외향걸림턱(25)이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바닥판(23)에는 상기 제1 차단벽(13)의 하단 테두리부가 밀착 삽입되는 제1 기밀홈(26)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 기밀홈(26)은 내부지지벽(21)와 받침돌부(24) 사이에 배치되며, 이들은 모두 약간의 간격을 두고 동심원 상에 배치된다.
상기 외부캡(10)과 내부캡(20)을 결합하면, 도 3의 (A)와 같이 내부캡(20)의 받침돌부(24)가 외부캡(10)의 제1 차단벽(13) 속으로 진입하면서 상기 받침날개살(14)들의 자유단부를 밀어올려서 각 받침날개살(14)들이 중심부를 향하여 상향경사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외부캡(10)의 제1 차단벽(13) 하단 테두리부가 내부캡(20)의 제1 기밀홈(26)에 결합되면서 제1 차단벽(13) 내부의 공간이 기밀 상태로 밀폐된다.
이 상태에서 외부캡(10)을 분리하면 도 3의 (B)와 같이 제1 차단벽(13)의 밀착력에 의해서 내부캡(20)은 용기본체의 입구에 결합된 상태로 남아 있고, 외부캡(10)만 분리된다. 이때 내부캡(20)의 받침돌부(24)가 외부캡(10)의 제1 차단벽(13) 밑으로 빠져나오면서 걸림턱(25)이 받침날개살(14)들의 자유단부를 끌어내려서 각 받침날개살(14) 들이 중심부를 항하여 하향경사를 이루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캡(10)의 마개상판(11)에는, 캡 둘레벽(12)과 제1 차단벽(13) 사이에 제2 차단벽(15)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차단벽(15)은 제1 차단벽(13)과 동심원 상에 배치되며 외부캡(10)와 내부캡(20)을 결합했을 때 내부캡(20)의 내부지지벽(21) 내주면에 밀착되어 배액통로(22)를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내부캡(20)의 바닥판(23)에는 제2 기밀홈(27)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기밀홈(27)은 제1 기밀홈(26)과 동심원 상에 배치되며, 제2 차단벽(15)의 하단 테두리부가 밀착 삽입되어 액체 내용물의 통과를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내부캡(20)의 내부지지벽(21) 상단에는, 용기본체의 입구(B1) 외주면에 걸림 결합되는 플랜지턱(21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랜지턱(21a)은 내부지지벽(21)의 기능을 보강하여 주는 것으로, 외부캡(10)을 개봉할 때 내부캡(20)이 같이 개봉되지 않도록 내부캡(20)을 용기본체의 입구(B1)에 더욱 견고하게 결합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캡 둘레벽(12)의 하단부에는 외부캡(10)을 개봉할 때 용기본체의 입구 외주면에 걸려서 캡 둘레벽(12)으로부터 절단 및 분리되는 버진링(16)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 버진링(16)의 내주면에는 용기본체의 입구 외주면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턱(16a)이 형성되어 있어서 버진링(16)의 이탈을 저지한다.
본 발명의 정제 분리 결합용 용기캡을 조립할 때는 먼저 조립라인 위에 외부캡(10)을 뒤집어 놓은 상태에서 제1 차단벽(13) 내부에 고체 내용물, 예컨대 정제를 투입한다. 이 상태에서 외부캡(10)이 조립라인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이 있어서 받침날개살(14)이 정제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어서 상기 외부캡(10) 위에 내부캡(20)을 결합하면, 받침돌부(24)가 상기 받침날개살(14)의 자유단부를 밀어올려서 각 받침날개살(14)들이 중심부를 향하여 상향경사를 이루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제1 차단벽(13)과 제2 차단벽(15)의 하단 테두리부가 바닥판(23)의 제1 기밀홈(26)과 제2 기밀홈(27)에 밀착 삽입되면서 정제가 제1 차단벽(13) 속에 갇힌다.
이 상태에서 외부캡(10)과 내부캡(20)을 함께 뒤집어서 외부캡(10)의 캡 둘레벽(12)을 용기본체의 입구(B1) 외면에 나사 결합한다. 이러한 조립과정은 모두 자동으로 진행될 수 있다. 조립이 완료되면, 내부캡(20)의 내부지지벽(21)은 용기본체의 입구(B1) 내면에 밀착 결합되고, 외부캡(10)의 제2 차단벽(15)은 상기 내부지지벽(21)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배액통로(22)를 차단한다.
따라서 용기본체가 설사 뒤집어져도 용기본체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액체 내용물이 제1 차단벽(13)과 제2 차단벽(15)을 모두 통과하여 제1 차단벽(13) 속으로 침투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 더구나 용기본체를 바로 세우면 도 3의 (A)와 같이 받침날개살(14)과 받침돌부(24)에 의해서 정제(T)가 받침돌부(24) 위에 올라앉게 된다. 따라서 설사 제1 차단벽(13) 속으로 액체 내용물이 침투하더라도 용기본체를 바로 세워두면, 액체 내용물에 의해서 정제(T)가 젖게 될 가능성이 거의 없다.
용기본체에 저장된 액체 내용물을 마시기 위하여 외부캡(10)을 돌려서 개봉하면, 내부캡(20)은 내부지지벽(21)과 플랜지턱(21a)의 결합력에 의해서 용기본체의 입구(B1)에 남아 있고, 외부캡(10)만 분리된다. 그리고 내부지지벽(21)의 외향걸림턱(25)에 의해서 받침날개살(14)의 자유단부가 중심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를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정제(T)는 도 3의 (B)와 같이 상기 받침날개살(14)의 하향경사를 따라 받침날개살(14)의 중심부를 통과하여 내부캡(20)의 받침돌부(24) 위에 올라앉게 된다. 그리고 외부캡(10)의 제2 차단벽(15)에 의해 막혀 있던 내부캡(20)의 배액통로(22)가 개방된다.
이 상태에서 액체 내용물을 마시기 위하여 용기본체를 뒤집어 기울이면, 액체 내용물이 배액통로(22)를 통과하여 내부캡(20) 밖으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정제(T)도 액체 내용물과 함께 내부캡(20) 밖으로 배출된다. 이렇게 하여 액체 내용물과 고체 내용물을 동시에 복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캡(10)에는 버진링(16)이 설치되어 있어서 외부캡(10)의 초기 개봉여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10) 외부캡 (11) 마개상판
(12) 캡 둘레벽 (13) 제1 차단벽
(14) 받침날개살 (14a) 미세연결부
(15) 제2 차단벽 (16) 버진링
(16a) 걸림턱 (20) 내부캡
(21) 내부지지벽 (21a) 플랜지턱
(22) 배액통로 (23) 바닥판
(24) 받침돌부 (25) 외향걸림턱
(26) 제1 기밀홈 (27) 제2 기밀홈
(B1) 용기본체의 입구 (T) 알약

Claims (5)

  1. 용기본체의 입구(B1)를 덮는 마개상판(11)과, 상기 마개상판(11)의 테두리에서 하향 절곡되어 상기 입구(B1)의 외면에 나사 결합되는 캡 둘레벽(12)과, 상기 마개상판(11)의 천장면에서 캡 둘레벽(12)과 동심원을 이루도록 하향 돌출된 제1 차단벽(13)과, 상기 제1 차단벽(13)의 하단에서 중심부를 향하여 소정의 폭과 길이로 확장된 다수개의 받침날개살(14)을 갖는 외부캡(10)과;
    용기본체의 입구(B1) 내면에 밀착 결합되는 내부지지벽(21)과, 상기 내부지지벽(21)의 하단에 관통된 배액통로(22)와, 상기 내부지지벽(21)의 하단에서 중심부를 향하여 절곡된 바닥판(23)과, 상기 바닥판(23)의 중심부에서 상향 돌출된 원주형 받침돌부(24)와, 상기 받침돌부(24)의 상단 외주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돌출된 외향걸림턱(25)과, 상기 제1 차단벽(13)의 하단 테두리부가 밀착 삽입되도록 상기 바닥판(23)에 구비된 제1 기밀홈(26)을 갖는 내부캡(20); 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날개살(14)들은 각각 일측단부가 가요성 미세연결부(14a)에 의해서 제1 차단벽(13)의 하단에 지지되어 있어서, 외부캡(10)과 내부캡(20)을 결합하면, 상기 받침돌부(24)가 상기 받침날개살(14)의 자유단부를 밀어올려서 각 받침날개살(14)들이 중심부를 향하여 상향경사를 이루고, 이 상태에서 외부캡(10)을 분리하면 상기 외향걸림턱(25)이 받침날개살(14)들의 자유단부를 끌어내려서 각 받침날개살(14)들이 중심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를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분리 결합용 용기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캡(10)의 마개상판(11)에는, 캡 둘레벽(12)과 제1 차단벽(13) 사이에 상기 내부지지벽(21)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배액통로(22)를 차단하는 제2 차단벽(15)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내부캡(20)의 바닥판(23)에는 상기 제2 차단벽(15)의 하단 테두리부가 밀착 삽입되도록 구비된 제2 기밀홈(27)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분리 결합용 용기캡.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캡(10)의 받침날개살(14)들은 각각 일측단부가 가요성 미세연결부(14a)에 의해서 제1 차단벽(13)의 하단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분리 결합용 용기캡.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캡(20)의 내부지지벽(21) 상단에는, 용기본체의 입구(B1) 외주면에 걸림 결합되는 플랜지턱(21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분리 결합용 용기캡.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캡(10)의 캡 둘레벽(12) 하단부에는 용기본체의 입구(B1) 외주면에 걸림결합 되어 외부캡(10)을 개봉할 때 캡 둘레벽(12)으로부터 절단 및 분리되는 버진링(16)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분리 결합용 용기캡.
KR1020220072495A 2022-06-15 2022-06-15 정제 분리 결합용 용기캡 KR202301720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495A KR20230172094A (ko) 2022-06-15 2022-06-15 정제 분리 결합용 용기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495A KR20230172094A (ko) 2022-06-15 2022-06-15 정제 분리 결합용 용기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2094A true KR20230172094A (ko) 2023-12-22

Family

ID=89309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2495A KR20230172094A (ko) 2022-06-15 2022-06-15 정제 분리 결합용 용기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209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5241B1 (ko) * 2024-02-05 2024-03-07 황거하 생체조직 보관용 안전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752B1 (ko) 2013-08-06 2015-03-10 제이씨텍(주) 과립체와 용기내용물을 동시 음용토록 하는 용기마개
KR101554665B1 (ko) 2015-05-20 2015-10-06 (주)엠앤디글로벌 기능성 입자 보관을 위한 수용체를 구비한 음료용기
KR101631438B1 (ko) 2014-12-12 2016-06-24 제이씨텍(주) 과립체와 용기내용물을 동시 음용토록 하는 용기마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752B1 (ko) 2013-08-06 2015-03-10 제이씨텍(주) 과립체와 용기내용물을 동시 음용토록 하는 용기마개
KR101631438B1 (ko) 2014-12-12 2016-06-24 제이씨텍(주) 과립체와 용기내용물을 동시 음용토록 하는 용기마개
KR101554665B1 (ko) 2015-05-20 2015-10-06 (주)엠앤디글로벌 기능성 입자 보관을 위한 수용체를 구비한 음료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5241B1 (ko) * 2024-02-05 2024-03-07 황거하 생체조직 보관용 안전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16875A1 (en) Container for containing two different separate products and mixing them
US9919860B2 (en) Cap device and methods
CN1882481B (zh) 具有药丸分配插入物的容器
ES2328703T3 (es) Tapon para botella.
EP0634340B1 (en) Bottle for preserving in a separated condition substance to be mixed together before dispensing
FR2521528A1 (fr) Conteneur a l'epreuve des enfants
CN109661353A (zh) 显窃启封闭件、具有这种封闭件的容器及其用途
FR2612495A1 (fr) Emballage verseur de securite
KR920008337B1 (ko) 압력 개방식 뚜껑을 갖는 용기
MXPA06004751A (es) Cierre de apertura por torsion que tiene membrana frangible inclinada.
WO2009128626A2 (ko) 혼합원료 캡슐이 구비된 음료용기
US9016470B2 (en) Closing device for a container and container comprising said closing device
KR20230172094A (ko) 정제 분리 결합용 용기캡
JPH11509815A (ja) プラスチックチューブ
FR2598137A1 (fr) Dispositif de bouchon a visser inviolable et son procede d'assemblage.
US20090308868A1 (en) Flow limiter production process
EP1935796B1 (en) Container
KR100593244B1 (ko) 용기 마개
WO2013173470A1 (en) Cap device and methods
KR102355846B1 (ko) 고액 분리형 용기마개
JP2005088997A (ja) ボトルキャップ
AU2005203105A1 (en) Drinking container closure
JP7506183B2 (ja) 容器キャップ及びそれが結合された容器
KR102548724B1 (ko) 기능성 보충제가 수용된 음료용기
KR20190071394A (ko) 스크류 타입 이종물질 혼합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