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5302A - 액상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 - Google Patents

액상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5302A
KR20220135302A KR1020210040770A KR20210040770A KR20220135302A KR 20220135302 A KR20220135302 A KR 20220135302A KR 1020210040770 A KR1020210040770 A KR 1020210040770A KR 20210040770 A KR20210040770 A KR 20210040770A KR 20220135302 A KR20220135302 A KR 20220135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oupled
container
plate
inn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0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민
Original Assignee
최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민 filed Critical 최성민
Priority to KR1020210040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5302A/ko
Publication of KR20220135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53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16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25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8Materials, e.g. different materials, enclosed in separate compartments formed during filling of a singl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를 마감하는 이중캡과 관련된다. 본 발명은 실시예로, 용기 입구에 결합되고 용기 내부로 연장되는 내판을 구비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와 함께 일방으로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며 외력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는 중심부재를 구비하는 캡부, 테두리의 둘레가 상기 내판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 상기 캡부와 함께 폐쇄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속받침부 및 상기 수용공간 내에 위치하고 상기 중심부재의 이동에 따라 연동되어 이동하여 상기 속받침부의 폐쇄상태를 해제하는 해제부를 포함하는 이중캡을 제시한다.

Description

액상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Double cap capable of accommodating liquid and storage containe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용기를 마감하는 이중캡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액상의 수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와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캡은 여러 가지 용기를 마감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용기에는 고체나 액체 등이 수용될 수 있으며 캡은 이와 같이 용기에 담긴 고체나 액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막아줌과 동시에 캡을 열어 용기에 담긴 고체나 액체를 밖으로 꺼낼 수 있게 한다.
용기에 담겨지는 고체나 액체는 용기의 용도에 따라 달라지고 대표적으로는 영양제나 조미료, 드링크제 등을 들 수 있다.
최근 기업의 신제품 개발에 의해 또는 소비자들의 변화되는 욕구에 맞추어 드링크제 중 첨가재와 함께 섭취하는 제품이 만들어지고 있다. 이러한 드링크제는 캡을 제거하면 고체 형태의 첨가재가 온전한 형태로 들어 있고 소비자는 용기에 들어있는 드링크제를 마시면서 첨가재를 함께 섭취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이 가능한 캡의 하나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7-0056274호가 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은 겉의 캡을 제거하면 속의 캡에 첨가재가 담겨 있고 소비자는 용기 속의 내용물과 함께 첨가재를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의 캡은 고체 형태의 첨가재를 담는 기능에 적합한 구조를 가지는 형태로서 액체를 담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56274호 (2017.05.23)
본 발명은 지지부와 캡부 및 속받침부로 액상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만들고 캡부의 중심부재를 이동시켜 속받침부에 의한 밀폐 상태를 해제하고 수용공간을 개방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짐으로써 용기를 마감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과 동시에 수용공간에 액상을 수용 및 배출할 수 있는 이중캡을 제시한다. 또한 이러한 이중캡을 구비하는 수납용기를 제시한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용기 입구에 결합되고 용기 내부로 연장되는 내판을 구비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와 함께 일방으로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며 외력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는 중심부재를 구비하는 캡부, 테두리의 둘레가 상기 내판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 상기 캡부와 함께 폐쇄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속받침부 및 상기 수용공간 내에 위치하고 상기 중심부재의 이동에 따라 연동되어 이동하여 상기 속받침부의 폐쇄상태를 해제하는 해제부를 포함하는 이중캡을 제시한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부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 단부가 용기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단부에 속받침부의 테두리가 결합되는 내판 및 상기 내판으로부터 연장되고 용기 입구에 결합되며 상기 캡부가 결합되는 외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판에서 연장되어 상기 내판의 외측을 둘러싸며 일측 단부가 용기 입구의 외주와 결합되는 체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판과 상기 체결판은 홈이 형성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홈의 내측과 상기 캡부의 끝단에는 각각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홈에 상기 캡부의 끝단이 삽입되어 걸림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캡부는, 중심부재와, 상기 중심부재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는 외측부재 및 상기 중심부재와 상기 외측부재가 상대적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어주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중심부재와 상기 외측부재를 이어주는 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중심부재의 연결부분 및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외측부재의 연결부분은 얇은 두께로 변형이 용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속받침부는 상기 내판 단부의 개방된 면을 폐쇄하는 실링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해제부의 일측은 칼날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심부재의 이동에 의해 상기 칼날부재가 상기 실링부재를 절단하여 수용공간을 개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해제부는, 수용공간 내부에서 상기 지지부의 내판과 결합되고, 중앙에 위치하는 몸체부재, 상기 몸체부재와 상기 내판을 연결하고 상기 중심부재의 이동에 의해 연결이 끊기는 파단부재, 상기 몸체부재와 상기 내판을 연결하고 상기 파단부재가 끊길 때에도 연결 상태가 유지되어 상기 몸체부재가 접히도록 하는 접이부재 및 상기 몸체부재의 일측을 이루며 끝단이 뾰족하여 상기 실링부재를 절단하는 칼날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내용물이 투입되는 입구를 구비하고 내부에 내용물이 담기는 공간이 형성되는 용기 및 상기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를 마감하는 상술한 이중캡을 포함하는 수납용기를 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와 캡부에 의해 일방이 개방된 수용공간을 만들고 속받침부로 마감할 수 있어 이중캡 내에 액상를 수용하기 용이하다. 또한 캡부의 중심부재를 이동시켜 속받침부에 의한 밀폐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중캡 내에 액상 또는 분말을 수용하고 용기에 음료가 담긴 상태에서 속받침부에 의한 밀폐 상태가 해제될 때 액상 또는 분말이 용기 내부의 음료와 잘 섞이도록 하여 원하는 음료의 형태로 마시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중캡을 구성하는 지지부, 캡부, 속받침부의 길이와 형태를 조절하여 수용공간을 자유롭게 확보할 수 있고 대용량(15ml 이상)의 액상를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중캡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이중캡이 용기에 부착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이중캡에 채용된 캡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의 이중캡에 채용된 해제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중캡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중캡을 조립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중캡을 개봉할 때의 작동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납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100)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200)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캡(100)은, 용기를 마감하는 캡으로서, 지지부(1), 캡부(2), 속받침부(3) 및 해제부(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지지부(1)는 용기 입구에 결합되고 용기 내부로 연장되는 내판(11)을 구비한다. 캡부(2)는 이러한 지지부(1)에 결합되고 지지부(1)와 함께 일방으로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며 외력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는 중심부재(21)를 구비한다.
또한 속받침부(3)는 테두리의 둘레가 내판(11)에 결합되고 지지부(1), 캡부(2)와 함께 폐쇄된 수용공간(S)을 형성한다. 한편 해제부(4)는 수용공간(S) 내에 위치하고 중심부재(21)의 이동에 따라 연동되어 이동하여 속받침부(3)와 접촉하고 속받침부(3)의 폐쇄상태를 해제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이중캡(100)은 지지부(1), 캡부(2) 및 속받침부(3)에 의해 형성된 밀폐된 수용공간(S)에 액상을 수용하기 용이하다. 또한 캡부(2)의 중심부재(21)를 이동시켜 해제부(4)를 이동시키고 연속하여 이동된 해제부(4)가 속받침부(3)에 의한 밀폐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수용된 액상이 용기 내부의 음료와 섞일 수 있다. 따라서 간편하게 다양한 형태의 혼합음료를 즐길 수 있다.
이하 각 부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중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이중캡이 용기에 부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지지부(1)는 용기 입구에 결합되고 용기 내부로 연장되는 일측에는 속받침부(3)가 결합되는 한편 용기 외부로 연장되는 다른 일측에는 캡부(2)가 결합되고 내판(11) 및 외판(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내판(11)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 단부가 용기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이루어진다. 내판(11)의 단부에는 속받침부(3)의 테두리가 결합된다.
한편 외판(12)은 내판(11)으로부터 연장되고 캡부(2)가 결합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외판(12)은 수평면(122)과 수직면(12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수평면(122)은 용기 입구가 이루는 면과 평행하게 이루어지고 이중캡(100)이 용기에 결합되었을 때 용기 입구의 테두리에 접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중캡(100)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고 용기 입구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수직면(121)은 수평면(122)에서 상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수직면(121)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캡부(2)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수직면(121)은 외측으로 드러나 있어 사용자가 잡고 돌릴 수 있는 부분이 된다. 이때 돌리기 용이하도록 수직면(121)의 외주면은 굴곡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외판(12)은 수직면(121) 없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캡부(2)는 수평면(122)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면을 참조하면 지지부(1)에는 외판(12)에서 연장되어 내판(11)의 외측을 둘러싸며 용기 입구의 외주와 결합되는 체결판(13)이 형성된다. 체결판(13)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나사산이 형성되어 용기 입구의 외측벽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결합된다. 이에 따라 이중캡(100)이 용기에 결합된다. 체결판(13)의 단부에는 사용자가 캡부(2)를 잡고 회전시켜 용기를 개방할 때 파단되는 식별부재(14)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체결판(13)은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의 일부로서 형성될 수도 있고 이와는 다르게 캡부(2)의 일부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내판(11)은 용기 입구의 내주면과 대체로 일정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상태이지만 내판(11)의 상측 단부가 절곡되면서 용기 입구의 내주면과 밀착되도록 결합됨으로써 용기와 이중캡(100) 사이에서 액상이나 음료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캡부(2)는 지지부(1)와 결합하여 일방이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중심부재(21), 외측부재(22) 및 연결부재(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중심부재(21)는 캡부(2)의 중앙에 위치하며 외측부재(2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실시예에서 외측부재(22)는 지지부(1)에 결합되어 고정되므로 중심부재(21)만이 상하로 이동 가능한 형태를 가진다.
중심부재(21)는 연결부재(23)의 작용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 연결부재(23)는 중심부재(21)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여러 가지 형태가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재(23)가 변형이 가능한 소재 또는 두께로 이루어져 연결부재(23)가 변형되면서 중심부재(21)가 이동될 수도 있고 연결부재(23)가 슬라이드 홈(15)과 슬라이드 레일 형태로 이루어져 중심부재(21)가 슬라이딩 이동될 수도 있다.
한편 중심부재(21)의 이동은 후술하는 해제부(4)의 이동을 유발한다. 해제부(4)는 지지부(1)에 결합되어 수용공간(S) 내에 배치되는데 중심부재(21)가 이동하면서 해제부(4)를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해제부(4)가 이동하면서 속받침부(3)의 일부를 절단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속받침부(3)는 절단이 용이하도록 비닐 또는 알루미늄 호일과 같은 실링부재(31)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중심부재(21)는 원통형의 벽면을 구비하고 이 벽면의 상부에는 홀(211)이 형성된다. 원통형의 벽면을 구비한 중심부재(21)는 후술하는 해제부(4)를 충분히 가압할 수 있는 강성을 갖게 된다. 한편 상부에 홀(211)이 형성됨으로써 공기의 출입이 자유로워져 수용공간(S) 내의 액상이 아래로 흐르기 용이하며 액상 충진에도 용이하다.
이때 벽면 상부에 형성된 홀(211)은 액상 충진에 용이하도록 적정 갯수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가 형성되어 있다.
외측부재(22)는 중심부재(21)의 외곽 주위에 형성되고 지지부(1)에 결합되는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외측부재(22)는 단면이 'ㄴ'자 형태로 절곡된 형상을 가진다. 길게 연장된 외판(12)의 수직면(121) 내측에 외측부재(22)의 외주면이 밀착되어 결합됨으로써 지지부(1)와 캡부(2)가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외측부재(22)의 단부가 절곡되어 수직면(121)의 단부를 일부 또는 전부를 덮어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외측부재(22)와 수직면(121)은 강제 압입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고주파 초음파 가공에 의해 누액이 방지되는 밀폐구조를 이룰 수 있다.
연결부재(23)는 중심부재(21)가 외측부재(2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연결해 주는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연결부재(23)는 중심부재(21)와 외측부재(22)를 이어주는 판으로 이루어지고 연결부재(23)와 중심부재(21)의 연결부분 및 연결부재(23)와 외측부재(22)의 연결부분은 얇은 두께로 변형이 용이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연결부재(23)는 변형이 용이하도록 연질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심부재(21)를 누르면 연결부재(23)가 꺾이면서 중심부재(21)가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캡(100)은 캡부(2)의 상부를 덮는 보호부재(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부재(24)는 캡부(2)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중심부재(21)에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보호한다.
보호부재(24)는 외측부재(22)와 결합된다. 외측부재(22)의 상단은 중심부재(21)의 상단보다 더 높게 형성되어 있는데 보호부재(24)가 외측부재(22)의 상단에 결합됨으로써 중심부재(21)가 눌리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속받침부(3)는 내판(11) 단부의 개방된 면을 폐쇄하는 실링부재(31)로 이루어진다. 실링부재(31)는 절단이 용이한 비닐, 알루미늄 호일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해제부(4)는 지지부(1)의 내판(11)과 결합되고, 일측이 칼날부재(44)로 이루어지며, 중심부재(21)의 이동에 의해 칼날부재(44)가 실링부재(31)를 절단하여 수용공간(S)을 개방한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해제부(4)는 몸체부재(41), 파단부재(42), 접이부재(43) 및 칼날부재(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해제부(4)는 수용공간(S) 내에 위치하는데, 속받침부(3)의 상방에 속받침부(3)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사출성형에 의해 지지부(1)와 함께 제작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해제부(4)는, 중앙에 몸체부재(41)가 위치하고, 몸체부재(41)는 중앙에 통공(411)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90도의 각도를 두고 3개의 파단부재(42)가 몸체부재(41)와 내판(11)을 연결한다. 파단부재(42)는 중심부재(21)의 이동에 의해 연결이 끊기게 된다.
한편 접이부재(43)는 파단부재(42)와 90도의 각도를 두고 하나가 구비되어 몸체부재(41)와 내판(11)을 연결한다. 접이부재(43)는 파단부재(42)가 끊길 때에도 연결 상태가 유지되어 몸체부재(41)가 접히도록 한다. 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접이부재(43)는 돌출 부분과 함몰 부분이 번갈아 배치된 주름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칼날부재(44)는 몸체부재(41)의 일측에 형성되고 끝단이 뾰족하여 실링부재(31)를 절단할 수 있다. 칼날부재(44)는 몸체부재(41)의 일부를 이루게 되고, 단면으로 보았을 때 상방으로는 돌출면(441)이 형성되고 하방으로는 칼날면(442)이 형성되는 형태를 가진다.
이에 따라 중심부재(21)를 누를 때 중심부재(21)가 돌출면(441)을 가압하고 압력이 칼날면(442)에 집중되어 실링부재(31)를 용이하게 관통할 수 있으며 이후 원호 형상으로 파단 부분이 이어지면서 실링부재(31)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접이부재(43)에 의해 실링부재(31) 중 절단이 이루어지지 않는 부분이 발생하므로 실링부재(31)가 완전히 절단되어 용기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로 칼날부재(44)에 인접하여 몸체부재(41)에 원호 형상의 통공(412)이 형성되는 경우 칼날부재(44)의 이동이 쉽게 이루어져 실링부재(31)를 더 용이하게 절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이중캡(1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제2 실시예에서는 배치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 실시예의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중캡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서는, 캡부(2)와 지지부(1)의 결합에 있어서, 외판(12)과 체결판(13)은 상방으로 개방된 홈(15)을 형성하면서 연결되고, 홈(15)의 내측과 캡부(2)의 끝단에는 각각 걸림돌기(16, 221)가 형성되며, 홈(15)에 캡부(2)의 끝단이 삽입되어 걸림결합되는 형태를 채용하고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서 외판(12)은 수평면(122) 없이 수직면(121)으로 이루어지고 외판(12)의 하측 단부가 용기 입구에 안착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캡부(2)의 외측부재(22)가 외판(12)을 감싸도록 결합된다. 이에 따라 캡부(2)의 외주가 외측으로 드러나게 된다. 이때 캡부(2)의 외주는 사용자가 잡고 돌리기 용이하도록 굴곡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외측부재(22)는 내주에 결합돌기(222)가 형성되고 지지부(1)의 수직면(121)의 외주에 형성된 결합돌기(123)와 함께 맞물려 결합된다. 이에 따라 캡부(2)를 잡고 회전하면 지지부(1)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또한 체결판(13)의 단부와 외측부재(22)의 단부는 걸림돌기(16, 221)가 형성되어 걸림결함됨으로써 지지부(1)와 캡부(2)가 결합된 후 지지부(1)에서 캡부(2)가 이탈하지 않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더 견고한 결합을 위해 외측부재(22)에는 체결판(13)의 끝단부와 접촉하는 턱(223)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캡부(2)와 지지부(1)가 분리되지 않도록 강제압입 및 걸림결합으로 밀폐구조를 완성하면 별도의 고주파나 초음파 작업없이 밀폐를 완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중캡을 조립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중캡의 일반적인 조립순서는, 속받침부(3)의 실링부재(31)로 해제부(4)가 결합된 지지부(1)를 실링한 후 액상 첨가물을 담고(30ml), 캡부(2)를 위에서 결합시켜 수용공간(S)을 밀폐하는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 때 조립되는 과정에서 중심부재(21) 내부의 공기는 중심부재(21)에 형성된 홀(211)을 통해 빠져나가게 되어 중심부재(21) 내부에도 액상(L)을 충분하게 채우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캡부(2)의 결합시 액상(L)이 외부로 넘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캡부(2)를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중캡의 일반적인 조립순서는 캡부(2)와 지지부(1) 및 해제부(4)의 조립체에 액상을 투입한 후 속받침부(3)의 실링부재(31)를 캡부(2)에 결합시켜 수용공간(S)을 밀폐하는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경우 실링부재(31)를 먼저 결합시킨 후 캡부(2)를 결합하는 경우 수용공간(S) 내의 공기 배출이 다소 어려울 수 있으므로 캡부(2)를 먼저 조립한 후 액상을 투입하고 실링부재(31)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액상은 몸체부재(41)의 통공을 통해 수용공간(S)에 주입될 수 있다.
또한 입구를 구비하고 내부에 내용물이 담기는 공간이 형성되는 용기에 음료 등의 내용물을 채운 후 액상이 담겨 조립된 이중캡(100)을 용기의 입구에 결합시켜 마감하면 조립이 완료된다. 도 8에는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조립된 수납용기(200)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이중캡(100)을 개봉할 때의 작동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중캡(100)은 중심부재(21)의 이동에 따라 중심부재(21)가 칼날부재(44)의 돌출면(441)을 가압하게 되고 파단부재(42)가 끊어지면서 칼날면(442)이 실링부재(31)와 접촉하여 실링부재(31)를 절단하게 된다.
중심부재(21)는 대략 6mm 이동이 가능하고 중심부재(21)에 의해 몸체부재(41)가 완전히 접혀지면 실링부재(31)도 완전히 제거되어 액상이 용기로 안정적으로 흘러내려갈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제부(4)로 실링부재(31)를 제거할 수 있어 중심부재(21)를 적은 이동거리로 밀어도 실링부재(31)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이어서 실링부재(31)는 원호 모양으로 절단 부분이 확장되어 수용공간(S)을 개방하게 된다. 실링부재(31)에서 절단되지 않은 부분에 의해 실링부재(31)는 지지부(1)에 붙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실링부재(31)가 절단됨에 따라 틈이 형성되게 되고 이 틈을 통해 액상이 안정정으로 흘러 내려오게 되며 용기에 담긴 음료와 섞이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제2 실시예의 경우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참고로 비닐 또는 알루미늄 호일과 같은 재질로 만든 실링부재(31)는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는 경우 불규칙적으로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링부재(31)가 용이하게 파단되지 않는 경우가 있고 액상이 용기 내로 떨어지기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실링부재(31)를 커팅하기 위한 해제부(4)를 구비하고 해제부(4)가 지지부(1)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지므로 소비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 한번 에 액상을 용기에 떨어지게 할 수 있어 중심부재(21)를 여러 번 누르는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부품 수를 줄일 수 있어 조립이 용이하고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이 상태에서 캡부(2)를 잡고 돌리면 개봉된다. 캡부(2)와 지지부(1)가 완전히 제거된 후에 사용자는 액상와 음료가 섞인 혼합액을 마실 수 있다. 캡부(2)와 지지부(1)가 제거될 때 실링부재(31)는 개봉된 상태이므로 사용자는 용기 입구를 통해 혼합액을 용이하게 마시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이중캡(100)을 이용하면 이중캡(100) 내에 액상 또는 분말의 첨가재를 수용하고 용기에 담긴 음료와 섞어 마실 수 있으므로 두가지 성분이 혼합되는 기능성 음료를 편의점이나 마트에서 구입하는 형태로 손쉽게 즐길 수 있다.
또한 액상을 담기에 적합한 밀폐구조를 가지고 있고 액상이 용기로 안정적으로 흐를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물질이 닿지 않도록 위생적인 구조를 가진다.
한편 15ml에서 30ml 정도의 대용량의 액상을 담을 수 있도록 수용공간(S)을 넓히는 것도 가능하여 수용공간(S)에 담기는 액상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풍부한 맛을 낼 수 있다. 또한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혼합 음료를 만드는 용도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한편 부수적으로 대용량의 액상이 사용자에게 주는 시각적인 만족도도 높아지며 제품의 신뢰도도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액상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지지부
11 : 내판
12 : 외판 121 : 수직면 122 : 수평면 123 : 결합돌기
13 : 체결판
14 : 식별부재 15 : 홈 16 : 걸림돌기
2 : 캡부
21 : 중심부재 211 : 홀
22 : 외측부재 221 : 걸림돌기 222 : 결합돌기 223 : 턱
23 : 연결부재 24 : 보호부재
3 : 속받침부 31 : 실링부재
4 : 해제부
41 : 몸체부재 411 : 통공 412 : 통공
42 : 파단부재 43 : 접이부재
44 : 칼날부재 441 : 돌출면 442 : 칼날면
S : 수용공간 L : 액상 100 : 이중캡 200 : 수납용기

Claims (9)

  1. 용기 입구에 결합되고 용기 내부로 연장되는 내판을 구비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와 함께 일방으로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며 외력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는 중심부재를 구비하는 캡부,
    테두리의 둘레가 상기 내판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 상기 캡부와 함께 폐쇄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속받침부 및
    상기 수용공간 내에 위치하고 상기 중심부재의 이동에 따라 연동되어 이동하여 상기 속받침부의 폐쇄상태를 해제하는 해제부
    를 포함하는 이중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 단부가 용기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단부에 속받침부의 테두리가 결합되는 내판 및
    상기 내판으로부터 연장되고 용기 입구에 결합되며 상기 캡부가 결합되는 외판
    을 포함하는 이중캡.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판에서 연장되어 상기 내판의 외측을 둘러싸며 일측 단부가 용기 입구의 외주와 결합되는 체결판
    을 더 포함하는 이중캡.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판과 상기 체결판은 홈이 형성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홈의 내측과 상기 캡부의 끝단에는 각각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홈에 상기 캡부의 끝단이 삽입되어 걸림 결합되는 이중캡.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는,
    중심부재와,
    상기 중심부재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는 외측부재 및
    상기 중심부재와 상기 외측부재가 상대적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어주는 연결부재
    를 포함하는 이중캡.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중심부재와 상기 외측부재를 이어주는 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중심부재의 연결부분 및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외측부재의 연결부분은 얇은 두께로 변형이 용이하도록 이루어지는 이중캡.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받침부는 상기 내판 단부의 개방된 면을 폐쇄하는 실링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해제부의 일측은 칼날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심부재의 이동에 의해 상기 칼날부재가 상기 실링부재를 절단하여 수용공간을 개방하는 이중캡.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부는, 수용공간 내부에서 상기 지지부의 내판과 결합되고,
    중앙에 위치하는 몸체부재,
    상기 몸체부재와 상기 내판을 연결하고 상기 중심부재의 이동에 의해 연결이 끊기는 파단부재,
    상기 몸체부재와 상기 내판을 연결하고 상기 파단부재가 끊길 때에도 연결 상태가 유지되어 상기 몸체부재가 접히도록 하는 접이부재 및
    상기 몸체부재의 일측을 이루며 끝단이 뾰족하여 상기 실링부재를 절단하는 칼날부재
    를 포함하는 이중캡.
  9. 내용물이 투입되는 입구를 구비하고 내부에 내용물이 담기는 공간이 형성되는 용기 및
    상기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를 마감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이중캡
    을 포함하는 수납용기.
KR1020210040770A 2021-03-30 2021-03-30 액상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 KR202201353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770A KR20220135302A (ko) 2021-03-30 2021-03-30 액상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770A KR20220135302A (ko) 2021-03-30 2021-03-30 액상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302A true KR20220135302A (ko) 2022-10-07

Family

ID=83595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0770A KR20220135302A (ko) 2021-03-30 2021-03-30 액상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530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6274A (ko) 2015-11-13 2017-05-23 제이씨텍(주) 브이자형 위조방지스커트링을 가지는 수용부를 겸비한 투명캡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6274A (ko) 2015-11-13 2017-05-23 제이씨텍(주) 브이자형 위조방지스커트링을 가지는 수용부를 겸비한 투명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246847B2 (en) Container closure having means for introducing an additive into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CA2838459C (en) Container closure having means for introducing an additive into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US6994211B2 (en) Cap device for mixing different kinds of materials separately contained therein and in bottle
TWI478850B (zh) 原料釋出嘴
US8887905B2 (en) Plastic closure having a capsule for dispensing active ingredients
US20100012532A1 (en) Container closure having a spout and means for introducing an additive into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US20090321286A1 (en) Container closure having a lifting cap for introducing an additive into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JP2011016588A (ja) 飲料の注入方法
US20080202951A1 (en) Dispensing closure for a liquid container
US20070102394A1 (en) Closure device for a bottle
EP2688809B1 (en) Multi-compartment mixing container
US9975683B2 (en) Cap with additive chamber and associated packaging unit
KR20090110695A (ko) 혼합원료 캡슐이 구비된 음료용기
KR20220101417A (ko) 액상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
KR20130140674A (ko) 용기용 폐쇄장치 및 그 폐쇄 장치를 구비하는 용기
JP2008529919A (ja) 容器出口の蓋体構造
KR20220135302A (ko) 액상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
KR101811247B1 (ko) 이종물질의 혼합 사용이 가능한 용기 마개
KR20220169675A (ko) 액상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
KR200479110Y1 (ko) 혼합용 뚜껑조립체
KR102155234B1 (ko) 액상 또는 분말 혼합 용기
KR20220145477A (ko) 액상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
KR20220102983A (ko) 액상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
KR20240010954A (ko) 첨가재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
JP4920835B2 (ja) 飲料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