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0954A - 첨가재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 - Google Patents
첨가재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10954A KR20240010954A KR1020220088373A KR20220088373A KR20240010954A KR 20240010954 A KR20240010954 A KR 20240010954A KR 1020220088373 A KR1020220088373 A KR 1020220088373A KR 20220088373 A KR20220088373 A KR 20220088373A KR 20240010954 A KR20240010954 A KR 2024001095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cap
- coupled
- central
- wal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40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278 EU approved seasonin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510 functional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1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said element being a film or a foil
- B65D51/283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said element being a film or a foil ruptured by a sharp element, e.g. a cutter or a pierc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23—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16—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 B65D81/3222—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with additional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를 마감하는 이중캡과 관련된다. 본 발명은 실시예로, 중심부재와, 상기 중심부재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외벽이 용기의 입구의 외주에 결합되는 한편 내벽이 용기 내부로 연장되는 외측부재 및 상기 중심부재와 상기 외측부재가 상대적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어주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캡부, 상기 외측부재의 내벽 단부의 개방된 면을 폐쇄하는 실링부재와 상기 실링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벽과 함께 폐쇄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속받침부 및 상기 수용공간 내에 위치하고 상기 중심부재의 이동에 따라 연동되어 이동하여 상기 속받침부의 폐쇄상태를 해제하는 해제부를 포함하는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를 제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용기를 마감하는 이중캡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캡에 별도의 공간을 형성하여 첨가재의 수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와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캡은 여러 가지 용기를 마감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용기에는 고체나 액체 등이 수용될 수 있으며 캡은 이와 같이 용기에 담긴 고체나 액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막아줌과 동시에 캡을 열어 용기에 담긴 고체나 액체를 밖으로 꺼낼 수 있게 한다.
용기에 담겨지는 고체나 액체는 용기의 용도에 따라 달라지고 대표적으로는 영양제나 조미료, 드링크제 등을 들 수 있다.
최근 기업의 신제품 개발에 의해 또는 소비자들의 변화되는 욕구에 맞추어 음료 중 첨가재와 함께 섭취하는 제품이 만들어지고 있다. 이러한 음료는 캡을 제거하면 고체 형태의 첨가재가 온전한 형태로 들어 있고 소비자는 용기에 들어있는 음료를 마시면서 첨가재를 함께 섭취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이 가능한 캡의 하나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31438호가 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은 겉의 캡을 제거하면 속의 캡에 첨가재가 담겨 있고 소비자는 용기 속의 내용물과 함께 첨가재를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의 캡은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과 조립 과정에서 원가 상승의 요인이 되며 소비자가 제품을 개봉함에 있어서도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첨가재가 담기는 수용공간이 완벽한 밀폐 구조로 이루어져 있지 않아 오랜 기간동안 첨가재를 보존하기에는 적합하지 않고 이로 인한 첨자재의 변질, 맛의 변화, 성분 변화, 유통기한 등에 있어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캡부와 속받침부로 첨가재를 수용할 수 있는 밀폐된 수용공간을 만들고 캡부의 중심부재의 이동과 연동하여 속받침부를 이동시켜 수용공간을 개방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짐으로써 용기를 마감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과 동시에 수용공간에 첨가재를 수용 및 배출할 수 있는 이중캡을 제시한다. 또한 이러한 이중캡을 구비하는 수납용기를 제시한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중심부재와, 상기 중심부재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외벽이 용기의 입구의 외주에 결합되는 한편 내벽이 용기 내부로 연장되는 외측부재 및 상기 중심부재와 상기 외측부재가 상대적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어주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캡부, 상기 외측부재의 내벽 단부의 개방된 면을 폐쇄하는 실링부재와 상기 실링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벽과 함께 폐쇄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속받침부 및 상기 수용공간 내에 위치하고 상기 중심부재의 이동에 따라 연동되어 이동하여 상기 속받침부의 폐쇄상태를 해제하는 해제부를 포함하는 이중캡을 제시한다.
여기에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중심부재와 상기 외측부재를 이어주는 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중심부재의 연결부분 및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외측부재의 연결부분은 얇은 두께로 변형이 용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부재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 단부가 용기의 내부에 삽입되어 배치되며 상기 단부에 속받침부가 결합되는 내판,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판의 외측을 둘러싸며 일측 단부가 용기 입구의 외주와 결합되는 외판 및 용기 입구가 이루는 면과 평행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내판과 상기 외판을 연결해 주는 연결판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링부재의 테두리는 상기 고정부재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속받침부의 고정부재가 상기 외측부재의 내벽에 밀착되어 결합되며, 상기 해제부의 일측은 칼날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심부재의 이동에 의해 상기 칼날부재가 상기 실링부재를 절단하여 수용공간을 개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해제부는, 중앙에 위치하는 몸체부재, 상기 몸체부재의 외측 둘레를 따라 구비되고 상기 캡부의 내벽과 결합하는 결합부재, 상기 몸체부재와 상기 결합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중심부재의 이동에 의해 연결이 끊기는 파단부재, 상기 몸체부재와 상기 결합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파단부재가 끊길 때에도 연결 상태가 유지되어 상기 몸체부재가 접히도록 하는 접이부재 및 상기 몸체부재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끝단이 뾰족하여 상기 실링부재를 절단하는 칼날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내용물이 투입되는 입구를 구비하고 내부에 내용물이 담기는 공간이 형성되는 용기 및 상기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를 마감하는 상술한 이중캡을 포함하는 수납용기를 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캡부에 의해 일방이 개방된 수용공간을 만들고 속받침부로 마감할 수 있어 이중캡 내에 액상 또는 분말을 수용하기 용이하다. 또한 캡부의 중심부재를 이동시켜 속받침부의 결합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중캡 내에 액상 또는 분말을 수용하고 용기에 음료가 담긴 상태에서 속받침부의 결합 상태가 해제될 때 액상 또는 분말이 음료와 잘 섞이도록 하여 원하는 음료의 형태로 마시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수용공간이 완벽한 밀폐 구조를 이루어 보관시 첨가재가 용기 내의 음료와 섞이지 않는 한편 첨가재가 변질이 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고, 상품의 품질을 오랜 기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하면서 효과적인 구조로 제품을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고, 속받침부와 캡부의 길이와 형태를 조절하여 수용공간을 자유롭게 확보할 수 있으며, 소용량에서 대용량의 첨가재를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캡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캡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이중캡이 용기에 부착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이중캡에서 수용공간을 증가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이중캡에 적용된 속받침부의 제작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캡을 조립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캡을 용기에 결합시킬 때와 개봉할 때의 작동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캡을 적용한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캡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이중캡이 용기에 부착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이중캡에서 수용공간을 증가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이중캡에 적용된 속받침부의 제작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캡을 조립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캡을 용기에 결합시킬 때와 개봉할 때의 작동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캡을 적용한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첨가재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캡(100)은, 용기를 마감하는 캡으로서, 캡부(1), 속받침부(2) 및 해제부(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캡부(1)는 중심부재(11)와, 중심부재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외벽이 용기의 입구의 외주에 결합되는 한편 내벽이 용기 내부로 연장되는 외측부재(12) 및 중심부재(11)와 외측부재(12)가 상대적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어주는 연결부재(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속받침부(2)는 외측부재(12)의 내벽 단부의 개방된 면을 폐쇄하는 실링부재(21)와 실링부재(21)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22)를 포함하고 캡부(1)의 내벽과 함께 폐쇄된 수용공간(S)을 형성한다.
한편 해제부(3)는 수용공간(S) 내에 위치하고 중심부재(11)의 이동에 따라 연동되어 이동하여 속받침부(2)의 폐쇄상태를 해제한다.
이러한 이중캡(100)은 캡부(1)와 속받침부(2)에 의해 형성된 밀폐된 수용공간(S)에 첨가재를 수용하기 용이하고, 수용공간(S)을 완벽한 밀폐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캡부(1)의 중심부재(11)를 이동시켜 해제부(3)를 이동시키고 연속하여 이동된 해제부(3)가 속받침부(2)에 의한 밀폐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수용된 첨가재가 용기 내부의 음료(D)와 섞일 수 있다. 따라서 간편하게 다양한 형태의 혼합음료를 즐길 수 있다.
이하 각 부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캡을 나타내는 분해사시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중캡이 용기에 부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캡부(1)는 용기를 마감하면서 속받침부(2)가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중심부재(11), 외측부재(12) 및 연결부재(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중심부재(11)는 캡부(1)의 중앙에 위치하며 외측부재(1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외측부재(12)는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어 고정되므로 중심부재(11)만이 상하로 이동 가능한 형태를 가진다.
중심부재(11)는 연결부재(13)의 작용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 연결부재(13)는 중심부재(11)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여러 가지 형태가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재(13)가 변형이 가능한 소재 또는 두께로 이루어져 연결부재(13)가 변형되면서 중심부재(11)가 이동될 수도 있고 연결부재(13)가 슬라이드 홈(112)과 슬라이드 레일 형태로 이루어져 중심부재(11)가 슬라이딩 이동될 수도 있다.
한편 중심부재(11)의 이동은 후술하는 해제부(3)의 이동을 유발한다. 해제부(3)는 외측부재(12)의 내벽에 결합되어 수용공간(S) 내에 배치되는데 중심부재(11)가 이동하면서 해제부(3)를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해제부(3)가 이동하면서 속받침부(2)의 일부를 절단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속받침부(2)는 절단이 용이하도록 비닐 또는 알루미늄 시트와 같은 실링부재(2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측부재(12)는 중심부재(11)를 둘러싸며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는 한편 용기의 입구로 연장된 내벽에 속받침부(2)가 밀폐되도록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내판(121), 외판(122) 및 연결판(1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내판(121)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용기의 내부로 삽입되어 내벽을 이룬다. 내판(121)의 단부에는 속받침부(2)가 결합된다. 내판(121)과 속받침부(2)의 결합에 의해 밀폐된 수용공간(S)이 형성되고 이 수용공간(S) 내에 액상, 분말 등의 첨가재가 수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내판(121)은 전체 구성이 용기의 내부에 위치하고 수용공간(S)을 작게 하는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형태는 소량의 첨가재를 수용공간(S)에 담을 필요가 있을 때 제품을 소형화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내판(121)의 내주면에는 홈(124)이 형성될 수 있다. 이 홈(124)을 통해 캡부(1)와 해제부(3)는 걸림결합이 가능해 지고 캡부(1)와 해제부(3)가 견고한 결합상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내판(121)은 용기 입구의 내주면과 대체로 일정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상태이지만 내판(121)의 상측 단부가 절곡되면서 용기 입구의 내주면과 밀착되도록 결합됨으로써 용기와 이중캡 사이에서 음료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외판(122)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판(121)의 외측을 둘러싸며 외벽을 이룬다. 외판(122)은 용기 입구의 외주와 결합되어 용기를 마감하게 된다. 외판(122)의 단부에는 사용자가 캡부(1)를 잡고 회전시켜 용기를 개방할 때 파단되는 식별부재(15)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판(123)은 용기 입구가 이루는 면과 평행하게 이루어지고 내판(121)과 외판(122)을 연결해 준다. 도면을 참조하면 연결판(123)은 캡부(1)가 용기에 결합되었을 때 용기 입구의 테두리에 접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캡부(1)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고 용기 입구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재(13)는 중심부재(11)가 외측부재(1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연결해 주는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연결부재(13)는 중심부재(11)와 외측부재(12)를 이어주는 판으로 이루어지고 연결부재(13)와 중심부재(11)의 연결부분 및 연결부재(13)와 외측부재(12)의 연결부분은 얇은 두께로 변형이 용이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중심부재(11)를 누르면 연결부재(13)가 꺾이면서 중심부재(11)가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캡(100)은 캡부(1)의 상부를 덮는 보호부재(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부재(14)는 캡부(1)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중심부재(11)에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보호한다.
보호부재(14)는 외측부재(12)의 외판(122)과 결합된다. 외판(122)의 상단은 중심부재(11)의 상단의 높이와 비슷한 위치로 형성되어 있는데 보호부재(14)가 외판(122)의 상단에 결합됨으로써 중심부재(11)가 눌리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더 많은 첨가재를 수용하기 위해 내판(12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에는 캡부(1)에서 외측부재(12)의 내판(121)을 용기의 상부로 연장시킨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내판(121)이 상부로 연장됨에 따라 중심부재(11)의 길이도 이에 대응하여 연장된 형태를 가지며 수용공간(S)은 증가된다.
이 경우 캡부(1)는 전체적으로 중앙이 돌출된 형상을 가진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보호부재(14)는 이와 같이 캡부(1)의 돌출된 형상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속받침부(2)는 내판(121)의 단부의 개방된 면을 폐쇄하는 실링부재(21)와 실링부재(21)의 테두리에 결합되고 내판(121)의 단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실링부재(21)는 절단이 용이한 비닐, 알루미늄 시트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실링부재(21)의 테두리는 고정부재(22)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실링부재(21)의 테두리가 고정부재(22)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인서트 사출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고정부재(22)는 내판(121)의 외측에 밀착되어 결합되며 이러한 속받침부(2)가 내판(121)에 결합된 후 실링부재(21)의 고주파 융착을 통해 속받침부(21)가 내판(121)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공간(S)을 완전한 밀폐 상태로 할 수 있고 밀폐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다. 또한 첨가재의 변질로 인한 맛 변화와 성분 변화를 방지하고 유통기한도 늘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속받침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작 과정을 통해 제작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실링부재(21)에 해당하는 알루미늄 시트(211)는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양면코팅이 되어 롤 형태의 원단으로 길게 대량으로 제작된다(도 5a).
이와 같이 양면코팅된 알루미늄 시트(211)는 실링부재(21)로 사용하기 위한 크기로 재단을 하게 된다(도 5b). 이때 재단된 면은 코팅되지 않은 알루미늄이 드러나게 되는데 이와 같이 드러난 알루미늄은 부식방지를 위한 코팅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재단된 알루미늄 시트(211)를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하여 알루미늄 시트(211)와 사출물(221)의 결합성형 제품을 만든다(도 5c, 도 5d). 이에 따라 알루미늄 시트(211)의 재단된 면이 사출물(221)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상태가 된다. 이는 수용공간(S)에 위치하는 첨가재나 용기에 위치하는 음료(D)가 재단된 면과 접촉하는 것이 막아주어 재단된 면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고 소비자가 안전하게 음료를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해제부(3)는 지지부(1)의 내판(121)과 결합되고, 일측이 칼날부재(34)로 이루어지며, 중심부재(11)의 이동에 의해 칼날부재(34)가 실링부재(21)를 절단하여 수용공간(S)을 개방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해제부(3)는 몸체부재(31), 파단부재(32), 접이부재(33), 칼날부재(34) 및 결합부재(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해제부(3)는 수용공간(S) 내에 위치하는데, 속받침부(2)의 상방에 속받침부(2)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해제부(3)는, 중앙에 몸체부재(31)가 위치하고, 몸체부재(31)의 외측 둘레를 따라 결합부재(35)를 구비한다. 결합부재(35)는 내판(121)과 결합된다. 결합부재(35)에는 걸림돌기(35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판(121) 안쪽으로 결합부재(35)가 삽입되면서 내판(121)에 형성된 홈(124)과 걸림돌기(35)가 결합됨으로써 캡부(1)에 해제부(3)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몸체부재(31)는 중앙에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통공이 형성되면 첨가재가 액체인 경우 캡부(1)와 해제부(3)를 조립한 상태에서 통공을 통해 액체인 첨가재를 주입하기 용이하다. 한편 파단부재(32)가 몸체부재(31)와 결합부재(35)를 연결한다. 파단부재(32)는 중심부재(11)의 이동에 의해 연결이 끊기게 된다. 파단부재(32)는 개봉이 용이하도록 간격을 두고 적절한 갯수를 배치할 수 있다.
접이부재(33)는 파단부재(32)와 별도로 하나가 구비되어 몸체부재(31)와 결합부재(35)를 연결한다. 접이부재(33)는 파단부재(32)가 끊길 때에도 연결 상태가 유지되어 몸체부재(31)가 접히도록 한다. 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접이부재(33)는 돌출 부분과 함몰 부분이 번갈아 배치된 주름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칼날부재(34)는 몸체부재(31)의 외곽 둘레에 복수가 형성되고 끝단이 뾰족하게 이루어져 실링부재(21)를 절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심부재(11)를 누를 때 중심부재(11)가 몸체부재(31)를 가압하면 가압력이 복수의 칼날부재(34)의 끝단에 집중되어 실링부재(21)를 용이하게 관통할 수 있으며 이후 파단 부분이 이어지면서 실링부재(21)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접이부재(33)에 의해 실링부재(21) 중 절단이 이루어지지 않는 부분이 발생하므로 실링부재(21)가 완전히 절단되어 용기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이중캡은 구조적으로 단순하여 생산과 조립에 있어서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캡을 한번 눌러 첨가재가 용기 안으로 들어갈 수 있어 소비자가 제품을 열기에도 간편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캡을 조립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이중캡의 일반적인 조립순서는, 먼저 캡부(1)에 첨가재(A)를 넣고(도 6a), 캡부(1)와 해제부(3)를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시킨다(도 6b). 이어서 캡부(1)와 해제부(3)를 결합시킨다. 이때 결합부재(35)에 형성된 걸림돌기(351)에 의해 위치가 가이드되어 해제부(3)는 캡부(1)에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다. 다음으로 힘을 가하여 캡부(1)에 해제부(3)를 강제 조립한다. 결합부재(35)의 걸림돌기(351)가 내판(121)의 홈(124)에 결합되면서 캡부(1)와 해제부(3)는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다.
이어서 속받침부(2)를 준비한다(도 6c). 다음으로 속받침부(2)를 캡부(1)에 결합시키고 고주파를 이용하여 실링부재(21)를 내판(121)에 결합시켜 완전한 밀봉상태를 이룬다(도 6d).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이중캡에 첨가재를 담아 조립을 완료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캡을 용기에 조립할 때와 용기에서 개봉할 때의 작동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첨가재가 담겨 조립된 이중캡(100)은, 입구를 구비하고 내부에 내용물이 담기는 공간이 형성되는 용기(200)에 결합된다. 용기(200)는 음료(D) 등의 내용물을 채운 상태에서 이중캡(100)이 결합됨으로써 밀봉 처리가 완료된다(도 7a). 이와 같이 마감된 수납용기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개봉할 때는 사용자는 먼저 중심부재(11)를 누르게 된다. 중심부재(11)의 이동에 따라 중심부재(11)가 몸체부재(31)를 가압하게 되고(도 7b), 파단부재(32)가 끊어지게 된다. 파단부재(32)가 끊어진 상태에서 중심부재(11)가 더 이동하면 칼날부재(34)의 끝단이 실링부재(21)와 접촉하여 실링부재(21)를 절단하게 된다(도 7c).
중심부재(11)는 대략 6mm 이동이 가능하고 중심부재(11)에 의해 몸체부재(31)가 완전히 접혀지면 실링부재(21)도 완전히 제거되어 첨가재(A)가 용기로 안정적으로 들어갈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제부(3)로 실링부재(21)를 제거할 수 있어 중심부재(11)를 적은 이동거리로 밀어도 실링부재(21)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실링부재(21)는 절단 부분이 확장되어 수용공간(S)을 개방하게 된다. 실링부재(21)에서 절단되지 않은 부분에 의해 실링부재(21)는 캡부(1)에 붙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도 7d).
참고로 비닐 또는 알루미늄 시트와 같은 재질로 만든 실링부재(21)는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는 경우 불규칙적으로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링부재(21)가 용이하게 파단되지 않는 경우가 있고 첨가재가 용기 내로 떨어지기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실링부재(21)를 커팅하기 위한 해제부(3)를 구비하고 해제부(3)가 캡부(1)에 간단하고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지므로 소비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 한번에 첨가재를 용기에 떨어지게 할 수 있어 중심부재(11)를 여러 번 누르는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부품 수를 줄일 수 있어 조립이 용이하고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이 상태에서 캡부(1)를 잡고 돌리면 개봉된다. 캡부(1)와 해제부(3)가 완전히 제거된 후에 사용자는 첨가재와 음료(D)가 섞인 혼합액을 마실 수 있다. 캡부(1)와 해제부(3)가 제거될 때 실링부재(21)는 개봉된 상태이므로 사용자는 용기 입구를 통해 혼합액을 용이하게 마시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이중캡을 이용하면 이중캡 내에 액상 또는 분말의 첨가재를 수용하고 용기에 담긴 음료(D)와 섞어 마실 수 있으므로 두가지 성분이 혼합되는 기능성 음료(D)를 편의점이나 마트에서 구입하는 형태로 손쉽게 즐길 수 있다.
또한 첨가재를 담기에 적합한 밀폐구조를 가지고 있고 첨가재가 용기로 안정적으로 낙하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물질이 닿지 않도록 위생적인 구조를 가진다.
또한 실링부재(21)와 고정부재(22)로 속받침부를 구성하여 진공상태의 완벽한 밀폐구조를 완성할 수 있는 한편 실링부재의 재단된 면이 고정부재(22)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하여 재단된 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기본적으로 1ml에서 2ml 정도의 소용량을 담을 수 있고 8ml 중간 용량 및 12ml이상의 대용량의 첨가재를 담을 수 있도록 수용공간(S)을 넓히는 것도 가능하여 수용공간(S)에 담기는 첨가재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풍부한 맛을 낼 수 있다. 또한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혼합 음료(D)를 만드는 용도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첨가재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캡부
11 : 중심부재
12 : 외측부재 121 : 내판 122 : 외판 123 : 연결판 124 : 홈
13 : 연결부재 14 : 보호부재 15 : 식별부재
2 : 속받침부 21 : 실링부재 211:알루미늄 시트
22 : 고정부재 221:사출물
3 : 해제부
31 : 몸체부재 32 : 파단부재 33 : 접이부재
34 : 칼날부재
35 : 결합부재 351 : 걸림돌기
S : 수용공간 A : 첨가재 D : 음료 100 : 이중캡 200 : 용기
11 : 중심부재
12 : 외측부재 121 : 내판 122 : 외판 123 : 연결판 124 : 홈
13 : 연결부재 14 : 보호부재 15 : 식별부재
2 : 속받침부 21 : 실링부재 211:알루미늄 시트
22 : 고정부재 221:사출물
3 : 해제부
31 : 몸체부재 32 : 파단부재 33 : 접이부재
34 : 칼날부재
35 : 결합부재 351 : 걸림돌기
S : 수용공간 A : 첨가재 D : 음료 100 : 이중캡 200 : 용기
Claims (6)
- 중심부재와, 상기 중심부재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외벽이 용기의 입구의 외주에 결합되는 한편 내벽이 용기 내부로 연장되는 외측부재 및 상기 중심부재와 상기 외측부재가 상대적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어주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캡부,
상기 외측부재의 내벽 단부의 개방된 면을 폐쇄하는 실링부재와 상기 실링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벽과 함께 폐쇄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속받침부 및
상기 수용공간 내에 위치하고 상기 중심부재의 이동에 따라 연동되어 이동하여 상기 속받침부의 폐쇄상태를 해제하는 해제부
를 포함하는 이중캡.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중심부재와 상기 외측부재를 이어주는 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중심부재의 연결부분 및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외측부재의 연결부분은 얇은 두께로 변형이 용이하도록 이루어지는 이중캡.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부재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 단부가 용기의 내부에 삽입되어 배치되며 상기 단부에 속받침부가 결합되는 내판,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판의 외측을 둘러싸며 일측 단부가 용기 입구의 외주와 결합되는 외판 및
용기 입구가 이루는 면과 평행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내판과 상기 외판을 연결해 주는 연결판
을 포함하는 이중캡.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의 테두리는 상기 고정부재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속받침부의 고정부재가 상기 외측부재의 내벽에 밀착되어 결합되며,
상기 해제부의 일측은 칼날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심부재의 이동에 의해 상기 칼날부재가 상기 실링부재를 절단하여 수용공간을 개방하는 이중캡.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부는,
중앙에 위치하는 몸체부재,
상기 몸체부재의 외측 둘레를 따라 구비되고 상기 캡부의 내벽과 결합하는 결합부재,
상기 몸체부재와 상기 결합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중심부재의 이동에 의해 연결이 끊기는 파단부재,
상기 몸체부재와 상기 결합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파단부재가 끊길 때에도 연결 상태가 유지되어 상기 몸체부재가 접히도록 하는 접이부재 및
상기 몸체부재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끝단이 뾰족하여 상기 실링부재를 절단하는 칼날부재
를 포함하는 이중캡. - 내용물이 투입되는 입구를 구비하고 내부에 내용물이 담기는 공간이 형성되는 용기 및
상기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를 마감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이중캡
을 포함하는 수납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88373A KR20240010954A (ko) | 2022-07-18 | 2022-07-18 | 첨가재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88373A KR20240010954A (ko) | 2022-07-18 | 2022-07-18 | 첨가재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10954A true KR20240010954A (ko) | 2024-01-25 |
Family
ID=89721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88373A KR20240010954A (ko) | 2022-07-18 | 2022-07-18 | 첨가재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10954A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44482B1 (ko) | 2006-12-14 | 2014-01-15 | 제이씨텍(주) | 첨가제 첨가 가능한 위조방지 위생이중캡 |
KR101631438B1 (ko) | 2014-12-12 | 2016-06-24 | 제이씨텍(주) | 과립체와 용기내용물을 동시 음용토록 하는 용기마개 |
-
2022
- 2022-07-18 KR KR1020220088373A patent/KR2024001095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44482B1 (ko) | 2006-12-14 | 2014-01-15 | 제이씨텍(주) | 첨가제 첨가 가능한 위조방지 위생이중캡 |
KR101631438B1 (ko) | 2014-12-12 | 2016-06-24 | 제이씨텍(주) | 과립체와 용기내용물을 동시 음용토록 하는 용기마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0694483B1 (fr) | Récipient permettant le stockage d'au moins deux produits, le mélange de ces produits et la distribution du mélange ainsi obtenu | |
KR100840387B1 (ko) | 용기마개 | |
US20180362249A1 (en) | Single-use capsule for machines for the dispensing of infused beverages | |
FR2612159A1 (fr) | Emballage a recipient et bouchon verseur de securite | |
US20090321286A1 (en) | Container closure having a lifting cap for introducing an additive into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 |
CH662327A5 (fr) | Recipient de conditionnement et de distribution d'un produit liquide et d'au moins un produit additionnel separes pendant le stockage. | |
EP2013105A1 (en) | Container closure having means for introducing an additive into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 |
US20080286438A1 (en) | Container System for Successively Producing Multiple Servings of Reconstituted Liquid Product | |
KR20220101417A (ko) | 액상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 | |
KR20180108596A (ko) | 음료 캡슐 | |
US20230249894A1 (en) | Recipient to dispense or receive a product for in situ mixing | |
KR20130140674A (ko) | 용기용 폐쇄장치 및 그 폐쇄 장치를 구비하는 용기 | |
FR2886274A1 (fr) | Ameloiration de l'etancheite des emballages a recipients multiples, en particulier des doubles tubes, destines notamment aux preparations extemporanees | |
KR20020061039A (ko) | 빨대가 부착된 음료 용기 | |
KR20240010954A (ko) | 첨가재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 | |
EP0905049A1 (fr) | Conditionnement pour un produit à trois composants | |
KR20240029993A (ko) | 첨가재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 | |
KR20220145477A (ko) | 액상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 | |
KR20220135302A (ko) | 액상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 | |
KR102155234B1 (ko) | 액상 또는 분말 혼합 용기 | |
KR20220169675A (ko) | 액상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 | |
KR20220102983A (ko) | 액상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 | |
WO2009020352A1 (en) | Bottle cap | |
JP2009234611A (ja) | 蓋体付きカップ状容器および飲食品包装体 | |
FR2557078A1 (fr) | Recipient pour boiss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