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5234B1 - 액상 또는 분말 혼합 용기 - Google Patents

액상 또는 분말 혼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5234B1
KR102155234B1 KR1020190002440A KR20190002440A KR102155234B1 KR 102155234 B1 KR102155234 B1 KR 102155234B1 KR 1020190002440 A KR1020190002440 A KR 1020190002440A KR 20190002440 A KR20190002440 A KR 20190002440A KR 102155234 B1 KR102155234 B1 KR 102155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ap
liquid
space
accommoda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2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6161A (ko
Inventor
이원철
이정호
권민정
박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야쿠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야쿠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야쿠르트
Priority to KR1020190002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5234B1/ko
Publication of KR20200086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6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1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said element being a film or a foil
    • B65D51/283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said element being a film or a foil ruptured by a sharp element, e.g. a cutter or a pierc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또는 분말 혼합 용기는 일측에 형성된 제1 개구부 및 내부에 형성된 제1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하우징, 제1 개구부의 내측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는 부재로서 일측에 형성된 제2 개구부 및 내부에 형성된 제2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홀더, 및 적어도 일부가 홀더 상에 배치되는 부재로서 일측에 형성된 제3 개구부와, 내부에 형성된 제3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캡을 포함하되, 홀더는 제2 수용공간과 제1 수용공간 사이에서 액상이 이동할 수 있도록 관통홀을 포함하고, 캡은 제3 수용공간을 제3 개구부와 인접한 개방 공간부와 제3 개구부와 이격된 폐쇄 공간부로 분할하도록 제3 수용공간 상에 배치되는 분리막 및 외력에 의해 분리막을 절개하는 절개부를 포함하며, 캡은 제3 개구부 측의 측벽부가 관통홀을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관통홀을 개방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홀더에 대해 상대이동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상 또는 분말 혼합 용기{A LIQUID OR POWDER BLENDING CONTAINER}
본 발명은 액상 또는 분말 혼합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공간에 분리 저장된 서로 다른 액상 물질을 간편한 조작으로 혼합할 수 있는 액상 또는 분말 혼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시중에 판매되는 음료 용기 중에는 음료가 저장된 공간과 분리된 별도의 공간(주로 용기의 마개 부분)에 고체 또는 액체 첨가제가 보관되고, 소비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첨가제가 음료와 혼합될 수 있도록 제작된 것들을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음료 용기는 푸싱(pushing)과 같이 단순한 1회의 조작에 의해 첨가제와 음료가 혼합되는 구조로 설계되어 있어, 소비자의 실제 음용 의사와 무관하게 첨가제와 음료가 혼합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혼합된 첨가제와 음료 사이에는 물리·화학적 반응이 진행되어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제품의 맛과 신선도가 떨어지게 되며, 이에 소비자는 제품 본연의 맛을 느끼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음료와 분리 보관되는 액상 첨가제가 최초로 수용되는 공간과 임시로 수용되는 공간이 구비된 액상 또는 분말 혼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또는 분말 혼합 용기는 일측에 형성된 제1 개구부 및 내부에 형성된 제1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하우징, 제1 개구부의 내측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는 부재로서 일측에 형성된 제2 개구부 및 내부에 형성된 제2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홀더, 및 적어도 일부가 홀더 상에 배치되는 부재로서 일측에 형성된 제3 개구부와, 내부에 형성된 제3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캡을 포함하되, 홀더는 제2 수용공간과 제1 수용공간 사이에서 액상이 이동할 수 있도록 관통홀을 포함하고, 캡은 제3 수용공간을 제3 개구부와 인접한 개방 공간부와 제3 개구부와 이격된 폐쇄 공간부로 분할하도록 제3 수용공간 상에 배치되는 분리막 및 외력에 의해 분리막을 절개하는 절개부를 포함하며, 캡은 제3 개구부 측의 측벽부가 관통홀을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관통홀을 개방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홀더에 대해 상대이동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수용공간에는 제1 액상 물질이 수용되고, 제3 수용공간 상의 폐쇄 공간부에는 제2 액상 물질이 수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액상 물질은 외력에 의해 절개부가 분리막을 절개하는 경우 폐쇄 공간부에서 개방 공간부로 이동하여 제2 수용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캡이 폐쇄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제3 개구부 측의 측벽부 일단은 제2 수용공간의 하면에 의해 지지되며, 제3 개구부 측의 측벽부 일단은 제2 수용공간의 하면으로부터 이격 되도록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액상 물질은 캡이 개방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제2 수용공간에서 제1 수용공간으로 이동하여 제1 액상 물질과 혼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수용공간의 하면은 중앙부에서 둘레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개구부는 제1 수용공간의 상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된 측벽부를 구비하며, 캡은 제2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관통홀을 폐쇄하면서 하우징과 결합되는 내측벽, 및 제1 개구부의 측벽부 외측에 밀착되면서 하우징과 결합되는 외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액상 또는 분말 혼합 용기는 캡을 감싸도록 캡의 외측에 결합되되, 캡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면 일측에 형성된 제4 개구부를 포함하는 보호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로 노출된 캡 상면이 외력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 절개부는 밀봉부를 절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보호캡은 제4 개구부의 둘레를 따라 보호캡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상 또는 분말 혼합 용기는, 소비자가 캡을 푸싱(pushing) 하더라도 캡을 용기의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하지 않는 이상 액상 첨가제는 제2 수용공간에 저장되어 음료와 혼합이 일어나지 않고, 소비자가 음용 직전 캡을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하였을 때 비로소 액상 첨가제와 음료가 혼합되므로, 제품의 맛과 신선도가 유지된 음료를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또는 분말 혼합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또는 분말 혼합 용기의 단면도(도 1의 A-A')로서, 캡과 하우징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또는 분말 혼합 용기의 확대 단면도(도 2의 B 영역, 제2 액상 물질 미도시)로서, 캡과 하우징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a)는 가압부에 외력이 가해지기 이전의 캡 내부 상태 및 액상 물질의 수용 상태를, 도 4의 (b)는 가압부에 외력이 가해진 이후의 캡 내부 상태 및 액상 물질의 수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a)는 캡이 폐쇄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도 5의 (b)는 캡이 개방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액상 또는 분말 혼합 용기에 관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또는 분말 혼합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또는 분말 혼합 용기의 단면도(도 1의 A-A')로서, 캡과 하우징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또는 분말 혼합 용기의 확대 단면도(도 2의 B 영역, 제2 액상 물질 미도시)로서, 캡과 하우징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의 (a)는 가압부에 외력이 가해지기 이전의 캡 내부 상태 및 액상 물질의 수용 상태를, 도 4의 (b)는 가압부에 외력이 가해진 이후의 캡 내부 상태 및 액상 물질의 수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의 (a)는 캡이 폐쇄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도 5의 (b)는 캡이 개방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또는 분말 혼합 용기(10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또는 분말 혼합 용기(1000)는 하우징(100), 홀더(200), 그리고 캡(3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보호캡(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일측에 형성된 제1 개구부(110)와 내부에 형성된 제1 수용공간(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개구부(110)는 제1 수용공간(120)의 상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된 측벽부(111)를 구비할 수 있으며, 홀더(200) 및 캡(300)은 상기 측벽부(111)를 통해 하우징(100)과 결합할 수 있다. 제1 수용공간(120)에는 음료가 수용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제1 수용공간(120)에 수용된 음료를 제1 액상 물질(La)로 정의한다.
홀더(200)는 제1 개구부(110)의 내측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는 부재로서, 일측에 형성된 제2 개구부(210)와 내부에 형성된 제2 수용공간(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개구부(210)는 측벽부(111) 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되어 측벽부(111)의 상단에 겹쳐지도록 배치되는 걸림턱(211)을 구비할 수 있으며, 홀더(200)는 걸림턱(211)에 의해 제1 개구부(110)의 내측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수용공간(220)에는 소비자의 조작에 의해 제1 액상 물질(La)과 혼합될 액상 첨가제가 임시로 수용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액상 첨가제는 제2 액상 물질(Lb)로 정의한다.
또한, 홀더(200)는 제2 수용공간(220)과 제1 수용공간(120) 사이에서 액상 물질이 이동할 수 있도록 관통홀(230)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230)은 홀더(200)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복수의 관통홀(230)이 측면 상에 불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하나의 관통홀(230)이 측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수용공간(220)에 수용된 제2 액상 물질(Lb)이 제1 수용공간(120)으로 남김없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2 수용공간(220)의 하면(221)은 중앙부에서 둘레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캡(300)은 적어도 일부가 홀더(200) 상에 배치되는 부재로서, 일측에 형성된 제3 개구부(310), 내부에 형성된 제3 수용공간(320), 제3 수용공간 (320)을 복수의 공간으로 분할하는 분리막(330), 그리고 분리막(330)을 절개하는 절개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개구부(310)는 홀더(200)의 내측, 즉, 제2 수용공간(220)으로 삽입되는 측벽부(311)를 구비할 수 있으며, 홀더(200)에 삽입된 측벽부(311)는 홀더(200)와 협력하여 제2 수용공간(220)을 형성할 수 있다. 측벽부(311)는 제2 수용공간(220)에 삽입되는 내측벽(311a)과, 제1 개구부(110)의 측벽부(111) 외측에 밀착되는 외측벽(311b)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내측 결합부(311a)는 전술한 홀더(200)와 협력하여 제2 수용공간(220)을 형성하는 측벽부(311)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측벽부(311), 자세하게는 내측벽(311a)은 관통홀(230)을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관통홀(230)을 개방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홀더(200)에 대해 상대이동 할 수 있으며, 내측벽(311a)의 상대이동에 따른 위치는 후술하도록 한다. 제3 수용공간(320)에는 제2 액상 물질(Lb)이 수용될 수 있으며, 분리막 (330)에 의해 복수의 공간으로 분할될 수 있다.
분리막(330)은 제3 수용공간(320) 상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되어 제3 수용공간(320)을 복수의 공간으로 분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분리막 (330)은 제3 수용공간(320)을 제3 개구부(310)와 인접한 개방 공간부(321)와 제3 개구부(310)와 이격된 폐쇄 공간부(322)로 분할하도록 제3 수용공간(320)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3 수용공간(320)에 수용된 제2 액상 물질(Lb)은 폐쇄 공간부(322)에 최초로 수용되어 유통될 수 있다. 한편, 제3 수용공간(320) 상에 복수의 분리막(330)이 배치되는 경우 제3 수용공간(320)은 3 이상의 공간으로 분할될 수 있다. 또한, 분리막(330)은 후술할 절개부(340)에 의해 용이하게 절개될 수 있도록 절개선, 절개홈 등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폐쇄 공간부(322)를 형성하는 캡(300)의 측면 일부는 전술한 내측벽(311a)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내측벽(311a)과 접하는 캡(300)의 측면에는 개방 공간부(321)에 수용된 상태의 제2 액상 물질(Lb)이 용기의 흔들림 등에 의해 내측벽(311a)과 내측벽(311a)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된 캡(300)의 측면 사이 미세한 틈을 통해 누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미세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절개부(340)는 외력, 예를 들어 소비자의 가압에 의해 제3 수용공간 (320)을 분할하고 있는 분리막(330)을 절개할 수 있다. 이 때, 제2 액상 물질 (Lb)은 폐쇄 공간부(322)에서 개방 공간부(321)로 이동하여 내측벽(311a)과 홀더(200)가 협력하여 형성하고 있는 제2 수용공간(220)에 수용될 수 있다. 절개부(340)는 폐쇄 공간부(322)를 형성하는 캡(300)의 내측 상면으로부터 분리막(330)을 향해 연장 형성된 돌기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분리막(330)의 절개가 가능한 범위에서 형상 및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절개부(340)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분리막 (330)과 접하지 않을 수 있다.
보호캡(400)은 캡(300)을 보호하기 위한 구성으로, 캡(300)의 외측에 결합되어 캡(300)을 감쌀 수 있으며, 상면 일측에 제4 개구부 (4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개구부(410)를 통해 캡(300)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노출된 부분은 소비자 등에 의해 외력이 가해지는 가압부(341)로서, 절개부(340)가 형성된 캡(300)의 내측면에 대응되는 캡(300)의 외측면을 포함하는 부분일 수 있다. 가압부(341)가 외력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 절개부(340)는 밀봉부(330)를 향하여 이동하여 밀봉부(330)를 절개할 수 있다. 또한, 보호캡(400)은 제4 개구부(410)의 둘레를 따라 보호캡(4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커버부(42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커버부(420)는 소비자의 의도하지 않은 조작으로 가압부(341)가 가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또는 분말 혼합 용기(1000)의 사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또는 분말 혼합 용기(1000)는 2회의 조작을 거쳐 제1 액상 물질(La)과 제2 액상 물질(Lb)을 혼합시킬 수 있다. 액상 물질 간 혼합은 제3 수용공간(320)에 수용된 제2 액상 물질(Lb)을 제1 액상 물질(La)이 수용된 제1 수용공간(120)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 액상 물질(Lb)은 제2 수용공간(220)을 거쳐 제1 수용공간(120)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4의 (a) 및 (b)에는 제2 액상 물질(Lb)이 최초로 수용된 제3 수용공간 (320)에서 제2 수용공간(220)으로 이동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제3 수용공간 (320)에 수용된 제2 액상 물질(Lb)은 외부로 노출된 캡(300) 상면이 외력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 제2 수용공간(22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가압부 (341)가 외력에 의해 푸싱(pushing)되면 분리막(330)이 절개부(340)에 의해 절개되고, 폐쇄 공간부(322)에 분리 수용되었던 제2 액상 물질(Lb)은 개방 공간부(321)로 이동할 수 있다. 개방 공간부(321)로 이동한 제2 액상 물질(Lb)은 내측벽(311a)과 홀더(200)가 협력하여 형성된 제2 수용공간(220)에 저장될 수 있다. 제2 액상 물질(Lb)은 제1 액상 물질(La)과 혼합되기 전까지 제2 수용공간 (220)에 임시로 수용될 수 있다.
도 5의 (a) 및 (b)에는 제2 액상 물질(Lb)이 임시로 수용된 제2 수용공간 (220)에서 제1 수용공간(120)으로 이동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제2 액상 물질(Lb)은 캡(300)이 하우징(100)으로부터 분리될 때 제1 수용공간(120)으로 이동하여 제1 액상 물질(La)과 혼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제2 액상 물질(Lb)은 캡(300)의 홀더(200)에 대한 상대이동에 의해 관통홀(230)을 통해 제1 수용공간(120)으로 이동할 수 있다. 홀더(200)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홀 (230)은 캡(300)의 제3 개구부(310) 측의 측벽부(311)에 의해 폐쇄 또는 개방될 수 있으며, 캡(300)은 상기 측벽부(311)가 관통홀(230)을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관통홀(230)을 개방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홀더(200)에 대해 상대이동 할 수 있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폐쇄 위치는 제3 개구부(310) 측의 측벽부(311) 일단이 제2 수용공간(220)의 하면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측벽부(311)에 의해 관통홀(230)은 폐쇄된 상태일 수 있다. 한편, 도 5의 (b)를 참조하면, 개방 위치는 제3 개구부(310) 측의 측벽부(311) 일단이 제2 수용공간 (220)의 하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서, 관통홀(230)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상태일 수 있다. 캡(300)은 소비자의 조작에 의해 하우징(100)으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할 수 있으며, 제2 액상 물질(Lb)은 캡(300)이 개방 위치에 위치하여 관통홀(230)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경우 관통홀(230)을 통해 제2 수용공간(220)에서 제1 수용공간(120)으로 이동하여 제1 액상 물질(La)과 혼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상 또는 분말 혼합 용기(1000)는 소비자가 실제 음료를 음용하기 위해 캡(300)을 하우징 (100)으로부터 분리하는 조작에 의해 실질적으로 액상 물질 간의 혼합이 이루어지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상 또는 분말 혼합 용기(1000)는 소비자가 캡(300)을 푸싱(pushing) 하더라도 캡(300)을 용기의 하우징(100)으로부터 분리하지 않는 이상 액상 첨가제(제2 액상 물질(Lb))는 제2 수용공간(220)에 저장되어 음료(제1 액상 물질(La))와 혼합이 일어나지 않고, 소비자가 음용 직전 캡(300)을 하우징(100)으로부터 분리하였을 때 비로소 액상 첨가제와 음료가 혼합되므로, 제품의 맛과 신선도가 유지된 음료를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0: 액상 또는 분말 혼합 용기 100: 하우징
110: 제1 개구부 111: 측벽부
120: 제1 수용공간 200: 홀더
210: 제2 개구부 211: 걸림턱
220: 제2 수용공간 221: 제2 수용공간 하면
230: 관통홀 300: 캡
310: 제3 개구부 311: 측벽부
311a: 내측벽 311b: 외측벽
320: 제3 수용공간 321: 폐쇄 공간부
322: 개방 공간부 330: 분리막
340: 절개부 341: 가압부
400: 보호캡 410: 제4 개구부
420: 커버부 La: 제1 액상 물질
Lb: 제2 액상 물질

Claims (10)

  1. 일측에 형성된 제1 개구부 및 내부에 형성된 제1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1 개구부의 내측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는 부재로서 일측에 형성된 제2 개구부 및 내부에 형성된 제2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홀더;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홀더 상에 배치되는 부재로서 일측에 형성된 제3 개구부와, 내부에 형성된 제3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캡을 포함하되,
    상기 홀더는,
    상기 제2 수용공간과 상기 제1 수용공간 사이에서 액상 물질이 이동할 수 있도록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캡은,
    상기 제3 수용공간을 상기 제3 개구부와 인접한 개방 공간부와 상기 제3 개구부와 이격된 폐쇄 공간부로 분할하도록 상기 제3 수용공간 상에 배치되는 분리막 및 외력에 의해 상기 분리막을 절개하는 절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캡은,
    상기 제3 개구부 측의 측벽부가 상기 관통홀을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관통홀을 개방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상기 홀더에 대해 상대이동 할 수 있고,
    상기 제1 수용공간에는 제1 액상 물질이 수용되고,
    상기 제3 수용공간 상의 상기 폐쇄 공간부에는 제2 액상 물질이 수용되며,
    상기 제2 액상 물질은,
    외력에 의해 상기 절개부가 상기 분리막을 절개하는 경우 상기 폐쇄 공간부에서 상기 개방 공간부로 이동하여 상기 제2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액상 또는 분말 혼합 용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이 상기 폐쇄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3 개구부 측의 측벽부 일단은 상기 제2 수용공간의 하면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3 개구부 측의 측벽부 일단은 상기 제2 수용공간의 하면으로부터 이격 되도록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액상 또는 분말 혼합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액상 물질은,
    상기 캡이 상기 개방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2 수용공간에서 상기 제1 수용공간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액상 물질과 혼합되는, 액상 또는 분말 혼합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용공간의 하면은,
    중앙부에서 둘레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액상 또는 분말 혼합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부는 상기 제1 수용공간의 상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된 측벽부를 구비하며,
    상기 캡은,
    상기 제2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관통홀을 폐쇄하면서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내측벽; 및
    상기 제1 개구부의 측벽부 외측에 밀착되면서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외측벽을 포함하는, 액상 또는 분말 혼합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을 감싸도록 상기 캡의 외측에 결합되되, 상기 캡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면 일측에 형성된 제4 개구부를 포함하는 보호캡을 더 포함하는, 액상 또는 분말 혼합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외부로 노출된 상기 캡 상면이 외력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 상기 절개부는 상기 분리막을 절개하는, 액상 또는 분말 혼합 용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은,
    상기 제4 개구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보호캡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액상 또는 분말 혼합 용기.
KR1020190002440A 2019-01-08 2019-01-08 액상 또는 분말 혼합 용기 KR102155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440A KR102155234B1 (ko) 2019-01-08 2019-01-08 액상 또는 분말 혼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440A KR102155234B1 (ko) 2019-01-08 2019-01-08 액상 또는 분말 혼합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6161A KR20200086161A (ko) 2020-07-16
KR102155234B1 true KR102155234B1 (ko) 2020-09-11

Family

ID=71839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2440A KR102155234B1 (ko) 2019-01-08 2019-01-08 액상 또는 분말 혼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52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3967B1 (ko) * 2019-04-25 2021-06-14 프리시젼바이오 주식회사 액체 공급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59020A2 (en) * 2010-06-14 2011-12-22 Cj Cheiljedang Corporation Pushing cap and the bottle having the same
KR101401005B1 (ko) * 2014-01-22 2014-05-29 동아정밀공업(주) 기능성 첨가제가 내장된 식음료용 용기캡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0695A (ko) * 2008-04-18 2009-10-22 안인재 혼합원료 캡슐이 구비된 음료용기
KR20130086660A (ko) * 2012-01-26 2013-08-05 이정민 저장공간에 숙취해소용 내용물이 든 이종물질 수용장치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59020A2 (en) * 2010-06-14 2011-12-22 Cj Cheiljedang Corporation Pushing cap and the bottle having the same
KR101401005B1 (ko) * 2014-01-22 2014-05-29 동아정밀공업(주) 기능성 첨가제가 내장된 식음료용 용기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6161A (ko) 2020-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0387B1 (ko) 용기마개
EP1968866B1 (en) Cap assembly having storage chamber for secondary material with inseparable working member
US10293969B2 (en) Container for packaging a first and a second fluid
JP2002059933A (ja) 分離収納容器
DK2694396T3 (en) Sheath with addition chamber and associated packaging unit
KR102147751B1 (ko) 두 가지 내용물의 포장 및 분배 장치
KR20060057309A (ko) 첨가제 첨가용 위조방지 이중캡
KR101914598B1 (ko) 용기용 폐쇄장치 및 그 폐쇄 장치를 구비하는 용기
KR102155234B1 (ko) 액상 또는 분말 혼합 용기
KR20220101417A (ko) 액상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
KR102098908B1 (ko) 이종물질 혼합용 용기뚜껑
KR100971860B1 (ko) 화장품 용기
KR200467354Y1 (ko) 성분이 다른 분리형 재료의 혼합 사용 용기
EP2966001B1 (en) Container cover with pour spout and spoon
US20140131302A1 (en) Removable Bottle Cap Assembly with Internal Storage Compartment
KR100593244B1 (ko) 용기 마개
KR101575013B1 (ko) 원터치 누름캡과 일체형 밀봉막을 구비한 기능성 첨가제 전용 버틀캡
KR102017235B1 (ko) 스크류 타입 이종물질 혼합기
KR100840386B1 (ko) 용기마개
JP5154172B2 (ja) 二剤混合容器
KR20090007513U (ko) 커피믹스용 분할포장구조
KR20220135302A (ko) 액상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
KR20220145477A (ko) 액상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
JP4593237B2 (ja) 二種内容物混合容器
KR20220169675A (ko) 액상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