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3967B1 - 액체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액체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3967B1
KR102263967B1 KR1020190048745A KR20190048745A KR102263967B1 KR 102263967 B1 KR102263967 B1 KR 102263967B1 KR 1020190048745 A KR1020190048745 A KR 1020190048745A KR 20190048745 A KR20190048745 A KR 20190048745A KR 102263967 B1 KR102263967 B1 KR 102263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wall
buffer
protrusion
groove
buff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8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5837A (ko
Inventor
김희준
송규정
육종석
김성준
Original Assignee
프리시젼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리시젼바이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프리시젼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8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3967B1/ko
Priority to PCT/KR2020/095076 priority patent/WO2020218911A1/ko
Publication of KR20200125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5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1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 B01L2300/044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pierceable, e.g. films,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6Function or devices integrated in the closure
    • B01L2300/047Additional chamber, reservo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72Integrated piercing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32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cylindrical, tube shap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mmunological test procedures
    • G01N33/5304Reaction vessels, e.g. agglutination pl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 및 측벽을 포함하는 버퍼웰; 상기 버퍼웰 내의 파쇄부; 및 상기 파쇄부와 이격되는 버퍼용기를 포함한다. 상기 파쇄부는 메인벽 및 상기 메인벽에서 상기 버퍼용기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액체 공급 장치 {Liquid Supplying Device}
본 발명은 액체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버퍼용기 내의 버퍼액을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는 액체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체 공급 장치는 각종 용기에 수용되어 있는 액체를 공급하고자 하는 곳에 적절히 공급하는 장치이다. 액체를 공급하는 방법으로, 용기 내의 액체를 용기의 외부로 토출시켜 공급하고자 하는 곳에 공급할 수 있다. 일 예로, 용기의 일부분을 파쇄하여 액체를 용기의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액체 공급 장치는 항원 항체 반응을 위한 버퍼액을 공급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청(KR) 공개특허공보
출원번호 10-2011-0126685
공개번호 10-2013-0060560
출원인: 한국과학기술원
"다중 바이오마커 동시 면역반응검사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버퍼용기 내의 버퍼액을 버퍼웰 안으로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는 액체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베이스 및 측벽을 포함하는 버퍼웰; 상기 버퍼웰 내의 파쇄부; 및 상기 파쇄부와 이격되는 버퍼용기를 포함하되, 상기 파쇄부는 메인벽 및 상기 메인벽에서 상기 버퍼용기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액체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메인벽의 상면의 최하부의 레벨은 상기 돌출부의 상면의 최상부의 레벨보다 낮을 수 있다.
상기 메인벽의 상면의 최상부의 레벨은 상기 돌출부의 상면의 최상부의 레벨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메인벽의 상면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대하여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메인벽은 제1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홈은 상기 메인벽의 상면이 함몰되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메인벽의 상면은 서로 대칭하는 제1 상면 및 제2 상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홈은 상기 제1 상면의 최상부 및 상기 제2 상면의 최상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벽은 제2 홈 및 제3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및 제3 홈들은 상기 메인벽의 상면이 함몰되어 정의되고, 상기 제2 및 제3 홈들 사이에 상기 돌출부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메인벽의 상면은 서로 대칭하는 제1 상면 및 제2 상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및 제3 홈들은 상기 제1 상면의 최하부 및 상기 제2 상면의 최하부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공급 장치는 파쇄부가 제1 홈을 포함함으로써, 버퍼용기의 제1 분리막을 파쇄하자마자 버퍼액이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공급 장치는 파쇄부가 돌출부를 포함함으로써, 파쇄부의 유입개구를 개방시킬 수 있고, 유입개구를 통해 버퍼액이 공급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체 공급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A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c는 도 1a의 B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d는 파쇄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체 공급 장치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는 제1 홈을 통해 버퍼액을 공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b는 제1 홈과 유입개구를 통해 버퍼액을 공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장치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장치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체 공급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A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c는 도 1a의 B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d는 파쇄부의 사시도이다.
도 1a, 1b, 1c 및 1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체 공급 장치는 버퍼웰(buffer well, 100), 파쇄부(200) 및 버퍼용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버퍼웰(100)은 내부가 빈 원통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버퍼웰(100)은 베이스(110), 측벽(120) 및 내부공간(13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10)는 평면적으로 원형인 판(plate)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측벽(120)은 베이스(110)의 상면의 가장자리에서 위로 돌출할 수 있다. 베이스(110) 및 측벽(120)에 의해 내부공간(130)이 정의될 수 있다. 측벽(120)은 내부공간(130)을 평면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버퍼웰(100)은 측벽개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측벽개구(140)는 버퍼웰(100)의 측벽(120)을 관통할 수 있다. 측벽개구(140)는 버퍼웰(100)의 측의 외부 공간과 버퍼웰(100)의 내부공간(130)을 연통시킬 수 있다.
버퍼웰(100)은 제1 돌기(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기(160)는 버퍼웰(100)의 측벽(120)의 내측면(121)에서 버퍼웰(10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할 수 있다. 평면적 관점에서, 제1 돌기(160)는 버퍼웰(100)의 측벽(120)의 내측면(121)을 따라 원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버퍼웰(100)의 내부공간(130)에 파쇄부(200)가 제공될 수 있다. 평면적 관점에서, 파쇄부(200)는 버퍼웰(100)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파쇄부(200)는 메인벽(210) 및 돌출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벽(210)은 버퍼웰(100)의 베이스(110)에서 위로(즉, 제2 방향(D2)으로) 돌출할 수 있다. 제1 방향(D1)은 버퍼웰(100)의 베이스(110)의 상면과 평행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2 방향(D2)은 버퍼웰(100)의 베이스(110)의 상면에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 메인벽(210)에 의해, 메인벽(210) 내의 제1 공간(SP1)이 정의될 수 있다. 평면적 관점에서, 제1 공간(SP1)은 메인벽(21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평면적 관점에서, 메인벽(210)은 원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메인벽(210)은 제1 상면(211), 제2 상면(212), 유입개구(213), 제1 홈(214), 제2 홈(215), 제3 홈(216), 제1 유출개구(217) 및 제2 유출개구(218)를 포함할 수 있다.
평면적 관점에서, 메인벽(210)의 제1 및 제2 상면들(211, 212)은 원호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평면적 관점에서, 메인벽(210)의 제1 및 제2 상면들(211, 212)은 서로 대칭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단면적 관점에서, 메인벽(210)의 제1 및 제2 상면들(211, 212)은 버퍼웰(100)의 베이스(110)의 상면에 대하여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메인벽(210)의 제1 상면(211)의 최상부(211a)와 최하부(211b)는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고, 메인벽(210)의 제2 상면(212)의 최상부(212a)와 최하부(212b)는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유입개구(213)는 제1 공간(SP1)과 수직적으로 중첩되는 개구일 수 있다. 유입개구(213)는 제1 및 제2 상면들(211, 212)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홈들(214, 215, 216)은 메인벽(210)이 제1 및 제2 상면들(211, 212)에서 버퍼웰(100)의 베이스(110) 방향(즉, 제2 방향(D2)의 반대 방향)으로 함몰되어 정의될 수 있다. 제1 홈(214)은 제1 상면(211)의 최상부(211a) 및 제2 상면(212)의 최상부(212a)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제2 및 제3 홈들(215, 216)은 제1 상면(211)의 최하부(211b) 및 제2 상면(212)의 최하부(212b)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유출개구(217)는 메인벽(210) 및 버퍼웰(100)의 베이스(110)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제1 유출개구(217)는 제1 홈(214) 아래에 제공될 수 있다. 제2 유출개구(218)는 메인벽(210) 및 버퍼웰(100)의 베이스(110)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제2 유출개구(218)는 제2 및 제3 홈들(215, 216) 아래에 제공될 수 있다.
돌출부(220)는 메인벽(210)의 제2 및 제3 홈들(215, 216)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돌출부(220)는 메인벽(210)의 제2 유출개구(218) 위에 제공될 수 있다. 메인벽(210)은 제2 및 제3 홈들(215, 216)과 제2 유출개구(218) 사이에 제공되는 개재부(2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220)는 상기 개재부(219)에서 위로(즉, 제2 방향(D2)으로) 돌출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돌출부(220)는 메인벽(210)에서 버퍼용기(310) 방향으로 돌출할 수 있다. 단면적 관점에서, 돌출부(220)의 상면(221)은 버퍼웰(100)의 베이스(110)의 상면에 대하여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돌출부(220)의 상면(221)의 최상부(221a)는 메인벽(210)의 제1 상면(211)의 최하부(211b) 및 제2 상면(212)의 최하부(212b)보다 높은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돌출부(220)의 상면(221)의 최상부(221a)와 버퍼웰(100)의 베이스(110) 사이의 최단거리는 메인벽(210)의 제1 상면(211)의 최하부(211b)와 버퍼웰(100)의 베이스(110) 사이의 최단거리 및 제2 상면(212)의 최하부(212b)와 버퍼웰(100)의 베이스(110) 사이의 최단거리보다 클 수 있다. 돌출부(220)의 상면(221)의 최상부(221a)는 메인벽(210)의 제1 상면(211)의 최상부(211a) 및 제2 상면(212)의 최상부(212a)보다 낮은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돌출부(220)의 상면(221)의 최상부(221a)와 버퍼웰(100)의 베이스(110) 사이의 최단거리는 메인벽(210)의 제1 상면(211)의 최상부(211a)와 버퍼웰(100)의 베이스(110) 사이의 최단거리 및 제2 상면(212)의 최상부(212a)와 베이스(311) 사이의 최단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돌출부(220)는 개재부(219)에서 메인벽(210)의 내측 방향으로(즉, 제1 방향(D1)으로) 돌출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돌출부(220)는 메인벽(210)의 내측면(210a)에서 메인벽(210)의 내측 방향으로(즉, 제1 방향(D1)으로) 돌출할 수 있다.
버퍼용기(300)는 버퍼용기 본체(310), 제2 돌기(320), 제1 분리막(330) 및 제2 분리막(340)을 포함할 수 있다.
버퍼용기 본체(310)는 내부가 빈 원통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버퍼용기 본체(310)의 내부 공간은 제1 분리막(330) 및 제2 분리막(340)에 의해 외부와 분리될 수 있다. 제1 분리막(330)은 버퍼용기 본체(310)의 아래쪽 개구를 막을 수 있다. 제2 분리막(340)은 버퍼용기 본체(310)의 위쪽 개구를 막을 수 있다. 버퍼용기 본체(310)의 내부에는 버퍼액(BL)이 수용될 수 있다. 제2 돌기(320)는 버퍼용기 본체(310)의 외측벽(311)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할 수 있다. 평면적 관점에서, 제2 돌기(320)는 버퍼용기 본체(310)의 외측벽(311)을 따라 원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돌기(320)는 탄성이 상대적으로 좋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돌기(320)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버퍼용기(300)는 버퍼웰(100)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버퍼용기(300)의 제2 돌기(320)가 버퍼웰(100)의 제1 돌기(16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버퍼웰(100)의 제1 돌기(160)에 의해, 버퍼용기(300)의 제2 돌기(320)가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버퍼용기(300)가 파쇄부(20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버퍼용기(300)가 파쇄부(200)와 제2 방향(D2)으로 이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체 공급 장치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체 공급 장치의 구동방법은 버퍼용기를 가압하는 것, 제1 홈을 통해 버퍼액을 공급하는 것, 및 제1 홈과 유입개구를 통해 버퍼액을 공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버퍼용기를 가압하는 것은, 가압부재(400)로 버퍼용기(300)를 가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재(400)는 버퍼용기(300)를 가압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압부재(400)는 버퍼용기 본체(310)와 제2 분리막(340)이 연결되는 부분을 가압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가압부재(400)가 버퍼용기(300)를 가압함에 따라, 버퍼용기(300)가 하강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가압부재(400)가 버퍼용기(300)를 가압하면, 버퍼용기(300)의 제2 돌기(320)가 버퍼웰(100)의 제1 돌기(160)를 넘어, 버퍼용기(300)가 하강할 수 있다(도 1c 참조). 제2 돌기(320)는 그의 형태가 변형되면서 제1 돌기(160)를 넘을 수 있다.
버퍼용기(300)가 하강함에 따라, 파쇄부(200)와 버퍼용기(300)의 제1 분리막(330)이 접촉할 수 있고, 파쇄부(200)의 메인벽(210)의 제1 홈(214)을 통해 버퍼액(BL)이 공급될 수 있고, 파쇄부(200)의 메인벽(210)의 제1 홈(214)과 유입개구(213)를 통해 버퍼액(BL)이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도 3a는 제1 홈을 통해 버퍼액을 공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b는 제1 홈과 유입개구를 통해 버퍼액을 공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버퍼용기(300)가 하강함에 따라, 버퍼용기(300)의 제1 분리막(330)과 파쇄부(200)의 메인벽(210)의 제1 및 제2 상면들(211, 212)이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1 분리막(330)과 상기 메인벽(210)의 제1 및 제2 상면들(211, 212)이 접촉함에 따라, 제1 분리막(330)이 파쇄될 수 있다. 제1 분리막(330)이 파쇄됨에 따라, 제1 분리막(330)의 파쇄된 부분(331)이 형성될 수 있다. 버퍼용기(300)가 하강함에 따라, 제1 분리막(330)의 파쇄된 부분(331)은 커질 수 있다. 제1 분리막(330)의 파쇄된 부분(331)은 메인벽(210)의 제1 및 제2 상면들(211, 212)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버퍼용기(300)의 하강에 따라 버퍼용기(300) 내로 진입한 제1 상면(211)의 일 부분이 제1 부분(211c)으로 정의될 수 있다. 버퍼용기(300)의 하강에 따라 버퍼용기(300) 내로 진입한 제2 상면(212)의 일 부분이 제2 부분(212c)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분리막(330)의 파쇄된 부분(331)은 상기 제1 및 제2 부분들(211c, 212c)과 접할 수 있다. 제1 분리막(330)의 파쇄된 부분(331)은 상기 제1 및 제2 부분들(211c, 212c)과 평행할 수 있다. 제1 분리막(330)의 파쇄된 부분(331)은 유입개구(213)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들(211c, 212c) 사이의 일 부분을 덮을 수 있다. 유입개구(213)를 통해 버퍼액(BL)이 제1 공간(SP1)으로 공급되는 것은 제1 분리막(330)의 파쇄된 부분(331)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제1 분리막(330)이 파쇄되어, 메인벽(210)의 제1 홈(214)과 버퍼용기(300) 내부가 연결될 수 있다. 버퍼용기(300) 내의 버퍼액(BL)이 메인벽(210)의 제1 홈(214)을 통해 메인벽(210)의 제1 공간(SP1) 내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공급 장치는 메인벽(210)의 제1 및 제2 상면들(211, 212) 사이에 제1 홈(214)이 제공됨에 따라, 버퍼용기(300)의 제1 분리막(330)이 파쇄되자마자 제1 홈(214)을 통해 버퍼액(BL)이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버퍼액(BL)이 메인벽(210) 내의 제1 공간(SP1)으로 신속하게 공급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버퍼용기(300)의 하강에 따라, 버퍼용기(300)의 제1 분리막(330)과 파쇄부(200)의 돌출부(220)가 접촉할 수 있다. 돌출부(220)의 상면(221)의 최상부(221a)가 메인벽(210)의 제1 및 제2 상면들(211, 212)의 최하부들(211b, 212b)보다 높은 레벨에 위치하므로(도 1b 참조), 돌출부(220)와 접촉함에 따라, 제1 분리막(330)의 파쇄된 부분(331)은 메인벽(210)의 제1 및 제2 상면들(211, 212)과 이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돌출부(220)는 제1 분리막(330)의 파쇄된 부분(331)을 밀어 올릴 수 있다. 제1 분리막(330)의 파쇄된 부분(331)이 메인벽(210)의 제1 및 제2 상면들(211, 212)과 이격됨에 따라, 유입개구(213)가 개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유입개구(213)가 제1 분리막(330)의 파쇄된 부분(331)에 의해 덮히지 않을 수 있다. 버퍼용기(340) 내의 버퍼액(BL)이 메인벽(210)의 유입개구(213)를 통해 제1 공간(SP1) 내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공급 장치는 돌출부(220)가 제공됨에 따라, 제1 분리막(330)의 파쇄된 부분(331)에 의해 덮혀있던 유입개구(213)가 돌출부(220)와 접촉하면서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버퍼액(BL)이 메인벽(210) 내의 제1 공간(SP1)으로 신속하게 공급될 수 있다.
제1 공간(SP1) 내로 공급된 버퍼액(BL)은 제2 및 제3 홈들(315, 316, 도 1d 참조)과 제1 및 제2 유출개구(317, 318)를 통해 파쇄부(200)의 외부로 공급될 수 있다. 파쇄부(200)의 외부로 공급된 버퍼액(BL)은 버퍼웰(100)의 측벽개구(140)를 통해 버퍼웰(100) 외부로 공급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버퍼웰
200: 파쇄부
300: 버퍼용기

Claims (8)

  1. 베이스 및 측벽을 포함하는 버퍼웰;
    상기 버퍼웰 내의 파쇄부; 및
    상기 파쇄부와 이격되는 버퍼용기를 포함하되,
    상기 파쇄부는 메인벽 및 상기 메인벽에서 상기 버퍼용기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액체 공급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벽의 상면의 최하부의 레벨은 상기 돌출부의 상면의 최상부의 레벨보다 낮은 액체 공급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벽의 상면의 최상부의 레벨은 상기 돌출부의 상면의 최상부의 레벨보다 높은 액체 공급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벽의 상면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대하여 기울기를 가지는 액체 공급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벽은 제1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홈은 상기 메인벽의 상면이 함몰되어 정의되는 액체 공급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벽의 상면은 서로 대칭하는 제1 상면 및 제2 상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홈은 상기 제1 상면의 최상부 및 상기 제2 상면의 최상부 사이에 배치되는 액체 공급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벽은 제2 홈 및 제3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및 제3 홈들은 상기 메인벽의 상면이 함몰되어 정의되고,
    상기 제2 및 제3 홈들 사이에 상기 돌출부가 제공되는 액체 공급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벽의 상면은 서로 대칭하는 제1 상면 및 제2 상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및 제3 홈들은 상기 제1 상면의 최하부 및 상기 제2 상면의 최하부 사이에 제공되는 액체 공급 장치.
KR1020190048745A 2019-04-25 2019-04-25 액체 공급 장치 KR102263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745A KR102263967B1 (ko) 2019-04-25 2019-04-25 액체 공급 장치
PCT/KR2020/095076 WO2020218911A1 (ko) 2019-04-25 2020-04-24 액체 공급 장치의 구동방법 및 액체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745A KR102263967B1 (ko) 2019-04-25 2019-04-25 액체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5837A KR20200125837A (ko) 2020-11-05
KR102263967B1 true KR102263967B1 (ko) 2021-06-14

Family

ID=73249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8745A KR102263967B1 (ko) 2019-04-25 2019-04-25 액체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396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7467A1 (en) 2015-11-06 2017-05-11 Traces S.R.L. Container for collection and preservation of biopsy sample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337306B (es) 2009-02-13 2016-02-24 Adc Telecommunications Inc Sistemas de gestion de redes para uso con infornacion de capa fisica.
KR102155234B1 (ko) * 2019-01-08 2020-09-11 주식회사 한국야쿠르트 액상 또는 분말 혼합 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7467A1 (en) 2015-11-06 2017-05-11 Traces S.R.L. Container for collection and preservation of biopsy samp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5837A (ko) 2020-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401974B2 (en) Percolation block element, percolation block, and transport unit
US20080003671A1 (en) Fluid flow diverter for cell culture vessel
US9555951B2 (en) Vacuum contain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TWI690017B (zh) 基板保持裝置
JP2012533491A (ja) 真空グリッパー
KR20150003358U (ko) 이차전지 파우치 성형 장치
KR101293485B1 (ko) 화학 기계적 연마 장치용 캐리어 헤드용 리테이너 링
CN103974913A (zh) 空气扩散器
KR102227029B1 (ko) 진단 장치
KR102263967B1 (ko) 액체 공급 장치
KR102263972B1 (ko) 액체 공급 장치의 구동방법
KR102414415B1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US20040101948A1 (en) Multiwell plate
KR101438767B1 (ko) 고밀도 마이크로 액적 생성 배열 시스템 및 방법
US9795918B2 (en) Vacuum adsorption apparatus and a vacuum adsorption method of semiconductor package
KR20090123959A (ko) 배터리용 안전 밸브
KR101982245B1 (ko) 액체 자동 배출장치
EP3508435B1 (en) Dispensing container
KR102182239B1 (ko) 진단 카트리지
KR20120100308A (ko) 진동선별기용 타공플레이트 및 타공플레이트 제작방법
JPWO2021205771A5 (ko)
KR200472750Y1 (ko) 다이 이젝팅 유닛 및 다이 픽업 장치
WO2020218911A1 (ko) 액체 공급 장치의 구동방법 및 액체 공급 장치
WO2002041996A1 (en) Inlet for microfluidic devices
KR20180129687A (ko) 흡착판 일체형 실리콘 칫솔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