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1417A - 액상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 - Google Patents

액상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1417A
KR20220101417A KR1020210003402A KR20210003402A KR20220101417A KR 20220101417 A KR20220101417 A KR 20220101417A KR 1020210003402 A KR1020210003402 A KR 1020210003402A KR 20210003402 A KR20210003402 A KR 20210003402A KR 20220101417 A KR20220101417 A KR 20220101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cap
container
inner support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3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민
Original Assignee
최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민 filed Critical 최성민
Priority to KR1020210003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1417A/ko
Publication of KR20220101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14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5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6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the element being a plug or like element closing a passage between the auxiliary container and the main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23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 B65D41/3428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the tamper element being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losure by means of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62Secondary protective cap-like outer covers for closur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를 마감하는 이중캡과 관련된다. 본 발명은 실시예로 중심부재와 상기 중심부재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외벽이 용기의 입구의 외주에 결합되는 한편 내벽이 용기 내부로 연장되는 외측부재 및 상기 중심부재와 상기 외측부재가 상대적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어주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캡부 및 테두리의 둘레가 상기 캡부의 내벽에 결합되고 상기 내벽과 함께 폐쇄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속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속받침부는 상기 중심부재의 이동에 따라 연동되어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속받침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의 폐쇄상태가 해제되는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를 제시한다.

Description

액상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Double cap capable of accommodating liquid and storage containe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용기를 마감하는 이중캡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액상의 수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와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캡은 여러 가지 용기를 마감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용기에는 고체나 액체 등이 수용될 수 있으며 캡은 이와 같이 용기에 담긴 고체나 액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막아줌과 동시에 캡을 열어 용기에 담긴 고체나 액체를 밖으로 꺼낼 수 있게 한다.
용기에 담겨지는 고체나 액체는 용기의 용도에 따라 달라지고 대표적으로는 영양제나 조미료, 드링크제 등을 들 수 있다.
최근 기업의 신제품 개발에 의해 또는 소비자들의 변화되는 욕구에 맞추어 드링크제 중 첨가재와 함께 섭취하는 제품이 만들어지고 있다. 이러한 드링크제는 캡을 제거하면 고체 형태의 첨가재가 온전한 형태로 들어 있고 소비자는 용기에 들어있는 드링크제를 마시면서 첨가재를 함께 섭취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이 가능한 캡의 하나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7-0056274호가 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은 겉의 캡을 제거하면 속의 캡에 첨가재가 담겨 있고 소비자는 용기 속의 내용물과 함께 첨가재를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의 캡은 고체 형태의 첨가재를 담는 기능에 적합한 구조를 가지는 형태로서 액체를 담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56274호 (2017.05.23)
본 발명은 캡부와 속받침부로 액상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만들고 캡부의 중심부재의 이동과 연동하여 속받침부를 이동시켜 수용공간을 개방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짐으로써 용기를 마감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과 동시에 수용공간에 액상을 수용 및 배출할 수 있는 이중캡을 제시한다. 또한 이러한 이중캡을 구비하는 수납용기를 제시한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중심부재와 상기 중심부재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외벽이 용기의 입구의 외주에 결합되는 한편 내벽이 용기 내부로 연장되는 외측부재 및 상기 중심부재와 상기 외측부재가 상대적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어주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캡부 및 테두리의 둘레가 상기 캡부의 내벽에 결합되고 상기 내벽과 함께 폐쇄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속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속받침부는 상기 중심부재의 이동에 따라 연동되어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속받침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의 폐쇄상태가 해제되는 이중캡을 제시한다.
여기에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중심부재와 상기 외측부재를 이어주는 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중심부재의 연결부분 및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외측부재의 연결부분은 얇은 두께로 변형이 용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부재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 단부가 용기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단부에 속받침부의 테두리가 결합되는 내판,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판의 외측을 둘러싸며 일측 단부가 용기 입구의 외주와 결합되는 외판 및 용기 입구가 이루는 면과 평행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내판과 상기 외판을 연결해 주는 연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판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내판과 상기 외판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힘살리브 및 상기 연결판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용기 입구의 내주에 밀착되어 결합되는 누액방지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캡부의 상부를 덮고 상기 캡부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중심부재에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는 보호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속받침부는, 측벽이 상기 내벽의 단부의 내측면과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돌출면 및 상기 돌출면의 테두리에서 연장되어 상기 내벽의 단부의 외측면과 결합하는 결합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결합면은 상기 돌출면의 측벽으로부터 절곡되어 홈을 형성하면서 상기 내판의 단부의 외측면과 결합하고, 통수공이 형성되며, 상기 내벽이 상기 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면서 상기 통수공을 폐쇄하고, 상기 중심부재가 이동하면서 상기 돌출면을 가압하여 상기 속받침부가 이동하고 상기 속받침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내벽에 의한 통수공의 폐쇄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결합면과 상기 내판의 외측면에는 마주보도록 돌기가 형성되고 마주보는 돌기가 접촉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속받침부와 상기 캡부의 결합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중심부재의 이동에 의해 돌기들의 접촉 상태가 해제되면서 상기 속받침부가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속받침부는, 측벽이 상기 내판의 단부의 내측면과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돌출면 및 상기 돌출면의 상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중심부재와 결합되는 결합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결합면은 상기 돌출면의 상면에서 단차를 두고 재돌출되어 연장되는 입체 형상의 2차돌출면으로 이루어지고 외측 둘레에는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중심부재는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복수의 결합리브를 구비하여 통수로를 확보하는 한편 상기 결합리브의 단부에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2차돌출면의 돌기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면은 상기 돌출면에서 공간을 두고 연장되는 복수의 결합리브로 이루어져 통수로를 확보하는 한편 상기 결합리브의 단부에는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중심부재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리브의 단부가 삽입되고, 상기 홈의 내측 둘레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리브의 돌기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내용물이 투입되는 입구를 구비하고 내부에 내용물이 담기는 공간이 형성되는 용기 및 상기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를 마감하는 상술한 이중캡을 포함하는 수납용기를 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캡부에 의해 일방이 개방된 수용공간을 만들고 속받침부로 마감할 수 있어 이중캡 내에 액상 또는 분말을 수용하기 용이하다. 또한 캡부의 중심부재를 이동시켜 속받침부의 결합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중캡 내에 액상 또는 분말을 수용하고 용기에 음료가 담긴 상태에서 속받침부의 결합 상태가 해제될 때 액상 또는 분말이 음료와 잘 섞이도록 하여 원하는 음료의 형태로 마시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속받침부와 캡부의 길이와 형태를 조절하여 수용공간을 자유롭게 확보할 수 있고 대용량(15ml 이상)의 액상를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캡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이중캡이 용기에 부착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채용된 캡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채용된 속받침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이중캡을 개봉할 때의 작동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이중캡이 용기에 부착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채용된 캡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이중캡을 개봉할 때의 작동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이중캡이 용기에 부착된 상태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채용된 캡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채용된 속받침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이중캡을 개봉할 때의 작동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캡(100)은, 용기를 마감하는 캡으로서, 캡부(1) 및 속받침부(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캡부(1)는 중심부재(11), 외측부재(12) 및 연결부재(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중심부재(11)는 캡부(1)의 중앙에 위치하게 되고, 중심부재(11)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외측부재(12)가 형성된다. 외측부재(12)는 외벽이 용기의 입구의 외주에 결합되는 한편 내벽이 용기 내부로 연장된다. 한편 연결부재(13)는 중심부재(11)와 외측부재(12)가 상대적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어준다. 이와 같이 상대적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는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속받침부(2)는 테두리의 둘레가 캡부(1)의 내벽에 결합되고 이 내벽과 함께 폐쇄된 수용공간(S)을 형성한다.
이 상태에서 연결부재(13)에 의해 중심부재(11)가 이동하게 되면 속받침부(2)는 중심부재(11)의 이동에 따라 연동되어 이동이 가능하고 속받침부(2)의 이동에 의해 수용공간(S)의 폐쇄상태가 해제되게 된다.
이러한 이중캡(100)은 캡부(1)와 속받침부(2)에 의해 형성된 밀폐된 수용공간(S)에 액상을 수용하기 용이하다. 또한 캡부(1)의 중심부재(11)를 이동시켜 속받침부(2)의 결합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수용된 액상이 용기 내부의 음료와 섞일 수 있다. 따라서 간편하게 다양한 형태의 혼합음료를 즐길 수 있다.
이하 각 부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이중캡이 용기에 부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캡부(1)는 용기를 마감하면서 속받침부(2)가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중심부재(11), 외측부재(12) 및 연결부재(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중심부재(11)는 캡부(1)의 중앙에 위치하며 외측부재(1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실시예에서 외측부재(12)는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어 고정되므로 중심부재(11)만이 상하로 이동 가능한 형태를 가진다.
중심부재(11)는 연결부재(13)의 작용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 연결부재(13)는 중심부재(11)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여러 가지 형태가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재(13)가 변형이 가능한 소재 또는 두께로 이루어져 연결부재(13)가 변형되면서 중심부재(11)가 이동될 수도 있고 연결부재(13)가 슬라이드 홈(112)과 슬라이드 레일 형태로 이루어져 중심부재(11)가 슬라이딩 이동될 수도 있다.
한편 중심부재(11)의 이동은 속받침부(2)의 이동을 유발한다. 속받침부(2)는 캡부(1)와 결합되게 되는데 실시예의 한 형태에서 중심부재(11)는 속받침부(2)와 직접 결합하여 중심부재(11)와 속받침부(2)가 일체로 이동하는 형태를 가진다. 한편 실시예의 다른 형태에서는 중심부재(11)가 속받침부(2)와 결합되지는 않지만 중심부재(11)가 이동하면서 속받침부(2)를 가압하여 속받침부(2)가 이동하는 형태를 가진다.
외측부재(12)는 중심부재(11)를 둘러싸며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는 한편 용기의 입구로 연장된 내벽에 속받침부(2)가 밀폐되도록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내판(121), 외판(122) 및 연결판(1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내판(121)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 단부가 용기의 내부로 삽입되어 내벽을 이룬다. 내판(121)의 단부에는 속받침부(2)의 테두리가 결합된다. 내판(121)과 속받침부(2)의 결합에 의해 밀폐된 수용공간(S)이 형성되고 이 수용공간(S) 내에 액상, 분말 등의 첨가재가 수용될 수 있다.
한편 외판(122)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판(121)의 외측을 둘러싸며 외벽을 이룬다. 외판(122)의 일측 단부는 용기 입구의 외주와 결합되어 용기를 마감하게 된다. 외판(122)의 단부에는 사용자가 캡부(1)를 잡고 회전시켜 용기를 개방할 때 파단되는 식별부재(15)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판(123)은 용기 입구가 이루는 면과 평행하게 이루어지고 내판(121)과 외판(122)을 연결해 준다. 도면을 참조하면 연결판(123)은 캡부(1)가 용기에 결합되었을 때 용기 입구의 테두리에 접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캡부(1)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고 용기 입구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외측부재(12)에는 힘살리브(16)와 누액방지리브(17)가 형성될 수 있다. 힘살리브(16)는 연결판(123)의 상부에 형성되고 내판(121)과 외판(122)을 연결하여 지지한다. 힘살리브(16)는 연결판(123)과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누액방지리브(17)는 연결판(123)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용기 입구의 내주에 밀착되어 결합된다. 이에 따라 용기와 캡부(1) 사이에서 액상이나 음료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부재(13)는 중심부재(11)가 외측부재(1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연결해 주는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연결부재(13)는 중심부재(11)와 외측부재(12)를 이어주는 판으로 이루어지고 연결부재(13)와 중심부재(11)의 연결부분 및 연결부재(13)와 외측부재(12)의 연결부분은 얇은 두께로 변형이 용이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중심부재(11)를 누르면 연결부재(13)가 꺾이면서 중심부재(11)가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캡(100)은 캡부(1)의 상부를 덮는 보호부재(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부재(14)는 캡부(1)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중심부재(11)에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는 보호한다.
보호부재(14)는 외측부재(12)의 외판(122)과 결합된다. 외판(122)의 상단은 중심부재(11)의 상단보다 더 높게 형성되어 있는데 보호부재(14)가 외판(122)의 상단에 결합됨으로써 중심부재(11)가 눌리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채용된 캡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채용된 속받침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캡부(1)의 중심부재(11)가 속받침부(2)와 결합되지는 않지만 중심부재(11)가 이동하면서 속받침부(2)를 가압하여 속받침부(2)가 이동하는 형태를 가진다.
이때 중심부재(11)는 삼각형 형상의 리브가 복수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져 리브의 단부에 힘이 집중되도록 한다. 또한 액상이 담기는 수용공간(S)을 적게 차지하며 수용공간(S) 내에서 액상의 이동이 용이하게 한다.
한편 속받침부(2)는 외측부재(12)의 내판(121)과 결합되고 내판(121)을 따라 이동하는 구성을 가지며, 돌출면(21), 결합면(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면을 참조하면 돌출면(21)의 측벽은 내판(121)의 단부의 내측면과 밀착되도록 결합되고 결합면(22)이 돌출면(21)의 테두리에서 연장되어 내판(121)의 단부의 외측면과 결합하게 된다. 돌출면(21)의 상면은 액상이 용이하게 흐를 수 있도록 중심이 높고 주변이 낮은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중심부재(11)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속받침부(2)를 가압하면 속받침부(2)의 결합면(22)이 내판(121) 단부의 외측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캡부(1)와 속받침부(2)의 결합이 해제되게 된다.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결합면(22)은 돌출면(21)의 측벽으로부터 절곡되어 홈을 형성하면서 내판(121)의 단부의 외측면과 결합하고, 통수공(221)이 형성된다. 내판(121)은 이와 같이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면서 통수공(221)을 폐쇄하여 밀폐된 수용공간(S)을 형성한다.
이 상태에서 중심부재(11)가 이동하면 돌출면(21)을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속받침부(2)가 이동하게 된다. 속받침부(2)의 이동에 의해 내판(121)에 의한 통수공(221)의 폐쇄상태가 해제된다.
결합면(22)과 내판(121)의 외측면에는 마주보도록 돌기(124, 222)가 형성되고 마주보는 돌기(124, 222)가 접촉 상태에 있을 때 속받침부(2)와 캡부(1)의 결합 상태가 유지되며 중심부재(11)의 이동에 의해 돌기(124, 222)들의 접촉 상태가 해제되면서 속받침부(2)가 이동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결합면(22)에는 위아래로 간격을 두고 돌기(222)가 각각 하나씩 2개가 형성이 되고 내판(121)의 외측면에는 아래에 하나의 돌기(124)가 형성이 된다. 밀폐 상태에서 결합면(22)의 아래쪽 돌기와 내판(121)의 외측면의 돌기는 서로 접촉하여 맞물려 밀폐 상태를 유지한다. 속받침부(2)가 가압되면 이들의 접촉이 해제되면서 속받침부(2)가 이동한다. 이후 결합면(22)의 위쪽 돌기와 내판(121)의 외측면의 돌기가 만나면서 속받침부(2)의 이동이 종료된다.
이와 같이 돌기(124, 222)를 이용하여 속받침부(2)의 고정, 이동, 이동의 종료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결합면(22)과 내판(121)의 외측면은 홈과 홈에 삽입되는 레일을 이용하여 슬라이딩 결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중캡(100)의 작동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이중캡을 개봉할 때의 작동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먼저 사용자는 용기를 개봉하기 위해 보호부재(14)를 제거한다. 이어서 중심부재(11)를 누른다. 중심부재(11)가 눌리면 연결부재(13)의 양 단부가 꺾이면서 변형된다. 이에 따라 중심부재(11)는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이동된 중심부재(11)는 일단이 속받침부(2)의 상면을 가압하여 속받침부(2)가 내려가게 된다. 속받침부(2)는 결합면(22)의 위쪽 돌기(222)에 의해 캡부(1)에서 완전히 이탈되기 않고 걸려 있게 된다.
이때 속받침부(2)의 통수로를 통해 액상이 안정정으로 흘러 내려오게 되며 용기에 담긴 음료와 섞이게 된다. 용기에 액상이 모두 투입된 후에 사용자가 용기를 흔드는 경우에도 누액방지리브(17)가 용기의 내벽과 밀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외부로 내용물이 누액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중캡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 실시예와 제3 실시예에서 속받침부(2)는, 측벽이 내판(121)의 단부의 내측면과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돌출면(21)과 돌출면(21)의 상면에서 연장되어 중심부재(11)와 결합되는 결합면(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중심부재(11)는 속받침부(2)와 직접 결합하여 중심부재(11)와 속받침부(2)가 일체로 이동하는 형태를 가진다.
제2 실시예와 제3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는 배치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 실시예의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중캡(1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이중캡이 용기에 부착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채용된 캡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2 실시예에서는 속받침부(2)가 단차를 가지고 이중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는 한편 중심부재(11)에 형성된 결합리브(111)와 외측부재(12)의 내판(121)이 속받침부(2)와 각각 결합되는 형태를 가진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서 속받침부(2)의 결합면(22)은 돌출면(21)의 상면에서 단차를 두고 재돌출되어 연장되는 입체 형상의 2차돌출면(223)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2차돌출면(223)의 외측 둘레에는 돌기(224)가 형성된다.
돌출면(21)은 상면은 액상이 용이하게 흐를 수 있도록 안쪽이 높고 둘레가 낮은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이 때 경사는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실시예의 경우 속받침부(2)에 통수공(221)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 경사면을 따라 액상이 흐르게 되고 액상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 경사를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2차돌출면(223)의 상면도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중심부재(11)는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복수의 결합리브(111)를 구비하고 결합리브(111)의 단부에는 돌기(113)가 형성되어 2차돌출면(223)의 돌기(224)와 결합된다. 결합리브(111)는 안쪽 방향으로 수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각 돌기(113, 224)가 서로 강하게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속받침부(2)와 중심부재(11)의 결합력을 강화할 수 있고 속받침부(2)가 용기 내부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면을 참조하면 돌출면(21)의 측벽이 내판(121)의 단부의 내측면과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한편 돌출면(21)의 측벽 단부가 절곡되어 내판(121)의 단부 끝과 결합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수용공간(S)의 완전한 밀폐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중심부재(11)와 속받침부(2)의 결합이 이루어지므로 중심부재(11)가 하방으로 이동하면 이에 결합된 속받침부(2)도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돌출면(21)과 내판(121)의 밀폐 상태가 해제되면서 액상이 하방으로 흘러내릴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중캡(100)의 작동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이중캡을 개봉할 때의 작동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중캡(100)의 작동은 상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중캡(100)의 작동과 마찬가지로 보호부재(14)를 제거한 후 중심부재(11)를 눌러 연결부재(13)를 변형시키면서 아래로 이동시킨다.
중심부재(11)의 이동에 따라 이와 결합된 속받침부(2)도 아래로 이동되게 된다. 이 경우에 중심부재(11)와 속받침부(2)의 결합 상태는 유지된다. 중심부재(11)의 이동에 따라 속받침부(2)와 외측부재(12)의 결합 상태는 해제되게 된다.
상세하게는 속받침부(2)의 돌출면(21)의 측벽이 내판(121)의 단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이탈하면서 틈이 형성되게 되고 이 틈을 통해 액상이 안정정으로 흘러 내려오게 되며 용기에 담긴 음료와 섞이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중캡(1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3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는 배치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의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이중캡이 용기에 부착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채용된 캡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채용된 속받침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3 실시예에서는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외측부재(12)의 내벽이 속받침부(2)와 결합되는 한편 속받침부(2)에 결합리브(225)가 형성되고 이 결합리브(225)가 중심부재(11)에 형성된 홈(112)에 결합되는 형태를 가진다. 이때 속받침부(2)의 결합리브(225)는 수용공간 및 지지력을 고려하여 십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서 속받침부(2)의 결합면(22)은 돌출면(21)에서 공간을 두고 연장되는 복수의 결합리브(225)로 이루어지고, 결합리브(225)의 단부에는 돌기(226)가 형성된다.
한편 중심부재(11)에는 홈(112)이 형성되어 결합리브(225)의 단부가 삽입되고, 홈(112)의 내측 둘레에는 돌기(113)가 형성되어 결합리브(225)의 돌기(226)와 결합된다. 여기에서 중심부재(11)의 길이와 홈(112)의 깊이는 제한이 없으나 수용공간(S)을 넓게 하기 위해 중심부재(11)의 길이는 작게 함이 바람직하며 10mm 이내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속받침부(2)의 복수의 결합리브(225)는 연결판(123) 상부의 위치에서 중심부재(11)와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캡부(1)에 액상을 넣고 속받침부(2)로 밀봉을 하였을 때 결합리브(225)의 돌기(226)와 중심부재(11)의 돌기(113)가 서로 밀착되어 결합되므로 속받침부(2)가 용기 내부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결합리브(225)는 중심부재(11)와 결합되는 일단부는 좁은 폭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일단부는 넓은 폭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폭이 넓은 부분이 내판(121)의 면을 따르면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캡부(1)와 속받침부(2)의 조립이 용이해 진다.
또한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돌출면(21)의 측벽이 내판(121)의 단부의 내측면과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한편 돌출면(21)의 측벽 단부가 절곡되어 내판(121)의 단부 끝과 결합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수용공간(S)의 완전한 밀폐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중캡(100)의 작동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이중캡을 개봉할 때의 작동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중캡(100)의 작동은 상술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중캡(100)의 작동과 유사하다. 즉 중심부재(11)의 이동에 따라 이와 결합된 속받침부(2)도 아래로 이동되게 되는데 중심부재(11)와 속받침부(2)의 결합 상태는 유지된다.
중심부재(11)의 이동에 따라 속받침부(2)와 외측부재(12)의 결합 상태는 해제되면서 틈이 형성되게 되고 이 틈을 통해 액상이 안정정으로 흘러 내려오게 되며 용기에 담긴 음료와 섞이게 된다. 이때 속받침부(2)의 결합리브(225)의 형상이 십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액상이 온전히 용기 내부로 흐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캡(100)의 일반적인 조립순서는 캡부(1)에 액상을 투입한 후 속받침부(2)를 캡부(1)에 결합시켜 수용공간(S)을 밀폐하는 순서로 진행된다.
또한 입구를 구비하고 내부에 내용물이 담기는 공간이 형성되는 용기에 내용물을 채운 후 액상이 담겨 조립된 이중캡(100)을 용기의 입구에 결합시켜 마감하면 조립이 완료된다. 도 13에는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조립된 수납용기(200)가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중심부재(11)를 눌러 액상을 용기 내부로 투입한 후 캡부(1)를 잡고 돌리면 개봉된다. 이때 속받침부(2)는 캡부(1)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다만 속받침부(2)와 캡부(1)가 형성하는 수용공간(S)의 밀폐 상태는 해제되므로 수용공간(S) 내에 있던 액상은 용기 속으로 낙하하게 되고 용기 내의 음료와 섞일 수 있다.
캡부(1)가 완전히 제거된 후에 사용자는 액상와 음료가 섞인 혼합액을 마실 수 있다. 캡부(1)가 제거될 때 이에 결합된 속받침부(2)도 함께 제거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용기 입구를 통해 혼합액을 용이하게 마시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이중캡(100)을 이용하면 이중캡(100) 내에 액상 또는 분말의 첨가재를 수용하고 용기에 담긴 음료와 섞어 마실 수 있으므로 두가지 성분이 혼합되는 기능성 음료를 편의점이나 마트에서 구입하는 형태로 손쉽게 즐길 수 있다.
또한 액상을 담기에 적합한 밀폐구조를 가지고 있고 액상이 용기로 안정적으로 흐를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물질이 닿지 않도록 위생적인 구조를 가진다.
한편 15ml에서 30ml 정도의 대용량의 액상을 담을 수 있도록 수용공간(S)을 넓히는 것도 가능하여 수용공간(S)에 담기는 액상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풍부한 맛을 낼 수 있다. 또한 부수적으로 대용량의 액상이 사용자에게 주는 시각적인 만족도도 높아지며 제품의 신뢰도도 높일 수 있다.
또한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혼합 음료를 만드는 용도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액상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캡부
11 : 중심부재 111 : 결합리브 112 : 홈 113 : 돌기
12 : 외측부재 121 : 내판 122 : 외판 123 : 연결판 124 : 돌기
13 : 연결부재 14 : 보호부재 15 : 식별부재
16 : 힘살리브 17 : 누액방지리브
2 : 속받침부
21 : 돌출면
22 : 결합면 221 : 통수공 222 : 돌기 223 : 2차돌출면
224 : 돌기 225 : 결합리브 226 : 돌기
S : 수용공간 100 : 이중캡 200 : 수납용기

Claims (12)

  1. 중심부재와 상기 중심부재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외벽이 용기의 입구의 외주에 결합되는 한편 내벽이 용기 내부로 연장되는 외측부재 및 상기 중심부재와 상기 외측부재가 상대적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어주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캡부 및
    테두리의 둘레가 상기 캡부의 내벽에 결합되고 상기 내벽과 함께 폐쇄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속받침부
    를 포함하고,
    상기 속받침부는 상기 중심부재의 이동에 따라 연동되어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속받침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의 폐쇄상태가 해제되는 이중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중심부재와 상기 외측부재를 이어주는 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중심부재의 연결부분 및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외측부재의 연결부분은 얇은 두께로 변형이 용이하도록 이루어지는 이중캡.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부재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 단부가 용기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단부에 속받침부의 테두리가 결합되는 내판,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판의 외측을 둘러싸며 일측 단부가 용기 입구의 외주와 결합되는 외판 및
    용기 입구가 이루는 면과 평행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내판과 상기 외판을 연결해 주는 연결판
    을 포함하는 이중캡.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내판과 상기 외판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힘살리브 및
    상기 연결판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용기 입구의 내주에 밀착되어 결합되는 누액방지리브
    를 더 포함하는 이중캡.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의 상부를 덮고 상기 캡부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중심부재에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는 보호부재를 더 포함하는 이중캡.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받침부는,
    측벽이 상기 내벽의 단부의 내측면과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돌출면 및
    상기 돌출면의 테두리에서 연장되어 상기 내벽의 단부의 외측면과 결합하는 결합면
    을 포함하는 이중캡.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면은 상기 돌출면의 측벽으로부터 절곡되어 홈을 형성하면서 상기 내판의 단부의 외측면과 결합하고, 통수공이 형성되며, 상기 내벽이 상기 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면서 상기 통수공을 폐쇄하고,
    상기 중심부재가 이동하면서 상기 돌출면을 가압하여 상기 속받침부가 이동하고 상기 속받침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내벽에 의한 통수공의 폐쇄상태가 해제되는 이중캡.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면과 상기 내판의 외측면에는 마주보도록 돌기가 형성되고 마주보는 돌기가 접촉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속받침부와 상기 캡부의 결합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중심부재의 이동에 의해 돌기들의 접촉 상태가 해제되면서 상기 속받침부가 이동하는 이중캡.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받침부는,
    측벽이 상기 내판의 단부의 내측면과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돌출면 및
    상기 돌출면의 상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중심부재와 결합되는 결합면
    을 포함하는 이중캡.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면은 상기 돌출면의 상면에서 단차를 두고 재돌출되어 연장되는 입체 형상의 2차돌출면으로 이루어지고 외측 둘레에는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중심부재는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복수의 결합리브를 구비하여 통수로를 확보하는 한편 상기 결합리브의 단부에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2차돌출면의 돌기와 결합되는
    이중캡.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면은 상기 돌출면에서 공간을 두고 연장되는 복수의 결합리브로 이루어져 통수로를 확보하는 한편 상기 결합리브의 단부에는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중심부재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리브의 단부가 삽입되고, 상기 홈의 내측 둘레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리브의 돌기와 결합되는
    이중캡.
  12. 내용물이 투입되는 입구를 구비하고 내부에 내용물이 담기는 공간이 형성되는 용기 및
    상기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를 마감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이중캡
    을 포함하는 수납용기.
KR1020210003402A 2021-01-11 2021-01-11 액상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 KR202201014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402A KR20220101417A (ko) 2021-01-11 2021-01-11 액상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402A KR20220101417A (ko) 2021-01-11 2021-01-11 액상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1417A true KR20220101417A (ko) 2022-07-19

Family

ID=82606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3402A KR20220101417A (ko) 2021-01-11 2021-01-11 액상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141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3667B1 (ko) * 2022-10-26 2023-06-15 주식회사 어나더데이 물감 혼합용 용기
KR102543669B1 (ko) * 2022-10-26 2023-06-15 주식회사 어나더데이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
WO2024090843A1 (ko) * 2022-10-26 2024-05-02 주식회사 어나더데이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 및 물감 혼합용 용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6274A (ko) 2015-11-13 2017-05-23 제이씨텍(주) 브이자형 위조방지스커트링을 가지는 수용부를 겸비한 투명캡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6274A (ko) 2015-11-13 2017-05-23 제이씨텍(주) 브이자형 위조방지스커트링을 가지는 수용부를 겸비한 투명캡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3667B1 (ko) * 2022-10-26 2023-06-15 주식회사 어나더데이 물감 혼합용 용기
KR102543669B1 (ko) * 2022-10-26 2023-06-15 주식회사 어나더데이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
WO2024090843A1 (ko) * 2022-10-26 2024-05-02 주식회사 어나더데이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 및 물감 혼합용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01417A (ko) 액상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
US7886899B2 (en) Container closure having means for introducing an additive into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RU2397933C2 (ru) Колпачок для бутылок
KR200384766Y1 (ko) 이종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화장품용기
US20220211161A1 (en) Container with internal glass receptacl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container by using a spacing and locking insert
KR20010020113A (ko) 이중성분용기
JP2011016588A (ja) 飲料の注入方法
US5482158A (en) Promotional device for delivering a prize from a beverage can
CN107949527A (zh) 包含内袋的食品包装
EP2688809B1 (en) Multi-compartment mixing container
RU2441826C2 (ru) Крышки для контейнеров, предназначенных для нескольких компонентов
JPWO2014103574A1 (ja) リフィル容器用注出構造
KR100602418B1 (ko) 용기마개
KR101745364B1 (ko) 용기뚜껑에 돌출리브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220102983A (ko) 액상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
EP3823906A1 (en) System for improved access to liquid in a plastic container and lid assembly
MXPA06006228A (es) Metodo y estructura para mezclar diferentes materiales.
KR20090005510U (ko) 광구용 분말캡
KR101811247B1 (ko) 이종물질의 혼합 사용이 가능한 용기 마개
KR20220135302A (ko) 액상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
KR20220145477A (ko) 액상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
JP2009234611A (ja) 蓋体付きカップ状容器および飲食品包装体
KR102259885B1 (ko) 이중 튜브 용기의 토출구 결합 어셈블리
KR20220169675A (ko) 액상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
KR20240010954A (ko) 첨가재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