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5510U - 광구용 분말캡 - Google Patents

광구용 분말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5510U
KR20090005510U KR2020070019396U KR20070019396U KR20090005510U KR 20090005510 U KR20090005510 U KR 20090005510U KR 2020070019396 U KR2020070019396 U KR 2020070019396U KR 20070019396 U KR20070019396 U KR 20070019396U KR 20090005510 U KR20090005510 U KR 2009000551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cap
photosphere
container
bo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93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두연
Original Assignee
김두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두연 filed Critical 김두연
Priority to KR20200700193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5510U/ko
Publication of KR200900055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51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1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said element being a film or a foil
    • B65D51/283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said element being a film or a foil ruptured by a sharp element, e.g. a cutter or a pierc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17/00Details of mixing containers or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36Closures with frangible parts adapted to be pierced, torn, or removed, to provide discharge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병의 입구부가 매우 큰 광구(廣口)용 병에 담긴 생수, 음료수 등의 액상 내용물과 분리되게 2가지 이상의 분말을 캡(cap)에 보관 및 휴대가능하게 하여 소비자가 분말을 터트려서 생수 등과 혼합하여 마실 수 있게 함으로써 보관 및 사용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병, 캡, 분말, 절개침, 용기, 가압, 광구

Description

광구용 분말캡{A POWDER CAP FOR A BOTTLE WITH A WIDE INLET}
본 고안은 병의 입구가 매우 넓은 광구(廣口) 병에 결합되는 광구용 캡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병의 입구부가 매우 큰 광구(廣口)용 병에 담긴 생수, 음료수 등의 액상 내용물과 별도로 2가지 이상의 분말이 각각 분리되게 캡(cap)에 수용함으로서 병의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고 병에 담긴 음료수와 분말의 보관기간을 연장되며, 캡을 눌러서 캡에 수용된 분말을 간단히 터트려서 병에 담긴 생수, 음료수 등과 혼합하여 마실 수 있는 광구용 분말캡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분말캡을 구비한 음료수 병이 있는 데, 분말을 수용하기 위해 마개에 분말수용부를 형성하고, 이 분말수용부에 담긴 분말은 파열성 포장막으로 밀폐되어 있으며, 파열성 포장막으로 밀폐된 부분을 파열시켜 분말이 용기 내로 방출되도록 용기내에 별도로 파열성 포장막 절개침을 설치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분말캡을 구비한 음료수 병은 분말수용부에 담긴 분말수용부가 상광하협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서 절개침에 의해 파열성 포장막이 파열됐을 때 배출구가 좁게 형성되어 있어서 분말수용부의 배출구 부분에 분말의 막힘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이를 방지 하기 위해 캡의 상부에는 분말수용구와 연통된 공기마개를 별도로 형성하였으나 그와 같은 구조의 추가로 인해 캡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분말수용부의 파열성 포장막을 파열시키키기 위해 캡을 조여서 절개침의 파열작업이 이루어졌을 때 분말수용부의 좁은 배출구가 막혀지는 현상이 발생되므로 조였던 캡을 다시 조금 풀어주어 절개침에 의해 막힌 공간을 개방시켜주어 분말이 낙하되게 한 다음 혼합하여야 하므로 사용상 불편함이 초래됐다.
아울러 절개침을 용기 내의 목(neck)부분에 캡과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병의 입구가 매우 넓은 광구 병(wide inlet bottle)에 분말을 분리되게 보관하여 휴대할 수 있는 분말캡을 갖춘 병에서도 단순히 하나의 분말용기를 내장하고, 하나의 절개침을 구비하는 경우 분말용기를 지지하는 부분의 강도가 약해지고, 단순히 한 가지의 분말만을 이용할 수 있을 뿐 소비자의 취향에 맞게 여러 가지 다양한 종류의 분말을 혼합하여 마실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생수와 별도의 분말을 캡(cap)에 보관하여 소비자가 음용하고자 할 때 별도로 보관된 분말을 생수, 음료수 등과 간단히 혼합하여 먹을 수 있게 하되 2가지 이상의 분말을 각각 분리 보관할 수 있는 광구 병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특히 핵가족화 되고, 바쁜 직장 생활로 인해 아침식사를 하지 못함에 따라서 슈퍼, 편의점, 할인매장 등에서 구입하여 출근하면서 음료 또는 아침식사로 대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광구 병의 목 부분에 곡물가루, 녹차가루, 커피가루 등으로부터 선택된 상이한 종류의 분말을 분리된 분말용기에 각각 제공하여 2가지 이상의 상이한 분말을 각각 보관되게 하되, 분말용기가 항상 가압다리에 의해 가압 된 상태에 놓이게 하여 병의 입구가 밀봉되게 한 광구용 분말캡을 구비한 음료수 병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분말용기를 2개 이상 구비하고 이에 대응하여 분말용기 각각의 하부에 절개침을 갖춘 광구용 분말캡을 구비한 음료수 병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병의 목부분에 결합되어 병을 밀봉하는 캡에 분말용기를 일부 수용하되 분말용기의 밀봉커버를 파열시키도록 캡의 가압부와 가압다리를 일체로 형성하고, 분말용기를 파열하는 절개부재의 하부에 절개침을 형성되고 절개부재 상부 내에 분말용기가 안치되게 한 후 이 절개부재를 캡에 현수되게 결합한 광구용 분말캡을 구비한 음료수 병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생수와 별도의 분말을 캡(cap)에 보관하여 소비자가 음용하고자 할 때 별도로 보관된 분말을 생수, 음료수 등에 떨어트려 간단히 혼합하여 먹을 수 있게 2개 이상의 분말을 각각 수용하도록 2개 이상의 분말용기를 형성하고, 이 분말용기의 수에 대응하여 2개 이상의 절개침을 분말용기 하부에 형성하고,
캡에 분말용기를 가압하도록 가압부와 일체로 가압다리를 형성하고,
분말용기의 밀봉커버를 파열하도록 절개침이 형성되고, 분말용기를 안치되게 지지도록 절개부재를 형성하고,
절개부재를 캡에 결합시킴으로써 달성된다.
광구용 병에는 생수, 음료수 등의 내용물이 담기고 2개 이상으로 분리 형성된 분말용기에는 소비자가 선호하는 분말, 예컨대 곡물가루, 녹차가루, 커피가루 등으로부터 선택된 한 종류의 분말이 각각 선택적으로 담겨서 분말용기 각각에 상이한 분말이 2개 이상 담기게 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고안은 생수와 분말용기를 병 내에 별도로 보관하여 사용시 2개 이상의 분말용기를 터트려서 생수에 2개 이상의 분말을 간단히 혼합하여 음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제품의 보관기간이 길어지고 휴대 및 사용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분말캡을 구비한 음료수 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광구용 분말캡을 구비한 음료수 병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3은 뚜껑을 분리시킨 도 1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가압부를 눌렀을 때 가압부재가 분말용기를 이동시켜서 절개침에 의해 분말용기의 밀봉커버가 파열되어 분말이 병 내부로 낙하되고 가압부가 찌그러지는 상태를 보여주는 작동상태 단면도이고, 도 7은 병 내로 낙하 된 분말을 5~10초 동안 흔들어서 분말과 병 내의 생수, 음료수 등과 섞은 후 캡을 병에서 분리하였을 때의 단면도이고, 도 8은 절개침과 공간부를 보여주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절개침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평면도이고, 도 11은 캡의 어깨부와 절개부재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분해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광구용 분말캡을 구비한 음료수병은 물, 음료수 등의 내용물이 담기고 목(neck)(1)부분에 수나사부(2)가 형성된 원형 또는 사각형 등의 용기 본체(B)에 결합되는 분말캡을 구비한 광구 병에 있어서,
용기 본체(B)의 수나사부(2)에 나사결합되도록 원통형 하부몸체(31) 내측에 암나사부(31a)가 형성되고,
하부몸체(31)의 상부 내측에 어깨부(32)로 일체로 연결되어 중앙 상부로 돌출 형성된 상부몸체(33)의 상부 가압부(34) 내측에 하부몸체(31) 하단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가압다리(34a)가 연장 형성되고,
어깨부(32)와 가압부(34)사이의 상부몸체(33) 내면에 가압부(34)의 가압에 의해 찌그러지도록 주름부(35)가 형성된 캡(30)과;
길이방향으로 길게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분말(24)이 담기고 입구에 플랜지(22)가 형성되어 밀봉커버(22)로 밀봉된 2개 이상의 분말용기몸체(21)로 구성되는 분말용기(20)와;
상부 내측에 분말용기(20)가 수용되어 안치되도록 수용부(13) 내주면에 지지돌기(12)가 형성되고, 지지돌기(12)에 안치되는 분말용기(20)의 중앙 하측에 인접 위치되도록 절개침(11; 111)이 형성된 절개부재(10)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캡(30)의 어깨부(32) 저면에는 광구용 병(B)의 입구부 내면 및 외면과 접촉하여 밀봉하도록 내,외측밀봉부재(38a, 38b)가 형성되고, 내측면에는 절개부재(10)가 매달리게(현수되게) 결합되도록 (절개부재)현수지지부(37)가 형성된다.
광구용 캡은 캡(30)의 상부몸체(33)와 하부몸체(31)를 수용하여 보호하도록 용기본체(B)의 목(1)부분에 결합되는 뚜껑(3)에 상부몸체(33)와 하부몸체(31)가 수용되어 보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캡(30)의 상부몸체(33)에 형성된 주름부(35)는 오목부(35a)와 볼록부(35b)가 순차적으로 연속 형성되어 있어서 캡(30)의 가압부(34)를 강제로 누를 경우 찌그러져서 분말용기(20)의 저면을 가압하여 분말용기(20)를 강제로 이동가능하게 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캡(30)의 상부몸체(33)에 형성된 주름부(35)는 가압부(34)가 눌려질 때 용이하게 찌그러지도록 상부몸체(33)의 상부에서 하부 외측으로 벌어지게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캡(30)의 상부몸체(33)와 하부몸체(31)는 상이한 직경을 갖게 단턱진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상부몸체(33)와 하부몸체(31)는 어깨부(32)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다. 이 어깨부(32)의 저면에는 수직방향으로 2개의 내,외측 밀봉부재(38a, 38b)가 형성되되, 내,외측 밀봉부재(38a, 38b)는 그 크기와 형태가 상이하다. 즉 내측밀봉부재(38a)는 외측밀봉부재(38b)보다 높이가 크게 형성되고, 병의 입구 내면을 탄력적으로 접촉되어 밀봉되게 하기 위해 외측밀봉부재(38b)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하단부 외측면(외측밀봉부재(38b)측을 향한 면)은 볼록하게 형성되어 링과 같은 역할을 한다.
또한 어깨부(32) 내주연에는 수평으로 (절개부재)현수지지부(37)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이 현수지지부(37)에 절개부재(10)의 상부 지지돌기(12)가 결합되어 절개부재(10)가 캡(30) 내측에 매달리게 지지된다.
캡(30)의 하부몸체(31)는 병(B)의 목(1) 부분에 나사결합되도록 암나사부(31)가 형성되고, 상부몸체(33) 내면의 주름부(35)가 찌그러지도록 상부몸체(33) 상부에 가압부(34)가 형성된다.
캡(30)의 가압부(34) 저면에 수직으로 돌출되어 상부몸체(33) 하부의 하부몸체(31) 내로 돌출되게 연장되는 가압다리(34a)는 가압다리(34a) 및 절개부재(10)에 일측 부분이 각각 수용되는 분말용기(20)의 플랜지(22) 부분과 접촉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절개부재(10)에 안치된 분말용기(20)의 분말용기몸체(21) 저면은 상부몸체(33)의 내측면과 접촉되지 않게 상부몸체(33) 하측의 수용부(36)에 수용된다.
또한 캡(30) 상부몸체(33)의 가압부(34)가 눌려질 때 상부몸체(33)의 하부가 외측으로 벌어져서 용이하게 찌그러지도록 상부몸체(33)의 내면에는 주름부(35)가 형성된다. 이 주름부(35)는 오목부(35a)와 볼록부(35b)가 순차적으로 연속 형성되어서 가압부(34)가 눌려지면 찌그러지고, 가압부(34)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본래의 상태로 복귀이동된다.
한편, 분말용기(20)에 담긴 분말이 떨어지도록 밀봉커버(23)를 가압하여 절 개하는 역할을 하는 절개부재(10)는 분말용기(20)가 수용되어 안치되도록 수용부(13)의 내면에 지지돌기(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지지돌기(12)에 안치되는 분말용기(20)의 밀봉커버(23)를 파열시키도록 분말용기몸체(21)의 하부에 인접 위치되게 절개침(11; 111)이 배치된다. 또한 절개부재(10)의 상부에는 절개부재(10)를 캡(30)과 결합하기 위하여 플랜지형 결합부(14)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분말용기(20)는 절개부재(10)에 안치되고 캡(30) 상부몸체(33)의 가압부(34)에 형성된 가압다리(34a) 내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분말이 담기도록 원통형으로 길게 형성되되, 입구부에는 밀봉커버(23)가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플랜지(22)가 형성되고, 이 플랜지(22) 부분에 밀봉커버(23)가 결합되어 분말이 밀봉되게 된다.
분말용기(20)는 2개 이상의 분말수용부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여기에서는 간략한 설명을 위해 제1,2 분말 수용부(24a, 24b)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제1,2 분말수용부(24a, 24b)에는 곡물가루, 녹차가루, 커피가루 등으로부터 선택된 한 종류의 분말이 각각 담기게 되는데, 제1,2 분말 수용부(24a, 24b)에는 상이한 종류의 분말(25a, 25b)이 담기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분말용기(20)를 구성하는 2개의 제1,2 분말수용부(24a, 24b)의 위치를 항상 일정하게 조립되도록 플랜지(22)의 주연부 상부는 조립위치결정용 홈(22-1)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절개부재(10)의 상부 플랜지형결합부(14)에도 조립위치결정용 돌기(14-1)가 형성된다. 조립위치결정용 홈(22-1)과 조립위치결정용 돌기(14-1)는 2~4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절개부재(10)의 수용부(13)에 분말용기(20) 일부를 수용하고 수용부(13)의 지지돌기(12)에 분말용기(20)의 플랜지(22)가 접촉되어 안치되도록 분말용기(20)를 거꾸로 넣은 다음 캡(30) 상부몸체(33)의 수용부(36)에 분말용기(20) 타단부가 수용되게 절개부재(10)를 결합시킨다. 절개부재(10)는 접착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캡(30)의 어깨부(32) 저면에 결합될 수도 있다.
그러나, 분말용기(20)를 절개부재(10)의 수용부(13)에 위치를 정렬하여 넣지 않으면 제1,제2분말수용부(24a, 24b)와 절개침(11a, 11b; 111a, 111b)의 위치가 어긋나서 밀봉커버(23)의 파열이 올바르게 이루어질 수 없다. 따라서, 분말용기(20)를 구성하는 제1,제2분말수용부(24a, 24b)를 절개침(11a, 11b; 111a, 111b)에 조립할 때 항상 올바르게 위치정렬되도록 분말용기(20)의 플랜지형 결합돌기(14) 상면에는 위치결정돌기(12-1)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위치결정홈(22-1)이 절개부재(10)의 지지돌기(12)에 형성된다. 위치결정돌기(12-1)와 위치결정홈(22-1)은 2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
이와 달리, 절개부재(10)의 플랜지형 결합부(14) 상면과 캡(30)의 어깨부(32) 저면에는 결합돌기(14a)와 결합홈(32a)이 각각 끼움 결합 되게 구성될 수 있다.
절개부재(10)의 플랜지형 결합부(14)는 병(B)의 목(1) 입구 단부면에 밀착되는 상태이고 절개부재(10)의 가압다리(34a)는 분말용기(20)의 플랜지(22)부분을 가압다리(34a)가 항상 가압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별도의 밀봉 부재가 없어도 병(B) 의 입구부가 밀봉되는 것이다.
절개부재(10)는 (절개부재몸체의)하부에 위치하는 절개침(11; 111)이 분말용기(20)의 제1,제2분말수용부(24a, 24b) 중앙 부분을 파열시키도록 이들 제1,제2분말수용부(24a, 24b) 하측에 2개의 절개침(11a, 11b; 111a, 111b)이 배치된다. 절개침(11a, 11b; 111a, 111b)은 각각 지지다리(15a)에 의해 소정 높이로 상방으로 돌출형성되고, 각각의 절개침(11a, 11b)은 연결다리(15b)로 상호 일체로 연결된다. 그리고 지지다리(15a)와 연결다리(15b) 사이는 분말(25a, 25b)이 통과되는 공간부(16)이다. 지지다리(15a)는 절개침(11a, 11b)에 의해 밀봉커버(23)가 파열됐을 때 분말(25a, 25b) 들이 잘 떨어지도록 방사상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가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8 참조).
절개부재(10)의 하부에 위치되는 절개침(11a, 11b)은 절개부재(10)와 일체로 사출성형될 수 있고, 이와 다르게 별도로 금속재료로 형성한 후 절개부재(10)의 몸체에 인서트 결합할 수 있다. 예컨대,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공간부(116)를 형성하고, 공간부(116)들 사이에 위치한 부분을 절곡하여 소정 각도로 상호 대향되게 절개침(111a, 111b)을 형성할 수 있다(도 9 및 도 10 참조). 이 금속판은 생수, 음료수 등과의 화학반응을 방지하는 재질, 예컨대 스테인레스(stainless)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광구용 분말캡을 구비한 음료수 병은 하부에 절개침(11a, 11b)이 형성된 절개부재(10)의 수용부(13)에 분말용기(20)를 거꾸로 하여 집어넣으면 분말용기(20)가 수용부(13) 내면에 형성된 지지돌기(12)에 안치된다.
이후, 분말용기(20)가 안치된 절개부재(10) 상부의 플랜지형 결합부(14)를 캡(30)의 어깨부(32) 저면에 접착제(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결합시키면 분말용기(20)가 가압다리(34a)와 조금 이격되게 위치되고 분말용기(20)와 함께 절개부재(10)도 캡(30)에 매달리게 지지 된다.
이때, 캡(30)의 가압부재(34a)는 분말용기(20)의 플랜지형 결합부(14) 배면을 누르고 있는 상태이므로 분말용기(20)의 밀봉커버(23)가 가압되고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병(B)의 입구부분이 밀봉커버(23)와 절개부재(10)에 의해 밀봉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분말용기(20)와 절개부재(10)가 결합된 캡(30)을 병(B)의 목(1) 부분에 나사결합시키면 캡(30) 하부몸체(31)의 암나사부(31)와 병(B)의 목(1)부분에 형성된 수나사부(2)가 나사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분말용기(20)가 캡(30)에 결합된 병(B)을 상,하로 적층 하여 운반할 때 가압다리(34a)가 부주의하게 눌려서 분말용기(20)가 파열되어 분말(25a, 25b)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뚜껑(3)으로 더욱 캡(30)을 감싸서 보호하고 이 뚜껑(3)은 밀봉 탭(4)으로 병(B)의 목부분에 더욱 견고하게 결합 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구성된 본 고안의 광구용 분말캡을 구비한 음료수 병은 분말용기(20)에 담긴 분말을 생수와 섞어서 음용 하고자 할 때, 먼저 밀봉 탭(4)을 잡아당겨 제거한 후 뚜껑(3)을 병(B)에서 제거한다.
그 다음 캡(30) 상부몸체(33)의 가압다리(34a)를 누르면 상부몸체(33) 측면 에 형성된 주름부(35)가 찌그러지면서 가압다리(34a)가 분말용기(20)의 플랜지(22) 배면을 강제로 누르게 된다. 그러면 분말용기(20)의 플랜지(22) 부분이 순간적으로 굽혀지면서 절개부재(10)의 지지돌기(12)를 타고 넘어가므로 절개침(11a, 11b)에 의해 밀봉커버(23)가 파열되어 제1,2분말수용부(24a, 24b)에 담긴 분말(25a, 25b)이 병(B)의 내용물인 생수(W)(또는 음료수)로 떨어지기 시작한다. 이후 가압다리(34a)가 더욱 가압되어 주름부(35)가 더욱 찌그러짐에 따라서 가압부(34)가 분말용기(20)의 플랜지(22)를 더욱 가압하면 분말용기(20)의 밀봉커버(23)가 완전히 파열되고, 제1,2분말수용부(24a, 24b)에 담긴 분말(25a, 25b)이 병(B)의 내용물인 생수(W)(또는 음료수)로 각각 떨어진다. 분말용기(20)의 밀봉커버(23)의 파열이 이루어진 다음 가압부(34)에 의해 찌그러졌던 주름부(35)는 자체의 탄력에 의해 본래의 위치로 복원된다(도 4 내지 도 6 참조).
절개침(11a, 11b)에 의해 밀봉커버(23)가 파열되고, 파열된 밀봉커버(23) 사이로 떨어지는 분말(24a, 24b)은 절개침(11a, 11b)을 지지하는 지지다리(15a) 사이의 공간부(16)로 원활하게 낙하가 이루어진다.
분말의 낙하가 완료되면 병을 5~10초 동안 흔들어서 생수(W)(또는 음료수)와 분말(25a, 25b)의 혼합이 잘 이루어지게 하고, 캡(30)을 제거하여 혼합액을 음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광구용 분말캡과 광구 병의 분해 단면도.
도 2는 도 1의 결합단면도.
도 3은 뚜껑을 분리시킨 도 1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가압부를 눌렀을 때 가압부재가 분말용기를 이동시켜서 절개침에 의해 분말용기의 밀봉커버가 파열되어 분말이 병 내부로 낙하되고 가압부가 찌그러지는 상태를 보여주는 작동상태 단면도.
도 7은 병 내로 낙하된 분말을 5~10초 동안 흔들어서 분말과 병 내의 음료수 또는 생수를 섞은 후 캡을 병에서 분리하였을 때의 단면도.
도 8은 절개침과 공간부를 보여주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절개침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평면도.
도 11은 캡의 어깨부와 절개부재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분해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병의) 목부 2: 수나사부
3: 뚜껑 4: (뚜껑)밀봉탭
10: 절개부재 11a, 11b: 절개침
12: 지지돌기 12-1: 위치결정돌기
13: 수용부 14: 플랜지형 결합부
15a: 지지다리 15b: 연결다리
16: 공간부 20: 분말용기
21: 분말용기몸체 22: 플랜지
23: 밀봉커버 24a, 24b: 제1, 제2분말수용부
25a, 25b: 분말 30: 캡
31: 하부몸체 32: 어깨부
33: 상부몸체 34: 가압부
34a: 가압다리 35: 주름부
35a: 오목부 35b: 볼록부
36: (분말용기)수용부 37: (절개부재)현수지지부
38a, 38b: 내,외측밀봉부재
B: 병 W: 생수

Claims (11)

  1. 물, 음료수 등의 내용물이 담기고 목(neck)(1)부분에 수나사부(2)가 형성된 용기 본체(B)에 결합되는 분말캡을 구비한 광구용 병에 있어서,
    용기 본체(B)의 수나사부(2)에 나사결합되도록 원통형 하부몸체(31) 내측에 암나사부(31a)가 형성되고,
    하부몸체(31)의 상부 내측에 어깨부(32)로 일체로 연결되어 중앙 상부로 돌출 형성된 상부몸체(33)의 상부 가압부(34) 내측에 하부몸체(31) 하단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가압다리(34a)가 연장 형성되고,
    어깨부(32)와 가압부(34)사이의 상부몸체(33) 내면에 가압부(34)의 가압에 의해 찌그러지도록 주름부(35)가 형성된 캡(30)과;
    길이방향으로 길게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분말(24)이 담기고 입구에 플랜지(22)가 형성되어 밀봉커버(22)로 밀봉된 2개 이상의 분말용기몸체(21)로 구성되는 분말용기(20)와;
    상부 내측에 분말용기(20)가 수용되어 안치되도록 수용부(13) 내주면에 지지돌기(12)가 형성되고, 지지돌기(12)에 안치되는 분말용기(20)의 중앙 하측에 인접 위치되도록 절개침(11)이 형성된 절개부재(10)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구용 분말캡.
  2. 청구항 1에 있어서,
    캡(30)의 상부몸체(33)와 하부몸체(31)를 수용하여 보호하도록 용기본체(B)의 목(1)부분에 결합되는 뚜껑(3)이 더욱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구용 분말캡.
  3. 청구항 1에 있어서,
    가압다리(34a)는 분말용기(20)의 플랜지(22)를 누르고 있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구용 분말캡.
  4. 청구항 3에 있어서,
    분말용기(20)는 가압다리(34a)에 의해 눌려져서 절개부재(10)의 지지돌기(12)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구용 분말캡.
  5. 청구항 1에 있어서,
    주름부(35)는 오목부(35a)와 볼록부(35b)가 순차적으로 연속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구용 분말캡.
  6. 청구항 1에 있어서,
    뚜껑(3)은 용기본체(B)의 목(1)부분에 밀봉탭(4)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구용 분말캡.
  7. 청구항 1에 있어서,
    절개침(11)은 캡(10)의 원통형몸체(13) 하부 저면 위에 위치하도록 지지다리(15a)에 의해 상방으로 돌출형성되고, 지지다리(15a) 사이는 분말이 통과되는 공간부(1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구용 분말캡.
  8. 청구항 7에 있어서,
    지지다리(15a)는 절개침(11)의 방사상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폭이 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구용 분말캡.
  9. 청구항 1에 있어서,
    절개침(111)은 프레스가공되어 절개부재(10)에 인서트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구용 분말캡.
  10. 청구항 1에 있어서,
    분말캡(20) 내에는 질소가스(N2)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구용 분말캡.
  11. 청구항 1에 있어서,
    분말용기(20)는 제1, 제2분말수용부(24a, 24b)로 구성되고, 이 제1,2분말수용부(24,ㅁ, 24b)에는 상이한 종류의 분말(25a, 25b)이 수용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광구용 분말캡.
KR2020070019396U 2007-12-03 2007-12-03 광구용 분말캡 KR2009000551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9396U KR20090005510U (ko) 2007-12-03 2007-12-03 광구용 분말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9396U KR20090005510U (ko) 2007-12-03 2007-12-03 광구용 분말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510U true KR20090005510U (ko) 2009-06-08

Family

ID=41297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9396U KR20090005510U (ko) 2007-12-03 2007-12-03 광구용 분말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5510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74570A (zh) * 2012-07-26 2012-11-14 王宝根 瓶盖内置营养物的饮料瓶
WO2013093650A1 (en) 2011-12-19 2013-06-27 Isoline Eu, S.R.O. Dispensing closure
KR20150120888A (ko) 2014-04-18 2015-10-28 (주)아이디플라텍 혼합분말 등의 첨가를 위한 캡슐이 장착된 혼합음료용기
WO2017123496A1 (en) 2016-01-15 2017-07-20 Pepsico, Inc. Post-mix beverage system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93650A1 (en) 2011-12-19 2013-06-27 Isoline Eu, S.R.O. Dispensing closure
CN102774570A (zh) * 2012-07-26 2012-11-14 王宝根 瓶盖内置营养物的饮料瓶
KR20150120888A (ko) 2014-04-18 2015-10-28 (주)아이디플라텍 혼합분말 등의 첨가를 위한 캡슐이 장착된 혼합음료용기
WO2017123496A1 (en) 2016-01-15 2017-07-20 Pepsico, Inc. Post-mix beverage system
CN108471902A (zh) * 2016-01-15 2018-08-31 百事可乐公司 现调饮料系统
US10464797B2 (en) 2016-01-15 2019-11-05 Pepsico, Inc. Post-mix beverage system
EP3402374A4 (en) * 2016-01-15 2019-11-27 Pepsico, Inc. SYSTEM FOR FUTURE MIXED BEVERAG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34502C1 (ru) Пластмассовый запорный элемент с капсулой для выдачи действующих веществ
US7721880B2 (en) Mixing dispenser
US4399158A (en) Pressurized container providing for the separate storage of a plurality of materials
US4524078A (en) Pressurized container providing for the separate storage of a plurality of materials
US20060049127A1 (en) Container
KR20090110695A (ko) 혼합원료 캡슐이 구비된 음료용기
WO2006046730A1 (en) Bottle cap
KR100947673B1 (ko) 분말캡을 구비한 음료수 병
CA2629089A1 (en) Container system for successively producing multiple servings of reconstituted liquid product
KR20090005510U (ko) 광구용 분말캡
KR20090041266A (ko) 자바라형 고형 및 액상물질 분리 수용 용기
WO2005105612A1 (ja) プラスチック容器
EP1838598A2 (en) Container
KR20090055374A (ko) 분말캡을 구비한 음료수 병
US20200385192A1 (en) Recyclable interference-fit beverage-ingredient cartridge
KR200495854Y1 (ko) 분리편이 구비된 환제 내장용 음료 용기 마개
KR200479110Y1 (ko) 혼합용 뚜껑조립체
KR20090006694U (ko) 누름부재를 갖는 분말캡
AU737696B3 (en) A dispensing cap
KR20100001312U (ko) 분말용기가 결합 된 캡을 갖춘 음료용기
KR101962112B1 (ko) 환제 내장용 음료 용기 마개
US20240010401A1 (en) Cap device for bottles
US20040262175A1 (en) Storage and dispensing device for mating with a liquid container to allow for mixing of a substance and the liquid
KR100487057B1 (ko) 2종류의 물질을 분리저장하는 저장용기
KR102703480B1 (ko) 기능성 보충제가 수용된 뚜껑을 구비한 음료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