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3669B1 -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 - Google Patents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3669B1
KR102543669B1 KR1020220139333A KR20220139333A KR102543669B1 KR 102543669 B1 KR102543669 B1 KR 102543669B1 KR 1020220139333 A KR1020220139333 A KR 1020220139333A KR 20220139333 A KR20220139333 A KR 20220139333A KR 102543669 B1 KR102543669 B1 KR 102543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member
spice
paint
accommodating
intermediat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9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어나더데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어나더데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어나더데이
Priority to KR1020220139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36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3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3669B1/ko
Priority to PCT/KR2023/015543 priority patent/WO202409084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D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SERVING PAINTINGS; SURFACE TREATMENT TO OBTAIN SPECIAL ARTISTIC SURFACE EFFECTS OR FINISHES
    • B44D3/00Accessories or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Methods or devices for colour determination, selection, or synthesis, e.g. use of colour tables
    • B44D3/12Paint cans; Brush holders; Containers for storing residual pai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1/00Teaching hand-writing, shorthand, drawing, or painting
    • G09B11/10Teaching pain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감과 물감에 혼합될 향료로 분리 수용되어 있고 사용 시에만 향 성분이 물감이 혼합되도록 함으로써 사용 시 물감과 향료의 물성이 유지되도록 하고, 물감 고유의 불쾌한 냄새를 없앨 수 있으며, 시각장애인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감이 수용되는 상단 개방의 물감수용 용기 부재; 상기 물감수용 용기 부재의 상단부에 하단부가 결합되는 상하부 개방의 중간연결 용기 부재;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향료가 수용되게 구성되는 향료수용 용기 부재; 및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와 향료수용 용기 부재의 결합 상태에 따라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에 수용된 향료가 격리 또는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결합상태연동 향료 격리 및 배출 수단;을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 {SPECIAL CONTAINER OF FRAGRANCE PAINTS FOR BLIND PERSON}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감과 물감에 혼합될 향료로 분리 수용되어 있고 사용 시에만 향 성분이 물감이 혼합되도록 함으로써 사용 시 물감과 향료의 물성이 유지되도록 하고, 물감 고유의 불쾌한 냄새를 없앨 수 있으며, 시각장애인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림물감은 색상별로 튜브에 들어 있거나 또는 단순한 용기에 담겨져서 있으므로 사용시에는 파렛트에 짜내거나 덜어서 쓰고 있다.
따라서, 사용 시 수평방향으로 부피가 큰 그림물감과 파렛트를 휴대하여야 하므로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을 수반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필요한 양만큼 파렛트에 물감을 덜어 내거나 짜내어서 사용하게 되는데 대부분 쓰고자 하는 물감보다 더 많은 양을 덜어 내거나 짜내어서 사용하게 되므로 물감 낭비를 초래하고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물감을 사용하다 보면, 물감 특유의 냄새 때문에 학생들의 기분이 불쾌해지고 두통까지 생기는 경우가 종종 있다. 따라서, 이러한 냄새 때문에 미술에 대한 흥미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물감을 사용하여 그린 그림에도 물감 특유의 냄새가 남아 있기 때문에, 그림에 대한 애착도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량의 점도가 큰 물감이나 페인트를 혼합하는 경우 균일하게 섞이도록 골고루 잘 저어 주는 것은 쉽지 않다. 이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용기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편, 시각 장애인들은 시각을 사용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세상을 인지하는 것의 대부분을 시각에 의존하는 사람들과 사회를 이루고 살아간다. 이로 인해 이들은 많은 어려움을 겪으며 사회로부터 소외된다. 시각 장애인에게 미술을 교육하는 것은 이러한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일 예로, 기존의 시각 장애인용 미술 교육과 관련하여 여러 도구가 제안되어 있으며, 촉각적 감각만을 사용하도록 제작된다. 촉각만으로도 일부 미술 작품을 창작할 수 있도록 교육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존 시각장애인용 미술 교육 도구는 대부분 입체적 형태이며, 시각 장애가 있는 사람이 2차원 평면에 그림을 그리는 활동을 고려하여 물감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도구는 전혀 제안되어 있지 않으며, 이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2-0085036(2012.07.31.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3-0048000(2013.05.09. 공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12983(2003.05.16.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62137(2012.08.30. 공고)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 시에 향 성분이 물감이 혼합되도록 함으로써 사용 시 물감과 향료의 물성이 유지되도록 하고, 물감 고유의 불쾌한 냄새를 없앨 수 있으며, 시각장애인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물감이 수용되는 상단 개방의 물감수용 용기 부재; 상기 물감수용 용기 부재의 상단부에 하단부가 결합되는 상하부 개방의 중간연결 용기 부재;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향료가 수용되게 구성되는 향료수용 용기 부재; 및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와 향료수용 용기 부재의 결합 상태에 따라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에 수용된 향료가 격리 또는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결합상태연동 향료 격리 및 배출 수단;을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물감이 수용되는 상단 개방의 물감수용 용기 부재; 상기 물감수용 용기 부재의 상단부에 하단부가 결합되는 상하부 개방의 중간연결 용기 부재;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향료가 수용되게 구성되는 향료수용 용기 부재; 및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와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 간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에 수용된 향료가 배출되지 않게 폐쇄되고,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와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 간이 결합해제될 시,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에 수용된 향료가 배출되어 상기 물감수용 용기 부재 내의 물감과 혼합되도록 구성되는 결합상태연동 향료 격리 및 배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물감수용 용기 부재와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 및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 간은 나사산 결합되게 구성되며,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의 나사산부와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의 나사산부는,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가 결합해제 방향으로 일정 정도 회전한 이후 헛돌면서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로부터 탈락되지 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는 일면 개방된 통 형상의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내측 중앙부에 형성되어 향료가 수용되는 통 형상의 향료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결합상태연동 향료 격리 및 배출 수단은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의 내면에 형성되는 링형 플레이트부와, 상기 링형 플레이트부에서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가지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지지편부, 및 상기 지지편부 각각의 연장단에 연결되는 폐쇄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향료 수용부는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와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폐쇄 플레이트부의 상면에 접촉하여 그 개방부가 폐쇄되는 높이를 갖고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결합상태연동 향료 격리 및 배출 수단은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의 내면에 형성되는 링형 플레이트부; 상기 링형 플레이트부에서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가지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지지편부; 및 상기 지지편부 각각의 연장단에 연결되는 폐쇄 플레이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결합상태연동 향료 격리 및 배출 수단은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의 내면에서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가지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지지편부; 및 상기 지지편부 각각의 연장단에 연결되는 폐쇄 플레이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폐쇄 플레이트부는 단면이 원뿔 형태나 돔 형태 또는 삼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향료 수용부는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와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폐쇄 플레이트부의 상면에 밀접하게 접촉하여 그 개방부가 폐쇄되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결합상태연동 향료 격리 및 배출 수단은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의 내면에서 상부와 하부를 구획하여 형성되는 구획 플레이트; 및 상기 구획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향료 통과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획 플레이트는 단면이 원뿔 형태나 돔 형태 또는 삼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향료 수용부는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와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구획 플레이트의 상면에 밀접하게 접촉하여 그 개방부가 폐쇄되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물감수용 용기 부재와 중간연결 용기 부재 및 향료수용 용기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는 물감 및 향료의 종류를 읽을 수 있는 점자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향료와 물감이 안정적이고 확실하게 분리 구획되어 있어 운반이나 이동 시 용기에 요동이 발생하는 경우라도 향료와 물감이 혼합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사용 시에 향 성분이 물감이 혼합되도록 함으로써 사용 시 물감과 향료의 물성이 유지되도록 하여 제품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물감 특유의 냄새를 없앨 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불쾌감을 유발시키지 않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향을 통해 물감을 구분 선택할 수 있어 시각장애인의 미술 창작 활동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에 포함되는 각 구성부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에 포함되는 각 구성부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에 포함되는 중간연결 용기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에 포함되는 향료수용 용기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에 물감 및 향료가 분리되어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에 포함되는 각 구성부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에 포함되는 각 구성부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에 포함되는 중간연결 용기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에 포함되는 향료수용 용기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에 물감 및 향료가 분리되어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는, 향료와 물감을 분리 저장하고, 사용 시 향료와 물감이 혼합되도록 구성되는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로서,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물감수용 용기 부재(100)와,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와,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 및 결합상태연동 향료 격리 및 배출 수단(40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는, 향료와 물감을 분리 저장하고, 사용 시 향료와 물감이 혼합되도록 구성되는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로서,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용기 형태로 형성되어 물감(paint)이 수용되게 구성되는 물감수용 용기 부재(100); 상기 물감수용 용기 부재(100)의 상단부에 일단부(하단부)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하부 개방의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의 타단부(상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향료가 수용되게 구성되는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 및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에 구비되어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와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의 결합 상태에 따라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에 수용된 향료가 격리 또는 배출되도록 구성, 다시 말해서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와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 간이 결합된 상태에서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에 수용된 향료가 배출되지 않게 폐쇄되고,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와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 간이 결합해제되는 경우,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에 수용된 향료가 배출되어 상기 물감수용 용기 부재(100) 내의 물감과 혼합되도록 구성되는 결합상태연동 향료 격리 및 배출 수단(400);을 포함한다.
상기 물감수용 용기 부재(100)는 상부가 개방된 용기 형태로 형성되어 물감(paint)이 수용되게 구성되는 구성부이다.
상기 물감수용 용기 부재(100)는 소정 직경을 가지며, 상부 개방되고 밑면이 폐쇄된 통 형상, 바람직하게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물감수용 용기 부재(100)의 상부는 몸체부(1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원통부(120)를 가지며, 상기 결합 원통부(120)의 외연에는 나사산부(121)가 형성되어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와 나사산 결합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는 상기 물감수용 용기 부재(100)의 상단부에 일단부(하단부)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부이다.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는 상하부 개방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단부 내연에 형성된 나사산부(201)를 통해 상기 물감수용 용기 부재(100)의 결합 원통부(120)에 나사산 결합된다.
또한,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는 상단부 내연에 나사산부(202)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부(202)를 통해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가 결합 및 결합해제된다.
다음으로,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는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의 타단부(상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향료가 배출가능하게 수용되는 구성부이다.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는 일면(도면에서 하면)이 개방되고 타면(도면에서 상면)이 폐쇄된 통 형상의 결합부(310), 및 상기 결합부(310)의 내측 중앙부에 형성되어 향료가 수용되는 통 형상의 향료 수용부(320)를 포함한다.
상기 향료 수용부(320)는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와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가 결합 완료된 상태에서 그 향료 수용부(320)의 끝단이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될 상기 결합상태연동 향료 격리 및 배출 수단(400)의 폐쇄 플레이트부 또는 구획 플레이트를 가압 접촉할 수 있게 형성된다.
상기 향료 수용부(320)의 단부는 상기 결합부(310)의 단부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향료 수용부(320)의 높이는 상기 결합부(31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이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할 결합상태연동 향료 격리 및 배출 수단(400)과 긴밀하게 연관된다.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의 결합부(310)의 하부 외연에는 나사산부(311)가 형성되어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의 상단부 측 나사산부(202)에 나사산 결합된다.
여기에서,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의 결합부(310)의 나사산부(311)와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의 나사산부(202) 간에 나사산 결합됨에 있어, 상기 결합부(310)의 나사산부(311)와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의 나사산부(202)는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가 결합해제 방향으로 회전하여 일정 정도 분리되되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가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로부터 탈락되지 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가 결합해제 될 시 일정 정도 회전하여 결합해제되나, 그 일정 정도 이후에는 헛돌면서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로부터 탈락되지 않게 상기 결합부(310)의 나사산부(311)와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의 나사산부(202)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나사산부 간의 상호 결합 관계를 통해 두 부재가 결합해제되면서 일정 회전 시점에서 헛돌면서 분리되지 않게 구성되는 것은 공지의 것을 채용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상기 결합상태연동 향료 격리 및 배출 수단(400)은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에 구비되어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와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의 결합 상태에 따라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에 수용된 향료가 격리 또는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구성부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는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와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 간이 결합되어 있는 경우,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의 향료 수용부(320)에 수용된 향료가 배출되지 않게 폐쇄하고,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와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 간이 결합해제되는 경우,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의 향료 수용부(320)에 수용된 향료가 상기 물감수용 용기 부재(100) 측으로 배출되어 물감과 혼합되도록 구성되는 구성부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상태연동 향료 격리 및 배출 수단(400)은 일 실시 형태로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의 내면에 형성되는 링형 플레이트부(410)와, 상기 링형 플레이트부(410)에서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가지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지지편부(420), 및 상기 지지편부(420) 각각의 연장단에 연결되는 폐쇄 플레이트부(430)를 포함한다.
상기 링형 플레이트부(410)는 환형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사각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편부(420)는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가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에 결합되어, 그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의 향료 수용부(320)가 폐쇄 플레이트부(430)의 상면에 접촉(가압 접촉)할 때 탄성체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지지편부(420)는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의 하부 측 나사산부(201)와 상부 측 나사산부(202)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폐쇄 플레이트부(430)는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의 향료 수용부(320)의 개구부의 사이즈보다 크게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폐쇄 플레이트부(430)는 단면이 원뿔 형태나 돔 형태 또는 삼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를 결합해제 방향으로 회전시켜 어느 정도 분리하게 되면, 폐쇄 플레이트부(430)에 의해 폐쇄된 향룔 수용부(320)의 개구부가 개방되고, 그로부터 배출되는 향료가 경사진 폐쇄 플레이트(320)의 상면을 타고 내려가서 지지편부(420)를 사이를 통과하여 물감수용 용기 부재(100)로 흘러들어 가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에서, 상기 향료 수용부(320)의 개방단의 형상은 상기 폐쇄 플레이트부(430)의 상면에 밀접하게 접촉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일 실시 예의 상기 결합상태연동 향료 격리 및 배출 수단(400)은 상기 폐쇄 플레이트부(430)의 상면에서 상기 용기 수용부(320)의 형상과 상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의 용기 수용부(320)의 개구 단부가 끼움되는 통 형상의 끼움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끼움 결합부의 바닥부에는 링형 오링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폐쇄 플레이트부(430)에 끼움 결합부가 형성되는 경우,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과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가 결합되어 향료 수용부(320)와 폐쇄 플레이트부(430)가 접촉된 상태에서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의 향료 수용부(320)의 개구 단부가 끼움 결합부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그 향료 수용부(320)에 수용된 향료가 새지 않도록 하며, 특히 이동 시 향료의 누출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일 실시 예의 결합상태연동 향료 격리 및 배출 수단(400)에서 링형 플레이트부(410)는 생략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결합상태연동 향료 격리 및 배출 수단(400)은 다른 실시 예로,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의 내면에서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가지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지지편부, 및 상기 지지편부 각각의 연장단에 연결되는 폐쇄 플레이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편부는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의 하부 측 나사산부(201)와 상부 측 나사산부(202)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폐쇄 플레이트부에는 상기한 일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끼움 결합부 및 오링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상태연동 향료 격리 및 배출 수단(400)은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의 내면에서 상부와 하부를 구획하여 형성되는 구획 플레이트, 및 상기 구획 플레이트의 가장자리, 바람직하게는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와 구획 플레이트의 이음부에 형성되는 향료 통과 구멍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획 플레이트는 단면이 원뿔 형태나 돔 형태 또는 삼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획 플레이트는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의 하부 측 나사산부(201)와 상부 측 나사산부(202)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구획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상기한 일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끼움 결합부 및 오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향료 통과 구멍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복수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의 향료 수용부(320)의 개구부가 접촉하는 부분 이외의 구획 플레이트에 형성된다.
상기한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는 물감수용 용기 부재(100)와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 및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사용자인 시각장애인이 물감 및 향료의 종류를 손가락으로 더듬어 읽을 수 있는 점자가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는, 먼저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를 위로 향한 상태에서 향료 수용부(320)에 소정 양의 향료를 수용시킨 다음, 향료 수용부(320)가 위로 향한 상태에서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를 결합시켜서 그 향료 수용부(320)는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에 구성된 폐쇄 플레이트부(430) 또는 구획 플레이트에 의해 폐쇄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를 물감수용 용기 부재(100)와 결합하여,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향료와 물감이 분리된 상태에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 시에는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를 결합해제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가 상승하게 되면,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의 향료 수용부(320)는 폐쇄 플레이트부(430) 또는 구획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고, 이에 따라 향료 수용부(320)에 수용된 향료는 자중으로 물감수용 용기 부재(100) 내로 흘러들어가 물감과 혼합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에 의하면, 향료와 물감이 안정적이고 확실하게 분리 구획되어 있어 운반이나 이동 시 용기에 요동이 발생하는 경우라도 향료와 물감이 혼합되지 않도록 하며, 사용 시에만 향 성분이 물감이 혼합되도록 함으로써 사용 시 물감과 향료의 물성이 유지되도록 하여 제품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감 특유의 냄새를 없앨 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불쾌감을 유발시키지 않으며, 향을 통해 물감을 구분 선택할 수 있어 시각장애인의 미술 창작 활동에 기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물감수용 용기 부재
110: 몸체부
120: 결합 원통부
121: 나사산부
200: 중간연결 용기 부재
201, 202: 나사산부
300: 향료수용 용기 부재
310: 결합부
311: 나사산부
320: 향료 수용부
400: 결합상태연동 향료 격리 및 배출 수단
410: 링형 플레이트부
420: 지지편부
430: 폐쇄 플레이트부

Claims (12)

  1. 삭제
  2. 물감이 수용되는 상단 개방의 물감수용 용기 부재;
    상기 물감수용 용기 부재의 상단부에 하단부가 결합되는 상하부 개방의 중간연결 용기 부재;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향료가 수용되게 구성되는 향료수용 용기 부재; 및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와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 간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에 수용된 향료가 배출되지 않게 폐쇄되고,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와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 간이 결합해제될 시,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에 수용된 향료가 배출되어 상기 물감수용 용기 부재 내의 물감과 혼합되도록 구성되는 결합상태연동 향료 격리 및 배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물감수용 용기 부재와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 및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 간은 나사산 결합되게 구성되고,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의 나사산부와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의 나사산부는,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가 결합해제 방향으로 일정 정도 회전한 이후 헛돌면서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로부터 탈락되지 않게 형성되고,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는 일면 개방된 통 형상의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내측 중앙부에 형성되어 향료가 수용되는 통 형상의 향료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상태연동 향료 격리 및 배출 수단은,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의 내면에 형성되는 링형 플레이트부와, 상기 링형 플레이트부에서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가지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지지편부, 및 상기 지지편부 각각의 연장단에 연결되는 폐쇄 플레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폐쇄 플레이트부는 단면이 원뿔 형태나 돔 형태 또는 삼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향료 수용부는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와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폐쇄 플레이트부의 상면에 밀접하게 접촉하여 그 개방부가 폐쇄되는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감수용 용기 부재와 중간연결 용기 부재 및 향료수용 용기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는 물감 및 향료의 종류를 읽을 수 있는 점자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
KR1020220139333A 2022-10-26 2022-10-26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 KR102543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9333A KR102543669B1 (ko) 2022-10-26 2022-10-26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
PCT/KR2023/015543 WO2024090843A1 (ko) 2022-10-26 2023-10-10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 및 물감 혼합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9333A KR102543669B1 (ko) 2022-10-26 2022-10-26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3669B1 true KR102543669B1 (ko) 2023-06-15

Family

ID=86763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9333A KR102543669B1 (ko) 2022-10-26 2022-10-26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36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0843A1 (ko) * 2022-10-26 2024-05-02 주식회사 어나더데이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 및 물감 혼합용 용기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9611A (ja) * 1999-02-17 2000-09-05 Tomoaki Iwamoto 視覚障害者用香り付き絵具
KR200312983Y1 (ko) 2003-01-30 2003-05-16 조훈 그림물감용기
KR20110098187A (ko) * 2010-02-26 2011-09-01 곽윤희 향기물감을 구비한 물감용기
KR20120085036A (ko) 2011-01-21 2012-07-31 한국과학기술원 시각장애인용 미술 교육장치
KR200462137Y1 (ko) 2011-03-31 2012-08-30 두현우 물감용기
KR20130048000A (ko) 2011-11-01 2013-05-09 송진익 물감 용기
KR20140140750A (ko) * 2013-05-30 2014-12-10 김성훈 용기 마개
KR20220101417A (ko) * 2021-01-11 2022-07-19 최성민 액상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9611A (ja) * 1999-02-17 2000-09-05 Tomoaki Iwamoto 視覚障害者用香り付き絵具
KR200312983Y1 (ko) 2003-01-30 2003-05-16 조훈 그림물감용기
KR20110098187A (ko) * 2010-02-26 2011-09-01 곽윤희 향기물감을 구비한 물감용기
KR20120085036A (ko) 2011-01-21 2012-07-31 한국과학기술원 시각장애인용 미술 교육장치
KR200462137Y1 (ko) 2011-03-31 2012-08-30 두현우 물감용기
KR20130048000A (ko) 2011-11-01 2013-05-09 송진익 물감 용기
KR20140140750A (ko) * 2013-05-30 2014-12-10 김성훈 용기 마개
KR20220101417A (ko) * 2021-01-11 2022-07-19 최성민 액상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0843A1 (ko) * 2022-10-26 2024-05-02 주식회사 어나더데이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 및 물감 혼합용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3669B1 (ko)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
AU696598B2 (en) Shaker and blender
US6974024B2 (en) Cap device for mixing different kinds of materials separately contained therein and in bottle
AU2018274705B2 (en) A valve assembly
US6136189A (en) Enhanced in-bottle filtration mechanism and techniques
US5878898A (en) Protective overcap assembly for fluid containers
US5743427A (en) Closure member for beverage or food containers
US9988177B1 (en) Bottle with filter and infusion base
AU5188101A (en) Container with separate storage spaces
US20180360245A1 (en) Convertible Silicone Toddler Cup
US5402907A (en) Instantly assembled and mixed beverage vessel
US6908011B2 (en) Cap device for mixing different kinds of materials separately contained therein and in bottle
KR102543667B1 (ko) 물감 혼합용 용기
KR20080016771A (ko) 용기 출구용 뚜껑 구조체
WO2006087740A1 (en) Push-pull cap for bottles
WO1998052862A1 (en) Two compartment, molded plastic, push-pull dispenser
KR101864187B1 (ko) 내용물의 잔량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범용 알뜰캡
JP2005224261A (ja) 飲用具
JPWO2017142024A1 (ja) 混合容器
US3235147A (en) Dual-outlet container closure
US2730273A (en) Self-closing bottle cap
US7448518B2 (en) Dispenser cap and method of use
KR20180026436A (ko) 쉐이크 기능을 갖는 용기
KR102037524B1 (ko) 식용 기름병
AU737696B3 (en) A dispensing c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