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2983Y1 - 그림물감용기 - Google Patents

그림물감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2983Y1
KR200312983Y1 KR20-2003-0003035U KR20030003035U KR200312983Y1 KR 200312983 Y1 KR200312983 Y1 KR 200312983Y1 KR 20030003035 U KR20030003035 U KR 20030003035U KR 200312983 Y1 KR200312983 Y1 KR 2003129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rectangular
triangular coupling
opening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30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훈
Original Assignee
조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훈 filed Critical 조훈
Priority to KR20-2003-00030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29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29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29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D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SERVING PAINTINGS; SURFACE TREATMENT TO OBTAIN SPECIAL ARTISTIC SURFACE EFFECTS OR FINISHES
    • B44D3/00Accessories or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Methods or devices for colour determination, selection, or synthesis, e.g. use of colour tables
    • B44D3/04Paint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D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SERVING PAINTINGS; SURFACE TREATMENT TO OBTAIN SPECIAL ARTISTIC SURFACE EFFECTS OR FINISHES
    • B44D3/00Accessories or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Methods or devices for colour determination, selection, or synthesis, e.g. use of colour tables
    • B44D3/12Paint cans; Brush holders; Containers for storing residual paint

Landscapes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이 고안은 휴대와 사용을 용이하게 하고 그림물감이 낭비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경제성을 가질 수 있는 그림물감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물감(a)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1)을 갖는 용기(10)에 있어서; 상기 용기(10)를 각형하단부(12)와 각형상단부(13)로 구분되게 형성하되 상기 각형상단부(13)의 둘레치수가 각형하단부(12)보다 작은 둘레치수를 갖도록 구성하고 상기 각형하단부(12)는 내측에 각형상단부(13)가 밀접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결합홈부(14)를 가지며 각형하단부(12) 외주연부에는 상호 대향되도록 돌출된 한쌍의 삼각형결합돌기(15) 및 상기 삼각형결합돌기(15)와 직각 방향을 이루고 상호 대향되는 한쌍의 삼각형결합홈부(16)를 일체로 구비하고 각형상단부(13)의 개구부(17)를 밀폐시키는 고무캡부재(18) 및 개구부(17)의 테두리부에 형성된 나사부(19)에 체결되는 덮개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그림물감용기{Colors courage}
본 고안은 그림물감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그림물감용기를 수직 또는 수평방향 등 어느 방향으로도 자유자재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사방으로 연결되는 그림물감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림물감은 색상별로 튜브에 들어 있거나 또는 단순한 용기에 담겨져서 있으므로 사용시에는 파렛트에 짜내거나 덜어서 쓰고 있다.
따라서, 학생의 경우 수평방향으로 부피가 큰 그림물감과 파렛트를 휴대하여야 하므로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을 수반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필요한 양만큼 파렛트에 물감을 덜어 내거나 짜내어서 사용하게 되는데 대부분 쓰고자 하는 물감보다 더 많은 양을 덜어 내거나 짜내어서 사용하게 되므로 물감 낭비를 초래하고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휴대와 사용을 용이하게 하고 그림물감이 낭비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경제성을 가질 수 있는 그림물감용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물감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갖는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를 각형하단부와 각형상단부로 구분되게 형성하되 상기 각형상단부의 둘레치수가 각형하단부보다 작은 둘레치수를 갖도록 구성하고 상기 각형하단부는 내측에 각형상단부가 밀접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결합홈부를 가지며 각형하단부 외주연부에는 상호 대향되도록 돌출된 한쌍의 삼각형결합돌기 및 상기 삼각형결합돌기와 직각방향를 이루고 상호 대향되는 한쌍의 삼각형결합홈부를 일체로 구비하고 각형상단부의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고무캡부재 및 개구부의 테두리부에 형성된 나사부에 체결되는 덮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그림물감용기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그림물감용기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X - X'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의 일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면상태도,
도 9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면상태도,
도 10은 도 9의 "Y" 부분을 보인 확대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용기 11 : 수용공간
12 : 각형하단부 13 : 각형상단부
14 : 결합홈부 15 : 삼각형결합돌기
16 : 삼각형결합홈부 17 : 개구부
18 : 고무캡부재 19 : 나사부
20 : 덮개부재
본 고안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그림물감용기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단면도이며, 도 3은 평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용기(10)는 물감(a)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1)을 구비하고 외형이 다각형태를 갖는 각형하단부(12)와 각형상단부(13)로 구분되게 형성된다.
상기 각형하단부(12)와 각형상단부(13)는 각형상단부(13)의 둘레치수가 각형하단부(12)보다 작은 둘레치수를 갖도록 구성되며, 각형하단부(12)의 내측으로는 각형상단부(13)가 밀접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결합홈부(14)를 갖는다.
또한, 각형하단부(12)의 외주연부에는 한쌍의 삼각형결합돌기(15)가 상호 대향되도록 돌출되어 있으며, 이러한 삼각형결합돌기(15)와는 직각방향를 이루는 위치에 상호 대향되는 한쌍의 삼각형결합홈부(1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형상단부(13)의 개구부(17)를 밀폐시키는 고무캡부재(18)를 구비하고 개구부(17)의 테두리부에 형성된 나사부(19)에 체결되는 덮개부재(20)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그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용기(10)가 수직방향으로 적층되게 연결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그림물감을 보관하거나 가방 등에 휴대하는 경우에 적합한 상태이다.
도 5에 도시된 경우는 1줄로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최하단부에 위치하는 용기(10)로부터 그 위쪽으로 차례대로 적층되는 용기(10)들은 개구부(17)가 고무캡부재(18)에 의해 밀폐된 상태에서 각형상단부(13)가 다른 용기(10)의 각형하단부(12) 결합홈부(14)에 긴밀하게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며 또 다른 용기(10)들도 동일한 상태로 계속 적층시키게 된다.
그리고 최상부에 적층된 용기(10)에는 나사부(19)에 덮개부재(20)를 체결한다.
한편, 적층된 용기(10)의 개구부(17)가 고무캡부재(18)로 밀폐되고 그 고무캡부재(18)가 그 위쪽의 각형하단부(12)의 결합홈부(14) 내부에서 누르고있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물감(a)이 외부로 누출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최상부에 위치하는 용기(10)의 고무캡부재(18)는 덮개부재(20)에 의해서 가압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물감(a)이 외부로 누출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수많은 용기(10)를 휴대 또는보관시에 2줄로 연결되고 적층된 상태를 보여 준다. 이 경우 옆으로 연결되는 용기(10)는 삼각형결합돌기(15)가 그 옆으로 밀착되게 연결되는 다른 용기(10)의 삼각형 결합홈부(16)에 끼워지도록 하여 연결되는 것이고 위쪽으로 적층되는 것은 앞서 도 5 예시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한편, 예컨대 미술시간에 사용할 물감 종류가 5개라고 가정할 때 그것에 필요로 되는 물감 5개를 선별하여 도 7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적층하여 휴대하는 한편, 사용시에는 각각의 물감 용기(10)를 분리해서 도 8에 보인 바와 같이 삼각형결합돌기(15)와 삼각형결합홈부(16)를 결합하여 수평적인 상태로 연결시켜 놓고 사용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용기(10)를 수평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하게 되면 각각의 용기(10)가 개별적으로 흩어지지 않고 한곳에 뭉쳐 있기 때문에 용기(10)가 넘어져서 물감(a)을 흘리는 일이 없게 될 뿐만 아니라 연결된 용기(10)들 자체가 수평적이어서 하나의 파렛트 역할을 가질 수 있게 되므로 물감(a)사용에 있어서도 편리하다.
또한, 물감(a)이 용기(10)에 수용된 상태 그대로를 사용하게 되므로 물감(a) 낭비가 없게 된다.
그리고 물감(a)에 물을 타서 쓰다가 남아 있는 경우에도 물이 섞여져 있는물감(a)을 버리지 않고 그 상태 그대로에서 개구부(17)를 고무캡부재(18)로 밀폐시키고 용기(10)를 적층시켜서 보관해 두었다가 다음번에 다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가일층 물감(a) 낭비를 줄일 수 있게 되거나 없게 되는 것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이 경우는 용기(10)를 파렛트(100)에 수평적으로 연결 및 고정시켜 놓고 사용할 있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파렛트(100)에 삼각형결합홈부(110)를 등간격적으로 형성되게 하고 상기 삼각형결합홈부(110)에 용기(10)의 삼각형결합돌기(15)가 끼워지도록 결합하면 파렛트(100)에 용기(10)가 고정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먼저 결합된 용기(10)의 삼각형결합홈부(16)에 다른 용기(10)의 삼각형결합돌기(15)가 끼워지도록 결합하여 연결시키고 이러한 방법으로 다른 용기(10)들을 계속 연결되게 결합하면 도 9에 보인 바와 같이 파렛트(100)에 다수의 용기(10)가 결합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 경우 물감(a)를 예전과 같이 일일이 덜어서 쓸 필요가 없게 되어 물감(a) 낭비가 없게 되고 물감(a) 끼리 혼합하여 쓸 경우에만 파렛트(100)에 덜어서 섞어 쓰면 되기 때문에 물감을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편리한 사용이 도모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 따르면, 본 고안에 의해 그림물감 휴대와 사용을 용이하게 하고 그림물감이 낭비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효과를 제공하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물감(a)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1)을 갖는 용기(10)에 있어서;
    상기 용기(10)를 각형하단부(12)와 각형상단부(13)로 구분되게 형성하되 상기 각형상단부(13)의 둘레치수가 각형하단부(12)보다 작은 둘레치수를 갖도록 구성하고 상기 각형하단부(12)는 내측에 각형상단부(13)가 밀접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결합홈부(14)를 가지며 각형하단부(12) 외주연부에는 상호 대향되도록 돌출된 한쌍의 삼각형결합돌기(15) 및 상기 삼각형결합돌기(15)와 직각 방향을 이루고 상호 대향되는 한쌍의 삼각형결합홈부(16)를 일체로 구비하고 각형상단부(13)의 개구부(17)를 밀폐시키는 고무캡부재(18) 및 개구부(17)의 테두리부에 형성된 나사부(19)에 체결되는 덮개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그림물감용기.
KR20-2003-0003035U 2003-01-30 2003-01-30 그림물감용기 KR2003129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3035U KR200312983Y1 (ko) 2003-01-30 2003-01-30 그림물감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3035U KR200312983Y1 (ko) 2003-01-30 2003-01-30 그림물감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2983Y1 true KR200312983Y1 (ko) 2003-05-16

Family

ID=49406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3035U KR200312983Y1 (ko) 2003-01-30 2003-01-30 그림물감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298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137Y1 (ko) 2011-03-31 2012-08-30 두현우 물감용기
KR102543667B1 (ko) 2022-10-26 2023-06-15 주식회사 어나더데이 물감 혼합용 용기
KR102543669B1 (ko) 2022-10-26 2023-06-15 주식회사 어나더데이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137Y1 (ko) 2011-03-31 2012-08-30 두현우 물감용기
KR102543667B1 (ko) 2022-10-26 2023-06-15 주식회사 어나더데이 물감 혼합용 용기
KR102543669B1 (ko) 2022-10-26 2023-06-15 주식회사 어나더데이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00164C (en) Container and lid with multiple chambers and related methods
CA2396943C (en) Triple seal container with protrusion
CA1220436A (en) Nestable container
US8381932B2 (en) Storage system
CA2410504A1 (en) Dispensing pouch
KR200476731Y1 (ko) 다종의 크림형 화장품을 분리수용하는 다중 격실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US7703631B2 (en) Container
US5709314A (en) Stackable container with an easy clean seal
US20040104230A1 (en) Collapsible container for transport and storage of goods
GB2231022A (en) Compartmented container with closure
US5947319A (en) Paint can lid with wire handle engagement
KR200312983Y1 (ko) 그림물감용기
AU2018101445A4 (en) Paint Palette Set
US7380679B2 (en) Connectable containers
US7150378B2 (en) Clean container for paint and other fluids
KR200338981Y1 (ko) 물품 보관용 다용도 용기
JP2000302117A (ja) プラスチック容器
KR200167394Y1 (ko) 액체용기의구조
JPH0415659Y2 (ko)
JPH1111451A (ja) 積み重ねと、内部容量が外部より視認できる水、灯油等の着色処理したポリエチレン容器。
IT202100028136A1 (it) Contenitore portatile per alimenti
KR200167208Y1 (ko) 토출용 마개
KR960006490Y1 (ko) 조립식 페인트통
JP2570876Y2 (ja) 二成分混合容器
JPS621393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