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7394Y1 - 액체용기의구조 - Google Patents

액체용기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7394Y1
KR200167394Y1 KR2019990013167U KR19990013167U KR200167394Y1 KR 200167394 Y1 KR200167394 Y1 KR 200167394Y1 KR 2019990013167 U KR2019990013167 U KR 2019990013167U KR 19990013167 U KR19990013167 U KR 19990013167U KR 200167394 Y1 KR200167394 Y1 KR 2001673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ontainer
inlet
circumferential surface
lid
concav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31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윤
Original Assignee
이상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윤 filed Critical 이상윤
Priority to KR20199900131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73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73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73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2Threaded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체용기의 수용공간을 이중으로 구획하여 종류가 다른 액체를 하나의 액체용기의 저장하여 보관할 수 있는 액체용기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수용공간이 구획판(12)에 의하여 제 1수용부(14)와 제 2수용부(16)로 구획되고, 이 제 1수용부(14)의 상단과 제 2수용부(16)의 하단에 외주면에 숫나사산이 형성된 입구(18)가 형성되며, 수용부(14),(16)와 입구(18)가 접촉되는 부분에 자바라형상을 갖는 주름부(22)가 형성된 용기본체(10)와, 내주면에 상기 입구(18)의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산(20)에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암나사산(24)이 형성된 뚜껑(2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액체용기의 구조{Structure of liquid container}
본 고안은 액체용기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체용기의 수용공간을 이중으로 구획하여 종류가 다른 액체를 하나의 액체용기의 저장하여 보관할 수 있는 액체용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용기는 장기간 액체를 저장하여 보관할 수 있다는 점과 취급이 용이하다는 장점으로 인하여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 액체용기에는 여러가지의 액체 예를 들면, 콜라, 사이다, 과일주스, 혼합주스, 식용유, 간장, 식초, 살균표백제, 기름등이 저장되어 보관되어진다. 액체용기는 통상 원형이나 사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지며, 이 액체용기의 상단에는 액체용기의 수용공간을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하는 뚜껑이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액체용기를 이용하여 액체를 저장하여 보관할 수 있었지만, 이러한 액체용기는 수용공간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음으로 액체용기의 수용공간에 종류가 다른 액체를 동시에 저장하여 보관할 수 없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액체용기의 수용공간을 이중으로 구획하여 종류가 다른 액체를 하나의 액체용기의 저장하여 보관할 수 있는 액체용기의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액체용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액체용기의 입구가 수용부의 외측으로 돌출구성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액체용기의 입구가 수용부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뚜껑의 구성을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액체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용기본체 12 : 구획판
14 : 제 1수용부 16 : 제 2수용부
18 : 입구 20 : 숫나사산
22 : 주름부 24 : 암나사산
26 : 뚜껑 28 : 손잡이
30 : 오목홈 32 : 관통공
34 : 돌기 40 : 액체용기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수용공간이 구획판에 의하여 제 1수용부와 제 2수용부로 구획되고, 이 제 1수용부의 상단과 제 2수용부의 하단에 외주면에 숫나사산이 형성된 입구가 형성되며, 수용부와 입구가 접촉되는 부분에 자바라형상을 갖는 주름부가 형성된 용기본체와, 내주면에 상기 입구의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산에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된 뚜껑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의 구조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뚜껑의 상단에 선택적으로 뚜껑의 상면에 밀착되는 손잡이가 구비된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은 액체용기의 중심부분에 내측으로 라운드진 오목홈이 형성되고, 이 오목홈의 중심부분에 슬롯의 형상을 갖는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은 오목홈의 외주면과 관통공의 내주면에 반구형의 형상을 갖는 돌기가 등간격으로 돌출구성된 것을 포함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액체용기의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액체용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액체용기의 입구가 수용부의 외측으로 돌출구성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액체용기의 입구가 수용부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뚜껑의 구성을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을 설명하면, 원통형의 형상을 갖는 용기본체(10)가 구비되고, 이 용기본체(10)의 수용공간은 구획판(12)에 의하여 제 1수용부(14)와 제 2수용부(16)로 구획된다. 제 1수용부(14)와 제 2수용부(16)의 수용공간은 서로 대응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제 1수용부(14)의 상단과 제 2수용부(16)의 하단에 입구(18)가 형성되고, 이 입구(18)의 외주면에는 숫나사산(20)이 형성된다. 수용부(14),(16)와 입구(18)가 접촉되는 부분에 자바라형상을 갖는 구름부(22)가 형성된다. 내주면에 입구(18)의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산(20)에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암나사산(24)이 형성된 뚜껑(26)이 구비되고, 이 뚜껑(26)의 상단에는 손잡이(28)가 외측으로 돌출구성된다. 이 손잡이(28)는 선택적으로 뚜껑(26)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액체용기가 사용되는 상태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사용자가 액체용기(40)의 수용부(14),(16)의 수용공간에 저장되어 보관된 액체를 사용하거나 마실 경우, 뚜껑(26)의 상면에 밀착된 손잡이(28)를 일측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손잡이(28)는 뚜껑(26)의 상면으로 둘출구성된 상태를 갖는다. 회전으로 인하여 손잡이(28)가 뚜껑(26)의 상면으로 돌출구성되면, 손잡이(28)를 잡은 상태에서 손잡이(28)를 외측으로 이동시킨다. 손잡이(28)가 외측으로 이동되면, 수용부(14),(16)의 내측으로 삽입된 입구(18) 및 뚜껑(26)이 수용부(14),(16)의 외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수용부(14),(16)와 입구(18)가 접촉되는 부분에 형성된 자바라형상을 갖는 주름부(22)가 수용부(14),(16)의 외측으로 변형된 상태를 갖는다. 즉, 수용부(14),(16)와 입구(18)가 접촉되는 부분에 자바라형상을 갖는 주름부(22)가 형성되어 있음으로 손잡이(28)를 외측으로 이동시키면, 수용부(14),(16)의 내측에 삽입된 입구(18) 및 뚜껑(26)이 수용부(14),(16)의 외측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반대로, 뚜껑(26)을 수용부(14),(16)의 내측으로 가압하면, 수용부(14),(16)와 입구(18)가 접촉되는 부분에 형성된 자바라형상을 갖는 주름부(22)가 수용부(14),(16)의 내측으로 변형된다. 이때, 입구(18)와 뚜껑(26)이 수용부(14),(16)의 내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갖는다. 주름부(22)의 변형으로 인하여 입구(18)와 뚜껑(26)이 수용부(14),(16)의 내측으로 변형되면, 손잡이(28)의 일면이 뚜껑(26)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손잡이(28)를 뚜껑(26)의 상면으로 밀찰시킨다.
액체용기(40)의 수용공간이 구획판(12)에 의하여 제 1수용부(14)와 제 2수용부(16)로 구획되고, 이 각각의 수용부(14),(16)에 입구(18)가 형성되어 있음으로 하나의 액체용기(40)에 종류가 다른 액체를 저장하여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입구(18)와 뚜껑(26)이 선택적으로 각각의 수용부(14),(16)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음으로 상하 구분 없이 액체용기(40)를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액체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을 설명하면, 액체용기(40)의 중심부분에 내측으로 라운드진 오목홈(30)이 형성되고, 이 오목홈(30)의 중심부분에는 슬롯의 형상을 갖는 관통공(32)이 형성된다. 오목홈(30)의 외주면과 관통공(32)의 내주면에는 반구형의 형상을 갖는 돌기(34)가 등간격으로 돌출구성된다. 오목홈(30)의 외주면과 관통공(32)의 내주면에 미끄럼을 방지하는 돌기(34)가 돌출구성되어 액체용기(40)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청소년이나 아이들과 같이 오목홈(30)을 잡을 수 없을 경우에는 오목홈(30)의 중심부분에 형성된 관통공(32)으로 손을 삽입한 상태에서 오목홈(30)을 잡으면 효과적으로 액체용기(40)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오목홈(30)의 외주면에 반구형의 형상을 갖는 돌기(34)가 등간격으로 복수개 돌출구성되어 있음으로 사용자의 혈행(血行)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오목홈(30)을 잡은 상태에서 액체용기(40)를 이동할 경우 반구형의 형상을 갖는 돌기(34)가 사용자의 손바닥에 있는 혈행을 가압하고, 이 가압력에 의하여 혈행에 있는 이 물질이 혈행을 따라 이동하게 됨으로 혈행의 흐름이 좋게 되는 것이다.
용기본체(l0)의 수용공간이 구획판(12)에 의하여 이중으로 구획되어 있음으로 하나의 액체용기(40)에 종류가 다른 액체를 동시에 저장하여 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 액체용기(40)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입구(18) 및 뚜껑(26)이 각각의 수용부(14),(16)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수용부(14),(16)와 입구(18)가 접촉되는 부분에 자바라형상을 갖는 주름부(22)가 형성되어 있음으로 액체용기(40)의 상하 구분 없이 액체용기(40)를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오목홈(30)의 외주면과 오목홈(30)에 형성된 관통공(32)의 내주면에 반구형의 형상을 갖는 돌기(34)가 복수개 돌출구성되어 있음으로 혈행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더 이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수영부(14),(16)와 접촉되는 부분에 형성된 주름부(22)는 뚜껑(26)이 입구(18)에서 이탈되는 충격에 의하여 좌우로 변형되지 않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액체용기는 구획판에 의하여 수용공간이 이중으로 구획되어 있음으로 하나의 액체용기에 종류가 다른 액체를 동시에 저장하여 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 액체용기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4)

  1. 수용공간이 구획판(12)에 의하여 제 1수용부(14)와 제 2수용부(16)로 구획되고, 이 제 1수용부(14)의 상단과 제 2수용부(16)의 하단에 외주면에 숫나사산이 형성된 입구(18)가 형성되며, 수용부(14),(16)와 입구(18)가 접촉되는 부분에 자바라형상을 갖는 주름부(22)가 형성된 용기본체(10)와,
    내주면에 상기 입구(18)의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산(20)에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암나사산(24)이 형성된 뚜껑(2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의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26)의 상단에 선택적으로 뚜껑(26)의 상면에 밀착되는 손잡이(28)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의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용기(40)의 중심부분에 내측으로 라운드진 오목홈(30)이 형성되고, 이 오목홈(30)의 중심부분에 슬롯의 형상을 갖는 관통공(3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의 구조.
  4. 제 3항에 에 있어서,
    상기 오목홈(30)의 외주면과 관통공(32)의 내주면에 반구형의 형상을 갖는 돌기(34)가 등간격으로 돌출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의 구조.
KR2019990013167U 1999-07-06 1999-07-06 액체용기의구조 KR2001673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3167U KR200167394Y1 (ko) 1999-07-06 1999-07-06 액체용기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3167U KR200167394Y1 (ko) 1999-07-06 1999-07-06 액체용기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7394Y1 true KR200167394Y1 (ko) 2000-02-15

Family

ID=19579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3167U KR200167394Y1 (ko) 1999-07-06 1999-07-06 액체용기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739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35116A (en) Package containers for liquid products
JP2001070124A (ja) 改良型発光カップ
US5492253A (en) Cap attachment for small neck plastic bottle of liquid
US6843062B2 (en) Food container having a separable refrigerant section
US20050218159A1 (en) Container having a depressible member used for ejecting contents
JPS628708A (ja) ブラシ組合せ装置
KR200167394Y1 (ko) 액체용기의구조
KR200488073Y1 (ko) 이종의 내용물 배출이 가능한 액체 배출용기
JP2007176581A (ja) ベースカップを備えた容器
KR200267294Y1 (ko) 탈착 가능한 다단식 음료용기
KR200203751Y1 (ko)
USD302113S (en) Combined dispensing container and cap
KR200217591Y1 (ko) 화장품 용기
KR200312983Y1 (ko) 그림물감용기
JPH052101Y2 (ko)
KR200393324Y1 (ko) 화장품 용기
USD397586S (en) Container with closure for liquid and food
JP2022509650A (ja) 流体ディスペンサ
CN217436531U (zh) 口腔清洁包装瓶和清洁口腔的产品
KR102037524B1 (ko) 식용 기름병
KR200167393Y1 (ko) 액체용기의구조
JP3850114B2 (ja) 卵容器
KR102673255B1 (ko) 회전 스퀴즈 타입의 파우치 용기
CN214297277U (zh) 一种带有插接式分量使用勺子的膏霜瓶盖
KR200339852Y1 (ko) 한 개의 병에 두 가지 음료를 담는 페트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