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7591Y1 -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7591Y1
KR200217591Y1 KR2020000022378U KR20000022378U KR200217591Y1 KR 200217591 Y1 KR200217591 Y1 KR 200217591Y1 KR 2020000022378 U KR2020000022378 U KR 2020000022378U KR 20000022378 U KR20000022378 U KR 20000022378U KR 200217591 Y1 KR200217591 Y1 KR 2002175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smetic
puff
cover
cosmet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23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강식
Original Assignee
연희화학공업주식회사
유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희화학공업주식회사, 유강식 filed Critical 연희화학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223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75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75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7591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품 용기를 제작하는데 있어 별도의 분첩을 사용하기 않고 화장품이 액상이거나 분말일 경우에 용기 캡에 선택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솔이나 분첩을 사용하여 화장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분첩을 포함한 덮개와 화장품을 수용하는 수납용기와, 덮개와 수납용기를 일체로 연결 및 결합되도록 한 연결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덮개와 수납용기의 공간부를 나누는 격벽이 형성되며, 격벽에는 다수의 화장품 공급구멍을 천공하여 화장품이 덮개에 부착된 분첩에 공급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화장품 용기에 수용되는 화장품의 상태에 따라 덮개에 분첩을 부착하거나 화장품용 솔을 부착할 수 있도록 하므로 하나의 용기를 가지고 2가지 형태의 화장품 용기로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이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 {A cosmetic vessel}
본 고안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품 용기를 제작하는데 있어 별도의 분첨을 사용하기 않고 화장품이 액상이거나 분말일 경우에 용기캡에 선택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솔이나 분첩을 사용하여 화장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한 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용기는 화장품의 용도나 성분 또는 상태에 따라 그 용기를 달리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 예로 로션이나 스킨과 같은 액상물질의 경우 유리로 형성한 병에 담아 판매하고 있으며, 헤어 스프레이의 경우 가스와 같이 용기내에 수납되므로 용기가 외부의 충격에 견딜수 있는 금속물질을 사용하고 있으며 내용물의 유출 또한 버튼식으로 외압이 가해 졌을 경우에 내용물이 토출되도록 하였으며, 화장품의 상태가 고체 상태 또는 액체 상태인지에 따라 화장품을 담는 용기는 각기 그 형태를 달리하여 사용하여 왔다.
특히 파운데이션과 같이 액상이나 분말 또는 분말을 압축한 상태로 나누어진 화장품의 경우 그 화장품 용기는 판이하게 다른 용기를 채택하여 사용되고 있는 실정으로 같은 효능을 가지고 있는 화장품을 개발하여도 그 화장품을 담아둘 화장품 용기를 각기 개발하여야 하는 애로 사항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화장품 용기를 제작하는데 있어 별도의 분첨을 사용하기 않고 화장품이 액상이거나 분말일 경우에 용기캡에 선택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솔이나 분첩을 사용하여 화장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분첩을 일체로 부착한 덮개와, 화장품을 수용하는 수납용기와, 상기 덮개와 수납용기를 고정하는 연결부재로 구성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덮개와 수납용기의 공간을 분리하는 격벽을 형성함과 아울러 이 격벽에는 다수의 공급구멍을 형성하여 수납용기의 화장품이 공급구멍을 통해 덮개에 일체로 형성된 솔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화장품 용기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화장품 용기의 형상을 나타내기 위해 분해한 상태의 단면도.
도 4a는 분말가루 화장품을 사용할 경우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b는 분말가루 화장품을 솔에 묻히는 상태의 단면도.
도 4c는 분말가루의 화장품을 묻힌 상태의 솔을 분리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액상의 화장품을 사용할 경우의 덮개에 솔을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화장품 용기 10 : 덮개
11 : 암나사 12 : 고정홈
13 : 분첩 20 : 연결부재
21 : 숫나사 22: 삽입부
23 : 격벽 24 : 체결부
25 : 체결돌기 30 : 수납용기
31 : 체결단 32 : 체결 홈
40 : 화장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일실시 예로서 화장품 용기에 담긴 화장품이 액상일 경우에 사용되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와 분해 사시도로서 분첩(粉貼)을 포함한 덮개(10)와, 화장품을 수용하는 수납용기(30)와, 덮개(10)와 수납용기(30)를 연결 및 고정하는 연결부재(20)로 구성된다.
상기 덮개(10)는 하부가 개구되어 연결부재(20)과 결합할 수 있도록 내측면에는 암나사(11)가 형성되고, 개구된 내측 상부면에는 소정 크기로 분첩(13)을 고정하는 고정홈(12)이 형성되어 분첩(13)이 일체로 부설된다.
상기 덮개(10) 하부에 위치하며 수납용기(30)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재(20)가 위치되고, 이 연결부재(20)는 상부가 덮개(10)의 내측으로 끼워질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덮개(10)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11)와 맞물리도록 외주면에 숫나사(21)가 형성되며, 연결부재(20)의 상면은 개구되며 하방향으로 분첩(13)이 삽입되어 위치할 수 있도록 삽입부(22)가 형성되고, 삽입부(22)의 저면은 덮개(10)와 수납용기(30)의 공간을 나누는 격벽(23)으로 형성되며, 격벽(23)에는 삽입부(22) 내부에 위치하는 분첩(13)에 화장품을 공급할 수 있도록 다수의 공급구멍(23a)이 형성되어 액상 또는 분말의 화장품이 분첩(13)에 공급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덮개(10)의 하부는 상부단의 외주연 보다 크게 형성되어 삽입부(22)와의 사이에 수납용기(30)의 체결단(31)이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체결부(24)가 형성되며 하단 외주연부에는 내측으로 돌출한 체결돌기(25)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재(20)의 하부에 수납용기(30)가 위치하여 결합되며, 수납용기(30)는 상부단이 연결부재(20)의 저면을 통해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 체결부(24)에 끼워질 수 있는 체결단(31)이 형성되고, 체결단(31)의 하단에는 연결부재(20)의 하단에 형성된 체결돌기(25)가 결착되는 체결 홈(32)이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화장품 용기(1)는 수납용기(30)의 내용물인 화장품(40)을 분첩(13)에 묻히기 위해서는 도 4A 사용상태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분첩(13)이 부착된 덮개(10)가 아래 위치하도록 화장품 용기(1)를 도 4B와 같이 거꾸로 뒤집어 주게 되면 수납용기(30)에 담긴 화장품(40)이 연결부재(20)에 형성된 공급구멍(23a)을 통해 연결부재(20)의 삽입부(22)에 흘러들게 되고 이때 삽입부(22)에 위치한 분첩(13)에 적당량의 화장품(40)이 묻게되면 사용자는 도 4B와 같이 화장품 용기(1)를 다시 바로 세운 후 덮개(10)를 회전시켜 연결부재(20)에서 이탈시켜 분첩(13)에 묻은 화장품(40)으로 화장을 할 수 있게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화장품 용기(1)의 수납용기(30)에 분말의 화장품(1)을 수납했을 경우에 적용되는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덮개(10)에 부착되는 분첩(13)을 솔(14)로 대체하여 사용하도록 한 것으로 덮개(10)의 내측 하부면에 형성된 고정홈(12)에 화장품(40)을 묻혀 얼굴에 바르는 솔(14)을 접착제 등으로 접착하여 사용하게된다.
수납용기(30)에 담기는 화장품(4)이 액체 상태와 분말 상태일 경우에 격벽(23)에 형성한 공급구멍(23a)의 크기는 그 크기를 달리하여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 용기를 제작하는데 있어 별도의 분첨을 사용하기 않고 화장품이 액상이거나 분말일 경우에 용기캡에 선택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솔이나 분첩을 사용하여 화장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분첩(13)이 일체로 고정된 덮개(10)와, 분말 또는 액체의 화장품(40)을 수용하는 수납용기(30)와, 덮개(10)와 수납용기(30)를 일체로 고정하며 덮개(10)와 수납용기(10)의 공간을 분할하는 격벽(23)에는 화장품(40)을 공급하는 다수의 공급구멍(23a)이 형성된 연결부재(2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하는 화장품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덮개(10)의 내측에 부착된 분첩(13)을 솔(14)로 구성함을 특징으로하는 화장품 용기.
KR2020000022378U 2000-08-05 2000-08-05 화장품 용기 KR2002175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378U KR200217591Y1 (ko) 2000-08-05 2000-08-05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378U KR200217591Y1 (ko) 2000-08-05 2000-08-05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7591Y1 true KR200217591Y1 (ko) 2001-03-15

Family

ID=73086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2378U KR200217591Y1 (ko) 2000-08-05 2000-08-05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7591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686Y1 (ko) 2009-12-23 2011-11-11 이병진 화장품용기의 캡
KR200458211Y1 (ko) 2009-03-20 2012-01-30 (주)아모레퍼시픽 고형 파우더 분쇄기능을 갖는 화장품 용기
KR200463032Y1 (ko) 2009-12-15 2012-10-16 주식회사 태성산업 화장품용기
KR101810811B1 (ko) * 2017-01-05 2017-12-21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화장품 용기
WO2021112505A1 (ko) * 2019-12-06 2021-06-10 주식회사 비주얼라이저 아이브로우 메이크업 어플리케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211Y1 (ko) 2009-03-20 2012-01-30 (주)아모레퍼시픽 고형 파우더 분쇄기능을 갖는 화장품 용기
KR200463032Y1 (ko) 2009-12-15 2012-10-16 주식회사 태성산업 화장품용기
KR200456686Y1 (ko) 2009-12-23 2011-11-11 이병진 화장품용기의 캡
KR101810811B1 (ko) * 2017-01-05 2017-12-21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화장품 용기
US11083274B2 (en) 2017-01-05 2021-08-10 Samhwa Co., Ltd. Cosmetic container
WO2021112505A1 (ko) * 2019-12-06 2021-06-10 주식회사 비주얼라이저 아이브로우 메이크업 어플리케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KR20210071626A (ko) * 2019-12-06 2021-06-16 주식회사 비주얼라이저 아이브로우 메이크업 어플리케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KR102294838B1 (ko) * 2019-12-06 2021-08-27 주식회사 비주얼라이저 아이브로우 메이크업 어플리케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97487B1 (en) Compact type of airtight cosmetic container
KR100479410B1 (ko) 화장품 용기
US4308879A (en) Coating implement and applicator
US6200045B1 (en) Combination cosmetics package
KR101784737B1 (ko) 탄성 재질의 내용물용기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200217591Y1 (ko) 화장품 용기
JP4261086B2 (ja) 詰替え式容器
US20030161675A1 (en) Cosmetic powder applicator and method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JP2004106932A (ja) 商品容器
KR200479286Y1 (ko) 뚜껑의 내부에 독립된 밀폐 보조수용공간을 갖는 화장품 용기
KR200220252Y1 (ko) 이중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CN107205535A (zh) 带有化妆品套件的瓶盖
KR0120282Y1 (ko) 리필 전용 용기
JP2004129712A (ja) 携帯型液状化粧品容器
KR20110105309A (ko) 화장품 용기 및 그 제조방법
JPH0722980U (ja) 二成分混合容器
CN215532322U (zh) 一种纵置腔体式化妆品容器
KR20240065652A (ko) 괄사가 구비된 자 타입의 화장품 용기
JP3224232U (ja) ディスペンサー容器
KR200491548Y1 (ko) 화장품 용기
KR102016445B1 (ko) 이중 티슈팩용 캡 및 이러한 캡이 적용된 이중 티슈팩
JP2570269Y2 (ja) 二成分混合容器
JP3705840B2 (ja) コンパクト容器
KR200382331Y1 (ko) 분말화장품 용기
KR102083633B1 (ko) 내용물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