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090843A1 -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 및 물감 혼합용 용기 - Google Patents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 및 물감 혼합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090843A1
WO2024090843A1 PCT/KR2023/015543 KR2023015543W WO2024090843A1 WO 2024090843 A1 WO2024090843 A1 WO 2024090843A1 KR 2023015543 W KR2023015543 W KR 2023015543W WO 2024090843 A1 WO2024090843 A1 WO 202409084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member
perfume
paint
container
intermediat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1554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지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어나더데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13930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543667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13933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543669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어나더데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어나더데이
Publication of WO202409084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09084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D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SERVING PAINTINGS; SURFACE TREATMENT TO OBTAIN SPECIAL ARTISTIC SURFACE EFFECTS OR FINISHES
    • B44D3/00Accessories or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Methods or devices for colour determination, selection, or synthesis, e.g. use of colour tables
    • B44D3/04Paint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D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SERVING PAINTINGS; SURFACE TREATMENT TO OBTAIN SPECIAL ARTISTIC SURFACE EFFECTS OR FINISHES
    • B44D3/00Accessories or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Methods or devices for colour determination, selection, or synthesis, e.g. use of colour tables
    • B44D3/06Implements for stirring or mixing paints
    • B44D3/08Implements for stirring or mixing paints for liquid or semi-liquid pa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D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SERVING PAINTINGS; SURFACE TREATMENT TO OBTAIN SPECIAL ARTISTIC SURFACE EFFECTS OR FINISHES
    • B44D3/00Accessories or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Methods or devices for colour determination, selection, or synthesis, e.g. use of colour tables
    • B44D3/12Paint cans; Brush holders; Containers for storing residual pai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1/00Teaching hand-writing, shorthand, drawing, or painting
    • G09B11/10Teaching pain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cial container for fragrance paints for the visually impaired. More specifically, the paint and the fragrance to be mixed with the paint are stored separately, and the fragrance ingredients are mixed with the paint only when used, thereby maintain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int and fragrance during use.
  • This relates to a special container for scented paints for the visually impaired, which can eliminate the unpleasant odor inherent in paint, and allows visually impaired people to use it easily.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for mixing paints, and more specifically, the paints of two colors are stored separately, so that each paint can be used. If two colors are to be mixed, they can be mixed easily and quickly. It relates to a container for mixing paints.
  • paints are contained in tubes by color or in simple containers, so when using them, they are squeezed out or dispensed onto a palette.
  • paint is used by dispensing or squeezing out the necessary amount of paint on a palette. In most cases, more paint is dispensed or squeezed out than the amount of paint to be used, which causes waste of paint and is uneconomical.
  •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im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maintains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int and fragrance when used by allowing the fragrance component to be mixed with the paint, eliminates the unpleasant odor inherent in the paint, and is convenient for the visually impaired.
  •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pecial container for perfume for the visually impaired that can be used easily.
  •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is that the two colors of paint are stored separately, so each paint can be used, and when two colors are to be mixed, they can be mixed easily and quickly.
  • the purpose is to provide a container for mixing paints.
  • a paint container member with an open top in which the paint is accommodated;
  • An intermediate connection container member with upper and lower openings whose lower end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paint container member;
  • a fragrance accommodating container member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container member and configured to accommodate a fragrance;
  • the It includes: a combined state-linked perfume isolation and discharge means configured to discharge the perfume contained in the perfume accommodating container member and mix it with the paint in the paint accommodating container member, wherein the perfume accommodating container member includes a cylindrical coupling part with one side open; and a cylindrical fragrance accommodating portion formed in the inner central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to accommodate the flavor
  • the coupled state-linked flavor isolating and discharging means includes a ring-shaped plate
  • the paint receiving container member, the intermediate connection container member, and the perfume receiving container member are configured to be threadedly coupled, and the threaded portion of the intermediate connecting container member and the threaded portion of the perfume receiving container member are configured to contain the perfume. It is preferable that the receiving container member rotates to a certain degree in the disengagement direction and then rotates so that it does not fall off from the intermediate connection container member.
  • the closed plate portion may have a cone-shaped, domed-shaped, or triangular cross-section.
  • Braille that can read the types of paint and perfume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paint container member, the intermediate connection container member, and the perfume container member.
  • the special container for perfume for the visually impaired may further include an isolation reinforcement means provided in the coupled state-linked perfume isolation and discharge means to reinforce the isolation state of the perfume.
  • the isolation reinforcement means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ontainer accommodating por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losing plate portion and is formed as a cylindrical fitting engaging portion into which the opening end of the container accommodating portion of the perfume accommodating container member is fitted. You can.
  • a container member for first color paint having an open top in which the first color paint is accommodated;
  • An intermediate connection container member with upper and lower openings whose lower end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color paint container member;
  • a container member for a second color paint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container member and configured to accommodate a second color paint; and Isolation provided in the intermediate connection container member and configured to isolate or discharge the second color paint contained in the second color paint container member depending on the coupling state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container member and the second color paint container member -
  • It includes an isolation release means; wherein the container member for the second color paint includes a cylindrical coupling portion with one side open, and a cylindrical second color paint container formed in the inner central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to accommodate the second color paint.
  • the isolation-release means includes a ring-shaped plate portion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container member, a support piece portion extending radially and having a gap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ring-shaped plate portion, and the support. It includes a closing plate portion connected to the extension end of each of the pieces, wherein the second color paint receiving portion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closing plate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intermediate connection container member and the second color paint container member are coupled.
  • the special perfume container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perfume and paint from mixing even if the container is shaken during transportation or movement because the perfume and paint are separated and partitioned stably and reliably.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nsuring product reliability by ensuring that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int and fragrance are maintained during use by allowing the fragrance ingredient to be mixed with the paint.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liminating the unique odor of paint and not causing discomfort to the user.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contributing to the art creation activities of the visually impaired by allowing paints to be distinguished and selected through scent.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paints of two colors from mixing even if the container is shaken during transportation or movement because the paints of the two colors are separated and partitioned stably and reliably.
  •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pecial container for perfume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special perfume container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d.
  •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special container for perfume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d.
  •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mediate connection container member included in the special container for perfume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 perfume-receiving container member included in a special container for perfume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paint and perfume are separately accommodated in a special container for perfume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 plan view showing an isolation-release means equipped with an isolation reinforcement means included in a special container for perfume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solation-release means equipped with an isolation reinforcement means included in a special container for perfume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unit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is hardware or software or hardware and It can be implemented through a combination of software.
  •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pecial container for perfume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special container for perfume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mediate connection container member included in the special container for perfume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view showing the perfume accommodating container member included in the special container for perfume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paint and fragrance are separately accommodated in a special container for fragrance paint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special container for fragrance paints for the visually impaired is a special container for fragrance paints for the visually impaired that stores fragrances and paints separately and allows the fragrances and paints to be mixed when used, as shown in Figures 1 to 6, It largely includes a paint container member 100, an intermediate connection container member 200, a perfume container member 300, and a perfume isolation and discharge means 400 linked to the combined state.
  • the paint mixing container is a paint mixing container configured to store the first color paint and the second color paint separately and to mix the first color paint and the second color paint when used, It includes a container member for receiving the color paint, an intermediate connection container member, a container member for receiving the second color paint, and isolation-release means.
  • the first color paint container member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paint container member 100
  • the intermediate connection container member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intermediate connection container member 200
  • the second color paint container member has the same configuration.
  • the isolation-release means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coupled state-linked perfume isolation and discharge means 400.
  • the description of the special container for perfume paint for the visually impaired can be applied equally to the container for mixing paint, and the paint is understood to correspond to the first color paint, and the perfume is understood to correspond to the first color paint. It can be.
  • the special container for fragrance paints for the visually impaired is a special container for fragrance paints for the visually impaired that stores fragrances and paints separately and allows the fragrances and paints to be mixed when used, as shown in Figures 1 to 6.
  • the paint container member 100 is formed in the form of a container with an open top and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paint;
  • a fragrance accommodating container member 300 detach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upper end)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container member 200 and configured to accommodate a fragrance; and is provided in the intermediate connection container member 200 and is configured to isolate or discharge the perfume contained in the perfume accommodating container member 300 depending on the coupling state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container member 200 and the perfume accommodating container member 300.
  • the perfume contained in the perfume receiving container member 300 is closed so as not to be discharged, and the intermediate connection container member 200 and When the perfume accommodating container member 300 is disconnected, the perfume contained in the perfume accommodating container member 300 is discharged and mixed with the paint in the paint accommodating container member 100. Fragrance isolation and discharge linked to the coupling state. It includes means 400;
  • the paint container member 100 is a component formed in the form of a container with an open top to accommodate paint.
  • the paint container member 100 has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top and a closed bottom, preferably a cylindrical shape.
  • the upper part of the paint container member 100 has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body portion 110 and has a coupling cylindrical portion 120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intermediate connection container member 200, and the coupling cylindrical portion A threaded portion 121 is formed on the outer edge of (120) and is threadedly coupled to the intermediate connection container member 200.
  • the intermediate connection container member 200 is a component whose one end (lower e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paint container member 100.
  • the intermediate connection container member 20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upper and lower openings, and is threadedly coupled to the coupling cylindrical portion 120 of the paint receiving container member 100 through a threaded portion 201 formed on the inner edge of the lower end.
  • the intermediate connection container member 200 has a threaded portion 202 formed on the inner edge of the upper end, and the fragrance receiving container member 300 is coupled and disengaged through the threaded portion 202.
  • the perfume accommodating container member 30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upper end)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container member 200 and is a component that accommodates the perfume so that it can be discharged.
  • the fragrance accommodating container member 300 is formed in a cylindrical coupling part 310 with one side (lower surface in the drawing) open and the other surface (upper surface in the drawing) closed, and an inner central portion of the coupling part 310 to store the perfume. It includes a barrel-shaped flavor receiving portion 320 in which is accommodated.
  • the fragrance accommodating portion 320 is in a state in which the flavor accommodating container member 300 and the intermediate connection container member 200 are fully coupled, and the end of the flavor accommodating portion 320 is connected to the combined state,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It is formed to pressurize and contact the closing plate portion or partition plate of the discharge means 400.
  • the end of the fragrance receiving part 320 is formed to protrude more than the end of the coupling part 310.
  • the height of the fragrance receiving portion 320 is formed to b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coupling portion 310. This is closely related to the bonded state-linked flavor isolation and discharge means 400,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 a threaded portion 311 is formed on the lower outer edge of the coupling portion 310 of the fragrance receiving container member 300 and is threadedly coupled to the threaded portion 202 on the upper end side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container member 200.
  • the coupling portion 310 In the threaded connection between the threaded portion 311 of the coupling portion 310 of the fragrance receiving container member 300 and the threaded portion 202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container member 200, the coupling portion 310 The threaded portion 311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container member 200 and the threaded portion 202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container member 200 are separated to a certain degree by rotating the fragrance receiving container member 300 in the disengaging direction, but the flavor receiving container member 300 is connected to the intermediate connection. It is preferable that it is formed so that it does not fall off from the container member 200.
  • the fragrance receiving container member 300 when the fragrance receiving container member 300 is disengaged, it rotates to a certain degree to disengage, but after a certain degree, the thread of the coupling portion 310 is rotated to prevent it from falling off from the intermediate connection container member 200.
  • the portion 311 and the threaded portion 202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container member 200 are formed.
  • the two members are decoupled through the mutual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crew threads and are configured to prevent the two members from being separated while spinning at a certain rotation point. Since this is a known metho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coupled state-linked perfume isolation and discharge means 400 is provided on the intermediate connection container member 200 to receive the perfume according to the coupling state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container member 200 and the perfume receiving container member 300. It is a component configured to isolate or discharge the fragrance contained in the container member 300.
  • the fragrance receiving container member 300 is accommodated in the flavor receiving portion 320 of the flavor receiving container member 300 when the intermediate connection container member 200 and the flavor receiving container member 300 are coupled.
  • the perfume is closed so as not to be discharged and the intermediate connection container member 200 and the perfume accommodating container member 300 are released, the perfume accommodated in the perfume accommodating portion 320 of the perfume accommodating container member 300 is released. It is a component configured to be discharged toward the paint container member 100 and mixed with the paint.
  • the coupled state-linked flavor isolation and discharge means 400 includes a ring-shaped plate portion 410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container member 200, and a peripheral portion of the ring-shaped plate portion 410. It includes support piece portions 420 that are spaced in each direction and extend radially, and a closing plate portion 430 connected to each extension end of the support piece portions 420.
  • the ring-shaped plate portion 41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ring shape or a square ring shape.
  • the support piece portion 42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lavor accommodating container member 300 is coupled to the intermediate connection container member 200, so that the flavor accommodating portion 320 of the flavor accommodating container member 300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losing plate portion 430. When it comes into contact (pressure contact), it acts as an elastic body.
  • the support piece portion 420 is formed between the lower threaded portion 201 and the upper threaded portion 202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container member 200.
  • the closing plate portion 430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opening of the perfume accommodating portion 320 of the perfume accommodating container member 300.
  • the closing plate portion 430 preferably has a cone-shaped, dome-shaped, or triangular cross-section. This means that when the fragrance accommodating container member 300 is rotated in the uncoupling direction and separated to a certain extent, the opening of the fragrance accommodating part 320 closed by the closing plate part 430 is opened, and the fragrance discharged therefrom is inclined. This is to allow it to flow down the upper surface of the closing plate 320, pass through the support piece portion 420, and flow into the paint container member 100.
  • the open end of the flavor receiving portion 320 is shap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losing plate portion 430.
  • Figure 7 is a plan view showing an isolation-release means equipped with an isolation reinforcement means included in the special container for perfume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 is a plan view showing the isolation-release means included in the special container for perfume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solation-release means equipped with isolation reinforcement means.
  • the combination state-linked perfume isolation and discharge means 400 of the embodiment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ontainer receiving portion 32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losing plate portion 430, and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ontainer receiving portion 320 to form the perfume accommodating container member 300. ) may further include an isolation reinforcement means into which the opening end of the container receiving portion 320 is fitted.
  • the isolation reinforcement means may be formed as a cylindrical fitting portion 440.
  • a ring-shaped O-ring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fitting portion.
  • the fitting coupling portion 440 is formed in the closing plate portion 430 in this way, the flavor receiving container member 300 and the intermediate connection container member 200 are coupled to form the flavor receiving portion 320 and the closing plate portion 430.
  • ) is in contact with the opening end of the perfume accommodating portion 320 of the perfume accommodating container member 300 and is fitted into the fitting portion 440 to prevent the perfume contained in the perfume accommodating portion 320 from leaking. It can reliably prevent perfume leakage during transport.
  • the ring-shaped plate portion 410 may be omitted in the combined state-linked perfume isolation and discharge means 400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 the coupled state-linked flavor isolation and discharge means 400 includes a support piece portion that has a circumferential gap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container member 200 and extends radially, and each of the support piece portions.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losing plate portion connected to the extension end of.
  • the support piece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lower threaded portion 201 and the upper threaded portion 202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container member 200.
  • the closing plate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fitting portion 440 and an O-ring as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 the coupled state-linked flavor isolation and discharge means 400 is another embodiment, and includes a partition plate formed by dividing the upper and lower part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container member 200, and an edge of the partition plate, Preferably, it may include a perfume passing hole formed at the joint between the intermediate connection container member 200 and the partition plate.
  • the partition plate preferably has a cone-shaped, dome-shaped, or triangular cross-section.
  • the partition plate is formed between the lower threaded portion 201 and the upper threaded portion 202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container member 200.
  •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plate may be provided with a fitting portion 440 and an O-ring as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 the perfume passing holes may be formed in plurality at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re formed in the partition plate other than the portion where the opening of the perfume accommodating portion 320 of the perfume accommodating container member 300 contacts.
  • the above-described special container for perfume for the visually impaired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paint container member 100, the intermediate connection container member 200, and the perfume container member 300, and the user, a visually impaired person, can type the types of paint and perfume with his or her finger. Braille that can be read by tracing is formed.
  • the special container for perfume for the visually impaired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irst accommodates a predetermined amount of perfume in the perfume container 320 with the perfume container member 300 facing upward, and then accommodates the perfume.
  • the perfume accommodating portion 320 is closed by the closing plate portion 430 or partition plate formed on the intermediate connection container member 200. And in this state, the intermediate connection container member 200 is coupled with the paint container member 100, so that the perfume and paint are in a separated state, as shown in FIG. 7.
  • the fitting portion 440 which is the above-mentioned isolation reinforcement means, is formed on the closing plate portion 430 or the partition plate, the perfume can be closed more reliably.
  • the fragrance accommodating container member 300 when in use, the fragrance accommodating container member 300 is rotated in the disengaging direction so that the fragrance accommodating container member 300 rises, and the fragrance accommodating portion 320 of the flavor accommodating container member 300 is connected to the closing plate portion 430. ) or spaced apart from the partition plate, and thus the perfume contained in the perfume container 320 flows into the paint container member 100 under its own weight and is mixed with the paint.
  • the perfume and paint are stably and reliably separated and partitioned to prevent the perfume and paint from mixing even if the container is shaken during transportation or movement.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eliminating the unique smell of paint, so it does not cause discomfort to the user, and can contribute to the art creation activities of the visually impaired by distinguishing and selecting paints through sc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감과 물감에 혼합될 향료로 분리 수용되어 있고 사용 시에만 향 성분이 물감이 혼합되도록 함으로써 사용 시 물감과 향료의 물성이 유지되도록 하고, 물감 고유의 불쾌한 냄새를 없앨 수 있으며, 시각장애인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감이 수용되는 상단 개방의 물감수용 용기 부재; 상기 물감수용 용기 부재의 상단부에 하단부가 결합되는 상하부 개방의 중간연결 용기 부재;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향료가 수용되게 구성되는 향료수용 용기 부재; 및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와 향료수용 용기 부재의 결합 상태에 따라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에 수용된 향료가 격리 또는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결합상태연동 향료 격리 및 배출 수단;을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 및 물감 혼합용 용기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감과 물감에 혼합될 향료로 분리 수용되어 있고 사용 시에만 향 성분이 물감이 혼합되도록 함으로써 사용 시 물감과 향료의 물성이 유지되도록 하고, 물감 고유의 불쾌한 냄새를 없앨 수 있으며, 시각장애인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물감 혼합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 색상의 물감이 분리 수용되어 있어 각각의 물감을 사용할 수 있으며, 두 색상을 물감을 혼합하고자 하는 경우 용이하고 신속하게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물감 혼합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림물감은 색상별로 튜브에 들어 있거나 또는 단순한 용기에 담겨져서 있으므로 사용시에는 파렛트에 짜내거나 덜어서 쓰고 있다.
따라서, 사용 시 수평방향으로 부피가 큰 그림물감과 파렛트를 휴대하여야 하므로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을 수반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필요한 양만큼 파렛트에 물감을 덜어 내거나 짜내어서 사용하게 되는데 대부분 쓰고자 하는 물감보다 더 많은 양을 덜어 내거나 짜내어서 사용하게 되므로 물감 낭비를 초래하고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물감을 사용하다 보면, 물감 특유의 냄새 때문에 학생들의 기분이 불쾌해지고 두통까지 생기는 경우가 종종 있다. 따라서, 이러한 냄새 때문에 미술에 대한 흥미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물감을 사용하여 그린 그림에도 물감 특유의 냄새가 남아 있기 때문에, 그림에 대한 애착도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량의 점도가 큰 물감이나 페인트를 혼합하는 경우 균일하게 섞이도록 골고루 잘 저어 주는 것은 쉽지 않다. 이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용기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편, 시각 장애인들은 시각을 사용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세상을 인지하는 것의 대부분을 시각에 의존하는 사람들과 사회를 이루고 살아간다. 이로 인해 이들은 많은 어려움을 겪으며 사회로부터 소외된다. 시각 장애인에게 미술을 교육하는 것은 이러한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일 예로, 기존의 시각 장애인용 미술 교육과 관련하여 여러 도구가 제안되어 있으며, 촉각적 감각만을 사용하도록 제작된다. 촉각만으로도 일부 미술 작품을 창작할 수 있도록 교육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존 시각장애인용 미술 교육 도구는 대부분 입체적 형태이며, 시각 장애가 있는 사람이 2차원 평면에 그림을 그리는 활동을 고려하여 물감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도구는 전혀 제안되어 있지 않으며, 이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실정이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 시에 향 성분이 물감이 혼합되도록 함으로써 사용 시 물감과 향료의 물성이 유지되도록 하고, 물감 고유의 불쾌한 냄새를 없앨 수 있으며, 시각장애인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두 색상의 물감이 분리 수용되어 있어 각각의 물감을 사용할 수 있으며, 두 색상을 물감을 혼합하고자 하는 경우 용이하고 신속하게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물감 혼합용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물감이 수용되는 상단 개방의 물감수용 용기 부재; 상기 물감수용 용기 부재의 상단부에 하단부가 결합되는 상하부 개방의 중간연결 용기 부재;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향료가 수용되게 구성되는 향료수용 용기 부재; 및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와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 간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에 수용된 향료가 배출되지 않게 폐쇄되고,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와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 간이 결합해제될 시,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에 수용된 향료가 배출되어 상기 물감수용 용기 부재 내의 물감과 혼합되도록 구성되는 결합상태연동 향료 격리 및 배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는 일면 개방된 통 형상의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내측 중앙부에 형성되어 향료가 수용되는 통 형상의 향료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상태연동 향료 격리 및 배출 수단은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의 내면에 형성되는 링형 플레이트부와, 상기 링형 플레이트부에서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가지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지지편부, 및 상기 지지편부 각각의 연장단에 연결되는 폐쇄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향료 수용부는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와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폐쇄 플레이트부의 상면에 접촉하여 그 개방부가 폐쇄되는 높이를 갖는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물감수용 용기 부재와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 및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 간은 나사산 결합되게 구성되며,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의 나사산부와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의 나사산부는,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가 결합해제 방향으로 일정 정도 회전한 이후 헛돌면서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로부터 탈락되지 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폐쇄 플레이트부는 단면이 원뿔 형태나 돔 형태 또는 삼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물감수용 용기 부재와 중간연결 용기 부재 및 향료수용 용기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는 물감 및 향료의 종류를 읽을 수 있는 점자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는 상기 결합상태연동 향료 격리 및 배출 수단에 구비되어 상기 향료의 격리 상태를 보강하도록 구성되는 격리 보강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격리 보강 수단은 상기 폐쇄 플레이트부의 상면에서 상기 용기 수용부의 형상과 상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의 용기 수용부의 개구 단부가 끼움되는 통 형상의 끼움 결합부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제1 색상 물감이 수용되는 상단 개방의 제1색상물감수용 용기 부재; 상기 제1색상물감수용 용기 부재의 상단부에 하단부가 결합되는 상하부 개방의 중간연결 용기 부재;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제2 색상 물감이 수용되게 구성되는 제2색상물감수용 용기 부재; 및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와 제2 색상물감수용 용기 부재의 결합 상태에 따라 상기 제2색상물감수용 용기 부재에 수용된 제2 색상 물감이 격리 또는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격리-격리해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색상물감수용 용기 부재는 일면 개방된 통 형상의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내측 중앙부에 형성되어 제2 색상 물감이 수용되는 통 형상의제2색상물감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격리-격리해제 수단은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의 내면에 형성되는 링형 플레이트부와, 상기 링형 플레이트부에서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가지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지지편부, 및 상기 지지편부 각각의 연장단에 연결되는 폐쇄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색상물감 수용부는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와 상기 제2색상물감수용 용기 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폐쇄 플레이트부의 상면에 접촉하여 그 개방부가 폐쇄되는 높이를 갖고 형성되는 물감 혼합용 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향료와 물감이 안정적이고 확실하게 분리 구획되어 있어 운반이나 이동 시 용기에 요동이 발생하는 경우라도 향료와 물감이 혼합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사용 시에 향 성분이 물감이 혼합되도록 함으로써 사용 시 물감과 향료의 물성이 유지되도록 하여 제품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물감 특유의 냄새를 없앨 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불쾌감을 유발시키지 않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향을 통해 물감을 구분 선택할 수 있어 시각장애인의 미술 창작 활동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두 색상의 물감이 안정적이고 확실하게 분리 구획되어 있어 운반이나 이동 시 용기에 요동이 발생하는 경우라도 두 색상의 물감이 혼합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에 포함되는 각 구성부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에 포함되는 각 구성부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에 포함되는 중간연결 용기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에 포함되는 향료수용 용기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에 물감 및 향료가 분리되어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에 포함되는 격리 보강 수단이 구비된 격리-격리해제 수단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에 포함되는 격리 보강 수단이 구비된 격리-격리해제 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에 포함되는 각 구성부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에 포함되는 각 구성부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에 포함되는 중간연결 용기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에 포함되는 향료수용 용기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에 물감 및 향료가 분리되어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는, 향료와 물감을 분리 저장하고, 사용 시 향료와 물감이 혼합되도록 구성되는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로서,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물감수용 용기 부재(100)와,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와,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 및 결합상태연동 향료 격리 및 배출 수단(40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감 혼합용 용기는, 제1 색상 물감과 제2 색상 물감을 분리 저장하고, 사용 시 제1 색상 물감과 제2 색상 물감이 혼합되도록 구성되는 물감 혼합용 용기로서, 제1색상 물감수용 용기 부재와, 중간연결 용기 부재와, 제2색상 물감수용 용기 부재, 및 격리-격리해제 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색상 물감수용 용기 부재는 물감수용 용기 부재(100)와 그 구성이 동일하고, 중간연결 용기 부재는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와 그 구성이 동일하며, 제2색상 물감수용 용기 부재는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와 그 구성이 동일하고, 격리-격리해제 수단은 결합상태연동 향료 격리 및 배출 수단(400)와 그 구성이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에 대한 설명은 물감 혼합용 용기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물감은 제1 색상 물감에 대응하고, 향료는 제1 색상 물감에 대응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는, 향료와 물감을 분리 저장하고, 사용 시 향료와 물감이 혼합되도록 구성되는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로서,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용기 형태로 형성되어 물감(paint)이 수용되게 구성되는 물감수용 용기 부재(100); 상기 물감수용 용기 부재(100)의 상단부에 일단부(하단부)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하부 개방의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의 타단부(상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향료가 수용되게 구성되는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 및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에 구비되어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와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의 결합 상태에 따라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에 수용된 향료가 격리 또는 배출되도록 구성, 다시 말해서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와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 간이 결합된 상태에서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에 수용된 향료가 배출되지 않게 폐쇄되고,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와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 간이 결합해제되는 경우,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에 수용된 향료가 배출되어 상기 물감수용 용기 부재(100) 내의 물감과 혼합되도록 구성되는 결합상태연동 향료 격리 및 배출 수단(400);을 포함한다.
상기 물감수용 용기 부재(100)는 상부가 개방된 용기 형태로 형성되어 물감(paint)이 수용되게 구성되는 구성부이다.
상기 물감수용 용기 부재(100)는 소정 직경을 가지며, 상부 개방되고 밑면이 폐쇄된 통 형상, 바람직하게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물감수용 용기 부재(100)의 상부는 몸체부(1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원통부(120)를 가지며, 상기 결합 원통부(120)의 외연에는 나사산부(121)가 형성되어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와 나사산 결합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는 상기 물감수용 용기 부재(100)의 상단부에 일단부(하단부)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부이다.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는 상하부 개방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단부 내연에 형성된 나사산부(201)를 통해 상기 물감수용 용기 부재(100)의 결합 원통부(120)에 나사산 결합된다.
또한,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는 상단부 내연에 나사산부(202)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부(202)를 통해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가 결합 및 결합해제된다.
다음으로,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는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의 타단부(상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향료가 배출가능하게 수용되는 구성부이다.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는 일면(도면에서 하면)이 개방되고 타면(도면에서 상면)이 폐쇄된 통 형상의 결합부(310), 및 상기 결합부(310)의 내측 중앙부에 형성되어 향료가 수용되는 통 형상의 향료 수용부(320)를 포함한다.
상기 향료 수용부(320)는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와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가 결합 완료된 상태에서 그 향료 수용부(320)의 끝단이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될 상기 결합상태연동 향료 격리 및 배출 수단(400)의 폐쇄 플레이트부 또는 구획 플레이트를 가압 접촉할 수 있게 형성된다.
상기 향료 수용부(320)의 단부는 상기 결합부(310)의 단부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향료 수용부(320)의 높이는 상기 결합부(31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이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할 결합상태연동 향료 격리 및 배출 수단(400)과 긴밀하게 연관된다.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의 결합부(310)의 하부 외연에는 나사산부(311)가 형성되어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의 상단부 측 나사산부(202)에 나사산 결합된다.
여기에서,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의 결합부(310)의 나사산부(311)와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의 나사산부(202) 간에 나사산 결합됨에 있어, 상기 결합부(310)의 나사산부(311)와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의 나사산부(202)는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가 결합해제 방향으로 회전하여 일정 정도 분리되되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가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로부터 탈락되지 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가 결합해제 될 시 일정 정도 회전하여 결합해제되나, 그 일정 정도 이후에는 헛돌면서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로부터 탈락되지 않게 상기 결합부(310)의 나사산부(311)와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의 나사산부(202)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나사산부 간의 상호 결합 관계를 통해 두 부재가 결합해제되면서 일정 회전 시점에서 헛돌면서 분리되지 않게 구성되는 것은 공지의 것을 채용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상기 결합상태연동 향료 격리 및 배출 수단(400)은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에 구비되어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와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의 결합 상태에 따라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에 수용된 향료가 격리 또는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구성부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는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와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 간이 결합되어 있는 경우,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의 향료 수용부(320)에 수용된 향료가 배출되지 않게 폐쇄하고,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와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 간이 결합해제되는 경우,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의 향료 수용부(320)에 수용된 향료가 상기 물감수용 용기 부재(100) 측으로 배출되어 물감과 혼합되도록 구성되는 구성부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상태연동 향료 격리 및 배출 수단(400)은 일 실시 형태로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의 내면에 형성되는 링형 플레이트부(410)와, 상기 링형 플레이트부(410)에서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가지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지지편부(420), 및 상기 지지편부(420) 각각의 연장단에 연결되는 폐쇄 플레이트부(430)를 포함한다.
상기 링형 플레이트부(410)는 환형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사각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편부(420)는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가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에 결합되어, 그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의 향료 수용부(320)가 폐쇄 플레이트부(430)의 상면에 접촉(가압 접촉)할 때 탄성체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지지편부(420)는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의 하부 측 나사산부(201)와 상부 측 나사산부(202)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폐쇄 플레이트부(430)는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의 향료 수용부(320)의 개구부의 사이즈보다 크게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폐쇄 플레이트부(430)는 단면이 원뿔 형태나 돔 형태 또는 삼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를 결합해제 방향으로 회전시켜 어느 정도 분리하게 되면, 폐쇄 플레이트부(430)에 의해 폐쇄된 향룔 수용부(320)의 개구부가 개방되고, 그로부터 배출되는 향료가 경사진 폐쇄 플레이트(320)의 상면을 타고 내려가서 지지편부(420)를 사이를 통과하여 물감수용 용기 부재(100)로 흘러들어 가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에서, 상기 향료 수용부(320)의 개방단의 형상은 상기 폐쇄 플레이트부(430)의 상면에 밀접하게 접촉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에 포함되는 격리 보강 수단이 구비된 격리-격리해제 수단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에 포함되는 격리 보강 수단이 구비된 격리-격리해제 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일 실시 예의 상기 결합상태연동 향료 격리 및 배출 수단(400)은 상기 폐쇄 플레이트부(430)의 상면에서 상기 용기 수용부(320)의 형상과 상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의 용기 수용부(320)의 개구 단부가 끼움되는 격리 보강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리 보강 수단은 통 형상의 끼움 결합부(440)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 결합부의 바닥부에는 링형 오링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폐쇄 플레이트부(430)에 끼움 결합부(440)가 형성되는 경우,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과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가 결합되어 향료 수용부(320)와 폐쇄 플레이트부(430)가 접촉된 상태에서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의 향료 수용부(320)의 개구 단부가 끼움 결합부(440)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그 향료 수용부(320)에 수용된 향료가 새지 않도록 하며, 특히 이동 시 향료의 누출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일 실시 예의 결합상태연동 향료 격리 및 배출 수단(400)에서 링형 플레이트부(410)는 생략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결합상태연동 향료 격리 및 배출 수단(400)은 다른 실시 예로,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의 내면에서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가지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지지편부, 및 상기 지지편부 각각의 연장단에 연결되는 폐쇄 플레이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편부는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의 하부 측 나사산부(201)와 상부 측 나사산부(202)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폐쇄 플레이트부에는 상기한 일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끼움 결합부(440) 및 오링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상태연동 향료 격리 및 배출 수단(400)은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의 내면에서 상부와 하부를 구획하여 형성되는 구획 플레이트, 및 상기 구획 플레이트의 가장자리, 바람직하게는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와 구획 플레이트의 이음부에 형성되는 향료 통과 구멍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획 플레이트는 단면이 원뿔 형태나 돔 형태 또는 삼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획 플레이트는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의 하부 측 나사산부(201)와 상부 측 나사산부(202)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구획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상기한 일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끼움 결합부(440) 및 오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향료 통과 구멍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복수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의 향료 수용부(320)의 개구부가 접촉하는 부분 이외의 구획 플레이트에 형성된다.
상기한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는 물감수용 용기 부재(100)와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 및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사용자인 시각장애인이 물감 및 향료의 종류를 손가락으로 더듬어 읽을 수 있는 점자가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는, 먼저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를 위로 향한 상태에서 향료 수용부(320)에 소정 양의 향료를 수용시킨 다음, 향료 수용부(320)가 위로 향한 상태에서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를 결합시켜서 그 향료 수용부(320)는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에 구성된 폐쇄 플레이트부(430) 또는 구획 플레이트에 의해 폐쇄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중간연결 용기 부재(200)를 물감수용 용기 부재(100)와 결합하여,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향료와 물감이 분리된 상태에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한 격리 보강 수단인 끼움 결합부(440)가 폐쇄 플레이트부(430) 또는 구획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경우, 향료를 보다 확실하게 폐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용 시에는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를 결합해제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가 상승하게 되면, 향료수용 용기 부재(300)의 향료 수용부(320)는 폐쇄 플레이트부(430) 또는 구획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고, 이에 따라 향료 수용부(320)에 수용된 향료는 자중으로 물감수용 용기 부재(100) 내로 흘러들어가 물감과 혼합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에 의하면, 향료와 물감이 안정적이고 확실하게 분리 구획되어 있어 운반이나 이동 시 용기에 요동이 발생하는 경우라도 향료와 물감이 혼합되지 않도록 하며, 사용 시에만 향 성분이 물감이 혼합되도록 함으로써 사용 시 물감과 향료의 물성이 유지되도록 하여 제품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감 특유의 냄새를 없앨 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불쾌감을 유발시키지 않으며, 향을 통해 물감을 구분 선택할 수 있어 시각장애인의 미술 창작 활동에 기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물감이 수용되는 상단 개방의 물감수용 용기 부재;
    상기 물감수용 용기 부재의 상단부에 하단부가 결합되는 상하부 개방의 중간연결 용기 부재;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향료가 수용되게 구성되는 향료수용 용기 부재; 및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와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 간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에 수용된 향료가 배출되지 않게 폐쇄되고,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와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 간이 결합해제될 시,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에 수용된 향료가 배출되어 상기 물감수용 용기 부재 내의 물감과 혼합되도록 구성되는 결합상태연동 향료 격리 및 배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는 일면 개방된 통 형상의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내측 중앙부에 형성되어 향료가 수용되는 통 형상의 향료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상태연동 향료 격리 및 배출 수단은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의 내면에 형성되는 링형 플레이트부와, 상기 링형 플레이트부에서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가지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지지편부, 및 상기 지지편부 각각의 연장단에 연결되는 폐쇄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향료 수용부는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와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폐쇄 플레이트부의 상면에 접촉하여 그 개방부가 폐쇄되는 높이를 갖는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감수용 용기 부재와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 및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 간은 나사산 결합되게 구성되며,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의 나사산부와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의 나사산부는,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가 결합해제 방향으로 일정 정도 회전한 이후 헛돌면서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로부터 탈락되지 않게 형성되는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플레이트부는 단면이 원뿔 형태나 돔 형태 또는 삼각형으로 형성되는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감수용 용기 부재와 중간연결 용기 부재 및 향료수용 용기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는 물감 및 향료의 종류를 읽을 수 있는 점자가 형성되는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상태연동 향료 격리 및 배출 수단에 구비되어 상기 향료의 격리 상태를 보강하도록 구성되는 격리 보강 수단;을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 보강 수단은,
    상기 폐쇄 플레이트부의 상면에서 상기 용기 수용부의 형상과 상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향료수용 용기 부재의 용기 수용부의 개구 단부가 끼움되는 통 형상의 끼움 결합부로 형성되는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
  7. 제1 색상 물감이 수용되는 상단 개방의 제1색상물감수용 용기 부재;
    상기 제1색상물감수용 용기 부재의 상단부에 하단부가 결합되는 상하부 개방의 중간연결 용기 부재;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제2 색상 물감이 수용되게 구성되는 제2색상물감수용 용기 부재; 및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와 제2 색상물감수용 용기 부재의 결합 상태에 따라 상기 제2색상물감수용 용기 부재에 수용된 제2 색상 물감이 격리 또는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격리-격리해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색상물감수용 용기 부재는 일면 개방된 통 형상의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내측 중앙부에 형성되어 제2 색상 물감이 수용되는 통 형상의제2색상물감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격리-격리해제 수단은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의 내면에 형성되는 링형 플레이트부와, 상기 링형 플레이트부에서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가지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지지편부, 및 상기 지지편부 각각의 연장단에 연결되는 폐쇄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색상물감 수용부는 상기 중간연결 용기 부재와 상기 제2색상물감수용 용기 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폐쇄 플레이트부의 상면에 접촉하여 그 개방부가 폐쇄되는 높이를 갖고 형성되는 물감 혼합용 용기.
PCT/KR2023/015543 2022-10-26 2023-10-10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 및 물감 혼합용 용기 WO202409084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9333 2022-10-26
KR1020220139301A KR102543667B1 (ko) 2022-10-26 2022-10-26 물감 혼합용 용기
KR10-2022-0139301 2022-10-26
KR1020220139333A KR102543669B1 (ko) 2022-10-26 2022-10-26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90843A1 true WO2024090843A1 (ko) 2024-05-02

Family

ID=90831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15543 WO2024090843A1 (ko) 2022-10-26 2023-10-10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 및 물감 혼합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4090843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9611A (ja) * 1999-02-17 2000-09-05 Tomoaki Iwamoto 視覚障害者用香り付き絵具
KR200262340Y1 (ko) * 2001-11-02 2002-03-18 박일중 시각 장애인을 위한 다용도 점자 삽입 음료용기 및 팩그장치
KR20110098187A (ko) * 2010-02-26 2011-09-01 곽윤희 향기물감을 구비한 물감용기
KR20140140750A (ko) * 2013-05-30 2014-12-10 김성훈 용기 마개
KR20220101417A (ko) * 2021-01-11 2022-07-19 최성민 액상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
KR102543669B1 (ko) * 2022-10-26 2023-06-15 주식회사 어나더데이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
KR102543667B1 (ko) * 2022-10-26 2023-06-15 주식회사 어나더데이 물감 혼합용 용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9611A (ja) * 1999-02-17 2000-09-05 Tomoaki Iwamoto 視覚障害者用香り付き絵具
KR200262340Y1 (ko) * 2001-11-02 2002-03-18 박일중 시각 장애인을 위한 다용도 점자 삽입 음료용기 및 팩그장치
KR20110098187A (ko) * 2010-02-26 2011-09-01 곽윤희 향기물감을 구비한 물감용기
KR20140140750A (ko) * 2013-05-30 2014-12-10 김성훈 용기 마개
KR20220101417A (ko) * 2021-01-11 2022-07-19 최성민 액상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
KR102543669B1 (ko) * 2022-10-26 2023-06-15 주식회사 어나더데이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
KR102543667B1 (ko) * 2022-10-26 2023-06-15 주식회사 어나더데이 물감 혼합용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67112A1 (ko) 기능수 생성장치
WO2015034165A1 (ko) 화장품 이액용기
WO2018135806A1 (ko) 이종물질혼합용기
WO2010101389A2 (ko) 용기 마개
WO2024090843A1 (ko)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 및 물감 혼합용 용기
WO2015034251A1 (ko) 스퀴즈가 가능한 퍼프 일체형 화장품용기
WO2016072673A1 (ko) 스포이드형 이액 혼합용기
WO2009142456A2 (ko) 액상 화장용기
CA2076193A1 (fr) Conditionnement a deux flacons permettant de stocker separement l'un de l'autre deux produits, notamment des liquides, et de les melanger au moment de leur utilisation
WO2013137552A1 (ko) 튜브형 화장품용기
WO2011155707A2 (en) Stopper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WO2010104304A2 (ko) 구간이동이 가능한 숄더부를 구비한 화장용기
WO2020009289A1 (en) Foundation container having discharge pump therein
WO2015137676A1 (ko) 부유식 가습기
WO2016108357A1 (ko) 액상립스틱 용기
MX9701124A (es) Surtidor para condimentos.
KR102543667B1 (ko) 물감 혼합용 용기
KR102543669B1 (ko) 시각장애인용 향물감 특수 용기
WO2022075532A1 (ko)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WO2023038296A1 (ko) 원터치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WO2023136488A1 (ko) 에코-논스톱 리퀴드 디스펜서
WO2019088685A1 (ko)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
EP1628549A1 (en) Hair colorant applicator
WO2021225266A1 (ko) 쉐이크 보틀
WO2022055044A1 (ko)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