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136488A1 - 에코-논스톱 리퀴드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에코-논스톱 리퀴드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136488A1
WO2023136488A1 PCT/KR2022/020682 KR2022020682W WO2023136488A1 WO 2023136488 A1 WO2023136488 A1 WO 2023136488A1 KR 2022020682 W KR2022020682 W KR 2022020682W WO 2023136488 A1 WO2023136488 A1 WO 202313648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co
nonstop
liquid
liquid dispenser
external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2068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조양래
Original Assignee
조양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양래 filed Critical 조양래
Publication of WO202313648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13648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2Membranes or pistons acting o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e.g. follower pis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supplying a selected one of a plurality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r several in selected proportions to a spray apparatus, e.g. to a single spray outle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co-nonstop liquid dispens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co-nonstop liquid dispenser having a function of supplying a liquid material.
  •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125145 is a pumping container for easy withdrawal of a remaining amount so that even the remaining content can be withdrawn without leaving any residue.
  • a container body that can contain; a main pumping device coupled to an upper opening of the container body and discharging an appropriate amount of the content contained in the container body to the outside based on a pressurized pumping action by a user; And, in a state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container body, a remaining amount withdrawal unit that collects the remaining amount of contents in the container body and discharges the collected contents to the outside without remaining based on a pressurized pumping action by the user. .
  • top-down liquid substance dispenser relates to a dispenser for supplying liquid substances such as shampoo or kitchen detergent, It shows a top-down liquid material dispenser that prevents liquid material from remaining inside and is equipped with a pump that operates up and down so that it can be easily discharged and used as needed.
  •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after long research and trial and error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spenser of a new structure that can conveniently use liquid substances without leaving any liquid substances, and is an eco- Provides a non-stop liquid dispenser.
  • An eco-nonstop liquid dispenser includes an internal reservoir in which liquid material can stay, and a pump unit having a pump to discharge the liquid material to the outside through an upper discharge port according to external pressure; And a cap portion that can be coupled to an inlet of the external container containing the liquid substance instead of the stopper, and provides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liquid substance naturally flows and moves from the external container to the internal storage in a docking position.
  • a supply unit having; may include.
  • the supply unit further includes a coupling unit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coupling/separating from the cap unit, and the pipe is connected to the cap unit through the coupling unit, so that the liquid material contained in the external container flows through the cap unit and the coupling unit.
  • the flow path may be provided to reach the internal storage.
  • the pipe may have one end connected to the internal storage as a fixed end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coupling part as a free end.
  • the supply unit may further include a mounting unit providing a seating space for seating at least one of the cap unit and the coupling unit.
  • the mounting part has a plurality of wall parts and a bottom part for fixing at least one of the cap part and the coupling part entering the seating space in the seating space, and between adjacent wall parts among the plurality of wall parts, the internal storage A withdrawal space facing the may be provided.
  • the pipe In the docking position, the pipe may be disposed in the lead-out space.
  • a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 control unit One end of the control unit may be disposed adjacent to an upper portion of the pump unit, and the other end of the control unit may be connected to a connector unit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internal storage.
  • control unit One end of the control unit may be disposed adjacent to an upper portion of the pump unit, and the other end of the control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coupling unit.
  • a lower case in which the pump unit and the supply unit are provided; and an upper case having a sleeve portion partially surrounding the outer container at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case.
  • the internal storage is formed of a material that allows the contents therein to be visible from the outside, and the stored amount of the contents in the internal storage can be visually confirmed from the outside through a first window provided in the lower case and a second window provided in the upper case.
  • the cap part may have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n close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wall parts and a lowermost surface thereof may be provid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part.
  • the coupling part may have a needle part on its bottom surface that enters the inside of the cap part when coupled with the cap part.
  • the present technology can provide an economical dispenser with a new structure that can conveniently use liquid substances without leaving any liquid substances.
  • the present technology can provide a dispenser capable of solving both the liquid substance spilling problem and the vacuum condition problem inside the container accompanying the existing container replacement process.
  • the present technology can provide a dispenser capable of ensuring continuity of use even near the replacement period by always storing a certain amount of detergent by maintaining the negative pressure in the refill container at an appropriate level.
  • FIG. 1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eco-nonstop liquid disp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n eco-nonstop liquid disp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docking process of a supply unit of an eco-nonstop liquid disp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shows a state viewed from above the mount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shows a state in which the cap part and the coupling part are mounted on the mounting part of FIG. 4 .
  • 6A and 6B are views for explaining in detail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cap part and a coupl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6C to 6E are diagrams showing a more detailed structure of a coupl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shows an example of an eco-nonstop liquid dispenser for explaining th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llustrates another example of an eco-nonstop liquid dispenser for explaining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shows an expandable structure of an eco-nonstop liquid disp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eco-nonstop liquid disp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n eco-nonstop liquid disp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docking process of a supply unit of an eco-nonstop liquid disp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eco-nonstop liquid dispenser 1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 'disp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ump unit 10, a supply unit 20, and a control unit. (30).
  • the pump unit 10 has an internal storage 11 in which liquid material (LD, see FIG. 7) can stay, and a pump 12 for discharging the liquid material to the outside through an upper discharge port 121 according to external pressure.
  • liquid substance may be a variety of things used for similar purposes, such as shampoo, rinse, cosmetics, and the like.
  • the pump 12 may be provided in a detachable structure from the internal storage 11 . It enables the replacement of pumps with very high usage compared to other parts.
  • the supply unit 20 has a cap 21 that can be coupled to the inlet instead of the stopper of the external container EC containing the liquid material, and has an internal storage (EC) from the external container (EC) in the docking position (DPO).
  • 11) has a pipe 22 providing a flow path FT through which the liquid material LD flows naturally.
  • the external container is a container containing shampoo, conditioner, cosmetics, etc., and may be a refillable container as well as a finished product in its form.
  • the supply unit 20 further includes a coupling unit 23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coupling/separating from the cap unit 21 . Therefore, the pipe 22 is connected to the cap part 21 through the coupling part 23 so that the liquid material LD contained in the external container EC passes through the cap part 21 and the coupling part 23 to the pump part 10 Provides a flow path (FT) to reach the internal storage 11 of the.
  • FT flow path
  • the flow path is generally high on the supply side and low on the pump side, forming a natural flow due to gravity.
  • the pipe 22 has one end 221 connected to the internal storage 11 as a fixed end and the other end 222 connected to the coupling part 23 as a free end.
  • a position where one end 221 of the pipe is connected to the internal reservoir may be a connector unit 112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internal reservoir.
  • the connector part 112 has a structure communicating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internal storage 11 and provides a structure for connection with one end 221 of the pipe.
  • the coupling part 23 also provides a structure for connection with the other end 222 of the pipe.
  • the pipe is connected to the free end (for example, the connector part) and the fixed end (for example, the coupling part), the coupling between the cap part 21 and the inlet of the external container is transferred even when the coupling part 23 is out of the docking position DPO. possible in all directions.
  • the supply unit 20 further includes a mounting unit 24 providing a seating space MS for seating at least one of the cap unit 21 and the coupling unit 23 .
  • the mounting part 24 includes a plurality of wall parts W1, W2, and W3 for fixing at least one of the cap part 21 and the coupling part 23 entering the seating space MS into the seating space MS, and a bottom. It has a portion (B), and a withdrawal space (LS, see FIG. 4) facing the internal storage 11 is provided between adjacent wall portions (W2, W3) of a plurality of wall portions. Accordingly, at the docking position DPO, the pipe 22 may be disposed in the lead-out space LS.
  • the eco-nonstop liquid dispenser 1 further includes a lower case BC and an upper case TC.
  • a pump unit 10 and a supply unit 20 are provided in the lower case BC.
  • the upper case TC has a sleeve SL partially covering the outer container EC at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case BC.
  • the docking position DPO indicates a state in which the external container EC is arranged to supply the liquid material LD to the dispenser 1 .
  • the dispenser 1 has a structure that enables an external container in a docked position to stably supply liquid material therein.
  • the cap part 21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inlet ECE of the external container EC, the pipe 22, and the coupling part 23 are involved.
  • a mounting part 24 for stably mounting the cap part or the coupling part in the dispenser is involved.
  • a cap part 21 that can be coupled to the inlet ECE is mounted instead of a stopper (not shown) of the external container EC in an upright state.
  • the external container EC is first mounted on the dispenser 1 for use of the dispenser.
  • the external container (EC) is in a state in which the stopper is removed so that the contents (LD) can be supplied to the dispenser 1, and the other end 222 of the pipe 22, that is, the cap portion 21 belonging to the free end is free Since it is movable, it can be easily coupled to the external container inlet (ECE) in an upright position.
  • the freely movable cap part may be derived from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pipe, a fixed end (for example, a connector part) and a free end (for example, a coupling part). It is a structure in which the fixed end (connector part) enables rotation of one end of the pipe, and the free end (coupling part) enables the rotation of the other end of the pipe. make it possible
  • the outer container EC connected to the coupling part 23 including the cap part 21 and the pipe 22 is turned over (in the FF direction shown in the drawing) and enters the seating space MS of the mounting part 24.
  • the state in which the outer container is upside down is a state in which the inlet is firmly blocked by the cap part and the coupling part.
  • the mounting part 24 provides a space for stably mounting the cap part and the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external container to the dispenser, and is not limited to that shown in the drawing, and the free end is docked at a specific position, such as the fixed end on the left side of the drawing It can have a variety of structures that make it possible.
  • FIG. 4 shows a state viewed from above the mounting portion 2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shows a state in which the cap part 21 and the coupling part 23 are mounted on the mounting part of FIG. 4 .
  • the coupling part 23 is not shown because it is disposed in the lower seating space MSL through the opening O of the mounting part 24 .
  • the outer container is not shown in FIG. 5 .
  • a portion referred to as H in the drawing indicates a hole H for inner passage between the cap portion 21 and the coupling portion 23 .
  • the cap part 21 is provided so that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LF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wall parts W1, W2 and W3, and its lowermost surface BF is provided so that it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part B. .
  • the outer diameter (D2, FIG. 6a) of the coupling part 23 is formed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D1, FIG. 6a) of the cap part 21, so that the cap part entering the seating space is formed on a plurality of wall parts and the floor. It can be closely attached to the part so that it can be seated in the seating space.
  • the cap part is shown as having a close contact structure with the mounting part as described abov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part may have a close contact structure with the mounting part.
  • both the cap part and the coupling part may have a close contact structure with the mounting part.
  • the cap or coupling part belonging to the free end is a structure for docking at a specific position, such as the left fixed end.
  • the cap portion is coupled to the inlet of the external container in a standing state without worrying about spilling of the contents, and then the external container is turned over, and the coupling portion connected to the pipe is seated as a mounting portion together with the cap portion, thereby docking position (DPO) is reached.
  • DPO docking position
  • 6A and 6B are views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cap part 21 and the coupling part 23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pipes are omit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 the cap part 21 and the coupling part 23 may have a screw coupling structure as a structure capable of coupling/separation. It is not limited to that shown in the drawing, and various structures may be applied for a structure capable of coupling/separating between a cap part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external container) and a coupling part (connected to a pipe).
  • the cap portion 21 has a screw thread structure therein for connection with the inlet of the outer container.
  • the outer diameter D1 of the cap portion 21 has a fixed value designed for seating with the mounting portion 24, but the inner diameters d1 and d2 may vary so as to be compatible with the size of the inlet of various external containers.
  • the inner diameter d2 of FIG. 6B is narrower than the inner diameter d1 of FIG. 6A, so that the cap portion 21A of FIG. 6B can be compatible with an external container having a relatively narrow inlet.
  • the inner diameter (CD) for fastening with the coupling part 23 is maintained consistently in FIGS. 6A and 6B. That is, it is sufficient to replace only the cap part in order to have compatibility with the sizes of various external containers.
  • the outer diameter D2 of the coupling portion 23 also has a fixed value designed for seating with the mounting portion 24 .
  • the outer diameter D2 of the coupling part may be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D1 of the cap part. This enables seating as shown in FIGS. 2 and 3 .
  • the outer diameter of the coupling part may be the same as that of the cap part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As described above, it is sufficient if it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mutual close contact structure in relation to the mounting space of the mounting unit.
  • FIG. 6C to 6E are diagrams showing a more detailed structure of the coupling part 2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needle portion N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BS of the coupling portion 23 .
  • the needle part (N) may have a length that enters the inside of the cap part when the coupling part is coupled with the cap part. In some cases, this may serve to punch a spill prevention film (not shown) attached to the inlet of the external container, and may serve to smooth the flow of the contents from the external container.
  • the needle portion N may have a pointed tip CE so as to be advantageous for punching.
  • openings OPS may be provided in the main body BD of the needle unit to facilitate a smooth flow of contents from the external container.
  • Ribs (RIB) serving as a frame of the needle unit itself may be provided between the openings.
  • the tip of the needle part N may have a cross shape in plan view (see FIG. 6E).
  • FIG 7 shows an example of an eco-nonstop liquid dispenser for explaining th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 shows another example of an eco-nonstop liquid dispenser for explaining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trol part 30 has one end E1 provided to be openable by the cock CK and the other end E2 to remove the liquid material LD from the external container EC. It is connected so as to pass through on the movement path to the internal storage (11). As a result, the control unit 30 adjusts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external container EC in the docking position DPO to match the atmospheric pressure.
  • the level L1 of the liquid substance in the internal reservoir decreases.
  • the liquid material is continuously supplied from the external container to the internal storage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pump unit, the supply unit, and the pipe, but the internal pressure in the external container greatly increases as the liquid material level L3 in the external container decreases.
  • the cock CK of the controller 30 is opened, the increased internal pressure in the external container can be lowered.
  • one end E1 of the control unit is disposed adjacent to the top of the pump unit, and the other end E2 of the control unit transfers the liquid material LD from the external container EC to the internal reservoir 11. It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internal storage (for example, the connector part 112) close to the pump part on the travel path leading to it.
  • one end E1 of the control unit is disposed adjacent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ump unit, and the other end E2 of the control unit transfers the liquid material LD from the external container EC to the internal storage 11. It can be connected to, for example, the coupling part 23 close to the supply part on the movement path leading to the .
  • the control part has a flexible material so that the other end belongs to the free end together with the coupling part, or is formed in a connection structure that enables free rotation of the connection relationship with the connector part or the coupling part.
  • the liquid material level (L2) of the control unit 30 is shown as not matching the liquid material level (L3) of the external container, but it is on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theoretical level (L2) is the level (L3) , and thus the cock CK serves to prevent the contents from overflowing through the end E1 so that the level L2 coincides with the level L3.
  • the formation height (H) of one end (E1) is higher than the height (h1) of the liquid material level of the internal storage,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lower than the sleeve (SL, Fig. 2) of the upper case. This prevents excessive elevation of the control unit end E1, thereby enhancing the appearance of the dispenser and preventing interference between users pumping.
  •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pressure control function so that the contents of the outer container flow smoothly into the inner reservoir, the control unit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placed adjacent to the inner reservoir as long as this function is achieved.
  • the internal pressure control can be performed for the internal reservoir as well as the external container.
  • the other end (E2) of the control unit may be directly communicated with the external container (EC) or the internal storage (11), or may be internally communicated at an appropriate point in the movement path between the two members as described above.
  • a plurality of other ends (E2) extending from one end (E1) of the control unit are placed, and the communication position of the other end (E2) is branched to an appropriate location of the external container (EC) or internal storage (11) or the movement path between the two members.
  • EC external container
  • internal storage (11) internal storage
  • the structure of a plurality of connecting parts can bring about a more reliable pressure control effect.
  • the contents of the internal storage are formed of a material that is visible from the outside, and the storage amount of the contents in the internal storage is visually visible from the outside through a first window (WI) provided on the lower case and a second window (WO) provided on the upper case. It can be prepared to be verifiable. This informs the user in advance of when to replace the exhausted outer container.
  • the first window or the second window is shown as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a transparent acrylic plate or glass) in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f the inside can be seen from the outside, the first and second windows are opened without a transparent material. ) form is sufficient.
  • the upper case is provided so as to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lower case.
  • the above-mentioned pump unit, supply unit, and control unit may all be provided in the lower case, and the upper case has a structure that can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pump unit, supply unit, and control unit.
  • This provides convenience in that the user only needs to separate the upper case in the process of replacing the outer container with a new container. It also provides a convenient scalable structure.
  • 9 shows an expandable structure of an eco-nonstop liquid disp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description as that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FIGS. 1 to 8 may be applied.
  • the portion coupled to the outer container by configuring the portion coupled to the outer container to be freely rotatable, spilling of the contents when the outer container is mounted is prevented.
  •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external container is adjusted to enable smooth supply.
  • by maintaining the negative pressure in the refill container at an appropriate level and always storing a certain amount of detergent continuity of use is ensured even if the exchange period is miss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기술은 에코-논스톱 리퀴드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의 에코-논스톱 리퀴드 디스펜서는 액상 물질이 머물 수 있는 내부 저장소를 구비하며, 외압에 따라 상기 액상 물질을 상부의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펌프를 갖는 펌프부; 및 액상 물질을 담고 있는 외부 용기의 마개를 대신하여 그 입구에 결합될 수 있는 캡부를 구비하며, 도킹 위치에서 상기 외부 용기로부터 상기 내부 저장소로 액상 물질이 자연스럽게 흘러 이동되도록 하는 유로를 제공하는 배관을 갖는 공급부;를 포함한다. 본 기술은 액상물질 액상 물질을 남김 없이 편리하게 쓸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경제적인 디스펜서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코-논스톱 리퀴드 디스펜서
본 발명은 에코-논스톱 리퀴드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액상 물질을 공급하는 기능을 갖는 에코-논스톱 리퀴드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샴푸나 린스와 같은 액상 물질을 경제적으로 남김 없이 다 쓰기 위한 다양한 구조가 선행특허문헌들을 통해 제시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25145호(발명명칭: 잔량 인출이 용이한 펌핑용기)는 얼마 남지 않은 잔여 내용물도 남김없이 인출해 낼 수 있도록 한 잔량 인출이 용이한 펌핑용기로서, 정량의 액상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 개구부에 결합되고, 사용자에 의한 가압식 펌핑작용에 의거 상기 용기본체에 담긴 내용물의 적량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메인펌핑기; 및, 상기 용기본체 하부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용기본체 내 잔량의 내용물을 수집하고 그렇게 수집된 내용물을 사용자에 의한 가압식 펌핑작용에 의거 남김없이 외부로 배출시키는 잔량인출부;를 포함함을 보여준다.
그러나, 상기 선행특허문헌은 용기본체 자체에 서브펌핑기라는 복잡한 구조의 잔량인출부를 부가한 것으로서 호환성이 매우 떨어진다. 시중에 나와있는 다양한 제품을 자신의 피부상태나 취향에 맞게 사용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니즈를 해소할 수 없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23225호(발명명칭: 하향식 액상물질 디스펜서)는 샴푸나 주방 세제와 같은 액상물질을 공급하기 위한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액상물질이 저장된 액상용기를 거꾸로 뒤집어서 고정함으로써 액상용기의 내부에 액상물질이 잔류하지 않도록 하고 상하 방향으로 작동하는 펌프를 구비하여 필요한 양만큼 손쉽게 토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하향식 액상물질 디스펜서를 보여준다.
상기 선행특허문헌의 경우에는 입구의 크기가 다른 여러 용기들과의 호환성을 염두에 두고 개발된 것으로서, 위와 같은 소비자의 니즈를 해소할 것으로는 기대된다. 그러나, 실제 제품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에 대해서는 예측하지 못하는 다음의 한계점들을 갖는다. 하향식 디스펜서인만큼 액상용기를 거꾸로 뒤집는 과정에서 내부의 액상물질이 쏟아질 우려가 매우 높다. 펌핑 동작이 반복됨에 따라 액상용기 내부에 형성되는 진공상태를 고려하지 못함으로써 펌핑하여도 내용물이 인출되지 않는 작동 불능의 상황을 인지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액상 물질을 남김 없이 편리하게 쓸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디스펜서로서 기존의 용기 교체 과정에서 수반되는 액상 물질 쏟김 문제와 용기 내부 진공상태 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는 신규한 구조의 에코-논스톱 리퀴드 디스펜서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코-논스톱 리퀴드 디스펜서는, 액상 물질이 머물 수 있는 내부 저장소를 구비하며, 외압에 따라 상기 액상 물질을 상부의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펌프를 갖는 펌프부; 및 액상 물질을 담고 있는 외부 용기의 마개를 대신하여 그 입구에 결합될 수 있는 캡부를 구비하며, 도킹 위치에서 상기 외부 용기로부터 상기 내부 저장소로 액상 물질이 자연스럽게 흘러 이동되도록 하는 유로를 제공하는 배관을 갖는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부는, 상기 캡부와 결합/분리가 가능한 구조를 갖는 커플링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배관은 상기 커플링부를 통해 상기 캡부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용기에 담긴 액상 물질이 상기 캡부 및 상기 커플링부를 지나 상기 내부 저장소에 이르도록 하는 상기 유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배관은 그 일단이 고정단인 상기 내부 저장소에 연결되고 그 타단이 자유단인 상기 커플링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커플링부가 상기 도킹 위치를 벗어난 상태에서도 상기 캡부와 상기 외부 용기의 입구간 결합은 전(全)방향으로 가능할 수 있다.
상기 공급부는, 상기 캡부 및 상기 커플링부 중 적어도 하나의 안착을 위한 안착 공간을 제공하는 마운팅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마운팅부는 상기 안착 공간에 진입한 상기 캡부 및 상기 커플링부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안착 공간 내에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벽부들과 바닥부를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벽부들 중 인접하는 벽부들 사이로 상기 내부 저장소를 마주하는 인출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도킹 위치에서 상기 배관은 상기 인출 공간에 배치될 수있다.
일단이 콕크에 의해 개방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타단이 상기 액상 물질의 상기 외부 용기로부터 상기 내부 저장소로의 이동 경로상에 내통하도록 연겯되어 상기 도킹 위치에 있는 상기 외부 용기의 내압을 대기압에 일치하도록 조절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의 일단은 상기 펌프부의 상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조절부의 타단은 상기 내부 저장소의 하부에 구비되는 커넥터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의 일단은 상기 펌프부의 상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조절부의 타단은 상기 커플링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펌프부와 상기 공급부가 마련되는 하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부에서 상기 외부 용기를 부분적으로 감싸는 슬리브부를 갖는 상부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저장소는 그 안의 내용물이 밖에서 보이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에 마련되는 제1 윈도우 및 상기 상부 케이스에 마련되는 제2 윈도우를 통하여 상기 내부 저장소 안의 내용물의 저장량이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도킹 위치에서 상기 캡부는 그 외주면이 상기 다수의 벽부들과 밀착되도록 구비되고 그 최하부면이 상기 바닥부와 밀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플링부는 상기 캡부와의 결합시 상기 캡부 내부 안쪽까지 진입하는 니들부를 그 바닥면에 구비할 수 있다.
본 기술은 액상물질 액상 물질을 남김 없이 편리하게 쓸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경제적인 디스펜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기술은 기존의 용기 교체 과정에서 수반되는 액상 물질 쏟김 문제와 용기 내부 진공상태 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는 디스펜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기술은 리필 용기 내 음압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여 일정량의 세제를 항시 저장함으로써 교환 시기에 임박해서도 사용의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는 디스펜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코-논스톱 리퀴드 디스펜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코-논스톱 리퀴드 디스펜서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코-논스톱 리퀴드 디스펜서의 공급부의 도킹 과정을 도시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부를 위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4의 마운팅부에 캡부와 커플링부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부와 커플링부간 연결관계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c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부의 보다 상세한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에코-논스톱 리퀴드 디스펜서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에코-논스톱 리퀴드 디스펜서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코-논스톱 리퀴드 디스펜서의 확장형 구조를 도시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면에 있어서, 두께와 간격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표현된 것이며, 실제 물리적 두께에 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공지의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코-논스톱 리퀴드 디스펜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코-논스톱 리퀴드 디스펜서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코-논스톱 리퀴드 디스펜서의 공급부의 도킹 과정을 도시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코-논스톱 리퀴드 디스펜서(1)(이하, 간단히 '디스펜서'라고도 함)는 펌프부(10), 공급부(20) 및 조절부(30)를 포함한다.
먼저 펌프부와 공급부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본다.
펌프부(10)는 액상 물질(LD, 도 7 참조)이 머물 수 있는 내부 저장소(11)를 구비하며, 외압에 따라 액상 물질을 상부의 배출구(121)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펌프(12)를 갖는다. 액상 물질은 샴푸, 린스, 화장품 등 이와 유사한 용도로 사용되는 다양한 것일 수 있다. 펌프(12)는 내부 저장소(11)로부터 탈착이 가능한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다른 부품 대비 사용량이 매우 높은 펌프의 교체를 가능하게 한다.
공급부(20)는 액상 물질을 담고 있는 외부 용기(EC)의 마개를 대신하여 그 입구에 결합될 수 있는 캡부(21)를 구비하며, 도킹 위치(DPO)에서 외부 용기(EC)로부터 내부 저장소(11)로 액상 물질(LD)이 자연스럽게 흘러 이동되도록 하는 유로(FT)를 제공하는 배관(22)을 갖는다. 외부 용기는 샴푸, 린스, 화장품 등을 담고 있는 용기이며, 그 형태로는 완제품뿐만 아니라 리필형 용기여도 무방하다.
공급부(20)는, 캡부(21)과 결합/분리가 가능한 구조를 갖는 커플링부(23)를 더 구비한다. 따라서 배관(22)은 커플링부(23)를 통해 캡부(21)에 연결되어 외부 용기(EC)에 담긴 액상 물질(LD)이 캡부(21) 및 커플링부(23)를 지나 펌프부(10)의 내부 저장소(11)에 이르도록 하는 유로(FT)를 제공한다.
도킹 위치에서 유로는 대체로 공급부 쪽이 높고 펌프부 쪽이 낮음으로써 중력에 의한 자연스러운 흐름을 형성한다.
배관(22)은 그 일단(221)이 고정단인 내부 저장소(11)에 연결되고 그 타단(222)이 자유단인 커플링부(23)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내부 저장소에 배관의 일단(221)이 연결되는 위치는 내부 저장소의 하부에 마련되는 커넥터부(112)일 수 있다. 커넥터부(112)는 내부 저장소(11)의 하부와 연통되는 구조를 가지며 배관의 일단(221)과의 연결을 위한 구조를 제공한다. 커플링부(23)도 배관의 타단(222)과의 연결을 위한 구조를 제공한다. 배관이 자유단(일례로 커넥터부)과 고정단(일례로 커플링부)에 연결됨으로써 커플링부(23)가 도킹 위치(DPO)를 벗어난 상태에서도 캡부(21)와 외부 용기의 입구간 결합이 전(全)방향으로 가능해진다.
공급부(20)는, 캡부(21) 및 커플링부(23) 중 적어도 하나의 안착을 위한 안착 공간(MS)을 제공하는 마운팅부(24)를 더 구비한다.
마운팅부(24)는 안착 공간(MS)에 진입한 캡부(21) 및 커플링부(23) 중 적어도 하나를 안착 공간(MS) 내에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벽부들(W1, W2, W3)과 바닥부(B)을 구비하고, 다수의 벽부들 중 인접하는 벽부들(W2, W3) 사이로 내부 저장소(11)를 마주하는 인출 공간(LS, 도 4 참조)이 마련된다. 따라서, 도킹 위치(DPO)에서 배관(22)은 인출 공간(LS)에 배치될 수 있다.
에코-논스톱 리퀴드 디스펜서(1)는 하부 케이스(BC) 및 상부 케이스(TC)를 더 포함한다. 하부 케이스(BC)에는 펌프부(10)와 공급부(20)가 마련된다. 상부 케이스(TC)는 하부 케이스(BC)의 상부에서 외부 용기(EC)를 부분적으로 감싸는 슬리브부(SL)를 갖는다.
이하 도킹 위치(DPO)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킹 위치(DPO)는 외부 용기(EC)가 액상 물질(LD)을 디스펜서(1)로 공급하도록 배치된 상태를 가리킨다. 디스펜서(1)는 도킹 위치에서의 외부 용기가 안정적으로 그 내부로 액상 물질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에 외부 용기(EC)의 입구(ECE)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캡부(21), 배관(22) 및 커플링부(23)가 관여한다. 또한 캡부 내지는 커플링부를 디스펜서 내에 안정적으로 마운팅시키는 마운팅부(24)가 관여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외부 용기(EC)가 바로 세워진 상태에서 외부 용기의 마개(미도시)를 대신하여 그 입구(ECE)에 결합될 수 있는 캡부(21)가 장착된다. 디스펜서의 사용을 위해 처음 외부 용기(EC)를 디스펜서(1)에 장착하는 상황을 가정한다. 이때 외부 용기(EC)는 그 내용물(LD)이 디스펜서(1)로 공급될 수 있도록 마개를 제거한 상태인데, 배관(22)의 타단(222), 즉, 자유단에 속하는 캡부(21)는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므로 바로 세워진 상태의 외부 용기 입구(ECE)에 손쉽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캡부가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한 것은 배관 자체가 플렉서블한 재질로 구성됨에 기인할 수 있다. 도면에 그러한 상황이 잘 도시된다. 또는 캡부가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한 것은 배관과 고정단(일례로 커넥터부) 및 자유단(일례로 커플링부)과의 연결 관계로부터 도출될 수도 있다. 고정단(커넥터부)이 배관의 일단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이고, 자유단(커플링부)이 배관의 타단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이이며, 이는 배관이 유연한 재질이 아니더라도 캡부의 자유로운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로써 처음 외부 용기(EC)를 디스펜서(1)에 장착하는 상황에서도 사용자가 외부 용기의 마개를 열어 놓은 상태에서 거꾸로 들지 않아도 되는 불편함이 해소된다. 바로 세워 놓은 상태에서 캡부의 결합이 가능하다. 이로써 외부 용기를 디스펜서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내용물의 쏟아짐 현상이 완전히 제거된다.
캡부(21)를 비롯한 커플링부(23)와 배관(22)과 연결되게 된 외부 용기(EC)는 뒤집어져(도면에 도시된 FF 방향) 마운팅부(24)의 안착 공간(MS)로 진입한다. 외부 용기가 거꾸로 세워진 상태는 캡부 및 커플링부에 의해 단단히 그 입구가 막혀진 상태임을 주목한다. 마운팅부(24)는 외부 용기와 결합된 캡부와 커플링부를 안정적으로 디스펜서에 장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자유단을 도면상 좌측의 고정단과 같이 특정 위치에 도킹되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부(24)를 위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4의 마운팅부에 캡부(21)와 커플링부(23)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면에서 커플링부(23)는 마운팅부(24)의 개구(O)를 지나 하부 안착 공간(MSL)에 배치됨으로 인하여 도시되지 않았음을 유의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5에서 외부 용기는 도시하지 아니하였다. 캡부(21)를 상부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는 바, 외부 용기의 입구에서부터 캡부(21) 및 커플링부(23)를 지나 배관(22)으로 이어지는 액상 물질의 흐름 경로를 예상할 수 있다. 도면에서 H로 참조되는 부분은 캡부(21)의 커플링부(23)와의 내통을 위한 홀(H)을 가리킨다.
도킹 위치(DPO)에서 캡부(21)는 그 외주면(LF)이 다수의 벽부들(W1, W2, W3)과 밀착되도록 구비되고 그 최하부면(BF)이 바닥부(B)와 밀착되도록 구비된다. 이를 위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커플링부(23)의 외경(D2, 도 6a)은 캡부(21)의 외경(D1, 도 6a)보다 작게 형성되어, 안착 공간에 진입한 캡부가 다수의 벽부들 및 바닥부와 밀착되어 안착 공간에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캡부만이 상술한 것과 같은 마운팅부와의 밀착 구조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커플링부가 마운팅부와의 밀착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또는 캡부 및 커플링부가 모두 마운팅부와의 밀착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어느 경우이든 자유단에 속하는 캡부 내지는 커플링부를 좌측의 고정단과 같이 특정 위치에 도킹되도록 하기 위한 구조라는 점에서는 공통된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5를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내용물의 쏟김 우려 없이 세워진 상태의 외부 용기의 입구에 캡부가 결합되고 그 후 외부 용기는 뒤집어져, 배관과 연결된 커플링부가 캡부와 함께 마운팅부로 안착됨으로써 도킹 위치(DPO)에 이르게 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부(21)와 커플링부(23)간 연결관계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배관은 생략하였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캡부(21)와 커플링부(23)는 결합/분리가 가능한 구조로서 나사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외부 용기의 입구와 연결되는) 캡부 및 (배관과 연결되는) 커플링부간 결합/분리가 가능한 구조를 위해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캡부(21)는 외부 용기의 입구와 연결을 위해 그 내부에 나사산 구조를 갖는다. 캡부(21)는 외경(D1)은 마운팅부(24)와의 안착을 위해 설계된 고정된 값을 갖되, 다양한 외부 용기의 입구의 크기에 호환될 수 있도록 내경(d1, d2)은 다양할 수 있다. 도 6a의 내경(d1)보다 도 6b의 내경(d2)이 좁게 형성되며, 따라서 도 6b의 캡부(21A)로는 상대적으로 입구가 좁은 외부 용기에 호환될 수 있다. 이때, 커플링부(23)와의 체결을 위한 내경(CD)는 도 6a와 도 6b에 있어서 일관되게 유지됨을 주목한다. 즉, 다양한 외부 용기의 크기에 호환성을 갖기 위해서는 캡부만이 교체되는 것으로 충분하다.
커플링부(23)도 그 외경(D2)은 마운팅부(24)와의 안착을 위해 설계된 고정된 값을 갖는다. 이때 커플링부의 외경(D2)은 캡부의 외경(D1)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안착을 가능하게 한다. 또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커플링부의 외경은 캡부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마운팅부의 안착 공간과의 관계에서 상호간 밀착 구조를 고려하여 결정되면 충분하다.
도 6c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부(23)의 보다 상세한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6c를 참조하면, 커플링부(23) 내부 바닥면(BS)에는 니들부(N)가 마련될 수 있다. 니들부(N)는 커플링부가 캡부와의 결합시 캡부 내부 안쪽까지 진입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는 경우에 따라 외부 용기의 입구에 부착된 쏟김 방지용 막(미도시)을 펀칭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외부 용기로부터 내용물이 빠져나오는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6d를 참조하면, 니들부(N)는 펀칭에 유리하도록 그 첨단(CE)이 뾰족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니들부의 본체(BD)에는 외부 용기로부터 내용물이 빠져나오는 흐름을 보다 원활하게 하는 개구 형상의 오프닝들(OPS)이 마련될 수 있다. 오프닝들 사이에는 니들부 자체의 프레임 역할을 하는 리브부들(RIB)이 마련될 수 있다. 첨단이 외부 용기의 쏟김 방지용 막을 뚫고 그 내부로 진입할 때 본체는 그러한 막에 걸쳐 있게 되는데, 이 경우 본체에 마련된 오프닝들은 니들부 몸체 안으로 새로운 흐름 경로를 형성하는 작용을 한다. 만약 오프닝들이 없다면 막이 첨단에 의해 뚫어지더라도 여전히 막의 뚫린 부분이 본체에 의해 막혀 그 안의 내용물이 제대로 빠져나오지 못하게 되는 상황을 생각하면 된다.
니들부(N)는 그 첨단이 평면도상 십자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도 6e 참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에코-논스톱 리퀴드 디스펜서의 일례를 도시한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에코-논스톱 리퀴드 디스펜서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부(30)는 일단(E1)이 콕크(CK)에 의해 개방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타단(E2)이 액상 물질(LD)의 외부 용기(EC)로부터 내부 저장소(11)로의 이동 경로상에 내통하도록 연겯된다. 이로써 조절부(30)는 도킹 위치(DPO)에 있는 외부 용기(EC)의 내압을 대기압에 일치하도록 조절한다.
디스펜서의 사용이 지속됨에 따라, 즉, 펌프부의 펌프 동작이 지속됨에 따라 내부 저장소의 액상 물질 레벨(L1)은 낮아진다. 펌프부, 공급부 및 배관의 높낮이에 따라 액상 물질은 외부 용기로부터 내부 저장소로 지속적으로 공급되지만 외부 용기 내 액상 물질 레벨(L3)이 낮아짐에 따라 외부 용기 내 내압이 크게 증가한다. 이때 조절부(30)의 콕크(CK)가 개방됨으로써 외부 용기 내 높아진 내압을 낮출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부의 일단(E1)은 펌프부의 상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조절부의 타단(E2)은, 액상 물질(LD)이 외부 용기(EC)로부터 내부 저장소(11)에 이르는 이동 경로상 펌프부에 가까운, 내부 저장소의 하부(일례로 커넥터부(112))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부의 일단(E1)은 펌프부의 상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조절부의 타단(E2)은, 액상 물질(LD)이 외부 용기(EC)로부터 내부 저장소(11)에 이르는 이동 경로상 공급부에 가까운, 일례로 커플링부(23)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에는 그 타단이 커플링부와 함께 자유단에 속할 수 있도록 조절부는 플렉서블한 재질을 갖거나 커넥터부 내지는 커플링부와의 연결 관계가 자유로운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연결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에서는 조절부(30)의 액상 물질 레벨(L2)이 외부 용기의 액상 물질 레벨(L3)과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이론상 레벨(L2)은 레벨(L3)과 일치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레벨(L2)이 레벨(L3)과 일치하도록 내용물이 일단(E1)을 통해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콕크(CK)가 그 역할을 한다.
또한 일단부(E1)의 형성 높이(H)는 내부 저장소의 액상 물질 레벨의 높이(h1)보다 높고, 상부 케이스의 슬리브(SL, 도 2) 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조절부 일단(E1)의 과도한 상승 배치를 방지하여 디스펜서의 미관을 높이며 사용자의 펌프질간 간섭을 예방한다.
본 발명의 조절부는 외부용기의 내용물이 내부저장소로 원활히 흐르도록 압력 조절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이 기능을 달성하는 한 조절부를 반드시 내부 저장소에 인접하여 배치하지 않아도 좋다. 또, 내부 압력 조절은 외부용기 이외에 내부 저장소에 대하여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조절부의 타단(E2)은 외부용기(EC) 또는 내부 저장소(11)에 직접 연통되어도 좋고 전술한 것처럼 두 부재 사이의 이동 경로의 적절한 지점에 내통시켜도 좋다.
조절부의 일단(E1)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타단(E2)을 두고 이 타단(E2)의 연통 위치를 외부용기(EC) 또는 내부 저장소(11) 또는 두 부재 사이의 이동 경로의 적절한 위치에 분기하여 배치할 수 있다. 이를 대체하여 일단(E1)과 타단(E2)을 일대일로 세트로 하여 복수의 조절세트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복수의 일단(E1)을 통합하는 도입부에서 코크나 마개로 압력 조절 기능을 수행하면 효율적이다. 복수의 연결부 구조는 좀 더 확실한 압력조절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내부 저장소는 그 안의 내용물이 밖에서 보이는 재질로 형성되고, 하부 케이스에 마련되는 제1 윈도우(WI) 및 상부 케이스에 마련되는 제2 윈도우(WO)를 통하여 내부 저장소 안의 내용물의 저장량이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는 다 쓴 외부 용기의 교체 시점을 사용자에게 미리 알려준다. 제1 윈도우나 제2 윈도우가 도면에서 투명한 재질(투명 아크릴판이나 유리와 같이)로 도시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밖에서 안이 보일 수 있는 것이면 제1 및 제2 윈도우들은 투명한 재질 없이 개구(opening) 형태의 개방형으로만 마련되어도 충분하다.
내부 저장소에 연결되는 배관의 높이와 커플링부에 연결되는 배관의 높이의 설계로 인해, 외부 용기의 내용물이 다 비워진 상태에서도 내부 저장소에는 일정량의 내용물이 남아있음으로써, 경제성을 높임과 동시에 논스톱 디스펜서 역할을 가능하게 한다. 즉, 외부 용기는 완전히 비워져 경제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일정량은 내부 저장소에 남아 있음으로써 새로운 용기로 교체될 때까지 일정 시간 완충 역할을 함으로써 끊임없는 액상 물질이 디스펜싱 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부 케이스는 하부 케이스로부터 완전히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술한 펌프부, 공급부 및 조절부는 모두 하부 케이스에 마련될 수 있고, 상부 케이스는 펌프부, 공급부 및 조절부와 완전히 분리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는 외부 용기를 새로운 용기로 교체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상부 케이스만을 분리하면 되는 편리함을 제공한다. 또한 이는 편리한 확장형 구조를 제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코-논스톱 리퀴드 디스펜서의 확장형 구조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8에서 상술한 설명과 동일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용기와 결합되는 부분을 자유롭게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외부 용기 장착시 내용물이 쏟아지는 것을 예방한다. 또한, 외부 용기의 내압을 조절하여 원활한 공급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리필 용기 내 음압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여 일정량의 세제를 항시 저장함으로써 교환 시기에 놓치더라도 사용의 연속성을 보장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6)

  1. 에코-논스톱 리퀴드 디스펜서로서,
    액상 물질이 머물 수 있는 내부 저장소를 구비하며, 외압에 따라 상기 액상 물질을 상부의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펌프를 갖는 펌프부; 및
    액상 물질을 담고 있는 외부 용기의 마개를 대신하여 그 입구에 결합될 수 있는 캡부를 구비하며, 도킹 위치에서 상기 외부 용기로부터 상기 내부 저장소로 액상 물질이 자연스럽게 흘러 이동되도록 하는 유로를 제공하는 배관을 갖는 공급부;를 포함하되,
    일단이 개방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타단이 상기 액상 물질의 상기 외부 용기로부터 상기 내부 저장소로의 이동 경로상에 내통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도킹 위치에 있는 상기 외부 용기의 내압을 대기압에 일치하도록 조절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코-논스톱 리퀴드 디스펜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상기 캡부와 결합/분리가 가능한 구조를 갖는 커플링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배관은 상기 커플링부를 통해 상기 캡부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용기에 담긴 액상 물질이 상기 캡부 및 상기 커플링부를 지나 상기 내부 저장소에 이르도록 하는 상기 유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코-논스톱 리퀴드 디스펜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은 그 일단이 고정단인 상기 내부 저장소에 연결되고 그 타단이 자유단인 상기 커플링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코-논스톱 리퀴드 디스펜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부가 상기 도킹 위치를 벗어난 상태에서도 상기 캡부와 상기 외부 용기의 입구간 결합은 전(全)방향으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코-논스톱 리퀴드 디스펜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상기 캡부 및 상기 커플링부 중 적어도 하나의 안착을 위한 안착 공간을 제공하는 마운팅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코-논스톱 리퀴드 디스펜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부는 상기 안착 공간에 진입한 상기 캡부 및 상기 커플링부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안착 공간 내에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벽부들과 바닥부를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벽부들 중 인접하는 벽부들 사이로 상기 내부 저장소를 마주하는 인출 공간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코-논스톱 리퀴드 디스펜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위치에서 상기 배관은 상기 인출 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코-논스톱 리퀴드 디스펜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의 일단은 콕크에 의해 개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코-논스톱 리퀴드 디스펜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의 일단은 상기 펌프부의 상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조절부의 타단은 상기 내부 저장소의 하부에 구비되는 커넥터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코-논스톱 리퀴드 디스펜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의 일단은 상기 펌프부의 상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조절부의 타단은 상기 커플링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코-논스톱 리퀴드 디스펜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부와 상기 공급부가 마련되는 하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부에서 상기 외부 용기를 부분적으로 감싸는 슬리브부를 갖는 상부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코-논스톱 리퀴드 디스펜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저장소는 그 안의 내용물이 밖에서 보이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에 마련되는 제1 윈도우 및 상기 상부 케이스에 마련되는 제2 윈도우를 통하여 상기 내부 저장소 안의 내용물의 저장량이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코-논스톱 리퀴드 디스펜서.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위치에서 상기 캡부는 그 외주면이 상기 다수의 벽부들과 밀착되도록 구비되고 그 최하부면이 상기 바닥부와 밀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코-논스톱 리퀴드 디스펜서.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부는 상기 캡부와의 결합시 상기 캡부 내부 안쪽까지 진입하는 니들부를 그 바닥면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코-논스톱 리퀴드 디스펜서.
  15. 에코-논스톱 리퀴드 디스펜서로서,
    액상 물질이 머물 수 있는 내부 저장소를 구비하며, 외압에 따라 상기 액상 물질을 상부의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펌프를 갖는 펌프부; 및
    액상 물질을 담고 있는 외부 용기의 마개를 대신하여 그 입구에 결합될 수 있는 캡부를 구비하며, 도킹 위치에서 상기 외부 용기로부터 상기 내부 저장소로 액상 물질이 자연스럽게 흘러 이동되도록 하는 유로를 제공하는 배관을 갖는 공급부;를 포함하되,
    일단이 개방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타단이 상기 외부용기 또는 상기 내부저장소 또는 상기 액상 물질의 상기 외부 용기로부터 상기 내부 저장소로의 이동 경로상에 내통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외부 용기 및 상기 내부저장소의 내압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코-논스톱 리퀴드 디스펜서.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각각의 일단과 타단이 연통된 조절부 세트를 복수개 구비하여이루어지며, 각각의 조절부 세트의 일단은 통합되어 입구부의 코크 조절로 내압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코-논스톱 리퀴드 디스펜서.
PCT/KR2022/020682 2022-01-11 2022-12-19 에코-논스톱 리퀴드 디스펜서 WO202313648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860A KR102402691B1 (ko) 2022-01-11 2022-01-11 리퀴드 디스펜서
KR10-2022-0003860 2022-01-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36488A1 true WO2023136488A1 (ko) 2023-07-20

Family

ID=81809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20682 WO2023136488A1 (ko) 2022-01-11 2022-12-19 에코-논스톱 리퀴드 디스펜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02691B1 (ko)
WO (1) WO20231364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2691B1 (ko) * 2022-01-11 2022-05-26 조양래 리퀴드 디스펜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4462Y1 (ko) * 2007-06-25 2009-06-17 바프렉스 주식회사 사용성을 개선한 액체 디스펜서
KR100991930B1 (ko) * 2010-01-08 2010-11-04 배영태 최적 위치에 부착된 분무액 주입부를 갖는 분무기
KR20160051557A (ko) * 2014-10-30 2016-05-11 주식회사 세광코리아 하향식 액상물질 디스펜서
KR200484847Y1 (ko) * 2015-11-12 2017-10-31 이은주 액체 용기용 디스펜서
KR200491085Y1 (ko) * 2019-09-19 2020-04-02 김예건 디스펜서를 이용한 하향식 액체용기 배출장치
KR102402691B1 (ko) * 2022-01-11 2022-05-26 조양래 리퀴드 디스펜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4462Y1 (ko) * 2007-06-25 2009-06-17 바프렉스 주식회사 사용성을 개선한 액체 디스펜서
KR100991930B1 (ko) * 2010-01-08 2010-11-04 배영태 최적 위치에 부착된 분무액 주입부를 갖는 분무기
KR20160051557A (ko) * 2014-10-30 2016-05-11 주식회사 세광코리아 하향식 액상물질 디스펜서
KR200484847Y1 (ko) * 2015-11-12 2017-10-31 이은주 액체 용기용 디스펜서
KR200491085Y1 (ko) * 2019-09-19 2020-04-02 김예건 디스펜서를 이용한 하향식 액체용기 배출장치
KR102402691B1 (ko) * 2022-01-11 2022-05-26 조양래 리퀴드 디스펜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2691B1 (ko) 2022-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070843A2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WO2023136488A1 (ko) 에코-논스톱 리퀴드 디스펜서
WO2011049267A1 (ko) 정량인출이 가능한 스포이드와 이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
WO2018124434A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US7611033B2 (en) Foam dispenser, housing and storage holder therefor
WO2021187718A1 (ko) 이중 용기
WO2012015225A2 (ko) 휴대용 액상 화장품 전동 미스트 공급기
CN1984838B (zh) 用于液体喷雾器中连接柔性流体输送管与刚性汲取管的快速连接器
WO2012011663A2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WO2015041414A1 (ko) 분리형 가습기
WO2011155707A2 (en) Stopper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WO2018135806A1 (ko) 이종물질혼합용기
WO2016043438A1 (ko) 디스펜서 용기
WO2017039236A1 (ko) 액체용기의 액체 배출장치
WO2018038320A1 (ko) 펌프 용기
WO2010104304A2 (ko) 구간이동이 가능한 숄더부를 구비한 화장용기
WO2019164065A1 (ko) 이중 용기
WO2021125513A1 (ko) 이중 용기
WO2015147526A1 (ko) 펌핑식 화장품 용기
WO2012015282A2 (en) Push pump device
WO2019198967A1 (ko)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
WO2017204381A1 (ko) 카트리지 펌프
WO2022075532A1 (ko)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WO2023249196A1 (ko) 내용물 용기
WO2023075133A1 (ko) 토출구가 자동으로 팝업되는 펌프식 액체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92081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