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9885B1 - 이중 튜브 용기의 토출구 결합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이중 튜브 용기의 토출구 결합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9885B1
KR102259885B1 KR1020200109569A KR20200109569A KR102259885B1 KR 102259885 B1 KR102259885 B1 KR 102259885B1 KR 1020200109569 A KR1020200109569 A KR 1020200109569A KR 20200109569 A KR20200109569 A KR 20200109569A KR 102259885 B1 KR102259885 B1 KR 102259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tube
groove
seating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9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덕기
황병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우티앤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우티앤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우티앤에프
Priority to KR1020200109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9885B1/ko
Priority to KR1020210036279A priority patent/KR1022842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9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9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D33/28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lipstick holders or with other toiletry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in combination with other toiletry or cosmetic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 B65D35/242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for mixing or discharging of two or more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16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 B65D81/3227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arranged parallel or concentrically and permitting simultaneous dispensing of the two materials without prior mi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ube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튜브 용기의 토출구 결합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내측 튜브 토출구의 상단 둘레면을 따라 외측 튜브의 내벽면에 밀착되어 리브 기능의 돌기부부, 그리고 내측 튜브 토출구 내벽면에 설치되는 유로 확보 및 간극 유지용 돌기부가 안내되는 안내홈 기능의 홈부를 반복적으로 형성한 것이고, 이에따라 내측 튜브와 외측 튜브의 간단한 끼움 결합으로 외측 튜브의 토출구와 내측 튜브의 토출구 상단 높이를 정렬하면서 내측 튜브와 외측 튜브의 결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서로 다른 두 가지 내용물이 토출시 그 혼합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이중 튜브 용기의 토출구 결합 어셈블리 {Outlet coupling assembly for double tube container}
본 발명은 이중 튜브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측 튜브와 외측 튜브의 간단한 끼움 결합으로 외측 튜브의 토출구와 내측 튜브의 토출구 상단 높이를 정렬하고 이를 통해 안정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 튜브 용기의 토출구 결합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가의 기능성 화장품은 서로 다른 두 가지 내용물을 혼합 사용함으로써 보다 뛰어난 효과를 가지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사용자가 화장품을 사용하기 직전에 두 가지 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두 가지 내용물의 화장품이 별도의 용기에 포장되어 판매되고 있으며, 소비자가 사용시에 별도의 혼합 용기에 서로 다른 두 가지 내용물의 화장품을 덜어서 담은 후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제품은 서로 다른 두 가지 성질의 화장품을 각각의 저장 용기에 담아 보관 휴대하는 번거로움과 사용시 불편한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사용시 사용자가 각각의 저장용기에 보관된 내용물을 일정량씩 토출하여 직접 섞어서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2개의 저장공간을 갖는 화장품 용기들로서, 이중 격실을 갖는 구조에 관한 등록특허공보 제10-1165904호(공고일 2012.07.13.) 그리고 이종 성분의 내용물을 내부 2개의 공간에 수용하는 다중용기에 관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5639호(공고일 2018.02.05.)가 개시된 바 있으며, 2개의 튜브용기를 인접하게 연결하고 이들을 하나의 뚜껑을 사용하여 연결하는 구조의 등록특허공보 제10-2007200호(공고일 2019.08.02.) 및 이중의 튜브 구조를 구비하는 실용신안공고공보 제20-1994-0001727호(공고일 1994.03.24.) 등이 제안된 바도 있다.
하지만 이들 용기들은 성형성이 크게 떨어져 상품화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상기한 문제점을 더욱 개선하여서 이종의 내용물을 서로 다른 공간에 분리되도록 넣어 이들 내용물을 동시에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9731호(이하 '선행기술 1' 라함)와 등록특허공보 제10-1599904호(이하 '선행기술 2' 라함)의 이중 튜브 용기가 개시되기에 이르렀다.
즉, 상기 선행기술 1의 이중 튜브 용기는 내측튜브 토출구를 외측 튜브 토출구 중심부에 이격 공간을 유지하며 지지되게 설치한 것이다.
그러나, 선행기술 1은 2개의 토출구 간극을 유지하기 위하여 외측 튜브의 토출구 내부에 복수개의 리브로 지지되는 고정링을 설치하고 여기에 내측 튜브 토출구가 끼워져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관계로, 내측 튜브와 외측 튜브의 각 토출구 중앙에 위치하는 고정링에 정확히 일치시키는 것이 그리 쉽지 아니하며, 또한 결합된 내측 튜브 토출구의 상단 높이를 정확하게 정렬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으며, 이로인해 선행기술 1은 서로 다른 두 가지 내용물이 토출시 그 혼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선행기술 2는 내측 튜브의 토출구 형상을 개선하여 그 둘레면에 분할 이격수단을 설치함으로써 2개의 공간에 저장된 내용물을 한곳으로 토출시키도록 한 것이지만, 이는 그 구조가 복잡하여 금형 제작이 어렵고 이에 생산 원가가 많이 소요됨은 물론, 일회용의 작은 용기에 적용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9731호(공고일 2019.07.29.) 등록특허공보 제10-1599904호(공고일 2016.03.04.) 실용신안공고공보 제20-1994-0001727호(공고일 1994.03.24.)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5639호(공고일 2018.02.05.) 등록특허공보 제10-1165904호(공고일 2012.07.13.) 등록특허공보 제10-2007200호(공고일 2019.08.02.)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내측튜브 토출구의 상단 둘레면을 따라 외측 튜브의 내벽면에 밀착되어 리브 기능의 돌기부부, 그리고 내측 튜브 토출구 내벽면에 설치되는 유로 확보 및 간극 유지용 돌기부가 안내되는 안내홈 기능의 홈부를 반복적으로 형성함으로써, 내측 튜브와 외측 튜브의 간단한 끼움 결합으로 외측 튜브의 토출구와 내측 튜브의 토출구 상단 높이를 정렬하고 이를 통해 내측 튜브와 외측 튜브의 결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 튜브 용기의 토출구 결합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측튜브 토출구 내면으로 삽입되는 작은 직경의 내측튜브 토출구가 외측튜브 토출구에 의해 가리워진 상태에서도, 작업자가 감각에 의해 리브 기능의 돌기부와 끼움 홈부의 결합위치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성이 우수한 이중 튜브 용기의 토출구 결합 어셈블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이중 튜브 용기의 토출구 결합 어셈블리는, 제 1 토출구가 형성되는 내측 토출부를 가지며 제 1 내용물이 수용되는 내측 튜브; 및, 제 2 토출구가 형성되는 외측 토출부를 가지며 상기 내측 튜브의 외측에 형성되면서 제 2 내용물이 수용되는 외측 튜브; 를 포함하되, 상기 내측 토출부의 상단 둘레면에는 상기 외측 튜브와 상기 내측 튜브 사이에 수용되는 제 2 내용물의 토출을 가이드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부와 홈부를 반복 형성하고, 상기 외측 토출부 내벽면과 내측 토출부 외벽면 사이에는 상기 외측 튜브내에 수용되는 제 2 내용물이 상기 홈부로 토출될 때 상기 제 2 토출구의 유로가 확보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극유지부재를 이격거리를 유지하여 반복 형성하며,
상기 내측 토출부의 상단부에는 상기 외측 토출부 내경보다 넓은 면적으로 확장되는 걸림턱부를 마련하고, 상기 내측 토출부의 상단에는 또한 상기 내측 토출부의 상단 면적보다 좁은 폭으로 돌출 설치되는 토출연장부를 형성하며, 상기 토출연장부의 외벽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부와 홈부를 반복되게 형성하고,
상기 내측 토출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내측 토출부의 결합 위치를 결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착홈을 반복 형성하고, 상기 외측 토출부 내벽면에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상기 간극유지부재 일면에는 상기 안착홈에 끼움 지지되는 안착돌기를 돌출되게 형성하여, 상기 외측 및 내측 토출부 사이에 상하 높이차를 가지는 배출 통로가 확보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내측 토출부의 외주면에 제공되는 상기 안착홈은, 상측에 위치하는 상기 토출연장부의 홈부 보다 넓은 폭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외측 토출부의 상단에는 상기 내측 토출부 상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수평연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평연장부 내벽면에는 상기 토출연장부의 외벽면을 따라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돌기부가 밀착 접촉되도록 구성하며, 이웃하는 돌기부 사이에는 상기 홈부가 제한적으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서, 내측 토출부와 외측 토출부 사이에 제 2 토출구 유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상기 토출연장부의 홈부는, 일면에 안착돌기를 돌설하고 있는 상기 간극유지부재의 폭보다 넓은 간극으로 형성되어, 외측 튜브 하부로부터 삽입되는 내측 튜브를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상기 토출연장부의 홈부에 상기 간극유지부재 일면으로 돌설되는 상기 안착돌기가 결합됨을 인지하며, 상기 내측 토출부 결합위치를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안착홈과 상기 안착돌기에는 각각 안착 가이드용의 제 1 경사 안내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간극유지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외측 튜브에 대하여 상기 내측 튜브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제 2 경사 안내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내측 튜브의 상단과 상기 내측 토출부의 경계 부위에는 상기 내측 튜브가 상기 외측 튜브의 내부로 삽입될 때 그 삽입 거리를 규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차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내측튜브 토출구의 상단 둘레면을 따라 외측 튜브의 내벽면에 밀착되어 리브 기능의 돌기부, 그리고 내측 튜브 토출구 내벽면에 설치되는 유로 확보 및 간극 유지용 돌기부가 안내되는 안내홈 기능의 홈부를 반복적으로 형성한 것이며, 이를 통해 내측 튜브와 외측 튜브의 간단한 끼움 결합으로 외측 튜브의 토출구와 내측 튜브의 토출구 상단 높이를 정렬하면서 내측 튜브와 외측 튜브의 결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서로 다른 두 가지 내용물이 토출시 그 혼합이 제대로 이루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이중 튜브 용기의 토출구 결합 어셈블리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내측 튜브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이중 튜브 용기의 토출구 결합 어셈블리를 보인 평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이중 튜브 용기의 토출구 결합 어셈블리를 보인 단면 개략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이중 튜브 용기의 토출구 결합 어셈블리를 보인 분해 상태의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이중 튜브 용기의 토출구 결합 어셈블리를 보인 도 5에 대한 결합 상태의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높이차를 가지는 제 2 토출구(배출통로)를 통해 외측 튜브의 내용물이 토출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이중 튜브 용기의 토출구 결합 어셈블리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내측 튜브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이중 튜브 용기의 토출구 결합 어셈블리를 보인 평면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이중 튜브 용기의 토출구 결합 어셈블리를 보인 단면 개략도이고,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이중 튜브 용기의 토출구 결합 어셈블리를 보인 분해 상태의 확대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이중 튜브 용기의 토출구 결합 어셈블리를 보인 도 5에 대한 결합 상태의 확대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튜브 용기의 토출구 결합 어셈블리는, 제 1 토출구(11a)가 형성되는 내측 토출부(11)를 가지며 제 1 내용물이 수용되는 내측 튜브(10), 그리고 제 2 토출구(21a)와 덮개 결합용 나선부(21b)가 형성되는 외측 토출부(21)를 가지며 상기 내측 튜브(10)의 외측에 형성되면서 제 2 내용물이 수용되는 외측 튜브(20)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에 더하여 상기 내측 튜브(10)의 제 1 토출구(11a) 상측 둘레면에 설치되는 돌기부(31)와 홈부(32), 및 상기 외측 튜브(20)의 제 2 토출구(21a) 내측 벽면에 설치되는 간극유지부재(40)를 더 포함한다.
제 1 내용물이 수용되는 상기 내측 튜브(10)는 제 2 내용물을 수용하는 상기 외측 튜브(20)의 내부로 삽입되어서, 이중 튜브 구조를 이루는 용기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외측 튜브(20)의 내부로 상기 내측 튜브(10)가 삽입되어 이중 튜브 구조를 이룰 때, 상기 내측 토출부(11)와 상기 외측 토출부(21)가 일단에 형성되는 상기 내측 튜브(10)와 상기 외측 튜브(20)의 타단은 각각 내용물 충진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고주파 접착, 초음파 접착, 열 접착, 접착제에 의한 접착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밀봉 처리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열 접착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열 접착은 열가소성 합성 플라스틱의 열 용융성을 이용하여 동종 또는 이종의 필름이나 시트를 접합하는 방법으로 열 접착의 기본적인 원리는 열을 필름과 필름의 접촉면에 공급하고 면이 밀착하도록 압력을 가하여 용융 접착을 시키는 것이다.
상기 돌기부(31)와 상기 홈부(32)는 상기 내측 토출부(11)의 상단부에 상단면 면적보다 좁은 폭 내에 위치하도록 돌출 설치되는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내측 토출부(11)의 상단부에는 상기 외측 토출부(21) 내경보다 넓은 면적으로 확장되는 걸림턱부(11b)를 마련하고, 상기 내측 토출부(11)의 상단에는 또한 상기 내측 토출부(11)의 상단 면적보다 좁은 폭으로 돌출 설치되는 토출연장부(30)를 형성하는 것이며, 상기 토출연장부(30)의 외벽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부(31)와 홈부(32)를 반복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외측 토출부(21)의 상단에는 상기 내측 토출부(11) 상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수평연장부(21c)를 형성하는 것이며, 상기 수평연장부(21c) 내벽면에는, 상기 토출연장부(30)의 외벽면을 따라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돌기부(31)가 밀착 접촉되고, 이웃하는 돌기부(31) 사이에는 상기 홈부(32)가 제한적으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서, 내측 토출부(11)와 외측 토출부(21) 사이에 제 2 토출구(21a) 유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시말해, 상기 돌기부(31)는 상기 내측 토출부(11)의 상단으로 연장되는 상기 토출연장부(30)의 외벽면을 따라 십자형 구조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돌기부(31)들 사이에는 상기 홈부(32)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같은 상기 홈부(32)는 상기 외측 튜브(20)의 외측 토출부(21)에 형성되는 제 2 토출구(21a)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게 되면서, 상기 외측 토출부(21)에 덮개(미도시)를 결합시켜 상기 제 2 토출구(21a)를 밀봉시킬 때, 상기 내측 튜브(10)의 내측 토출부(11)에 형성되는 제 1 토출구(11a)를 동시에 밀봉시켜, 상기 내측 튜브(10)와 상기 외측 튜브(20)에 각각 수용되는 제 1 내용물과 제 2 내용물이 혼합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외측 토출부(21)의 상단에는 수평연장부(21c)이 확장된 면적을 가지며 형성되어서 상기 외측 튜브(20)의 제 2 토출구(21a) 단면적을 확정하게 되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상기 외측 튜브(20)내에 수용되는 제 2 내용물 토출량을 결정하는데 기여하게 되는 것으로, 이때, 상기 수평연장부(21c)은 상기 간극유지부재(40)의 표면 일부에 돌출되는 상기 안착돌기(41)보다 좁은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하게 되는 것인데, 이는 상기 내측 튜브(10)가 상기 외측 튜브(20)의 제 2 토출구(21a)에 삽입될 때 간섭을 유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며, 더불어 상기 내측 튜브(10) 선단의 내측 토출부(11)가 외부로 돌출되는 현상을 방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간극유지부재(40)는 상기 외측 토출부(21)의 내벽면에 반복 형성되는 것이며, 이는 상기 외측 튜브(20)내의 제 2 내용물이 상기 홈부(32)로 토출되는 상기 제 2 토출구(21a)의 유로가 확보되도록 상기 내측 토출부(11)와 상기 외측 토출부(21) 사이의 간극을 유지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내측 토출부(11)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착홈(12)이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외측 토출부(21) 내벽면에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상기 간극유지부재(40)의 일면에는 일정 높이에 안착돌기(41)가 형성되는 것인데, 이같은 상기 안착돌기(41)는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내측 토출부(11) 외벽면에 설치되는 상기 안착홈(12)과 결합되면서 상기 내측 토출부(11)의 결합위치를 결정하게 되면서, 상기 내측 튜브(10) 선단의 내측 토출부(11)가 외부로 돌출됨 없이 안정된 결합 위치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외측 튜브(20)의 외측 토출부(21)와 상기 내측 튜브(10)의 내측 토출부(11) 사이에 상하 높이차(H1)를 가지는 배출 통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내측 토출부(11)의 외주면에 제공되는 상기 안착홈(12)은, 상측에 위치하는 상기 토출연장부(30)의 홈부(32) 보다 넓은 폭으로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토출연장부(30)의 홈부(32)는, 일면에 안착돌기(41)를 돌설하고 있는 상기 간극유지부재(40)의 폭보다 넓은 간극을 유지하도록 형성한다.
이는 개별 성형된 내측 튜브(10)와 외측 튜브(20)를 작업자가 포개어 조립할 때, 외측 튜브(20)의 하부로부터 삽입되는 내측 튜브(10)를 일정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상기 토출연장부(30)의 홈부(32)에 상기 간극유지부재(40) 일면으로 돌설되는 상기 안착돌기(41)가 결합됨을 감각에 의해서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를 통해 마주보는 내면의 결합 위치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는 작업자에게 유익하고도 안정된 작업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같이 결합 위치를 확인한 후, 내측 튜브(10)를 상부로 더욱 들어 올리면, 상기 토출연장부(30)의 홈부(32) 하측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내측 토출부(11)의 외주면에 제공되는 상기 안착홈(12)으로 상기 간극유지부재(40) 일면으로 돌설되는 상기 안착돌기(41)가 탄력 결합되면서 외측 튜브(20)와 내측 튜브(10)의 조립이 완성되는 것이다.
상기 내측 토출부(11)의 외주면에 제공되는 상기 안착홈(12)은, 상측에 위치하는 상기 토출연장부(30)의 홈부(32) 보다 넓은 폭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토출연장부(30)의 홈부(32)는, 일면에 안착돌기(41)를 돌설하고 있는 상기 간극유지부재(40)의 폭보다 넓은 간극을 유지하도록 형성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안착홈(12)과 상기 안착돌기(41)에는 각각 안착 가이드용의 제 1 경사 안내부(12a, 41a)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안착돌기(41)가 상기 안착홈(12)으로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간극유지부재(40)의 하단에는 제 2 경사 안내부(4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경사 안내부(42)는 상기 외측 튜브(20)에 대하여 상기 내측 튜브(10)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내측 튜브(10)의 상단과 상기 내측 토출부(11)의 경계 부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차부(13)가 형성되는데, 상기 단차부(13)는 상기 내측 튜브(10)가 상기 외측 튜브(20)의 내부로 삽입될 때 그 삽입 거리를 규제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단차부(13)는 내측 튜브(10)의 경사면(D1)이 외측 튜브(20)내의 경사면(D2)에 접촉되더라도, 상기 외측 튜브(20)내에 수용되는 제 2 내용물이 내측 토출부(21)에 형성되는 제 2 토출구(21a)를 통해 토출되는 것이 방해되지 않도록 그 삽입 거리를 제한하는 것이며, 이는 상기 내측 튜브(10)가 상기 외측 튜브(20)의 내부로 과도하게 삽입되면서, 상기 제 2 토출구(21a)를 밀폐시키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함인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튜브 용기의 토출구 결합 어셈블리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우선 외측 튜브(20)의 일단에서 상기 외측 튜브(20)의 내부로 내측 튜브(10)를 삽입한다.
그러면, 상측에 토출연장부(30)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는 상기 내측 튜브(10)의 내측 토출부(11)가 상기 외측 튜브(10)의 선단측에 형성되는 외측 토출부(21)의 내부로 진입하게 된다.
이때, 상단부에 걸림턱부(11b)가 마련되는 상기 내측 토출부(11) 상측의 토출연장부(30) 둘레면을 따라 반복 형성되는 돌기부(31)와 홈부(32)는 상기 외측 토출부(21)에 형성되는 제 2 토출구(21a)의 끝단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외측 토출부(21)의 내벽면에 반복 형성되는 간극유지부재(40)는 상기 제 2 토출구(21a)에 대한 배출통로가 확보되도록 상기 내측 토출부(11)와의 사이에서 간극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내측 토출부(11) 상측의 토출연장부(30)가 상기 외측 노출부(21) 내부로 진입시, 상기 간극유지부재(40)의 제 2 경사 안내부(42)는 상기 토출연장부(30)에 대한 진입을 가이드하게 되는 것이며, 이어서 상기 내측 토출부(11)의 외주면에 반복 형성되는 안착홈(12)에 상기 간극유지부재(40)의 일면에서 일정높이에 형성되는 안착돌기(41)가 위치하게 되면서, 상기 내측 토출부(11)에 대한 결합 위치를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상기 내측 토출부(11)와 상기 외측 토출부(21) 사이에는 반복 형성되는 상기 간극유지부재(40)에 의해 일정 간극을 가지는 제 2 내용물 수용공간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상기 내측 토출부(11) 상측의 토출연장부(30) 위치에서 상기 간극유지부재(40)와 이격된 공간을 유지하게 되면서 상기 제 2 토출구(21a)에는 상기 홈부(32)와 높이차(H1)를 가지며 연통되는 배출통로가 확보되는 것이다.
다시말해, 상기 안착돌기(41)가 상기 안착홈(12)에 안착되면, 상기 내측 튜브(10) 상측 토출연장부(30) 선단의 내측 토출부(11)가 외부로 돌출됨 없이 안정된 결합 위치를 확보하게 되고, 이러한 결합위치가 확보되어야 비로서 상기 외측 튜브(20)의 외측 토출부(21)와 상기 내측 튜브(10)의 내측 토출부(11) 사이에 첨부된 도 8에서와 같이 상하 높이차(H1)를 가지는 제 2 토출구(21a)로 이루어진 배출통로와 홈부(32)로 이루어진 배출통로가 확보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외측 토출부(21)의 상단에는 상기 간극유지부재(40)의 표면 일부에 돌출되는 상기 안착돌기(41)보다 좁은 내경을 가지도록 확장된 면적을 가지는 수평연장부(21c)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수평연장부(21c)은 상기 외측 튜브(20)의 제 2 토출구(21a)에 대한 단면적을 확정하게 되면서, 상기 외측 튜브(20)내에 수용되는 제 2 내용물 토출량을 결정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내측 튜브(10)가 상기 외측 튜브(20)의 제 2 토출구(21a)에 삽입될 때 간섭이 억제되면서도, 상기 내측 튜브(10)의 내측 토출부(11) 상측 토출연장부(30)가 외부로 돌출되는 현상을 방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외측 튜브(20)의 내부로 제 2 내용물이 수용되고, 상기 내측 튜브(10)의 내부로 제 1 내용물이 수용될 때, 상기 제 2 토출구(21a)를 통해 제 2 내용물이 토출되는 상기 홈부(32), 그리고 상기 제 1 내용물이 토출되는 상기 제 1 토출구(11) 상측 토출연장부(30)는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제 1 내용물과 상기 제 2 내용물의 혼합은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내측 튜브(10)와 상기 외측 튜브(20)에 각각 제 1 내용물과 제 2 내용물을 주입한 후, 상기 내측 튜브(10)와 상기 외측 튜브(20)의 하단을 일체로 열접착 방식으로 밀봉 처리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튜브 용기 제조가 완료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내용물이 각각 충진된 이중 튜브 용기를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외측 튜브(20)에 결합되는 미도시된 덮개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상기 외측 튜브(20)를 가압한다.
그러면, 상기 외측 튜브(20)에 가해지는 가압력에 따라 상기 외측 튜브(20)내에 수용되는 내측 튜브(10)도 동시에 가압되면서, 상기 내측 튜브(10)에 수용되는 제 1 내용물은 상기 내측 튜브(10)의 내측 토출부(11) 상측 토출연장부(30)에 형성되는 제 1 토출구(11a)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고, 상기 외측 튜브(10)에 수용되는 제 2 내용물은 간극유지부재(40)에 의해 확보된 제 2 토출구(21a)의 유로를 통해 상기 내측 토출부(11) 상측 토출연장부(30)의 상단 둘레면에 형성되는 홈부(32)를 통해 동시에 외부로 토출되면서, 상기 제 1 및 제 2 내용물은 그 토출과 동시에 고루게 혼합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사용이 끝나면 상기 외측 토출부(21)에 덮개를 결합시키면, 상기 덮개의 내측면이 상기 제 1 토출구(11a)는 물론, 상기 제 1 토출구(11a)의 주변에서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상기 홈부(32)를 동시에 밀폐시키게 되면서, 상기 내측 튜브(10)와 상기 외측 튜브(20)의 내부에 수용된 제 1 내용물과 제 2 내용물은 서로 혼합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그 보관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이중 튜브 용기의 토출구 결합 어셈블리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내측 튜브 11; 내측 토출부
11a; 제 1 토출구 11b; 걸림턱부
12; 안착홈 12a, 41a; 제 1 경사 안내부
13; 단차부 20; 외측 튜브
21; 외측 토출부 21a; 제 2 토출구
21b; 나선부 21c; 수평연장부
30: 토출연장부 31; 돌기부
32; 홈부 40; 간극유지부재
41; 안착돌기 42; 제 2 경사 안내부

Claims (9)

  1. 제 1 토출구가 형성되는 내측 토출부를 가지며 제 1 내용물이 수용되는 내측 튜브; 및, 제 2 토출구가 형성되는 외측 토출부를 가지며 상기 내측 튜브의 외측에 형성되면서 제 2 내용물이 수용되는 외측 튜브; 를 포함하되,
    상기 내측 토출부의 상단 둘레면에는 상기 외측 튜브와 상기 내측 튜브 사이에 수용되는 제 2 내용물의 토출을 가이드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부와 홈부를 반복 형성하고,
    상기 외측 토출부 내벽면과 내측 토출부 외벽면 사이에는 상기 외측 튜브내에 수용되는 제 2 내용물이 상기 홈부로 토출될 때 상기 제 2 토출구의 유로가 확보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극유지부재를 이격거리를 유지하여 반복 형성하며,
    상기 내측 토출부의 상단부에는 상기 외측 토출부 내경보다 넓은 면적으로 확장되는 걸림턱부를 마련하고,
    상기 내측 토출부의 상단에는 또한 상기 내측 토출부의 상단 면적보다 좁은 폭으로 돌출 설치되는 토출연장부를 형성하며,
    상기 토출연장부의 외벽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부와 홈부를 반복되게 형성하고,
    상기 내측 토출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내측 토출부의 결합 위치를 결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착홈을 반복 형성하고,
    상기 외측 토출부 내벽면에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상기 간극유지부재 일면에는 상기 안착홈에 끼움 지지되는 안착돌기를 돌출되게 형성하여,
    상기 외측 및 내측 토출부 사이에 상하 높이차를 가지는 배출 통로가 확보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내측 토출부의 외주면에 제공되는 상기 안착홈은, 상측에 위치하는 상기 토출연장부의 홈부 보다 넓은 폭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튜브 용기의 토출구 결합 어셈블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토출부의 상단에는 상기 내측 토출부 상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수평연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평연장부 내벽면에는 상기 토출연장부의 외벽면을 따라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돌기부가 밀착 접촉되도록 구성하며, 이웃하는 돌기부 사이에는 상기 홈부가 제한적으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서, 내측 토출부와 외측 토출부 사이에 제 2 토출구 유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튜브 용기의 토출구 결합 어셈블리.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연장부의 홈부는, 일면에 안착돌기를 돌설하고 있는 상기 간극유지부재의 폭보다 넓은 간극으로 형성되어, 외측 튜브 하부로부터 삽입되는 내측 튜브를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상기 토출연장부의 홈부에 상기 간극유지부재 일면으로 돌설되는 상기 안착돌기가 결합됨을 인지하며, 상기 내측 토출부 결합위치를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튜브 용기의 토출구 결합 어셈블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과 상기 안착돌기에는 각각 안착 가이드용의 제 1 경사 안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튜브 용기의 토출구 결합 어셈블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유지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외측 튜브에 대하여 상기 내측 튜브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제 2 경사 안내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튜브 용기의 토출구 결합 어셈블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튜브의 상단과 상기 내측 토출부의 경계 부위에는 상기 내측 튜브가 상기 외측 튜브의 내부로 삽입될 때 그 삽입 거리를 규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단차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튜브 용기의 토출구 결합 어셈블리.
KR1020200109569A 2020-08-28 2020-08-28 이중 튜브 용기의 토출구 결합 어셈블리 KR102259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569A KR102259885B1 (ko) 2020-08-28 2020-08-28 이중 튜브 용기의 토출구 결합 어셈블리
KR1020210036279A KR102284273B1 (ko) 2020-08-28 2021-03-20 이중 튜브 용기의 토출구 결합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569A KR102259885B1 (ko) 2020-08-28 2020-08-28 이중 튜브 용기의 토출구 결합 어셈블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6279A Division KR102284273B1 (ko) 2020-08-28 2021-03-20 이중 튜브 용기의 토출구 결합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9885B1 true KR102259885B1 (ko) 2021-06-02

Family

ID=7637251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9569A KR102259885B1 (ko) 2020-08-28 2020-08-28 이중 튜브 용기의 토출구 결합 어셈블리
KR1020210036279A KR102284273B1 (ko) 2020-08-28 2021-03-20 이중 튜브 용기의 토출구 결합 어셈블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6279A KR102284273B1 (ko) 2020-08-28 2021-03-20 이중 튜브 용기의 토출구 결합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59885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1727U (ko) 1992-06-09 1994-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탈 콘버젼스 보정장치
US6257450B1 (en) * 1999-04-21 2001-07-10 Pechiney Plastic Packaging, Inc. Dual dispense container having cloverleaf orifice
KR20100005808U (ko) * 2008-11-28 2010-06-07 (주)연우 이액 튜브용기
KR101165904B1 (ko) 2010-08-18 2012-07-13 최복윤 플립 캡 타입 이중격실 튜브용기
KR20150033037A (ko) * 2013-09-23 2015-04-01 부국티엔씨(주) 내튜브와 외튜브를 구비하는 이중 튜브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200485639Y1 (ko) 2017-09-28 2018-02-05 한동주 이종성분 동시토출형 다중용기
KR200489731Y1 (ko) 2019-03-21 2019-07-29 한지영 이종 내장체 토출용 동심 노즐을 구비한 이중용기
KR102007200B1 (ko) 2017-07-04 2019-08-02 신은주 이중 튜브 뚜껑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1727U (ko) 1992-06-09 1994-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탈 콘버젼스 보정장치
US6257450B1 (en) * 1999-04-21 2001-07-10 Pechiney Plastic Packaging, Inc. Dual dispense container having cloverleaf orifice
KR20100005808U (ko) * 2008-11-28 2010-06-07 (주)연우 이액 튜브용기
KR101165904B1 (ko) 2010-08-18 2012-07-13 최복윤 플립 캡 타입 이중격실 튜브용기
KR20150033037A (ko) * 2013-09-23 2015-04-01 부국티엔씨(주) 내튜브와 외튜브를 구비하는 이중 튜브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599904B1 (ko) 2013-09-23 2016-03-04 부국티엔씨(주) 내튜브와 외튜브를 구비하는 이중 튜브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2007200B1 (ko) 2017-07-04 2019-08-02 신은주 이중 튜브 뚜껑
KR200485639Y1 (ko) 2017-09-28 2018-02-05 한동주 이종성분 동시토출형 다중용기
KR200489731Y1 (ko) 2019-03-21 2019-07-29 한지영 이종 내장체 토출용 동심 노즐을 구비한 이중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4273B1 (ko) 2021-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60827A (en) Low profile anti-drip dosing cap and spout for liquid containers
US8870027B2 (en) Multi-bottle containers for dispensing measured quantities of liquids
US6964359B1 (en) Plastic container
US8651311B1 (en) Measuring scoop and support for a container
US20220211161A1 (en) Container with internal glass receptacl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container by using a spacing and locking insert
JPH08500314A (ja) 内容物を貯蔵し混合するための多重区画分配器
KR20220101417A (ko) 액상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
JP4903225B2 (ja) パッケージクロージャ
EP1689652B1 (en) Container sealing system
CA3154688A1 (en) Container, closure, and methods for manufacture
EP1071620B1 (en) Dispensing nozzle for multi-compartment container
KR102259885B1 (ko) 이중 튜브 용기의 토출구 결합 어셈블리
US20240051714A1 (en) Container cap and container having same coupled thereto
US3220619A (en) Metered liquid dispensing closure
US20220312935A1 (en) Container with internal receptacle suspended in an external receptacl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container using an interface with two flanges
US20220258936A1 (en) Closure device for a container
US20070199955A1 (en) Dispensing container for two flowable products
KR20110123351A (ko) 리필 및 정량 토출 용기
JP5711976B2 (ja) 合成樹脂製キャップ及びキャップ付容器
KR20220102983A (ko) 액상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
JP2024055986A (ja) 容器用キャップの製造方法
KR200485248Y1 (ko) 이중 용기와 뚜껑의 결합구조
JP2024063955A (ja) 注出容器
KR20220135302A (ko) 액상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
JP2001321222A (ja) 塗布具を備えた二重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