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639Y1 - 이종성분 동시토출형 다중용기 - Google Patents

이종성분 동시토출형 다중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639Y1
KR200485639Y1 KR2020170005123U KR20170005123U KR200485639Y1 KR 200485639 Y1 KR200485639 Y1 KR 200485639Y1 KR 2020170005123 U KR2020170005123 U KR 2020170005123U KR 20170005123 U KR20170005123 U KR 20170005123U KR 200485639 Y1 KR200485639 Y1 KR 2004856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main body
nozzle
bodies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1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동주
Original Assignee
한동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동주 filed Critical 한동주
Priority to KR20201700051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6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6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6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2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two or mor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83Cylindrical or polygonal containers, e.g. bottles, with two or more substantially axially offset, side-by-side compartments for simultaneous dispen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Tube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튜브타입 메인바디에 내장되는 복수의 서브바디 각각에 이종성분의 충진물, 특히 점성이 큰 젤타입 충진물을 내장하고, 메인바디 가압시 서브바디의 전단 배출부에서 노즐의 진입부를 거쳐 토출부로 충진물이 배출되도록 하여 화장품, 의약품, 살충제 등 미리 혼합되지 않은 이종성분의 충진물이 동시 토출되어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 이종성분 동시토출형 다중용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이종성분 동시토출형 다중용기는 전단 토출구 및 후단 진입부를 갖는 노즐; 노즐의 토출구를 막도록 결합되는 캡; 이 노즐과 연결되고 메인수용부를 형성하고, 후단 폐쇄부를 갖는 메인바디; 및 상기 메인바디에 각각 내장되고, 이종성분의 충진물을 내장한 서브수용부를 갖는 복수의 서브바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각 서브바디는 후단 충진부 및 전단 배출부를 갖고, 각 배출부는 노즐의 진입부와 중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종성분 동시토출형 다중용기{MULTI-SPACE TUBE VESSEL}
본 고안은 이종성분 동시토출형 다중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튜브타입 메인바디에 내장되는 복수의 서브바디 각각에 이종성분의 충진물, 특히 점성이 큰 젤타입 충진물을 내장하고, 메인바디 가압시 서브바디의 전단 배출부에서 노즐의 진입부를 거쳐 토출부로 충진물이 배출되도록 하여 화장품, 의약품, 살충제 등 미리 혼합되지 않은 이종성분의 충진물이 동시 토출되어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 이종성분 동시토출형 다중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종 성분 내용물을 한 공간에 내장하는 용기와 관련된 기술로는 실용신안공개 제20-2008-0006222호(공개일자 2008년12월16일) [구조물 고착제용 카트리지]가 있는데,
이 공개고안은 주제조성물과 경화제가 각각 충진되어 주입기에 의해 토출되는 구조물 고착제용 카트리지를 제공하며,
구체적으로 주제조성물이 포장재에 충진된 상태로 수용되는 제1수용체와, 상기 제1수용체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경화제가 포장재에 충진된 상태로 수용되는 제2수용체, 및 상기 제1ㆍ제2수용체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주제조성물 및 상기 경화제를 혼합된 상태로 토출시키는 토출부재를 포함하고,
주제조성물과 경화제가 각각 포장재에 수용된 상태로 제1ㆍ제2수용체 내부에 구비되기 때문에, 주제조성물에 함유되어 있는 용제 및 경화제에 함유된 가소제가 외부로 흘러나오거나 가스 및 냄새가 방출되지 않으며, 또 분리된 상태로 수용된 주제조성물과 경화제가 하나의 토출부재를 통해 혼합된 상태로 토출되므로, 상기 주제조성물과 상기 경화제의 토출량이 일정하게 배출되는 효과를 갖는다고 기재되어 있다.
또 특허공개 제10-2010-0038064호(공개일자 2010년04월12일) [시료 처리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시료 처리 방법]이 있는데,
이 공개특허는 검출목적에 맞는 시약을 포함하는 깨지기 쉬운 특성의 제1 용기 및 상기 용기를 포함하며 구부러지기 쉬운 특성을 갖는 제2 용기를 포함하고, 본 키트 및 방법을 사용하면 생물학적 시료를 추가한 후 간단한 조작으로 시료를 처리하여 다양한 생물학적 검사기기에 곧바로 적용할 수 있게 되며,
생물학적 검사를 위해, 시료를 미리 분주된 시약을 포함하는 용기에서 간단한 조작을 통해 반응시켜 직접 생물학적 검사기기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특허등록 제10-1756765호(등록일자 2017년07월05일) [이액분리 연결튜브]가 있는데,
이 등록특허는 이액분리 튜브용기에 있어서 경계접착부로 인해 두 개 이상의 분리튜브로 분리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 상부에 도포액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경계접착부에 일정한 압력에 의해 떨어지는 파열면을 구비하여 이형의 도포액을 분리하여 보관하고 필요에 따라 파열면을 압력으로 터트려 튜브용기 내에서 혼합하여 사용하며, 경계접착부의 파열면을 터트려 분리된 튜브를 연결하고 이에 튜브내부에서 이형의 도포액을 손으로 주물러서 혼합하여 혼합과정을 쉽게 하며, 혼합을 위한 별도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아 사용의 편리성이 크게 증가되며, 튜브 내부에서 혼합되어 혼합과정중에 주변의 오염이 되지 않는 장점을 제공한다.
아울러 특허등록 제10-1768399호(등록일자 2017년08월08일) [이액분리 혼합튜브]가 있는데,
이 등록특허는 이액분리 튜브용기에 있어서 내부에 혼합공간을 구비한 밀폐된 튜브형태의 혼합외통을 구비하고, 상기 혼합외통 내부 하부에 이형의 도포액을 각각 담는 두개 이상의 내부튜브를 하부에 고정하여 구비하고, 상기 내부튜브의 상부에 밀봉된 파열접착부를 구비하여 이형의 도포액을 하나의 용기에 분리보관하며 필요에 따라 파열접착부를 터트려 튜브용기 내에서 이액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이들 종래기술들은 서로 다른 외장 접합용기에 내장된 충진물이 하나의 노즐을 통하여 분출되거나(첫 번째 문헌), 내장된 이종 충진체의 파열을 통해 이종 내장물이 혼합되어 배출되도록 하는 기술(두 번째~네 번째 문헌)이어서 기존 튜브 제조 및 충진장치를 활용하기 어렵고, 그만큼 생산성이 낮고 단가경쟁력이 떨어져 범용 용기로 활용되기 어렵고 시장성이 부족한 기술에 해당한다.
이에 본 고안은 튜브타입 메인바디에 내장되는 복수의 서브바디 각각에 이종성분의 충진물, 특히 점성이 큰 젤타입 충진물을 내장하고, 메인바디 가압시 서브바디의 전단 배출부에서 노즐의 진입부를 거쳐 토출부로 충진물이 배출되도록 하여 화장품, 의약품, 살충제 등 미리 혼합되지 않은 이종성분의 충진물이 동시 토출되어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 이종성분 동시토출형 다중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은 메인바디의 내주면에 라이너가 형성되어 있어 서브바디 전단부의 배출부와의 밀착성을 높이고, 노즐의 진입부로 충진물이 매끄럽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 이종성분 동시토출형 다중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고안은 각 서브바디가 상호 접하는 제1외주접면과, 메인바디와 접하는 제2외주접면을 가져 충진물이 전방으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 이종성분 동시토출형 다중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이종성분 동시토출형 다중용기는
하단 토출구 및 후단 진입부를 갖는 노즐;
노즐의 토출구를 막도록 결합되는 캡;
이 노즐과 연결되고 메인수용부를 형성하고, 후단 폐쇄부를 갖는 메인바디; 및
상기 메인바디에 각각 내장되고, 이종성분의 충진물을 내장한 서브수용부를 갖는 복수의 서브바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각 서브바디는 후단 충진부 및 전단 배출부를 갖고, 각 배출부는 노즐의 진입부와 중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이종성분 동시토출형 다중용기에서
상기 메인바디는 내주면에 라이너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서브바디는 상호 접하는 제1외주접면을 갖고, 각 서브바디는 메인바디의 내주면과 접하는 제2외주접면을 갖는 것이 좋고,
상기 메인바디는 알루미늄 또는 그 합금 소재이고, 충진물은 점성이 큰 젤타입 성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이종성분 동시토출형 다중용기는 튜브타입 메인바디에 내장되는 복수의 서브바디 각각에 이종성분의 충진물, 특히 점성이 큰 젤타입 충진물을 내장하고, 메인바디 가압시 서브바디의 전단 배출부에서 노즐의 진입부를 거쳐 토출부로 충진물이 배출되도록 하여 화장품, 의약품, 살충제 등 미리 혼합되지 않은 이종성분의 충진물이 동시 토출되어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고, 또 메인바디의 내주면에 라이너가 형성되어 있어 서브바디 전단부의 배출부와의 밀착성을 높이고, 노즐의 진입부로 충진물이 매끄럽게 배출될 수 있으며, 아울러 각 서브바디가 상호 접하는 제1외주접면과, 메인바디와 접하는 제2외주접면을 가져 충진물이 전방으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종성분 동시토출형 다중용기의 충진물의 충진 전 도면.
도 2는 도 1의 다중용기의 평면도 및 저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종성분 동시토출형 다중용기의 충진물 충진 전 도면 및 충진 후 사용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 등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우열이나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이종성분 동시토출형 다중용기(T)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노즐(10)쪽을 전방으로 정하고, 그 반대쪽을 후방으로 정하며, 다른 도면과 관련된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먼저 도 1 [A]의 다중용기 사시도, [B]의 단면도, 도 2 [A]의 다중용기 평면도, [B]의 저면도, 도 3 [A]의 다중용기 투시도, [B]의 다중용기 사용상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종성분 동시토출형 다중용기(T), 특히 튜브타입 다중용기(T)는
도 1[A][B], 도 2[A][B], 도 3 [A]의 충진물 충진 전, 그리고 메인바디 후단 폐쇄부(35)(도 3 [B] 참조) 형성 전 반제품 상태를 기준으로 보면 메인바디(30), 노즐(10), 캡(20), 서브바디(40)로 구성된다.
상기 노즐(10)은 전단 토출구(11)와, 후단 진입부(13)로 구성되며, 토출구(11)측 노즐 외주면에는 노즐의 토출구를 막도록 결합되는 캡(20)의 암나사부와 결합되는 수나사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암수 나사 결합 방식의 캡과 노즐은 필요에 따라 억지끼움 방식의 원터치 타입으로 결합되는 퀵커플러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노즐의 토출구(11) 인접부위는 완만한 경사를 갖는 긴 대롱 타입인 반면, 진입부(13) 상대적으로 짧고 급격한 경사를 갖는 접시 타입 점감형 구조를 취하고 있으며, 진입부 하단에서 메인바디(30)의 전단부가 결합되어 있다.
메인바디(30)는 노즐(10), 특히 진입부(13) 후단과 결합되고, 내부에 메인수용부(31)를 형성하며, 도 3 [A] 및 [B]와 같이 서브바디(40)의 각 서브수용부(41)에 후단 충진부(45A)를 통하여 이종성분 충진물(G)을 채운 후 후단에 폐쇄부(35)를 형성한다.
메인바디는 필요에 따라 알루미늄 또는 그 합금 소재로 제조하거나(알루미늄 소재의 경우 단가경쟁력과 기성 소재 특성으로 인한 재료 수급 원활성 보장 등의 장점을 갖는다), 합성수지 소재를 채용할 수 있고, 폐쇄부(30)는 메인바디 후단을 반복하여 접어 형성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완성한다.
충진물(G)은 위생성과 양산성 등을 고려하여 자동화 라인에서 충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충진물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이종'성분이라는 명명은 성분의 차이, 점도 등 물성의 차이, 색상의 차이 등 통칭하여 대표로 지칭한 것일 뿐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이종성분 동시토출형 다중용기(T)를 활용하여 화장품, 의약품, 살충제, 염색약 등 미리 혼합되지 않은 이종성분의 충진물이 동시 토출하여 성분의 유리함, 효능의 적절성 내지 즉각성, 그리고 사용의 편리성 등의 장점을 취할 수 있다.
메인바디(30)는 또 메인수용부(31)를 감싸는 내주면(33)과 접하는 라이너, 특히 합성수지 소재의 라이너(liner)(37)를 도입하여 서브바디(40) 전단부의 배출부(45B)와의 밀착성을 높이도록 하는 소재 특성의 장점을 취하고, 노즐(10)의 진입부(13)로 충진물(G)이 매끄럽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도입하며, 필요에 따라 내화학성 특성을 도입할 수 있다.
특히 이 라이너(37)는 노즐(10)과 일체형으로 성형된 것이어서, [라이너+노즐 결합체]를 별도 제조하고, 라이너 외주면에 메인바디(30)를 결합하여 도 1 [A]의 반제품을 제조하는 방식을 취할 수 있다.
알루미늄 또는 그 합금 소재의 메인바디(30)는 노즐의 진입부(13)에 상응하는 형상에 해당하는 결합부(B30)(도 1 [B] 참조)까지 갖고, [라이너+노즐 결합체]는 진입부(13)를 통하여 이 결합부(B30)에 결합되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범위에서 서브바디(40)의 제2외주접면(43B)과 관련된 메인바디(30)의 '내주면'은 메인바디 자체 또는 라이너(37)의 접면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 도 3 [A]의 우측 하부 일점 쇄선 원 내 변형예와 같이, 상기 라이너는 하단부가 메인바디 보다 2~10mm 정도 더 짧게 형성하여 메인바디의 폐쇄부(35)를 위한 메인바디(30)만의 비중첩 접이 구간을 확보하여 충진물 누설방지용 밀폐성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상기 각 서브바디(40)의 하단부도 라이너(37) 보다 2~10mm 정도 더 짧게 형성하여 역시 [메인바디+라이너 중첩부] 만의 중첩 접이 구간(서브바디는 비중첩됨)을 확보하여 충진물 누설방지용 밀폐성을 보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복수의 서브바디(40), 특히 2~6개, 바람직하기로는 2~4개의 서브바디(40)는 각각 메인바디(30)의 메인수용부(31)에 내장되고, 이종성분의 충진물(G)을 내장하는 서브수용부(41)를 갖는다.
각 서브바디(40)는 또 후단 충진부(45A) 및 전단 배출부(45B)를 갖고,
각 배출부(45B)는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노즐(10)의 진입부(13)와 중첩부(45C)를 가져
도 3 [B]와 같이 서브수용부(41)에 충진물(G)이 충진 완료된 후 메인바디의 폐쇄부(35)가 형성된 상태에서 이종성분 충진물(G)이 한꺼번에 노즐의 각 서브바디(40)의 배출부(45B) 단부에서 노즐(10)의 진입부913) 및 토출구(11)를 거쳐 배출된다.
한편, 도 2 [B]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서브바디(40)의 외주면(43)은 특히 상호 접하는 제1외주접면(43A)을 갖고, 각 서브바디의 외주면은 또 메인바디(30)의 내주면(33)(또는 라이너(37)의 내주면)과 접하는 제2외주접면(43B)을 가져 충진물(G)이 전방으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충진물(G)의 저장 용량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예로서 도 2 [B]의 우측 상부 일점쇄선 원 내에는 동일한 직경의 세 서브바디(40M)가 내장된 구조로 역시 노즐(10)의 진입부(13)와의 관계에서 중첩부를 갖는다.
다른 변형예로서 도 2 [B]의 우측 하부 일점쇄선 원 내에는 서로 다른 직경의 두 서브바디(40m)가 내장된 구조로 이 역시 노즐(10)의 진입부(13)와의 관계에서 중첩부를 갖는다.
필요에 따라 메인바디(30)의 서브바디(40) 바깥의 메인수용부(31)에는 또 다른 충진물이 충진될 수 있다.
아울러 이종성분 충진물(G)은 점성이 큰 젤타입(또는 크림타입) 성분으로 구성되어 생산, 이동, 보관, 사용 중에 상호 혼합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이프 타입, 특히 합성수지 또는 알루미늄(또는 그 합금) 소재의 서브바디(40)의 전단 배출부(45B)는 수평으로 절단된 구조로 되어 있는데,
필요에 따라 서브바디의 전단 배출부는 노즐(10)의 진입부(13) 저면 경사도에 상응하는 형태로 사선으로 절단되어 진입부와 밀착성을 높이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 서브바디의 전단 배출부는 노즐의 진입부에 부착된 형태일 수 있다.
이종성분 충진물의 혼합에 의하여 성분의 유의미한 변성이 없는 경우 서브바디의 전단 배출부는 노즐의 진입부는 접합되지 않는 형태로 조립되고 충진물이 충진되는 것이 생산성, 가격경쟁력을 고려하여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에서 튜브 타입 다중용기의 제조방법, 충진방법 등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은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튜브 타입 다중 용기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 다중용기 G: 충진물
10: 노즐 11: 토출구
12: 진입부 20: 캡
30: 메인바디 31: 메인수용부
40: 서브바디 41: 서브수용부

Claims (4)

  1. 전단 토출구 및 후단 진입부를 갖는 노즐;
    노즐의 토출구를 막도록 결합되는 캡;
    이 노즐과 연결되고 메인수용부를 형성하고, 후단 폐쇄부를 갖는 메인바디; 및
    상기 메인바디에 각각 내장되고, 이종성분의 충진물을 내장한 서브수용부를 갖는 복수의 서브바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각 서브바디는 후단 충진부 및 전단 배출부를 갖고, 각 배출부는 노즐의 진입부와 중첩부를 갖고,
    상기 메인바디는 내주면에 라이너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성분 동시토출형 다중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바디는 상호 접하는 제1외주접면을 갖고, 각 서브바디는 메인바디의 내주면과 접하는 제2외주접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성분 동시토출형 다중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는 알루미늄 또는 그 합금 소재이고, 충진물은 점성이 큰 젤타입 성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성분 동시토출형 다중용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는 하단부가 메인바디 보다 2~10mm 더 짧게 형성되고,
    상기 각 서브바디의 하단부도 라이너 보다 2~10mm 더 짧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성분 동시토출형 다중용기.
KR2020170005123U 2017-09-28 2017-09-28 이종성분 동시토출형 다중용기 KR2004856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123U KR200485639Y1 (ko) 2017-09-28 2017-09-28 이종성분 동시토출형 다중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123U KR200485639Y1 (ko) 2017-09-28 2017-09-28 이종성분 동시토출형 다중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639Y1 true KR200485639Y1 (ko) 2018-02-05

Family

ID=61282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123U KR200485639Y1 (ko) 2017-09-28 2017-09-28 이종성분 동시토출형 다중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6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9885B1 (ko) 2020-08-28 2021-06-02 주식회사 선우티앤에프 이중 튜브 용기의 토출구 결합 어셈블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5803A (en) * 1994-12-15 1997-04-01 Yoshida Kogyo Co., Ltd. Tube container
KR20120017126A (ko) * 2010-08-18 2012-02-28 최복윤 플립 캡 타입 이중격실 튜브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5803A (en) * 1994-12-15 1997-04-01 Yoshida Kogyo Co., Ltd. Tube container
KR20120017126A (ko) * 2010-08-18 2012-02-28 최복윤 플립 캡 타입 이중격실 튜브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9885B1 (ko) 2020-08-28 2021-06-02 주식회사 선우티앤에프 이중 튜브 용기의 토출구 결합 어셈블리
KR102284273B1 (ko) 2020-08-28 2021-08-02 주식회사 선우티앤에프 이중 튜브 용기의 토출구 결합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50368B1 (en) Device for the extemporaneous mixing of at least three products
US6609634B2 (en) Dispensing device and methods
EP2574572B1 (en) Capsule for two-component materials
JP3881031B2 (ja) 2液組成物用小出し器
US9555928B2 (en) Cartridge and multicomponent cartridge
CN110304351B (zh) 分配器
US6959807B2 (en) Multi-compartment container assembly system
US9975139B2 (en) Cartridge and method for producing a cartridge
US7690534B2 (en) Device for placing two products in contact
US9493289B2 (en) Self-supporting cartridge, dispensing apparatus for such as well as method for using the cartridge
EP0666823A1 (en) Multiple component metering and relative proportioning device with collapsible cartridge
US7036685B1 (en) Multi-valve delivery system
JP2000229670A (ja) 多成分系の保存混合機能兼有計量分配装置
JP2011509225A (ja) 2つ以上の物質を貯蔵および混合するための密封可能な室を有する容器キャップ
US8273070B2 (en) Port member for infusion solution bag, and infusion solution bag
JP2017159958A (ja) 分注可能な収容容器及び分注システム
US20150129589A1 (en) Container for the controllable dispensing of a fluid and a container system with such a container
US3139121A (en) Liquid dispensing container
KR200485639Y1 (ko) 이종성분 동시토출형 다중용기
US20080173565A1 (en) Device for the storage and meter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US9731867B2 (en) Container arrangement for product
US20220002065A1 (en) Packaging System And Method For Multi-Component Product Preparation Processes
CA2714753A1 (en) Cartridge with integrated closure cap
US20230415973A1 (en) An aerosol metering valve system and a container comprising an aerosol metering valve system
EP2943271A1 (en) Intermediate piece for the connection of a dispensing element to a storage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