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7200B1 - 이중 튜브 뚜껑 - Google Patents

이중 튜브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7200B1
KR102007200B1 KR1020170084667A KR20170084667A KR102007200B1 KR 102007200 B1 KR102007200 B1 KR 102007200B1 KR 1020170084667 A KR1020170084667 A KR 1020170084667A KR 20170084667 A KR20170084667 A KR 20170084667A KR 102007200 B1 KR102007200 B1 KR 102007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lid
base
ho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4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4439A (ko
Inventor
신은주
최옥희
Original Assignee
신은주
최옥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은주, 최옥희 filed Critical 신은주
Priority to KR1020170084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7200B1/ko
Publication of KR20190004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4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7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7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1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B65D21/0205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joined together by bonding, adhesive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 B65D35/28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for expell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2Threaded caps
    • B65D47/123Threaded caps with internal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튜브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통공이 형성된 기부와, 상기 기부의 저면에서 상기 통공의 외곽으로부터 하향 돌출되는 결합부와, 상기 통공의 상측 가장자리가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안내돌부를 포함하는 두 개 이상의 뚜껑; 상기 두 개 이상의 뚜껑을 측방으로 연결 고정하는 커넥터; 및 상단에 인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인출구의 외측으로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헤드부가 형성되어 있는 튜브;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필요에 따라 다수의 튜브용기와 뚜껑을 결합하여 휴대 및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중 튜브 뚜껑{Double tube lid}
본 발명은 탄성을 갖는 튜브용기에 적용되는 이중 튜브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두 개의 튜브용기의 입구를 동시에 여닫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두 개의 용기를 함께 휴대 및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이중 튜브 뚜껑에 관한 것이다.
각종 화장품이나 세제 또는 음료수 등은 튜브와 같은 용기에 담겨져서 보관 및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은 모두 개별적인 용기로 구성되어 있고, 상단에 내용물을 인출할 수 있는 인출구가 형성되어 뚜껑에 의해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에는 로션이나 스킨 등과 같이 기능에 따라 다양한 화장품이 존재하여 함께 사용되고 있으며, 세제에도 샴푸와 린스 등과 같이 기능에 따라 별개의 제품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를 흔하게 볼 수 있다.
따라서 화장품이나 세제 등의 제품은 다수의 개별적인 제품을 구비하여 함께 사용하거나 휴대하게 되어 정리가 제대로 안되고 사용에 불편을 겪기도 하였다.
이러한 불편을 개선하기 위하여 하나의 용기 내부에 격벽이 형성되어 두 개의 공간을 마련함으로써 동시에 두 가지의 내용물을 보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이 제안된 바 있다.
특허문헌 1은 그러한 하나의 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용기의 몸체 내부에 격벽을 형성하여 분리된 수용부를 형성하고 이 수용부들의 상부에는 각각의 개구부를 형성하여 이 개구부들에 하나의 뚜껑을 설치하며, 상기 뚜껑에는 상기 각 수용부들과 각각 연결되는 각각의 인출구를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용기의 내부가 반으로 분리되고, 각 상단부에 노즐이 각각 형성됨으로써 샴푸와 린스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특허문헌 3은 하나의 페트병 용기의 내부에 차단막이 형성되어 동시에 두 가지 음료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은 모두 용기의 내부에 격벽을 형성함으로써 하나의 용기에 두 가지의 내용물을 동시에 보관할 수 있도록 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용기 자체의 제조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소비자의 입장에서 용기 내부의 내용물에 대한 선택의 여지가 없다는 문제가 있다.
즉, 제조된 용기의 내용물 외에는 다른 내용물을 적용하여 사용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또한 용기의 호환성이 없는 문제도 지적된다. 두 가지의 내용물 중 어느 한 쪽의 내용물이 먼저 소비되면 교환이 되질 않아서 다른 한 쪽의 내용물이 소비될 때까지 다른 한 쪽은 비어 있는 채로 함께 사용하여야 하거나, 아니면 함께 버려야 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고, 간편한 사용이 이루어지면서 용기의 호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중 용기가 요구되기에 이르렀다.
1.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30333호(2001.04.30.) 2.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76075호(2002.05.07.) 3. 한국 공개특허 제10-2011-0107553호(2011.10.04)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다른 내용물을 갖는 튜브용기를 하나로 결합 또는 분리하여 편리하게 휴대 및 사용이 가능한 이중 튜브 뚜껑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둘 이상의 튜브용기(이하 '튜브'라 함)를 간편하게 휴대 및 사용할 수 있으면서 선택적인 교환 및 결합이 가능한 이중 튜브 뚜껑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중의 튜브를 결합하여 사용하면서 각 튜브의 출구를 별개로 개폐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이중 튜브 뚜껑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이중 튜브 뚜껑은, 통공이 형성된 기부와, 상기 기부의 저면에서 상기 통공의 외곽으로부터 하향 돌출되는 결합부와, 상기 통공의 상측 가장자리가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안내돌부를 포함하며, 외측면 일단에는 기부의 윗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조립홈이 형성되어 있는 두 개 이상의 뚜껑; 상기 뚜껑의 조립홈에 양 측단이 끼워져서 두 개 이상의 뚜껑을 측방으로 연결 고정하는 커넥터; 및 상단에 인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인출구의 외측으로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헤드부가 형성되어 있는 튜브;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둘 이상의 튜브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동시에 두가지 이상의 내용물을 휴대 및 사용할 수 있게 되며, 튜브의 임의적인 선택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캡의 결합부와 튜브의 헤드부는 나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끼움 방식으로 조립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기부의 가장자리는 하측으로 연장되어 커튼부를 형성함으로써 튜브의 헤드부 외곽을 감싸도록 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기부의 일측으로 연결되고, 상기 통공을 포함하여 상기 기부의 윗면을 개폐하는 캡이 더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기부의 주연부에는 상기 캡이 결합되는 단턱이 형성되어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캡의 내부에는 기부와 결합되었을 때 상기 안내돌부 및 통공을 폐쇄하는 마개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커넥터는 각 뚜껑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형성되고, 각 뚜껑의 타측면에는 상기 조립홈이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도록 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통공은 상기 결합부의 중심으로부터 편심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튜브로부터 인출되는 내용물이 급작스럽게 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튜브는 두 개의 튜브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어느 하나의 튜브 측면에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 튜브의 측면에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수직으로 끼움으로써 서로 결합되도록 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튜브 뚜껑은 두 개 이상의 튜브를 결합하여 휴대 및 사용함으로써 일체감이 있으면서 동시에 둘 이상의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중 튜브 뚜껑은 튜브를 임의적으로 선택하여 결합할 수 있어서 선택의 폭이 넓으며, 먼저 소진된 튜브만을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호환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중 튜브 뚜껑은 튜브의 인출구와 연통하는 뚜껑의 통공이나 출구가 서로 편심되게 구성함으로써 내용물의 급작스러운 분출을 억제하여 안전한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아울러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튜브와 뚜껑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의 일부 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튜브와 뚜껑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튜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튜브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실시예로서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 명칭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적용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튜브와 뚜껑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의 일부 단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튜브와 뚜껑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튜브(1)는 탄성을 갖는 것으로서 몸체를 눌러서 내용물을 인출시키는 용기에 해당하며, 튜브(1)의 상단에 인출구(2)가 형성되어 있고, 인출구(2)의 외측은 나사부가 형성된 헤드부(3)로 이루어진다.
뚜껑(10)은 기부(11)에 통공(12)이 형성되고, 기부(11)의 저면에서 상기 통공(12)의 외곽으로 결합부(13)가 하향 돌출되어 있으며, 이 결합부(13)의 내주연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튜브(1)의 헤드부(3)가 나사 결합된다.
기부(11)의 윗면에는 상기 통공(12)의 가장자리가 상향 연장되어 안내돌부(14)를 형성하여 내용물을 안내하게 되고, 기부(11)의 가장자리가 하측으로 연장되어 커튼부(15)를 형성함으로써 튜브(1)의 헤드부(3) 외곽을 감싸도록 되어 있다.
기부(11)의 일측에는 기부(11)의 윗면을 개폐할 수 있는 캡(20)이 설치되는데, 캡(20)은 기부(11)와 연결부(21)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회동 가능하며, 이 캡(20)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기부(11)의 주연부에는 단턱(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캡(20)의 내부에는 기부(11)와 결합되었을 때 상기 통공(12) 및 안내돌부(14)를 폐쇄하는 마개(2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캡(20)이 기부(11)와 결합되었을 때, 캡(20)을 열기 쉽도록 캡(20)의 자유단측면에 접하는 기부 및 커튼부(15)의 일측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각 뚜껑(10)의 대응되는 측면에는 기부(11)의 윗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조립홈(17)이 형성되어 이 조립홈(17)에 커넥터(30)가 끼워짐으로써 두 개의 인접한 뚜껑(10)이 연결 조립되는데, 상기 조립홈(17)은 내측이 넓고 외측이 좁게 형성되어 있으며, 커넥터(30)는 상기 조립홈(17)의 단면과 일치되도록 양 단부가 넓고 중간이 좁게 형성되어 커넥터(30)의 끼움에 의해 두 개의 뚜껑이 연결 고정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두 개의 뚜껑(10)이 커넥터(30)에 의해 조립 고정되면서 뚜껑(10)에 결합되는 두 개의 튜브(1)가 결합된 상태로 휴대 및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커넥터(30)는 각 뚜껑(10)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형성되고(도면에 도시안됨), 각 뚜껑의 타측면에는 상기 조립홈(17)이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연속적인 조립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뚜껑(10)의 결합부(13)에 원하는 내용물의 튜브(1)의 헤드부(3)를 결합 고정하여 사용하게 되며, 내용물을 인출할 때에는 캡(20)을 열고 튜브(1)를 압박하면, 내용물은 튜브(1)의 인출구(2) 및 기부(11)의 통공(12)과 안내돌부(14)를 통해 인출되는 것이다.
동시에 두 개 이상의 튜브를 뚜껑(10)에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동시에 다수의 화장품이나 세제 등을 휴대 및 보관할 수 있고, 필요한 즉시 선택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뚜껑(10)의 기부(11)에 형성되는 통공(12)이 결합부(13)의 중심과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곧 결합부(13)에 결합되는 튜브(1)의 인출구와도 편심 대응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상기 통공(12)은 편심 위치된다 하여도 상기 결합부(13)의 내측에 위치되는 것은 사실이다.
이와 같이 통공(12)이 편심 위치되면 튜브(1)의 압박에 의해 내용물이 인출구를 통해 분출될 때 갑자기 강하게 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이와 같이 함께 뚜껑(10)에 결합되는 두 튜브(1)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튜브의 다른 형태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어느 하나의 튜브 측면에 끼움홈(4)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 튜브의 측면에 끼움돌기(5)가 형성되어 수직으로 끼움으로써 서로 결합되도록 된 것이다.
이와 같이 튜브가 결합 구성되면 보다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하여 흔들림 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하고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적용되거나 변경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튜브나 뚜껑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 적용될 수 있을 것이고, 통공이나 커넥터 등의 갯수나 형상 또한 필요에 따라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 ; 튜브 2 ; 인출구
3 ; 헤드부 4 ; 끼움홈
5 ; 끼움돌기 10 ; 뚜껑
11 ; 기부 12 ; 통공
13 ; 결합부 14 ; 안내돌부
15 ; 커튼부 16 ; 단턱
17 ; 조립홈 20 ; 캡
21 ; 연결부 22 ; 마개
30 ; 커넥터

Claims (11)

  1. 통공이 형성된 기부와, 상기 기부의 저면에서 상기 통공의 외곽으로부터 하향 돌출되는 결합부와, 상기 통공의 상측 가장자리가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안내돌부를 포함하며, 외측면 일단에는 기부의 윗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조립홈이 형성되어 있는 두 개 이상의 뚜껑;
    상기 뚜껑의 조립홈에 양 측단이 끼워져서 두 개 이상의 뚜껑을 측방으로 연결 고정하는 커넥터; 및
    상단에 인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인출구의 외측으로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헤드부가 형성되어 있는 튜브;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튜브 뚜껑.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70084667A 2017-07-04 2017-07-04 이중 튜브 뚜껑 KR102007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667A KR102007200B1 (ko) 2017-07-04 2017-07-04 이중 튜브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667A KR102007200B1 (ko) 2017-07-04 2017-07-04 이중 튜브 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439A KR20190004439A (ko) 2019-01-14
KR102007200B1 true KR102007200B1 (ko) 2019-08-02

Family

ID=65027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4667A KR102007200B1 (ko) 2017-07-04 2017-07-04 이중 튜브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72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9885B1 (ko) 2020-08-28 2021-06-02 주식회사 선우티앤에프 이중 튜브 용기의 토출구 결합 어셈블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9744A (ja) * 2003-03-31 2004-10-28 Yoshino Kogyosho Co Ltd 複数の吐出口を有するヒンジキャップ
KR101683560B1 (ko) * 2015-10-05 2016-12-08 이종남 이중컵
JP2017088192A (ja) * 2015-11-05 2017-05-25 東洋製罐株式会社 ヒンジキャップ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333Y1 (ko) 2001-02-19 2001-07-19 주식회사 로쎄앙 이중용기
KR200276075Y1 (ko) 2002-03-04 2002-05-18 김기창 이중 노즐이 구성된 샴푸 린스 겸용 용기
KR20110107553A (ko) 2010-03-25 2011-10-04 유완석 이중 뚜껑을 겸비한 더블 페트병
KR200476920Y1 (ko) * 2013-03-27 2015-04-16 허성범 포장용 용기 뚜껑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9744A (ja) * 2003-03-31 2004-10-28 Yoshino Kogyosho Co Ltd 複数の吐出口を有するヒンジキャップ
KR101683560B1 (ko) * 2015-10-05 2016-12-08 이종남 이중컵
JP2017088192A (ja) * 2015-11-05 2017-05-25 東洋製罐株式会社 ヒンジキャップ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9885B1 (ko) 2020-08-28 2021-06-02 주식회사 선우티앤에프 이중 튜브 용기의 토출구 결합 어셈블리
KR102284273B1 (ko) 2020-08-28 2021-08-02 주식회사 선우티앤에프 이중 튜브 용기의 토출구 결합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439A (ko) 2019-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6731Y1 (ko) 다종의 크림형 화장품을 분리수용하는 다중 격실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US7258251B2 (en) Multi-chambered dispensing container
US20060138169A1 (en) Multiple chamber container
JP6437369B2 (ja) 二重容器
KR20110012781A (ko) 내용물의 리필이 가능한 지관용기
KR101611211B1 (ko) 전량 사용 가능한 구조를 갖는 용기
KR102007200B1 (ko) 이중 튜브 뚜껑
CN107660193B (zh) 插装泵
KR102050048B1 (ko) 이중 튜브 뚜껑
JP5208876B2 (ja) 二重容器
JP5984340B2 (ja) 二液吐出装置
KR101688623B1 (ko) 튜브형 화장품 용기
KR101569709B1 (ko) 샴푸린스 용기
KR20190000118U (ko) 역류방지용 튜브용기 고무막 캡
KR200460281Y1 (ko) 색조화장품 케이스
KR101328127B1 (ko) 병마개
US20220212842A1 (en) Contents container
US6345733B1 (en) Dual compartment package
JP2014166877A (ja) 液体注出容器
US10857555B2 (en) Dispensing head
US6026989A (en) Multichamber squeeze tube integrally molded in one piece and container assembly incorporating same
JP4301367B2 (ja) 櫛付きエアゾール容器
KR20170139184A (ko) 방수 블루투스 스피커를 겸비한 휴대용 목욕용품 케이스
KR200317079Y1 (ko) 세제용기
JP7245005B2 (ja) 吐出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