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3560B1 - 이중컵 - Google Patents

이중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3560B1
KR101683560B1 KR1020150139548A KR20150139548A KR101683560B1 KR 101683560 B1 KR101683560 B1 KR 101683560B1 KR 1020150139548 A KR1020150139548 A KR 1020150139548A KR 20150139548 A KR20150139548 A KR 20150139548A KR 101683560 B1 KR101683560 B1 KR 101683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double
fitting
double cup
accommod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9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남
Original Assignee
이종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남 filed Critical 이종남
Priority to KR1020150139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35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3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3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55Details related to the connection between the liquid containing part and the supporting par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83Sauc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1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컵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하나의 컵에 서로 다른 종류의 음료를 담을 수 있도록 두개의 수용부를 마련하여 두개의 수용부를 연결시켜 하나의 컵으로 마련하여 한번에 여러종류의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상부가 외부와 통하는 각각의 두개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를 마련한 제1몸체와 제2몸체를 마 련하여 고정구에 의해 제1몸체와 제2몸체를 밀착고정하거나 컵의 내부에 제1수용부를 마련하고 하부에 끼움하판을 마련하여 컵에 걸고리로 걸어 고정시키게 하는 이중컵을 마련하여 커피숍이나 패스트푸드점 등에서 판매되는 여러종류의 커피 또는 음료를 두가지 선택하여 제1,2수용부에 마련한 제1,2몸체를 고정구로 연결하여 하나의 컵에 원하는 음료를 선택적으로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과 간단한 구성으로 컵의 내부에 제1,2수용부를 마련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제조비를 절감시키게 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간단하게 제1,2수용부를 마련한 제1,2몸체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이중컵{DOUBLE CUP}
본 발명은 이중컵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하나의 컵에 서로 다른 종류의 음료를 담을 수 있도록 두개의 수용부를 마련하여 두개의 수용부를 연결시켜 하나의 컵으로 마련하여 한번에 여러종류의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하는 이중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회용 종이컵이나 컵 형태의 용기는 한 종류의 커피, 차, 과일쥬스 등 한 가지 종류의 음료가 담기고 입구는 커버가 장착되어 커버를 벗기고 마시거나, 커버에 빨대를 꽃아 빨대로 마실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기존의 컵은 한 가지 종류의 음료만 마실 수 있어 다른 음료를 마시기 위해서는 음료가 담긴 내용물을 다 먹은 후 다시 다른 종류의 음료를 담아 마실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연인끼리 이러한 컵에 하나의 음료를 담아 거리에서 들고 다니면서 마실 경우에는 첨부터 원하는 하나의 음료만을 담거나 또는 서로 원하는 다른 음료를 별도의 컵에 담아 각자 들고 다녀야하는 번거러움이 있어 불편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이중 컵은 공개특허공보 10-2010-0009115(2010년 01월 27일)에 개시된 바와 같이, 컵을 이중으로 함으로써 컵 하부에 분말, 티백, 스푼 등 필요한 것을 미리 삽입하여 소풍, 등산 등의 간단한 여행시에 물만 부어서 차를 마실 수 있고, 일회용품 사용을 줄일 수 있는 이중 컵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에 수용부가 형성된 제1컵과, 상기 제1컵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내장된 제2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컵의 저면에는 상기 제2컵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수용부를 개폐하는 덮개부가 형성하였으나, 이와 같은 종래의 이중 컵은 제1컵의 하부에 수용부가 형성되어 수용부에 분말을 넣고 덮개부로 덮어서 분말이 쏟아지는 것을 막는 구조로서, 제1컵에 물이나 음료를 부어 분말과 혼합하여 사용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이중 컵은 제1컵의 하부에 형성되는 수용부에 분말만 수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분말과 물을 혼합하면 한 가지 종류의 음료가 만들어지므로 두가지 종류의 음료를 먹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커피숍이나 패스트푸드점 등에서 판매되는 여러종류의 커피 또는 음료를 두가지 선택하여 원하는 음료를 선택적으로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컵을 선호하게 되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09115 "이중 컵"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위와 같이 따라서, 커피숍이나 패스트푸드점 등에서 판매되는 여러종류의 커피 또는 음료를 두가지 선택하여 원하는 음료를 선택적으로 섭취할 수 있도록,
제1수용부의 상부면 일측 외부로 연결대를 연장시켜 끝단에 걸고리를 하부로 연장시켜 연결대의 하부에는 걸구홈을 형성하고 하부 끝단에는 이중컵의 하부 내부면을 수용하는 판형의 끼움하판을 형성하고 끼움걸구와 끼움결합하는 끼움걸홈을 이중컵의 내면하부에 형성하도록 하여 컵의 상부 외주연에 걸구홈과 걸고리에 의해 걸려지게 함과 동시에 컵의 내부 하부면에 끼움걸구를 끼움걸홈에 끼워 제1몸체가 컵의 내부에 안전하게 고정하도록 하는 이중컵을 발명한 것이다.
삭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가 외부와 통하는 제1수용부(12)와 제2수용부(12')를 마련하는 이중컵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부(12)를 내부에 마련하는 제1몸체(11)를 형성하되 상기 제1수용부(12)의 상부면 일측 외부로 연결대(18)를 연장시켜 끝단에 걸고리(17)를 하부로 연장시켜 연결대(18)의 하부에는 걸구홈(19)을 형성하여 이중컵(10)의 상부 외주연에 걸려지게 하고,
제1몸체(11)의 하부 끝단에는 이중컵(10)의 하부 내부면을 수용하는 판형의 끼움하판(15)을 형성하며 상기 끼움하판(15)의 외주연에는 끼움걸구(16)를 형성하여 상기 끼움걸구(16)와 끼움결합하는 끼움걸홈(35)을 이중컵(10)의 내면하부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부가 외부와 통하는 각각의 두개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를 마련한 제1몸체와 제2몸체를 마 련하여 고정구에 의해 제1몸체와 제2몸체를 밀착고정하거나 컵의 내부에 제1수용부를 마련하고 하부에 끼움하판을 마련하여 컵에 걸고리로 걸어 고정시키게 하는 이중컵을 마련하여 커피숍이나 패스트푸드점 등에서 판매되는 여러종류의 커피 또는 음료를 두가지 선택하여 제1,2수용부에 마련한 제1,2몸체를 고정구로 연결하여 하나의 컵에 원하는 음료를 선택적으로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과 간단한 구성으로 컵의 내부에 제1,2수용부를 마련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제조비를 절감시키게 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간단하게 제1,2수용부를 마련한 제1,2몸체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4,6,7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도 4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도 7의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가 외부와 통하는 제1수용부(12)와 제2수용부(12')를 각각 마련한 제1몸체(11)와 제2몸체(11')를 마련하여 상기 제1몸체(11)와 제2몸체(11')의 외주연에는 걸구(13)를 돌출형성하고,
상기 제1몸체(11)와 제2몸체(11')의 외주연 걸구(13)를 수용하는 걸홈(21)을 내부 공간부(22) 내주연에 형성한 고정구(20)를 마련하여 제1몸체(11)와 제2몸체(11')를 하나의 컵(30)으로 고정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몸체(11)와 제2몸체(11')의 상부 외주연에는 끼움홈(14)을 형성하여 별도의 상끼움구(50)를 마련하여 제1몸체(11)와 제2몸체(11')의 상부를 연결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가 외부와 통하는 제1수용부(12)와 제2수용부(12')를 각각 마련한 제1몸체(11)와 제2몸체(11')의 경계면에 끼움돌기(40)를 돌출형성하고 상기 끼움돌기(40)와 결합하는 끼움걸공(41)을 형성하여 상기 제1수용부(12)와 제2수용부(12')를 형성한 제1몸체(11)와 제2몸체(11')를 연결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의 고정구(20)의 또 다른 실시예로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몸체(11)와 제2몸체(11')의 외주연에 나사걸구(24)를 돌출형성하고,
상기 제1몸체(11)와 제2몸체(11')의 외주연에 돌출형성된 나사걸구(24)를 수용하는 나사걸홈(23)을 내부 공간부(22) 내주연에 형성한 고정구(20)를 마련하여 제1몸체(11)와 제2몸체(11')를 하나의 컵(30)으로 고정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가 외부와 통하는 제1수용부(12)를 마련한 제1몸체(11)의 하부 외주연으로 원호형의 가로걸구(33)를 돌출 형성하고 제1몸체(11)의 세로방향으로 직선의 세로걸구(34)를 형성하고 제1몸체(11)와 제2몸체(11')를 수용하는 하나의 컵(30)의 하부에는 상기 가로걸구(33)와 세로걸구(34)를 수용하는 가로걸공(31)과 세로걸공(32)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가 외부와 통하는 제1수용부(12)와 제2수용부(12')를 마련하는 이중컵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부(12)를 내부에 마련하는 제1몸체(11)를 형성하되 상기 제1수용부(12)의 상부면 일측 외부로 연결대(18)를 연장시켜 끝단에 걸고리(17)를 하부로 연장시켜 연결대(18)의 하부에는 걸구홈(19)을 형성하여 이중컵(10)의 상부 외주연에 걸려지게 하고,
제1몸체(11)의 하부 끝단에는 이중컵(10)의 하부 내부면을 수용하는 판형의 끼움하판(15)을 형성하며 상기 끼움하판(15)의 외주연에는 끼움걸구(16)를 형성하여 상기 끼움걸구(16)와 끼움결합하는 끼움걸홈(35)을 이중컵(10)의 내면하부에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하나의 컵(30)에 서로 다른 종류의 음료를 담을 수 있도록 하기위해서는,
먼저 상부가 외부와 통하는 제1수용부(12)와 제2수용부(12')를 형성한 제1몸체(11)와 제2몸체(11')를 먼저 밀착시켜 외주연의 걸구(13)에 고정구(20)의 걸홈(19)을 끼워 고정구(20)에 의해 제1몸체(11)와 제2몸체(11')를 연결하도록 하며,
이때, 제1,2몸체(11)(11')의 길이가 긴 경우 하부의 고정구(20)에 의해 제1,2몸체(11)(11')가 고정력이 떨어지게 되므로 제1몸체(11)와 제2몸체(11')의 상부 외주연에 형성한 끼움홈(14)에 상끼움구(50)를 마련하여 상기 제1몸체(11)와 제2몸체(11')의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여 한층 더 고정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가 외부와 통하는 제1수용부(12)를 마련한 제1몸체(11)의 하부 끼움하판(15)의 끼움걸구(16)를 컵(30)의 내부에 삽입시키면,
상기 끼움하판(15)의 끼움걸구(16)는 컵(30)의 하부에 삽입되면서 컵(30)과 제1몸체(11)를 걸리게 함과 동시에 제1수용부(12)의 상부면 일측에 돌출형성한 걸고리(17)의 걸구홈(19)이 컵(30)의 상면에 걸려지게 되면서 제1수용부(12)를 형성한 제1몸체(11)는 컵(30)에 삽입고정되면서 상기 제1몸체(11)의 제1수용부(12)와 컵(30)의 빈공간이 제2수용부(12')가 형성한 이중컵(10)을 마련하여 제1수용부(12)와 제2수용부(12')에 다른 음료 또는 서로 다른 커피를 담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가 외부와 통하는 제1수용부(12)를 마련한 제1몸체(11)의 하부 외주연에 형성한 원호형의 가로걸구(33)와 세로방향으로 직선의 세로걸구(34)를 컵(30)에 삽입하면서 상기 컵(30)의 내부에는 상기 가로걸구(33)와 세로걸구(34)를 수용하는 가로걸공(31)과 세로걸공(32)에 의해 제1수용부(12)를 형성한 제1몸체(11)가 컵에 고정하도록 하여 이중컵(10)을 마련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가 외부와 통하는 제1수용부(12)와 제2수용부(12')를 각각 마련한 제1몸체(11)와 제2몸체(11')의 경계면에 형성한 끼움돌기(40)와 끼움돌기(40)를 먼저 길이방향으로 끼워 결합하고 외주연의 걸구(13)에 고정구(20)의 걸홈(21)을 끼워 고정구(20)에 의해 제1수용부(12)를 형성한 제1몸체(11)와 제2수용부(12')를 형성한 제2몸체(11')를 연결하여 이중컵(10)을 마련하도록 하는 것이다.
10 : 이중컵 11 : 제1몸체
11' : 제2몸체 12 : 제1수용부
12' : 제2수용부 13 : 걸구
14 : 끼움홈 15 : 끼움하판
16 : 끼움걸구 17 : 걸고리
18 : 연결대 19 : 걸구홈
20 : 고정구 21 : 걸홈
22 : 공간부 23 : 나사걸홈
24 : 나사걸구 30 : 컵
31 : 가로걸공 32 : 세로걸공
33 : 가로걸구 34 : 세로걸구
35 : 끼움걸홈 40 : 끼움돌기
41 : 끼움걸공 50 : 상끼움구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상부가 외부와 통하는 제1수용부(12)와 제2수용부(12')를 마련하는 이중컵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부(12)를 내부에 마련하는 제1몸체(11)를 형성하되 상기 제1수용부(12)의 상부면 일측 외부로 연결대(18)를 연장시켜 끝단에 걸고리(17)를 하부로 연장시켜 연결대(18)의 하부에는 걸구홈(19)을 형성하여 이중컵(10)의 상부 외주연에 걸려지게 하고,
    제1몸체(11)의 하부 끝단에는 이중컵(10)의 하부 내부면을 수용하는 판형의 끼움하판(15)을 형성하며 상기 끼움하판(15)의 외주연에는 끼움걸구(16)를 형성하여 상기 끼움걸구(16)와 끼움결합하는 끼움걸홈(35)을 이중컵(10)의 내면하부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컵.
KR1020150139548A 2015-10-05 2015-10-05 이중컵 KR101683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548A KR101683560B1 (ko) 2015-10-05 2015-10-05 이중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548A KR101683560B1 (ko) 2015-10-05 2015-10-05 이중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3560B1 true KR101683560B1 (ko) 2016-12-08

Family

ID=57576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9548A KR101683560B1 (ko) 2015-10-05 2015-10-05 이중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35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4439A (ko) * 2017-07-04 2019-01-14 신은주 이중 튜브 뚜껑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6393A (ja) * 2004-07-21 2006-02-02 Shien Chin コップ
KR20080044992A (ko) * 2006-11-17 2008-05-22 김두철 가열기능을 갖는 컵
KR200445756Y1 (ko) * 2009-02-04 2009-08-28 석동현 탈착형 수용체가 설치된 용기
KR20100009115A (ko) 2008-07-18 2010-01-27 오정민 이중 컵
KR20140095987A (ko) * 2013-01-25 2014-08-04 유상준 분할형 음료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6393A (ja) * 2004-07-21 2006-02-02 Shien Chin コップ
KR20080044992A (ko) * 2006-11-17 2008-05-22 김두철 가열기능을 갖는 컵
KR20100009115A (ko) 2008-07-18 2010-01-27 오정민 이중 컵
KR200445756Y1 (ko) * 2009-02-04 2009-08-28 석동현 탈착형 수용체가 설치된 용기
KR20140095987A (ko) * 2013-01-25 2014-08-04 유상준 분할형 음료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4439A (ko) * 2017-07-04 2019-01-14 신은주 이중 튜브 뚜껑
KR102007200B1 (ko) * 2017-07-04 2019-08-02 신은주 이중 튜브 뚜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32349B1 (en) Dispensing cap
US20100288782A1 (en) Handle of cup
KR101450181B1 (ko) 캡슐의 장착이 가능한 컵 뚜껑
KR101683560B1 (ko) 이중컵
KR101553337B1 (ko) 생수병용 티백 수납구
JP2011136749A (ja) 蓋付き食品容器
JP3212760U (ja) ポット
KR101349435B1 (ko) 다중 컵
KR20140095987A (ko) 분할형 음료용기
MX2011001771A (es) Accesorio para taza.
KR101658305B1 (ko) 식사도구의 거치가 가능한 일회용컵 뚜껑
US20120024163A1 (en) Ring-shaped adapter having a net for brewing tea in disposable cups
KR20140116786A (ko) 캡 용기
KR101341852B1 (ko) 차잎 우림 기능을 갖는 차컵
KR200486146Y1 (ko) 이중용기
KR20180001679U (ko) 일회용 포션팩
US20150144627A1 (en) Vessel set
KR101391783B1 (ko) 이중 컵
KR101608768B1 (ko) 아이스텀블러 뚜껑
KR200474750Y1 (ko) 컵의 상단에 결합하여 이종의 음료를 음용할 수 있는 용기
US20180229905A1 (en) Hanging container lid assembly
TWM557721U (zh) 容器及容器組合
CN111297141B (zh) 锥形饮料杯托碗
CN211168100U (zh) 具搅拌棒的盖体及包含该盖体之杯瓶
CN210708650U (zh) 饮料杯用杯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