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5987A - 분할형 음료용기 - Google Patents

분할형 음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5987A
KR20140095987A KR1020140008104A KR20140008104A KR20140095987A KR 20140095987 A KR20140095987 A KR 20140095987A KR 1020140008104 A KR1020140008104 A KR 1020140008104A KR 20140008104 A KR20140008104 A KR 20140008104A KR 20140095987 A KR20140095987 A KR 201400959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lid
present
engag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8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상준
유승재
Original Assignee
유상준
유승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상준, 유승재 filed Critical 유상준
Publication of KR20140095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59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1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B65D21/0204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and joined together by interconnecting formations forming part of the container, e.g. dove-tail, snap connections, hook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4Multi-cavity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27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 B65D75/585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the tear-lines being broken by deformation or be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8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할된 용기속에 서로 다른 종류의 커피나 음료수 등을 각각 분리 수용함과 동시에 음료를 위생적으로 음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종래 음료용기의 식상한 디자인 및 형상을 개선한 분할형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이 중공되어 음료수를 수용하며, 분리 또는 결합 가능한 다수개의 음료수용부;
상기 음료수용부의 상면부에 위치하고, 상기 다수개의 음료수용부 상단면을 밀폐하는 캡부; 및
상기 음료수용부의 일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다수개의 음료수용부를 결합 또는 분리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음료용기 및 뚜껑의 분할과 결합을 용이하게 구성하여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분할형 음료용기{CONTENTS PARTITION-TYPE CONTAINER FOR BEVERAGE}
본 발명은 분할형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할된 용기속에 서로 다른 종류의 커피나 음료수 등을 각각 분리 수용함과 동시에 음료를 위생적으로 음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종래 음료용기의 식상한 디자인 및 형상을 개선한 분할형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나 음료는 상부에 주출구가 형성된 용기 내에 수용되어 판매되는데, 패스트푸드점, 휴게음식점 또는 커피전문점 등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컵 형태의 음료수 용기 등은 몸체가 단일화되어 있고, 이와 같은 음료용기 내에는 하나의 음료만 수용될 수 있어 결국 오직 하나의 음료만을 음용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는 데 어려움이 있다.
최근에는 하나의 용기 내에 이종의 음료를 수용하여 다양한 음료의 맛을 즐길 수 있도록 한 음료용기가 다수 출시되고 있는데, 이러한 음료용기의 대부분은 이종의 음료가 상하부에 각각 수용가능하도록 중앙에 격벽이 형성되고 각각의 음료가 개별적으로 주출될 수 있도록 용기의 상단과 하단에 주출구가 각각 형성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종래의 음료용기의 경우에는 양 주출구가 음료용기의 상단과 하단에 그대로 노출되어 먼지나 오물 등에 의해 오염되기 쉬운 관계로, 용기 내부에 수용된 음료를 마시고자 할 경우 오염된 주줄구로 인해 위생적으로 상당한 불결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같이 용기의 내부가 단일 몸체로 이루어진 경우 음료의 양이 과다하여 남기게 될 경우 여분의 음료는 버리거나, 보관할 경우 마시던 채로 보관해야하므로 비경제적이고 비위생적이다. 뿐만 아니라 음료를 다수의 사람들이 함께 마시는 경우 하나 또는 다수의 빨대를 꽂아 마시거나, 개폐 뚜껑을 열고 직접마셔야 하므로 비위생적이며 그 사용이 불편하였다.
그리고, 음료식품을 여러가지로 맛보기를 원하는 기호가 강한 소비자에게 보다 다양한 음료식품을 제공할 수 없어 다수개의 컵이나 용기에 음료식품을 각각 담아 제공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컵 내부에 파티션을 마련하여 사용하는경우, 상기의 문제점은 해결되나, 패스트푸드점 등에서 다량의 컵을 적재하여 두는 것이 상기의 파티션에 의해 곤란해지므로 실질적으로 사용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4632호 (공고일: 2002. 02. 16) 고안의 명칭: 분할캔 음료용기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종의 음료를 각각 분리 수용함과 동시에 음료를 위생적으로 음용할 수 있도록 한 분할형 음료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음료용기 및 뚜껑의 분할과 결합을 용이하게 구성하여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한 분할형 음료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음료용기를 적층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위생성과 편리성이 향상된 분할형 음료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별도의 쟁반과 같은 받침 수단이 필요없이 컵 받침 기능을 부여하면서도 분할 음료용기의 결합을 유지하는 부가 기능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형 음료용기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이 중공되어 음료수를 수용하며, 분리 또는 결합 가능한 다수개의 음료수용부; 상기 음료수용부의 상면부에 위치하고, 상기 다수개의 음료수용부 상단면을 밀폐하는 캡부; 및 상기 음료수용부의 일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다수개의 음료수용부를 결합 또는 분리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캡부는, 상기 음료수용부의 상단부를 밀폐하고 상기 음료수용부의 상단 외주면과 부합되게 형성된 뚜껑; 상기 뚜껑의 일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뚜껑을 구획하는 절취선; 및 상기 뚜껑 상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빨대가 관통할 수 있는 빨대 삽입공을 포함할 수 있다.
절취선은 상기 뚜껑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뚜껑을 대칭되게 구획할 수 있다.
절취선은 작은 구멍을 일정간격 천공시켜 형성하거나 접힘선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음료수용부는 일측면은 수직으로 평평하게 구성되고, 타측면은 반원형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음료수용부의 일측면은 하단부는 라운드지고 상부는 수직으로 형성된 중공부가 구비될 수 있다.
중공부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테이퍼진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음료수용부는 대칭되는 형상으로 두 개 구비될 수 있다.
결합부는, 상기 음료수용부 중 어느 하나의 일 측면에 형성된 제1 결합부; 및 상기 음료수용부 중 다른 어느 하나의 일 측면에 형성된 제2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부는 상하 또는 좌우로 길게 돌출된 돌기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하 또는 좌우로 길게 파진 홈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그 결합 형태는 도브테일 결합이 바람직하다.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는 일정 형태의 문양을 가진 돌부와 홈부로 암수 결합에 의한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문양은 브랜드 로고나 하트 등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을 것이고, 그 표면에 명언과 같은 문구를 적거나 프린트 해 넣을 수도 있을 것이다.
캡부는 음료수용부의 상단과 나사결합에 의해 개폐되게 구성될 수 있다.
결합된 음료수용부의 하부가 결합되는 홈부를 갖는 컵 받침대를 결합하여 분할된 음료 수용부의 이동간 안정감을 사용간 안정감을 유지 할 수 있게 할 수 도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의한 분할형 음료용기는, 이종의 음료를 각각 분리 수용함과 동시에 음료를 위생적으로 음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의한 분할형 음료용기는, 음료용기 및 뚜껑의 분할과 결합을 용이하게 구성하여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의한 분할형 음료용기는, 음료용기를 적층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위생성과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형 음료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형 음료용기에서 캡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형 음료용기에서 캡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형 음료용기에서 캡부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형 음료용기에서 음료수용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형 음료용기에서 음료수용부의 정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형 음료용기에서 음료수용부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변형예에 따른 수용용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변형예에 따른 분리 상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는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형 음료용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형 음료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형 음료용기에서 캡부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형 음료용기에서 캡부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형 음료용기에서 캡부의 저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형 음료용기에서 음료수용부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형 음료용기에서 음료수용부의 정면도이며,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형 음료용기에서 음료수용부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형 음료용기(10)는 사용자가 커피나 음료수를 음용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형 음료용기(10)는 캡부(100), 음료수용부(200a,200b) 및 결합부(300a,30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부(100)는 하기에서 설명될 음료수용부(200a,200b)의 상면부에 위치하고, 상기 음료수용부(200a,200b)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캡부(100)는 뚜껑(110a,110b), 절취선(130) 및 빨대 삽입공(140a,14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뚜껑(110a,110b)은 상기 음료수용부(200a,200b)의 상단부를 밀폐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뚜껑(110a,110b)은 상기 음료수용부(200a,200b)의 상단 외주면과 부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형 음료용기(10)는 음료수용부(200a,200b)를 전체적으로 상단 외주면이 둥근 원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음료수용부(200a,200b)에 부합하도록 상기 뚜껑(110a,110b)을 원형으로 구성하였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용이하게 설계변경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뚜껑(110a,110b)은 제1 뚜껑(110a) 및 제2 뚜껑(110b)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뚜껑(110a) 및 제2 뚜껑(110b)은 상호 대칭되게 구성될 수 있는 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1 뚜껑(110a) 및 제2 뚜껑(110b)을 일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 뚜껑(110a)은 하기에서 설명될 제1 음료수용부(200a)의 상부를 밀폐하기 위하여 구비되고, 상기 제1 음료수용부(200a)의 상단 외주면과 부합되는 반원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뚜껑(110a)은 통상적으로 상기 음료수용부(200a,200b)를 밀폐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뚜껑(110a)은 굴곡진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설계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2 뚜껑(110b)은 하기에서 설명될 제2 음료수용부(200b)의 상부를 밀폐하기 위하여 구비되고, 상기 제2 음료수용부(200b)의 상단 외주면과 부합되는 반원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뚜껑(110b)은 절취선(130)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뚜껑(110a)과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뚜껑(110a) 및 제2 뚜껑(110b)은 각각 제1 절곡라인(120a) 및 제2 절곡라인(12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절곡라인(120a) 및 제2 절곡라인(120b)은 상기 제1 음료수용부(200a) 및 제2 음료수용부(200b)의 내주면과 부합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절곡라인(120a) 및 제2 절곡라인(120b)은 상기 제1 음료수용부(200a) 및 제2 음료수용부(200b)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1 뚜껑(110a) 및 제2 뚜껑(110b)이 상기 제1 음료수용부(200a) 및 제2 음료수용부(200b)에 고정 안착되게 한다.
상기 절취선(130)은 상기 뚜껑(110a,110b)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절취선(130)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뚜껑(110a) 및 제2 뚜껑(110b)이 대칭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취선(130)은 많은 양의 커피나 음료수를 서로 나누어 음용하기 위하여 상기 음료수용부(200a,200b)를 분리할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음료수용부(200a) 및 제2 음료수용부(200b)에 수용되어 있는 음료수를 서로 다른 사용자가 음용하는 경우, 상기 절취선(130)을 잘라 제1 음료수용부(200a) 및 제2 음료수용부(200b)의 상단면을 밀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형 음료용기(10)에서, 상기 절취선(130)은 상기 뚜껑(110a,110b)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게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음료수용부(200a,200b)의 크기를 다르게 형성하는 경우 그에 부합되도록 상기 절취선(130)의 위치를 조절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절취선(130)은 사용자가 손으로 용이하게 절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작은 구멍을 일정간격 천공시켜 형성하거나 접힘선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빨대 삽입공(140a,140b)은 상기 뚜껑(110a,110b) 상의 일정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빨대 삽입공(140a,140b)은 사용자가 빨대를 이용하여 상기 음료수용부(200a,200b)에 수용되어 있는 음료수를 용이하게 음용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빨대 삽입공(140a,140b)은 제1 빨대 삽입공(140a) 및 제2 빨대 삽입공(140b)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빨대 삽입공(140a) 및 제2 빨대 삽입공(140b)은 각각 제1 뚜껑(110a) 및 제2 뚜껑(110b) 상에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빨대 삽입공(140a) 및 제2 빨대 삽입공(140b)은 빨대가 삽입되도록 천공되거나, 사용자가 빨대를 관통하도록 유도하는 표시선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빨대 삽입공(140a) 및 제2 빨대 삽입공(140b)의 구성은 공지의 기술로 구현될 수 있는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음료수용부(200a,200b)는 커피나 음료수 등을 수용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음료수용부(200a,200b)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이 중공되어 있어 커피나 음료수 등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음료수용부(200a,200b)는 제1 음료수용부(200a) 및 제2 음료수용부(20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음료수용부(200a) 및 제2 음료수용부(200b)는 대칭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음료수용부(200a)는 일측면은 수직으로 평평하게 구성되고, 타측면은 반원형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음료수용부(200a)의 일측면은 상기 제2 음료수용부(200b)의 일측면과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1 음료수용부(200a) 및 제2 음료수용부(200b)의 결합에 의해 상기 음료수용부(200a,200b)는 전체적으로 상부의 직경이 큰 원기둥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음료수용부(200a)는 상부가 개방되어 커피나 음료수가 수용될 수 있고, 상단면은 상기 제1 뚜껑(110a)의 제1 절곡라인(120a)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음료수용부(200a)의 일측면 상단에는 제1 중공부(210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중공부(210a)는 제1 음료수용부(200a) 및 제2 음료수용부(200b)가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뚜껑(110a,110b)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절취선(130)의 하단부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중공부(210a)는 하기에서 설명될 제2 중공부(210b)와 부합하여 일정한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데, 상기 이격공간은 음료수용부(200a,200b)의 분리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이격공간 상에는 상기 절취선(130) 하단부가 위치하여 상기 제1 뚜껑(110a) 및 제2 뚜껑(110b)을 상기 제1 음료수용부(200a) 및 제2 음료수용부(200b) 상에 용이하게 정위치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형 음료용기(10)에서, 상기 제1 중공부(210a) 및 제2 중공부(210b)는 하단부는 라운드지고 상부는 수직으로 형성하였으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테이퍼진 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음료수용부(200b)는 상기 제1 음료수용부(200a)와 대칭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음료수용부(200b)는 상기 제1 음료수용부(200a)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1 음료수용부(200a)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과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내용물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음료수용부(200b)의 구성은 상기 제1 음료수용부(200a)의 구성과 동일한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제1 음료수용부(200a)의 설명으로 대체하기로 한다.
상기 결합부(300a,300b)는 상기 제1 음료수용부(200a) 및 제2 음료수용부(200b)를 결합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300a,300b)는 상기 제1 음료수용부(200a) 및 제2 음료수용부(200b)의 일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300a,300b)는 제1 결합부(300a) 및 제2 결합부(30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300a)는 상기 제1 음료수용부(200a)의 일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300a)는 상하 또는 좌우로 길게 돌출된 돌기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300a)는 상기 제2 결합부(300b)와 끼움 결합되어 상기 제1 음료수용부(200a) 및 제2 음료수용부(200b)가 외부의 충격에 의해 용이하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부(300b)는 상기 제2 음료수용부(200b)의 일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부(300b)는 상하 또는 좌우로 길게 파진 홈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결합부(300a)가 삽입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부(300b)는 상기 제1 결합부(300a)가 삽입 고정되어, 상기 제1 음료수용부(200a) 및 제2 음료수용부(200b)가 외부 충격에 의해 용이하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는 레일 또는 도브테일 결합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형 음료용기(10)에서, 상기 제1 결합부(300a)는 상하 또는 좌우로 긴 돌기 형상으로 구성하고, 상기 제2 결합부(300b)는 상하 또는 죄우로 길게 파진 홈 형상으로 구성하여 암수결합되도록 구성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1 음료수용부(200a) 및 제2 음료수용부(200b)를 결합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음료수용부(200a) 및 제2 음료수용부(200b)의 일측면을 평평하게 구성하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밴드(350)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음료수용부(200a) 및 제2 음료수용부(200b)의 일측면을 전면적으로 평평하게 구성하고 맞대어지는 대응면 각각에 브랜드 로고나 하트 등의 문양형태로 구성되는 돌부(300c)와 홈부(300d)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2에서와 같이 제1 음료수용부(200a) 및 제2 음료수용부(200b)의 일측면을 전면적으로 평평하게 구성하면 보다 많은 음료를 수용할 수 있으며, 개략적인 눈 대중에 의한 계량도 편리해 질 것이다.
또한 도 12에서와 같이 캡부(100)와 붐할 용기의 결합체 상부를 나사결합에 의한 개폐도 가능할 것이며, 이 때에는 도 12에서와 같이 뚜껑의 설계 변경이 필요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결합되는 분할 용기의 하부를 수용할 수 있는 홈부(361)를 형성한 받침대(360)를 구비하여 보다 안정된 결합에 의한 이동 및 거치가 가능해 질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음료용기 100; 캡부
110a, 110b; 뚜껑 130; 절취선
140a, 140b; 빨대 삽입공 200a, 200b; 음료수용부
210a; 제1 중공부 210b; 제2 중공부
300a, 300b; 결합부 300a: 돌부
300d: 홈부 350; 결합밴드
360: 받침대 361: 홈부

Claims (15)

  1.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이 중공되어 음료수를 수용하며, 분리 또는 결합 가능한 다수개의 음료수용부;
    상기 음료수용부의 상면부에 위치하고, 상기 다수개의 음료수용부 상단면을 밀폐하는 캡부; 및
    상기 음료수용부의 일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다수개의 음료수용부를 결합 또는 분리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분할형 음료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는,
    상기 음료수용부의 상단부를 밀폐하고 상기 음료수용부의 상단 외주면과 부합되게 형성된 뚜껑;
    상기 뚜껑의 일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뚜껑을 구획하는 절취선; 및
    상기 뚜껑 상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빨대가 관통할 수 있는 빨대 삽입공을 포함하는 분할형 음료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선은 상기 뚜껑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뚜껑을 대칭되게 구획하는 분할형 음료용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선은 작은 구멍을 일정간격 천공시켜 형성하거나 접힘선으로 형성하는 분할형 음료용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수용부는 일측면은 수직으로 평평하게 구성되고, 타측면은 반원형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분할형 음료용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수용부의 일측면은 하단부는 라운드지고 상부는 수직으로 형성된 중공부가 구비된 분할형 음료용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테이퍼진 형상으로 구성된 분할형 음료용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수용부는 대칭되는 형상으로 두 개 구비된 분할형 음료용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음료수용부 중 어느 하나의 일 측면에 형성된 제1 결합부; 및
    상기 음료수용부 중 다른 어느 하나의 일 측면에 형성된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분할형 음료용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하 또는 수평으로 길게 돌출된 돌기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하 또는 수평으로 길게 파진 홈 형상으로 구성되는 분할형 음료용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는 암수 결합에 의한 끼움 결합되는 분할형 음료용기.
  1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는 결합된 음료수용부의 상단과 나사결합에 의해 개폐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분할형 음료용기.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및 홈은 도브테일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 분할형 음료용기.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는 대칭 형태의 문양을 갖는 돌부 및 홈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분할형 음료용기.
  15.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수용부의 하부를 결합할 수있는 홈부를 갖는 받침대를 포함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분할형 음료용기.
KR1020140008104A 2013-01-25 2014-01-23 분할형 음료용기 KR201400959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661 2013-01-25
KR20130000661 2013-01-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5987A true KR20140095987A (ko) 2014-08-04

Family

ID=51744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8104A KR20140095987A (ko) 2013-01-25 2014-01-23 분할형 음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9598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77819A1 (en) * 2014-11-14 2016-05-19 Altus Justin Grant Multi-chamber beverage container
KR101683560B1 (ko) * 2015-10-05 2016-12-08 이종남 이중컵
KR20190071124A (ko) 2017-12-14 2019-06-24 이규휘 음료 용기
KR102096186B1 (ko) * 2018-12-28 2020-04-0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립식 음료수병
KR20220013760A (ko) 2020-07-27 2022-02-04 박용성 선택 섭취가 가능한 팩 타입 식품용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77819A1 (en) * 2014-11-14 2016-05-19 Altus Justin Grant Multi-chamber beverage container
KR101683560B1 (ko) * 2015-10-05 2016-12-08 이종남 이중컵
KR20190071124A (ko) 2017-12-14 2019-06-24 이규휘 음료 용기
KR102096186B1 (ko) * 2018-12-28 2020-04-0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립식 음료수병
KR20220013760A (ko) 2020-07-27 2022-02-04 박용성 선택 섭취가 가능한 팩 타입 식품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95987A (ko) 분할형 음료용기
US10542845B2 (en) Foodstuff receptacle for beverage container
KR101456387B1 (ko) 식품 및 음료 용기
EP0644735B1 (fr) Dispositif de prise de repas
KR100821874B1 (ko) 내용물 분할형 컵
KR200474817Y1 (ko) 테이크아웃 컵
JP2015058950A (ja) カップに蓋体をつけた飲用容器及びその蓋体
JP3197956U (ja) 飲食用容器
KR200488189Y1 (ko) 테이크아웃용 이중컵
KR101546530B1 (ko) 캡 용기
KR200486413Y1 (ko) 다목적 결합 용기
KR20170004381U (ko) 분할된 공간의 다양한 결합이 가능한 모듈방식의 용기
KR200434078Y1 (ko) 내용물 분할형 컵
KR20090008895U (ko) 식품용기의 결합구조
KR200486146Y1 (ko) 이중용기
KR20180001412U (ko) 음료와 식품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캐리어
KR20090024900A (ko) 보조컵과 음료컵이 일체로 연결된 일회용 용기
KR20170053602A (ko) 음식물 용기
KR200474750Y1 (ko) 컵의 상단에 결합하여 이종의 음료를 음용할 수 있는 용기
KR200309337Y1 (ko) 식품 분할 저장용기
KR20190003085U (ko) 테이크아웃용 컵 뚜껑
KR20100127160A (ko) 소스수용부가 형성된 음식물 용기 뚜껑
KR20180086885A (ko) 공간 분할 음료 용기
KR20150044658A (ko) 빨대와 물품을 보관하는 덮개가 구비된 젤리용기
TWM557721U (zh) 容器及容器組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