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413Y1 - 다목적 결합 용기 - Google Patents

다목적 결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413Y1
KR200486413Y1 KR2020160006158U KR20160006158U KR200486413Y1 KR 200486413 Y1 KR200486413 Y1 KR 200486413Y1 KR 2020160006158 U KR2020160006158 U KR 2020160006158U KR 20160006158 U KR20160006158 U KR 20160006158U KR 200486413 Y1 KR200486413 Y1 KR 2004864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insertion portion
cover body
cov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1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1244U (ko
Inventor
유승석
Original Assignee
유승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승석 filed Critical 유승석
Priority to KR20201600061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413Y1/ko
Publication of KR201800012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2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4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41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decoration, information or contents indicating devices, lab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Abstract

본 고안은 식품 용기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규격이 틀린 다수 개의 컵을 컵 커버에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컵에 음료수를 저장하고 컵 커버에는 다른 식품을 저장하여 음료수와 식품을 동시에 취식할 수 있는 한편 다수 개의 컵을 일시에 장착하여 사용자가 외측 컵을 파지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진할 수 있는 다목적 결합 용기이다.

Description

다목적 결합 용기{MULTI PURPOSE TAKE-OUT ASSEMBLIES}
본 고안은 식품 용기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규격이 틀린 다수 개의 컵을 컵 커버에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컵에 음료수를 저장하고 컵 커버에는 다른 식품을 저장하여 음료수와 식품을 동시에 취식할 수 있는 한편 다수 개의 컵을 일시에 장착하여 사용자가 외측 컵을 파지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진할 수 있는 다목적 복합 식품 용기이다.
일반적으로 영화를 관람하는 등의 경우 컵에 음료수를 담고 별도의 용기에 팝콘과 같은 음식을 담아서 취식하게 된다.
따라서, 음료수용 컵과 음식용 용기를 모두 파지하여 취식해야 하는 관계로 사용상이 불편함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음료수용 컵의 경우 내부에 차가운 음료가 저장된 경우 컵 외부에 이슬이 맺혀서 사용자가 파지한 경우 불쾌감을 느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규격이 틀린 다수 개의 컵을 컵 커버에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컵에 음료수를 저장하고 컵 커버에는 다른 식품을 저장하여 음료수와 식품을 동시에 취식할 수 있는 한편 다수 개의 컵을 일시에 장착하여 사용자가 외측 컵을 파지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진할 수 있는 다목적 복합 식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았으나 아래 수단들 또는 실시예상의 구체적인 구성에 따른 다른 목적 들은 그 기재로부터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음료수가 담기는 컵(C)을 덮는 용기로서, 중공 형상이되 상면만 개방되어 음식이 담기는 커버 본체(110)와, 커버 본체(110)의 저면에 형성되어 컵(C)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커버 본체(110)와 동일 중심을 가지며 직경이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줄어드는 다수 개의 삽입부(120)와, 커버 본체(110) 상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내측면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130)와, 커버 본체(110) 및 삽입부(120)의 일 측면에 형성되며 돌출부(130)를 관통한 스트로(S)가 삽입되는 요홈부(140)로 이루어지며, 삽입부(120)는, 커버 본체(110) 보다 직경이 작은 제1삽입부(120-1)와, 상기 제1삽입부(120-1) 보다 직경이 작은 제2삽입부(120-2)로 이루어지고, 컵(C)은 제2삽입부(120-2)가 내부에 삽입되는 제2컵(C2)과, 제1삽입부(120-1)가 내부에 삽입되는 제1컵(C1)과, 커버 본체(110)가 내부에 삽입되는 제3컵(C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돌출부(130)는 커버 본체(110) 내측면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돌출부(130)의 상면에는 관통공(131)이 구비되어 스트로(S)가 관통 후 상기 요홈부(140)를 지나 컵(C)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이상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해 규격이 틀린 다수 개의 컵을 컵 커버에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컵에 음료수를 저장하고 컵 커버에는 다른 식품을 저장하여 음료수와 식품을 동시에 취식할 수 있는 한편 다수 개의 컵을 일시에 장착하여 사용자가 외측 컵을 파지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커버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커버와 컵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커버와 컵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결합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커버와 3개의 컵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결합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하여야 하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함과 편의성을 위하여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결합 용기(100)는 컵(C)을 덮는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 형상이되 상면만 개방되어 음식이 담기는 커버 본체(110)와, 커버 본체(110)의 저면에 형성되어 컵(C)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커버 본체(110)와 동일 중심을 가지며 직경이 상이한 다수 개의 삽입부(120)로 이루어진다.
삽입부(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본체(110) 저면에 다수 개 형성된다. 이때, 다수 개의 삽입부(120)는 커버 본체(110)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본체(110) 하측에 제1삽입부(120-1)가 형성된다. 제1삽입부(120-1)는 커버 본체(110)와 동일 중심을 가지되 직경은 작게 형성된다.
제1삽입부(120-1)의 하측에는 제2삽입부(120-2)가 형성된다. 제2삽입부(120-2)는 제1삽입부(120-1)와 동일 중심을 가지되 직경은 다르게 형성된다.
물론 제2삽입부(120-2) 하측에도 유사하게 작은 직경을 가지는 추가적인 삽입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음료수가 담긴 컵(C) 상에 다목적 결합 용기(100)를 설치하여 다목적 결합 용기(100)에는 팝콘 등의 식품을 저장하고 컵(C)에는 음료수를 저장하여 사용자가 음료수와 식품을 편리하게 동시 취식할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의 경우 직경이 상이한 다수 개의 삽입부(120)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다양한 직경의 커버(C)에 본 발명의 커버 본체(110)를 삽입하여 이용할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큰 직경의 컵(C)은 커버 본체(110) 또는 커버 본체(110) 하측에 구비된 제1삽입부(120-1)가 삽입되어 이용가능하고,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컵(C)은 제2삽입부(120-2)에 삽입되어 이용 가능하다.
따라서, 다양한 크기의 컵(C)을 모두 이용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더욱 증진할 수 있다.
한편, 컵(C)에 저장되어 있는 음료수를 취식하기 위해 스트로(S)를 이용하며, 스트로(S)가 구비되기 위해 컵 커버(110) 상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내측면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130)가 형성된다. 돌출부(130)는 커버 본체(110) 내측면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돌출부(130)의 상면에는 관통공(131)이 구비되어 스트로(S)가 관통하게 된다.
스트로(S)가 관통공(131)을 관통한 후 컵(C) 내부로 진입하도록 커버 본체(110) 및 삽입부(120)의 일 측면에 요홈부(140)가 형성된다. 스트로(S)는 요홈부(140)를 통해 컵(C) 내부로 진입한다.
요홈부(1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본체(110) 양측에 형성되며 스트로(S)가 통과할 수 있는 형상인 한 요홈부(140)는 어떠한 형상이라도 무방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경우 직경이 상이한 삽입부(120)가 구비되어 있고, 삽입부(120)에는 다양한 직경을 가지는 컵(C)이 장착 가능하다. 따라서, 삽입부(120)에 직경이 상이한 복수 개의 컵(C)을 장착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삽입부(120-2)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컵(C-2)을 장착한다. 이 상태에서, 제1삽입부(120-1)에는 상대적으로 큰 직경의 컵(C-1)을 장착한다.
이에 의해 직경이 상이한 2개의 컵(C)이 동시에 장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내측에 장착된 컵(C-2)에 차가운 음료가 담겨 이슬이 내측에 장착된 컵(C-2)에 맺히더라도 사용자는 외측에 장착된 컵(C-1)을 파지하므로 불쾌감 없이 편리하게 컵(C)을 파지할 수 있다.
컵(C)이 삽입부(120)에 용이하게 장착되도록 삽입부(120)에 요홈부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본체(110)의 저면에 요홈부(H1)를 형성하여 제1삽입부(120-1)가 삽입되는 컵(C1)이 보다 용이하게 설치되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제1삽입부(120-1)의 저면에 또다른 요홈부(H2)를 형성하여 보다 작은 직경의 컵(C2)이 설치될 수 있다.
커버 본체(110)의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의 원통 형상이고 상면은 개방된 몸체(110-1)와 몸체(110-1) 상단부에 형성되는 테두리부(110-2)로 이루어진다. 테부리부(110-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에 요홈부(H3)가 형성된다. 이러한 요홈부(H3)에 컵이 삽입된다.
즉, 본 고안에 의하면 컵(C)에는 음료수를 저장하고 커버 본체(110)에는 팝콘과 같은 별도의 식품을 저장하고, 사용자는 스트로(S)에 의해 음료수를 취식함과 동시에 다목적 결합 용기(100)에 저장된 식품을 취식할 수 있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커버 본체(110)에는 직경이 다른 용기(C)를 다수 겹 설치하고, 찬 음료수는 내부에 설치된 용기(C)에 저장하고 사용자는 외부에 설치된 용기(C)를 파지하여 쾌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컵이 커버 본체(110) 및 삽입부(120)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커버 본체(110)에 직경이 제일 큰 컵(C3)이 설치되고, 제1삽입부(120-1)에 그 보다 작은 직경의 컵(C1)이 설치되며, 제2삽입부(120-2)에 제일 작은 직경의 컵(C2)이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3개의 컵이 일시에 설치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한 용기로 규격이 틀린 컵을 사용 할 수 있다는 것다. 즉, 한가지 용기로 작은 지름의 컵과 큰 지름의 컵을 사용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스트로(S)가 삽입되는 관통공(131)을 복구 개 구비하여 두 사람이 함께 먹을 수 있다.
커버 본체(110)는 스테이크나, 스파케티, 샐러드류등 각종 음식을 담아 먹을 수 있는 용기이며 바쁜시간에 이동하면서 음식을 섭취하는 시대에 맞는 용기이다. 또한, 스테이크나, 스파케티, 조각 샌드위치. 작은주먹밥, 샐러드류를 음료수를 먹으면서 이동 할수 있다.
또한, 움직이면서 한손에 컵과 음식을 한손으로는 음식을 포크로 찍어 먹을 수 있다.
예전에는 음료수 따로, 음식을 담은 용기 따로 포장해서, 한곳에서 풀어 앉아 먹어야 했는데, 본 발명의 복합 식품 용기(100)는 이동하면서 음료 할 수 있다.
 
중간컵을 사용할때는 음료류등이 흘러 나오지 않게 홈을 만들어 끼워움직임을 방지 컵고정홈을 만들어, 음료류가 흘르지 않게 하였다.
또한, 중간컵을 사용할때는 음료류등이 흘르지 않게 양쪽에 돌출하여 기둥안에 빨대를 삽입을 할 수 있게 고안 한 것이다.
 큰컵을 사용할때에는 내용물이 밖으로 흘르지 않고 안전하게 움직이면서 음식을 섭취 할 수 있도록 도안한 것이다.
이상 구체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고,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고안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다목적 결합 용기 110 : 커버 본체
120 : 삽입부 130 : 돌출부
140 : 요홈부

Claims (4)

  1. 음료수가 담기는 컵(C)을 덮는 용기로서,
    중공 형상이되 상면만 개방되어 음식이 담기는 커버 본체(110)와,
    커버 본체(110)의 저면에 형성되어 컵(C)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커버 본체(110)와 동일 중심을 가지며 직경이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줄어드는 다수 개의 삽입부(120)와,
    커버 본체(110) 상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내측면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130)와,
    커버 본체(110) 및 삽입부(120)의 일 측면에 형성되며 돌출부(130)를 관통한 스트로(S)가 삽입되는 요홈부(140)로 이루어지며,
    삽입부(120)는, 커버 본체(110) 보다 직경이 작은 제1삽입부(120-1)와, 상기 제1삽입부(120-1) 보다 직경이 작은 제2삽입부(120-2)로 이루어지고,
    컵(C)은 제2삽입부(120-2)가 내부에 삽입되는 제2컵(C2)과, 제1삽입부(120-1)가 내부에 삽입되는 제1컵(C1)과, 커버 본체(110)가 내부에 삽입되는 제3컵(C3)으로 이루어지는 다목적 결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돌출부(130)는 커버 본체(110) 내측면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돌출부(130)의 상면에는 관통공(131)이 구비되어 스트로(S)가 관통 후 상기 요홈부(140)를 지나 컵(C) 내부로 진입하는 다목적 결합 용기.
  3. 삭제
  4. 삭제
KR2020160006158U 2016-10-24 2016-10-24 다목적 결합 용기 KR2004864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158U KR200486413Y1 (ko) 2016-10-24 2016-10-24 다목적 결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158U KR200486413Y1 (ko) 2016-10-24 2016-10-24 다목적 결합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244U KR20180001244U (ko) 2018-05-03
KR200486413Y1 true KR200486413Y1 (ko) 2018-05-15

Family

ID=62166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158U KR200486413Y1 (ko) 2016-10-24 2016-10-24 다목적 결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41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2996A (ko) 2020-04-28 2021-11-05 김경곤 일회용 식품용기
KR102251233B1 (ko) 2020-09-10 2021-05-12 이상하 흡기 범위 확장형 기능성 음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4362Y1 (ko) 2001-03-09 2001-10-06 안중근 진공용기 덮개
KR200274344Y1 (ko) * 2002-02-15 2002-05-04 강성모 식품용기
KR200288316Y1 (ko) 2002-05-22 2002-09-10 강성모 식품용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2196U (ko) * 1996-05-17 1997-12-10 강상문 식품용기를 부설한 음료 용기
KR200455166Y1 (ko) * 2008-10-20 2011-08-23 박성운 식품용기
KR20100005003U (ko) * 2008-11-06 2010-05-14 유승석 용기 장착구조
KR101349435B1 (ko) * 2012-05-21 2014-01-08 문철호 다중 컵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4362Y1 (ko) 2001-03-09 2001-10-06 안중근 진공용기 덮개
KR200274344Y1 (ko) * 2002-02-15 2002-05-04 강성모 식품용기
KR200288316Y1 (ko) 2002-05-22 2002-09-10 강성모 식품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244U (ko) 2018-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6387B1 (ko) 식품 및 음료 용기
US20160249755A1 (en) Stackable container system
USRE45935E1 (en) Container for holding foods and drinks
US20140124509A1 (en) Beverage container with recessed top and method for using same
KR200486413Y1 (ko) 다목적 결합 용기
WO2003042052A1 (en) Double cup separable into upper and lower sections
KR101576977B1 (ko) 다용도 뚜껑을 갖는 다용도 물통
US6439416B1 (en) Thermos device
KR20140095987A (ko) 분할형 음료용기
CN205525875U (zh) 一种户外保温箱
JP2016120257A (ja) 携帯用ポット
CN220256207U (zh) 一种套盖及具有该套盖的容器
CN103948279A (zh) 方便与饮料瓶结合的饮食杯
US20120103997A1 (en) Multi-functional baby training cup
KR200463573Y1 (ko) 음료수컵 조립용기
CN203852153U (zh) 方便与饮料瓶结合的饮食杯
US20230018181A1 (en) Insulated container apparatuses and devices
CN217695909U (zh) 饺子餐盘
US20070108071A1 (en) Food dispenser for use with beverage container
KR20090008896U (ko) 식품용기의 결합구조
KR20170053602A (ko) 음식물 용기
KR200260865Y1 (ko) 음료캔에 장착되는 다과수용컵
KR200402439Y1 (ko) 보조 용기
KR200484114Y1 (ko) 다기능 용기
KR200270706Y1 (ko) 식품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