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573Y1 - 음료수컵 조립용기 - Google Patents

음료수컵 조립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3573Y1
KR200463573Y1 KR2020100010477U KR20100010477U KR200463573Y1 KR 200463573 Y1 KR200463573 Y1 KR 200463573Y1 KR 2020100010477 U KR2020100010477 U KR 2020100010477U KR 20100010477 U KR20100010477 U KR 20100010477U KR 200463573 Y1 KR200463573 Y1 KR 2004635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beverage cup
beverage
assembly container
fix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04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2726U (ko
Inventor
안병욱
Original Assignee
준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준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준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104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573Y1/ko
Publication of KR201200027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7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5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57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47G19/2272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from drinking glasses or cups comprising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2Safety asp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음료수컵 조립용기는 감자튀김, 닭튀김, 팝콘 등의 음식물이 담겨 지는 상향개방된 식품수납부가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음료수컵의 상부가 삽입고정되는 하향개방된 컵고정홈이 형성되고 적어도 일 측면에는 음료수컵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만곡되어 빨대삽입요홈부가 형성되어 음료수컵의 상부와 조립용기 하부의 컵고정홈이 조립되고 빨대삽입요홈부를 통하여 음료수컵 내에 충진되어 있는 음료수를 간편하게 음용할 수 있게 되고, 조립용기와 상기 조립용기의 컵고정홈에 음료수컵의 상부가 끼워져 고정되므로 두 손을 다 사용할 필요없이 한 손만을 사용하여 음료수컵과 조립용기를 동시에 들고 안전하고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되며, 음료수컵과 조립용기가 일체로 고정되어 사용되므로 조립용기에 담겨진 음식을 취식하면서 음료수컵에 담겨진 음료를 동시에 음용 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게 되고, 아울러 음료수컵의 상부 주연부가 조립용기의 저면에 끼워져 고정되므로 컵의 내부공간을 차지하지 않게 되므로 음료수컵에 담겨 질 음료의 양을 더욱 많이 담을 수 있게 되며 조립용기의 크기가 제한되지 않으므로 많은 양의 식품을 담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음료수컵 조립용기{ A drink cup assembly container }
본 고안은 음료수컵 조립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감자튀김, 닭튀김, 팝콘 등의 음식물이 담겨 지는 상향개방된 식품수납부가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음료수컵의 상부가 삽입고정되는 하향개방된 컵고정홈이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음료수컵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만곡되게 빨대삽입요홈부가 형성되어 음료수컵의 상부와 컵고정홈이 조립되고, 감자튀김 등의 음식물이 담겨진 음료수컵 조립용기가 음료수컵에 삽입고정된 상태에서 빨대삽입요홈부를 통하여 음료수컵내에 충진되어 있는 음료수를 간편하게 음용할 수 있게 되어 음식물과 음료수를 동시에 먹을 수 있으며, 상기 조립용기의 컵고정홈에 음료수가 담기는 음료수컵의 상부가 끼워져 고정되므로 두 손을 다 사용할 필요없이 한 손만을 사용하여 음료수컵과 조립용기를 동시에 들고 안전하고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되며, 음료수컵과 조립용기가 일체로 고정되어 사용되므로 조립용기에 담겨진 음식을 취식하면서 음료수컵에 담겨진 음료를 동시에 음용 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게 되고, 아울러 음료수컵의 상부 주연부가 조립용기의 하부의 컵고정홈에 고정되므로 음료수컵의 내부공간을 차지하지 않게 되므로 음료수컵에 담겨 질 음료의 양을 더욱 많이 담을 수 있게 되며 조립용기의 크기가 제한되지 않으므로 많은 양의 식품을 담을 수 있게 되는 음료수컵 조립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음료수컵 조립용기는 감자튀김, 닭튀김, 팝콘등의 음식물을 담기 위하여 접시모양으로 형성된 조립용기와 별도의 음료를 담는 컵이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음료수컵 조립용기는 컵과 조립용기가 각각 분리되어 형성되므로 한손에는 컵을 들고 다른 한손에는 조립용기를 각각 들어야 하므로 이동이 불편하고 이동시 컵과 용기에 담겨진 음료수와 음식물을 쉽게 흘리게 되어 주변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었으며 양손에 컵과 조립용기를 각각 들고 이동하여야 하므로 이동을 하면서는 음료수를 음용하거나 음식물을 취식하지 못하게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수컵(200)의 내측에 조립용기(100)를 결합하여 상기 음료수컵(200)과 조립용기(100)를 일체로 고정하여 사용하는 음료수컵 조립용기(A)가 고안된바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음료수컵 조립용기(A)는 음료수컵(200)의 내측으로 조립용기(100)가 끼워져 고정되므로 상기 음료수컵(200)의 내측 공간을 너무 많이 차지하게 되어 음료수컵(200)에 담겨 질 음료의 양이 극히 소량으로 줄어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음식물이 담겨 지는 조립용기(100)가 음료수컵(200)의 내측 상부와 결합 되어야 하므로 상기 조립용기(100)의 크기가 음료수컵(200)의 내측과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되어야 하므로 상기 조립용기(100)에 담겨 지는 음식물의 양이 극히 소량으로 줄어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음료수컵(200)의 내측에 고정된 조립용기(100)의 바닥면에 빨대(300)를 꼽기 위한 빨대삽입공(101)이 형성되어 상기 빨대삽입공(101)을 통해 흘러들어온 음료에 의해 음식물이 눅눅하게 변질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감자튀김, 닭튀김, 팝콘 등의 음식물이 담겨 지는 상향개방된 식품수납부가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음료수컵의 상부가 삽입고정되는 하향개방된 컵고정홈이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음료수컵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만곡된 상태의 빨대삽입요홈부가 형성되어 음료수컵의 상부와 컵고정홈이 조립되고 빨대삽입요홈부를 통하여 음료수컵내에 충진되어 있는 음료수를 간편하게 음용할 수 있게 되고, 조립용기와 상기 조립용기의 컵고정홈에 음료수가 담기는 컵의 상부가 끼워져 고정되므로 두 손을 다 사용할 필요없이 한 손만을 사용하여 음료수컵과 조립용기를 동시에 들고 안전하고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되며, 음료수컵과 조립용기가 일체로 고정되어 사용되므로 조립용기에 담겨진 음식을 취식하면서 음료수컵에 담겨진 음료를 동시에 음용 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게 되는 음료수컵 조립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음료수컵의 상부 주연부가 조립용기의 하부의 컵고정홈에 끼워져 고정되므로 컵의 내부공간을 차지하지 않게 되므로 음료수컵에 담겨 질 음료의 양을 더욱 많이 담을 수 있게 되며 조립용기의 크기가 제한되지 않으므로 더 많은 양의 식품을 담을 수 있게 되는 음료수컵 조립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이러한 목적은, 음료수컵의 상부 주연부가 삽입고정되는 컵고정홈이 하부면 상에 하향개방되게 형성되고, 상부면 상에는 내측에 식품이 수용되게 상향개방되게 식품수납부가 형성되고, 적어도 일 측면 상에는 상기 음료수컵의 상부 주연부 보다 내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된 빨대삽입요홈부가 형성된 음료수컵 조립용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음료수컵 조립용기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 및 장점들을 명백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음료수컵 조립용기는 감자튀김, 닭튀김, 팝콘 등의 음식물이 담겨 지는 상향개방된 식품수납부가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음료수컵의 상부가 삽입고정되는 하향개방된 컵고정홈이 형성되고 적어도 일 측면에는 음료수컵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만곡되어 빨대삽입요홈부가 형성되어 음료수컵의 상부와 조립용기 하부의 컵고정홈이 조립되고 빨대삽입요홈부를 통하여 음료수컵 내에 충진되어 있는 음료수를 간편하게 음용할 수 있게 되고, 조립용기와 상기 조립용기의 컵고정홈에 음료수컵의 상부가 끼워져 고정되므로 두 손을 다 사용할 필요없이 한 손만을 사용하여 음료수컵과 조립용기를 동시에 들고 안전하고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되며, 음료수컵과 조립용기가 일체로 고정되어 사용되므로 조립용기에 담겨진 음식을 취식하면서 음료수컵에 담겨진 음료를 동시에 음용 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게 되고, 아울러 음료수컵의 상부 주연부가 조립용기의 저면에 끼워져 고정되므로 컵의 내부공간을 차지하지 않게 되므로 음료수컵에 담겨 질 음료의 양을 더욱 많이 담을 수 있게 되며 조립용기의 크기가 제한되지 않으므로 많은 양의 식품을 담을 수 있게 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수컵 조립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료수컵 조립용기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의 저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수컵 조립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5는 종래의 음료수컵 조립용기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음료수컵 조립용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고안에 대한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료수컵 조립용기(A)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수컵(2)의 상부 주연부(21)가 삽입고정되는 컵고정홈(11a)이 하부면(11) 상에 하향개방되게 형성되고, 상부에는 내측에 식품이 수용되게 상향개방되게 식품수납부(12)가 형성되고, 측면 상에는 상기 음료수컵(2)의 상부 주연부(21) 보다 내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된 빨대삽입요홈부(13)가 형성된 용기본체(10)를 포함한다.
상기 음료수컵 조립용기(A)는 상기 용기본체(10)의 하부면에 형성된 컵고정홈(11a)에 음료수컵(2)의 상부 주연부(21)가 삽입고정된 상태에서 사용하게 된다.
상기 용기본체(10)는, 하부면(11) 상에 하향개방되게 컵고정홈(11a)이 형성되어 음료수컵(2)의 상부 주연부(21)가 삽입고정되게 사용된다.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부에는 내측에 식품이 수용되어 상향개방되게 식품수납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용기본체(10)의 측면 상에는 내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되어 빨대(3)를 꼽을 수 있도록 빨대삽입요홈부(13)가 적어도 1개소가 형성되고, 상기 용기본체(10)의 측면에는 용기본체(10)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보강돌출부(14)가 형성된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는 일 측면에 내측으로 만곡되게 1개의 빨대삽입요홈부(13)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명이 사용가능 하도록 2개 이상의 빨대삽입요홈부(13)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라고 할 것이다.
상기 식품수납부(12)는 음료수컵(2)의 상부 주연부(21)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식품수납부(12)의 내측에는 상기 컵고정홈(11a)이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내부돌출부(12a)에 의하여 2부분의 수납공간으로 분할되어 상부 주연부(21)의 공간에 해당되는 내측공간부(12b)와 그 외의 공간인 외측공간부(12c)의 2부분으로 형성된다.
상기 용기본체(10)의 하부면(11)에 하향개방되게 형성된 컵고정홈(11a)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0)의 상부에 형성된 식품수납부(12)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음료수컵(2)의 상부 주연부(21)가 삽입고정되도록 안내삽입홈(111)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삽입홈(111)의 상부의 내측에는 삽입된 음료수컵(2)의 상부 주연부(21)가 걸려 컵고정홈(11)에서 음료수컵(2)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돌기(1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음료수컵(2)은, 상부에 컵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외측으로 말려 형성된 상부 주연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주연부(21)는 용기본체(10)의 하부면(11)에 형성된 컵고정홈(11a)에 고정되어 상기 컵고정홈(11a)의 내측에 형성된 고정돌기(112)에 의해 고정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원통 형상의 음료수컵(2)이 사용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4각형, 5각형, 6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의 음료수컵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라고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수컵 조립용기(A)는, 식품수납부(12)에 감자튀김, 닭튀김, 팝콘 등의 음식물(F)이 채워진 용기본체(10)의 하부면에 하향개방되어 형성된 컵고정홈(11a)에 음료수가 가득 채워진 음료수컵(2)의 상부 주연부(21)를 삽입하여 밀어넣으면 상기 음료수컵(2)의 상부 주연부(21)는 상기 컵고정홈(11a) 내에 형성된 고정돌기(112)에 의해 고정되므로 상기 용기본체(10)와 음료수컵(2)이 일체로 결합고정 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빨대삽입요홈부(13)를 통하여 1개 또는 2개의 빨대(3)를 삽입하고 음식물(F)을 먹음과 동시에 음료수컵(2) 내에 충진된 음료수(20)를 음용할 수 있으므로 보다 안락하게 음료수와 음식물을 먹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 상태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고자 할 경우에도 단지 한손으로 음료수컵(3)을 잡고 이동하게 되면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음료수컵 조립용기는 일반 음료수컵 조립용기 제조공장에서 동일한 방법으로 반복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고안이라고 할 것이다.
10. 용기본체 11. 하부면 11a. 컵고정홈
12. 식품수납부 13. 빨대삽입요홈부 14. 보강돌출부

Claims (2)

  1. 음료수컵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음료수컵 조립용기(A)에 있어서,
    상기 음료수컵 조립용기(A)는, 상기 음료수컵(2)의 상부 주연부(21)에 삽입고정되는 컵고정홈(11a)이 하부면(11) 상에 하향개방되게 형성되고,
    상부에는 내측에 식품이 수용되게 상향개방되게 식품수납부(12)가 형성되고,
    측면상에는 상기 음료수컵(2)의 상부 주연부(21)보다 내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된 빨대삽입요홈부(13)가 형성되고,
    상기 식품수납부(12)는 음료수컵(2)의 상부 주연부(21)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식품수납부(12)의 내측에는 상기 컵고정홈(11a)이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내부돌출부(12a)에 의하여 2부분의 수납공간으로 분할되어 상부 주연부(21)의 공간에 해당되는 내측공간부(12b)와 그 외의 공간인 외측공간부(12c)의 2부분으로 형성되고,
    상기 컵고정홈(11a)은, 식품수납부(12)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음료수컵(2)의 상부 주연부(21)가 삽입고정되도록 안내삽입홈(111)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삽입홈(111)의 상부의 내측에는 삽입된 음료수컵(2)의 상부 주연부(21)가 걸려 컵고정홈(11a)에서 음료수컵(2)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돌기(1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컵 조립용기.

  2. 삭제
KR2020100010477U 2010-10-12 2010-10-12 음료수컵 조립용기 KR2004635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477U KR200463573Y1 (ko) 2010-10-12 2010-10-12 음료수컵 조립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477U KR200463573Y1 (ko) 2010-10-12 2010-10-12 음료수컵 조립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726U KR20120002726U (ko) 2012-04-20
KR200463573Y1 true KR200463573Y1 (ko) 2012-11-13

Family

ID=46606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0477U KR200463573Y1 (ko) 2010-10-12 2010-10-12 음료수컵 조립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57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49478A (zh) * 2013-07-24 2013-10-16 太仓市佳玲塑料制品有限公司 新型两用塑料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0865Y1 (ko) * 2001-10-26 2002-01-17 최봉학 음료캔에 장착되는 다과수용컵
KR200274344Y1 (ko) 2002-02-15 2002-05-04 강성모 식품용기
KR200288316Y1 (ko) * 2002-05-22 2002-09-10 강성모 식품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0865Y1 (ko) * 2001-10-26 2002-01-17 최봉학 음료캔에 장착되는 다과수용컵
KR200274344Y1 (ko) 2002-02-15 2002-05-04 강성모 식품용기
KR200288316Y1 (ko) * 2002-05-22 2002-09-10 강성모 식품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726U (ko) 2012-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44910A1 (en) Food and drink container
US20160324371A1 (en) Foodstuff Receptacle for Beverage Container
US20030089725A1 (en) Double cup separable into upper and lower sections
CN211066041U (zh) 一种内杯结构及双层杯结构
KR200463573Y1 (ko) 음료수컵 조립용기
KR20120038858A (ko) 유아용 식기
JP2011136749A (ja) 蓋付き食品容器
US20040007573A1 (en) Double cup separable into upper and lower sections
US20040134918A1 (en) Multi-piece vessel
KR200486413Y1 (ko) 다목적 결합 용기
KR20090008895U (ko) 식품용기의 결합구조
KR20090009093U (ko) 분리용기와 캡의 결합구조
KR200486146Y1 (ko) 이중용기
KR20180082730A (ko) 테이크아웃 음료컵 홀더
KR200260865Y1 (ko) 음료캔에 장착되는 다과수용컵
CN217695909U (zh) 饺子餐盘
KR200226849Y1 (ko)
KR200491579Y1 (ko) 페트병 결합용 식품 용기
KR200288316Y1 (ko) 식품용기
KR200466728Y1 (ko) 유아용 다용도 컵
TWM647574U (zh) 具自動浮出吸管的飲料杯
KR200309337Y1 (ko) 식품 분할 저장용기
KR200249899Y1 (ko) 식품겸용 음료용 컵
KR20090008896U (ko) 식품용기의 결합구조
JP1720952S (ja) 食品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