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2730A - 테이크아웃 음료컵 홀더 - Google Patents

테이크아웃 음료컵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2730A
KR20180082730A KR1020170003957A KR20170003957A KR20180082730A KR 20180082730 A KR20180082730 A KR 20180082730A KR 1020170003957 A KR1020170003957 A KR 1020170003957A KR 20170003957 A KR20170003957 A KR 20170003957A KR 20180082730 A KR20180082730 A KR 20180082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beverage cup
cup
present
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3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윤정
이성훈
황지훈
유동균
최학준
김지혁
김현
문수한
박상욱
변유민
Original Assignee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03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2730A/ko
Publication of KR20180082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27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6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drinking cups or lik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 A47G23/0216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for one glass or c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05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이크아웃 음료컵 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테이크아웃 컵에 담겨지는 음료의 보온, 보냉 기능을 향상시키고, 휴대성과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디자인이 가미된 친환경 소재로 된 테이크아웃 음료컵 홀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이크아웃 음료컵 홀더는 테이크아웃 컵에 담겨지는 음료의 보온 및 보냉 기능을 향상시키고, 휴대성과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단열패킹의 요철에 음료섭취를 위한 부자재에 해당하는 음료 흡입용 빨대를 긴밀하게 삽입 고정가능하게 함으로써 이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테이크아웃 음료컵 홀더{Takeout food beverage cup holders}
본 발명은 테이크아웃 음료컵 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테이크아웃 컵에 담겨지는 음료의 보온, 보냉 기능을 향상시키고, 휴대성과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디자인이 가미된 친환경 소재로 된 테이크아웃 음료컵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인들의 기호음료로 널리 애음되고 있는 국내 원두커피 시장과 커피전문점의 매장 수는 해마다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고, 특히 바쁜 일상으로 살아가는 현대인들의 식음형태도 특정 지정된 장소가 아닌 소위 테이크아웃(Take-out)방식의 일회용 음료컵을 이용한 이동식 식음문화가 정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일회용 컵의 보완재로서 테이크아웃 컵의 열전달 방지를 목적으로 컵에 덧씌우는 일회용 컵홀더의 사용빈도도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이고, 위와 같은 컵 홀더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74915호를 비롯한 다수의 선행문건을 통해 여러 형태의 일회용 컵 홀더들이 개시되어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일회용 컵 홀더들의 경우, 일회용 컵에 차거나 뜨거운 음료를 들어있을 때 단지 차가운 음료에 의한 일회용 컵의 외표면으로 물방울이 맺히는 결로현상으로 이용자의 손에 냉기 및 물기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뜨거운 음료에 의한 이용자의 손에 뜨거운 열기의 전달을 최소로 억제하는 컵 홀더의 구조에 한정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일회용 컵홀더의 경우, 주로 지정된 장소가 아닌 일회용 컵에 담아 여러 장소로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소위 테이크아웃 형태로 사용되고 있음을 감안할 때, 음료매장에서 주문하여 공급받은 음료에 대한 향미가 이용자가 선호하는 음료 향미취향과 다를 경우 한번 선택된 음료에 대한 향미농도(맛과 향의 세기)의 조절이 전혀 불가능하여, 다양한 기호 취향의 가진 사용자의 입맛에 맞는 음료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8331호(2010.08.20) 등록특허공보 제10-1184855호(2012. 09. 20) 등록특허공보 제10-1574889호(2015. 12. 0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테이크아웃 일회용 컵에 담겨지는 음료의 보온, 보냉 기능을 향상시키는 테이크아웃 음료컵 홀더를 제공하는 데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휴대성과 편의성이 향상되고 디자인이 가미된 친 환경 소재로 된 테이크아웃 음료컵 홀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료컵 홀더에 착색음료 첨가팩을 부가시켜 사용자의 기호 취향에 맞는 향미감을 최적상태로 선택할 수 있는 테이크아웃 음료컵 홀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테이크아웃 음료컵 홀더는, 내부에 일회용 음료컵이 끼워 삽입되는 상광하협의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면서 내주면에 둘레방향으로 음료 흡입용 빨대가 긴밀하게 삽입 고정되는 요철(凹凸)형상의 단열패킹이 일체로 형성되는 종이재질로 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주면 하단에서 일정간격으로 연장되는 연결리브를 통해 일회용 음료컵의 바닥면을 수용하는 받침캡이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그리고 음료컵의 바닥면이 착지되는 상기 받침캡의 내부에는 향미 선택용 착색음료 첨가팩을 수용하는 적재공간이 더 포함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테이크아웃 컵에 담겨지는 음료의 보온 및 보냉 기능을 향상시키고, 휴대성과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단열패킹의 요철에 음료섭취를 위한 부자재에 해당하는 음료 흡입용 빨대를 긴밀하게 삽입 고정가능하게 함으로써 이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몸체와 바닥캡에 일정간격을 두면서 연결리브로 결합시켜 획일화 된 음료컵홀더의 디자인을 음료의 특성과 소비계층들의 취향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변화시키는 등, 소비자의 호기심을 유발시킴으로써 음료컵 홀더에 의한 브랜드 홍보를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큰 효과가 있다.
또한 바닥캡의 내부에 착색음료 첨가팩이 구비됨에 따라 음료매장에서 공급받은 음료에 대한 향미농도(맛과 향의 세기)를 즉석에서 착색음료 첨가팩을 첨가하여 사용자의 기호취향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아웃 음료컵 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아웃 음료컵 홀더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아웃 음료컵 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이크아웃 음료컵 홀더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 일회용 음료컵(10)이 끼워 삽입되는 상광하협의 원통형상으로 구비된 몸체(20)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20)의 외주면 하단에서 일정간격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연결리브(30)를 통해 일회용 음료컵(10)의 바닥면을 수용하는 받침캡(3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20)는 둘레방향의 내주면으로 컵과의 마찰력을 높여 컵의 고정을 위한 요철(凹凸)형상의 가진 단열패킹(21)이 일체로 마련된다. 이는 일회용 음료컵(10)을 수용하면서 음료컵(10)을 들고 이동할 수 있는 손잡이 그립으로 사용되는 종이재질의 몸체(20)의 두께를 보강하여 상기 음료컵(10)에 수용된 음료의 차가운 냉기 또는 뜨거운 온열이 상기 몸체(20)의 외표면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대로 억제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몸체(20)의 내주면으로 마련된 단열패킹(21)은 요철(凹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바, 이는 음료컵(10)이 몸체(20)의 내부로 신축적으로 용이하게 삽입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삽입 후 손잡이 그립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상기 단열패킹(21)에 형성된 각 요철(凹凸)부위의 함몰부(21a)에는 음료 흡입용 빨대(22)가 긴밀하게 삽입되고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는 폭과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단열패킹(21)을 구성하는 함몰부(21a)의 구조에 의해서 일회용 음료컵의 보완재로 사용되는 음료 흡입용 빨대(21)를 본 발명의 테이크아웃 음료컵 홀더에 부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지정된 장소가 아닌 이동 중에도 음료컵의 착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사용 후에도 지정된 장소로 수거할 수 있게 함으로써 길거리 환경미화의 훼손을 억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상기 몸체(20)의 하단 외주연으로 일정간격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연결리브(30)를 통해 일회용 음료컵(10)의 바닥면을 수용하는 받침캡(40)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연결리브(30)는 음료컵(10)의 측면 손잡이로 사용되는 몸체(20)와 바닥면 거치공간으로 사용되는 바닥캡(40)을 브릿지 형태로 결합시킨 구조로 제공된다.
이는 음료컵(10)의 외측면 몸체만을 감싸고 있는 원통형상의 음료컵 홀더를 외측면 몸체와 바닥캡(40)이 일체로 결합된 브릿지형태의 음료컵 홀더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구매자의 호기심을 유발하여 브랜드 홍보를 제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복수의 연결리브(30)는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도시되지 않은 얼마든지 원형, 타원형, 장원형, 하트모양, 다각형, 동식물모양 또는 캐릭터모양 중에서 선택될 수 있음이 바람직하다. 이는 곧 사용자의 성별이나 연령 및 취향에 따라 여러 형태의 디자인의 제공이 가능하여 보다 폭넓은 적용범위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캡(40)은 상기 음료컵(10)을 특정한 거치공간에 비치할 때, 상기 음료컵(10)에 수용된 음료의 차가운 냉기 또는 뜨거운 온열이 거치공간의 바닥면으로 전달되어 거치공간의 바닥면에 결로현상에 의한 수분발생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받침캡(40)의 내부에는 향미 선택용 착색음료 첨가팩(41)을 수용하는 적재공간이 더 포함된다.
이는 지정된 장소가 아닌 일회용 컵에 담아 여러 장소로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소위 테이크아웃 형태로 사용되는 음료매장에서 주문하여 공급받은 음료에 대한 향미가 이용자가 선호하는 음료 향미취향과 다를 경우, 상기 바닥캡(40)의 내부 바닥면에 수용되어 있는 향미 선택용 착색음료 첨가팩(41)을 개방하여 자신이 기호 취향에 맞게 첨가하여 향미농도(맛과 향의 세기)의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음료의 향미농도를 사용자의 기호 취향에 맞는 최적상태로 조절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향미 선택용 착색음료 첨가팩(41)은 분말형태의 설탕이나 시럽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해당 음료의 향미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0 : 몸체
21 : 단열패킹
21a : 함몰부
22 : 빨대
30 : 연결리브
40 : 바닥캡
41 : 착색음료 첨가팩

Claims (2)

  1. 테이크아웃 음료컵 홀더에 있어서, 내부에 일회용 음료컵이 끼워 삽입되는 상광하협의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면서 내주면에 둘레방향으로 음료 흡입용 빨대가 긴밀하게 삽입 고정되는 요철(凹凸)형상의 단열패킹이 일체로 형성되는 종이재질로 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주면 하단에서 일정간격으로 연장되는 연결리브를 통해 일회용 음료컵의 바닥면을 수용하는 받침캡이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 테이크아웃 음료컵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음료컵의 바닥면이 착지되는 상기 받침캡의 내부에는 향미 선택용 착색음료 첨가팩을 수용하는 적재공간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크아웃 음료컵 홀더.
KR1020170003957A 2017-01-11 2017-01-11 테이크아웃 음료컵 홀더 KR201800827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3957A KR20180082730A (ko) 2017-01-11 2017-01-11 테이크아웃 음료컵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3957A KR20180082730A (ko) 2017-01-11 2017-01-11 테이크아웃 음료컵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2730A true KR20180082730A (ko) 2018-07-19

Family

ID=63058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3957A KR20180082730A (ko) 2017-01-11 2017-01-11 테이크아웃 음료컵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273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396B1 (ko) * 2019-02-11 2020-04-09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오 플라스틱 식품용기의 제조방법
KR20200067366A (ko) 2018-12-04 2020-06-12 정윤진 털실 장갑형음료홀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8331U (ko) 2009-02-12 2010-08-20 이삼영 휴대용 종이컵 홀더
KR101184855B1 (ko) 2012-01-11 2012-09-20 박정윤 식생용 종이컵 홀더
KR101574889B1 (ko) 2014-04-16 2015-12-04 이병인 차음료용 컵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8331U (ko) 2009-02-12 2010-08-20 이삼영 휴대용 종이컵 홀더
KR101184855B1 (ko) 2012-01-11 2012-09-20 박정윤 식생용 종이컵 홀더
KR101574889B1 (ko) 2014-04-16 2015-12-04 이병인 차음료용 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7366A (ko) 2018-12-04 2020-06-12 정윤진 털실 장갑형음료홀더
KR102098396B1 (ko) * 2019-02-11 2020-04-09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오 플라스틱 식품용기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73652A1 (en) Integral heat-resisting structure of a disposable drinking cup
US10542845B2 (en) Foodstuff receptacle for beverage container
US20140144910A1 (en) Food and drink container
US20150344178A1 (en) Container system
US20150150393A1 (en) Article Holder
US5597190A (en) Can holder
KR20180082730A (ko) 테이크아웃 음료컵 홀더
KR200474817Y1 (ko) 테이크아웃 컵
US20160022069A1 (en) Stackable stay-cold stein or drinking glass
US20150297010A1 (en) Weighted Cup Holder and Identification Medallion
US20040134919A1 (en) Multi-piece vessel
KR200486146Y1 (ko) 이중용기
US20200140180A1 (en) Coffee cup sleeve with outside pouch
KR20110001167U (ko) 쓰러짐 방지 기능을 갖는 컵 받침대
KR20110004017U (ko) 광고지 삽입이 가능한 휴대용 보온컵
CN208228747U (zh) 零食饮料容器
US20160157648A1 (en) Sangria straw
KR200249899Y1 (ko) 식품겸용 음료용 컵
KR20190041978A (ko) 음료용 컵
KR200463573Y1 (ko) 음료수컵 조립용기
KR200492967Y1 (ko) 컵 받침대
KR200474750Y1 (ko) 컵의 상단에 결합하여 이종의 음료를 음용할 수 있는 용기
JP1720952S (ja) 食品用容器
KR200252377Y1 (ko) 신선로
US20150297009A1 (en) Weighted Cup Holder and Identification Medall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