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114Y1 - 다기능 용기 - Google Patents

다기능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114Y1
KR200484114Y1 KR2020160005421U KR20160005421U KR200484114Y1 KR 200484114 Y1 KR200484114 Y1 KR 200484114Y1 KR 2020160005421 U KR2020160005421 U KR 2020160005421U KR 20160005421 U KR20160005421 U KR 20160005421U KR 200484114 Y1 KR200484114 Y1 KR 2004841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cap
screw thread
thread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54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미향
Original Assignee
유미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미향 filed Critical 유미향
Priority to KR20201600054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1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1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11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2Threaded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002Closures to be pierced by an extracting-device for the contents and fixed on the container by separate ret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31/00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 B65D2231/0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르면, 상부가 개구되어 내부에 음료를 저장할 수 있으며, 상부 외주면에 제1나사산이, 상부 내주면에는 제2나사산이 형성된 컵; 및 상부가 개구되어 내부에 음식물을 저장할 수 있으며, 중간부는 그 내, 외경이 동일하되 그 내주면에 상기 제1나사산과 결합 가능한 제3나사산이 형성되며, 하부는 그 내, 외경이 동일하되 상기 중간부보다 상대적으로 작으며 그 외주면에 상기 제2나사산과 결합 가능한 제4나사산이 형성된 캡;을 포함하며, 상기 컵의 상부는 그 내, 외경이 동일하며, 상부 아래는 그 내, 외경이 축소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용기가 제공된다.
이에 의하면, 음료용 컵과 음식물 용기가 일체로 결합되어 한 손으로 본 다기능 용기를 파지한 상태로 다른 손으로 음료와 음식물을 취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용기 {Multi-functional Container}
본 고안은 음료와 음식물을 동시에 담아서 취식할 수 있는 다기능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손에 음료용 컵과 음식물용 용기를 각각 들고 있을 경우, 음료를 음용하거나 음식물(예: 과자류, 튀김류, 분식류 등)을 취식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에는, 컵과 용기가 일체로 형성되어 한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용기가 개시된 바 있다. 그 예로 이하에 기재된 바와 같이,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3573호, '음료수컵 조립용기'가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용기는, 이동 간에 흔들릴 경우 음료가 외부로 누출될 가능성이 있어 파지할 때 신중을 기해야 하므로 사용 편의성 측면에서 실용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1.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3573호, 음료수컵 조립용기 (공고일자: 2012년 11월 13일)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음료와 음식물을 동시에 담을 수 있으며, 음료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다기능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다기능 용기는,
상부가 개구되어 내부에 음료를 저장할 수 있으며, 상부 외주면에 제1나사산이, 상부 내주면에는 제2나사산이 형성된 컵; 및
상부가 개구되어 내부에 음식물을 저장할 수 있으며, 중간부는 그 내, 외경이 동일하되 그 내주면에 상기 제1나사산과 결합 가능한 제3나사산이 형성되며, 하부는 그 내, 외경이 동일하되 상기 중간부보다 상대적으로 작으며 그 외주면에 상기 제2나사산과 결합 가능한 제4나사산이 형성된 캡;을 포함하며,
상기 컵의 상부는 그 내, 외경이 동일하며, 상부 아래는 그 내, 외경이 축소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의 상부는 그 내, 외경이 외측으로 확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의 제4나사산은 그 하부의 끝단 위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의 하부 바닥면에는 빨대가 관통되어 지지될 수 있는 십자 형태의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용기에 의하면, 음료용 컵과 음식물 용기가 일체로 결합되어 한 손으로 본 다기능 용기를 파지한 상태로 다른 손으로 음료와 음식물을 취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하부에 저장된 음료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다기능 용기를 음료용으로 사용할 때의 결합도이며,
도 3은 도 2의 'A' 부분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다기능 용기를 음료용과 음식물용으로 겸용할 때의 결합도 및
도 5는 도 4의 'B'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용기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본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다기능 용기를 음료용으로 사용할 때의 결합도이며, 도 3은 도 2의 'A' 부분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다기능 용기를 음료용과 음식물용으로 겸용할 때의 결합도 및 도 5는 도 4의 'B'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용기는 컵(10)과, 캡(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컵(10)은 상부가 개구되어 내부에 음료를 저장할 수 있으며, 상부 외주면에 제1나사산(11)이, 상부 내주면에는 제2나사산(12)이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제1나사산(11)과 상기 제2나사산(12)은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컵(10)의 상부는 그 내, 외경이 동일하며, 상부 아래는 그 내, 외경이 축소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캡(20)은 상부(도 4 기준)가 개구되어 내부에 음식물(F)을 저장할 수 있으며, 중간부는 그 내, 외경이 동일하되 그 내주면에 상기 제1나사산(11)과 결합 가능한 제3나사산(21)이 형성되며, 하부는 그 내, 외경이 동일하되 상기 중간부보다 상대적으로 작으며 그 외주면에 상기 제2나사산(12)과 결합 가능한 제4나사산(22)이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캡(20)의 상부는 그 내, 외경이 외측으로 확장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캡(20)의 제4나사산(22)은 그 하부의 끝단 대략 위쪽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캡(20)의 하부 바닥면에는 빨대(S)가 관통되어 지지될 수 있는 십자 형태의 절개부(23)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캡(20)의 하부와 상기 캡(20)의 중간부 사이에는 경사진 연결부(24, 도 4 참조)를 통해 그 내, 외경이 차별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본 고안의 다기능 용기의 작용에 대해 살펴본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용기를 음료용으로 사용할 경우를 보인 도면으로서, 컵(10)의 제1나사산(11)에 캡(20)의 제3나사산(21)이 나사산 결합되며, 캡(20)에 형성된 십자 형태의 절개부(23)를 통해 빨대(S)가 관통 삽입되어 음료를 음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다기능 용기를 음료용과 음식물용으로 겸용할 경우를 보인 도면으로서, 캡(20)을 뒤집은 상태로 컵(10)의 제2나사산(12)에 캡(20)의 제4나사산(22)이 나사산 결합되는데, 이러한 나사산 결합이 완료될 때 캡(20) 하부의 끝단이 컵(10)의 상부 내경 축소된 부분에 압입되어 기밀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음료가 컵(10)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후, 캡(20)의 하부 바닥면에 형성된 절개부(23)를 통해 빨대(S)를 관통시켜서 음료를 음용할 수 있으며, 캡(20) 내부에는 음식물을 담아 하나의 용기에 음료와 구획되게 담을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다기능 용기에 의하면, 음료용 컵과 음식물 용기가 일체로 결합되어 한 손으로 본 다기능 용기를 파지한 상태로 다른 손으로 음료와 음식물을 취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하부에 저장된 음료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컵 11: 제1나사산
12: 제2나사산 20: 캡
21: 제3나사산 22: 제4나사산
23: 절개부 24: 연결부
F: 음식물 S: 빨대

Claims (4)

  1. 상부가 개구되어 내부에 음료를 저장할 수 있으며, 상부 외주면에 제1나사산(11)이, 상부 내주면에는 제2나사산(12)이 형성된 컵(10); 및
    상부가 개구되어 내부에 음식물(F)을 저장할 수 있으며, 중간부는 그 내, 외경이 동일하되 그 내주면에 상기 제1나사산(11)과 결합 가능한 제3나사산(21)이 형성되며, 하부는 그 내, 외경이 동일하되 상기 중간부보다 상대적으로 작으며 그 외주면에 상기 제2나사산(12)과 결합 가능한 제4나사산(22)이 형성된 캡(20);을 포함하며,
    상기 컵(10)의 상부는 그 내, 외경이 동일하며, 상부 아래는 그 내, 외경이 축소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컵(10)의 제2나사산(12)에 상기 캡(20)의 제4나사산(22)이 결합될 때 상기 캡(20) 하부의 끝단이 상기 컵(10)의 상부 아래의 내경 축소된 부분에 압입되어 기밀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20)의 상부는
    그 내, 외경이 외측으로 확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20)의 제4나사산(22)은
    그 하부의 끝단 위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20)의 하부 바닥면에는
    빨대(S)가 관통되어 지지될 수 있는 십자 형태의 절개부(2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용기.
KR2020160005421U 2016-09-19 2016-09-19 다기능 용기 KR2004841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421U KR200484114Y1 (ko) 2016-09-19 2016-09-19 다기능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421U KR200484114Y1 (ko) 2016-09-19 2016-09-19 다기능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114Y1 true KR200484114Y1 (ko) 2017-08-01

Family

ID=60628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5421U KR200484114Y1 (ko) 2016-09-19 2016-09-19 다기능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114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5178A (ko) * 2002-12-09 2003-02-20 이정민 식음료용 용기 뚜껑
KR200312528Y1 (ko) * 2002-12-16 2003-05-13 윤완섭 이중 포장용기
KR20040063573A (ko) 2003-01-08 2004-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이피롬 장치
KR200449374Y1 (ko) * 2007-10-25 2010-07-06 이진호 이중 구조의 컵
JP5949990B1 (ja) * 2015-04-21 2016-07-13 春子 竹ノ内 シェイカー兼用飲用コップ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5178A (ko) * 2002-12-09 2003-02-20 이정민 식음료용 용기 뚜껑
KR200312528Y1 (ko) * 2002-12-16 2003-05-13 윤완섭 이중 포장용기
KR20040063573A (ko) 2003-01-08 2004-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이피롬 장치
KR200449374Y1 (ko) * 2007-10-25 2010-07-06 이진호 이중 구조의 컵
JP5949990B1 (ja) * 2015-04-21 2016-07-13 春子 竹ノ内 シェイカー兼用飲用コッ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49755A1 (en) Stackable container system
US20180206660A1 (en) Two Beverage Drinking Lid Device
US20060060556A1 (en) Bottle cap in which a straw is mountable
US20120285845A1 (en) "Utility" comprising of a condiment container combination, having a enclosed kitchen utensil a cap or lid, a enclosed kitchen utensil housing
KR101456387B1 (ko) 식품 및 음료 용기
US9884700B2 (en) Dual-use lid and containing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US20150351567A1 (en) Beverage Bottle with Integrated Straw
KR20200040942A (ko) 빨대 단면부가 구비된 일체형 음용 컵 뚜껑
KR200484114Y1 (ko) 다기능 용기
JP2010189062A (ja) 容器
KR20090009093U (ko) 분리용기와 캡의 결합구조
KR20090008895U (ko) 식품용기의 결합구조
US20170008660A1 (en) Foldable cup
JP3190060U (ja) 筒状容器の接合部構造
AU2017101811A4 (en) Container and container assembly having the same
KR20090008896U (ko) 식품용기의 결합구조
JP3228337U (ja) 伸縮可能な紙製ストロー
JP3117225U (ja) 脱着式ボトル
KR20150055824A (ko) 이중용기
CN211168100U (zh) 具搅拌棒的盖体及包含该盖体之杯瓶
KR200463573Y1 (ko) 음료수컵 조립용기
KR200474750Y1 (ko) 컵의 상단에 결합하여 이종의 음료를 음용할 수 있는 용기
KR20060000096U (ko) 뚜껑 겸용 컵과 보조 컵이 구비된 용기
KR101893184B1 (ko) 다단으로 결합되는 물병
KR200429845Y1 (ko) 병 따개가 내설된 휴대용 컵 보관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