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5824A - 이중용기 - Google Patents

이중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5824A
KR20150055824A KR1020130138302A KR20130138302A KR20150055824A KR 20150055824 A KR20150055824 A KR 20150055824A KR 1020130138302 A KR1020130138302 A KR 1020130138302A KR 20130138302 A KR20130138302 A KR 20130138302A KR 20150055824 A KR20150055824 A KR 201500558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everage
bottleneck
beverage contain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8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순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훌랄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훌랄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훌랄라
Priority to KR1020130138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5824A/ko
Publication of KR20150055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58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12Means for the attachment of small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 등을 수용 및 이를 섭취하기 위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상의 음료를 수용할 수 있는 음료용기와 고체형태의 과자 등을 수용할 수 있는 그릇이 착탈 사용이 가능하게 하되, 필요에 따라 스트로우를 이용한 섭취가 가능한 음료용기로의 사용이 가능하고, 또한 음료용기와 고체형 내용물의 수용이 가능한 그릇이 결합된 이중용기로의 사용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이에 따른 용기의 용기의 간편한 휴대 및 사용 관리가 매우 용이하게 하기 위한 이중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중용기{Double Bottle}
본 발명은 음료 등을 수용 및 이를 섭취하기 위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용기에 고체 형태의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그릇이 착탈 가능하게 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액체용기로의 사용은 물론 액체와 고체 형태의 내용물을 동시에 수용 및 섭취할 수 있게 하기 등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하기 위한 이중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라 함은 액체 형태의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음료용기와 고체 형태의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그릇 형태의 용기로 분류된다.
여기서, 음료용기로는 통상적으로 PET나 유리, 금속캔, 종이팩 등 다양한 재질과 디자인을 갖는 용기가 이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음료용기를 다시 분류하면, 특허출원등록 제10-0954054호와 같이 음료의 수용이 가능한 음료용기와 상기 음료용기의 상부를 나사결합으로 마감할 수 있는 마개로 구성되어, 음료를 섭취시 마개를 제거하고 음료용기의 병목을 통해 음료를 인출시켜 컵 등에 따라 섭취할 수 있는 용기가 제공된 바 있다.
또한, 실용신안출원등록 제20-0449757호와 같이 음료의 수용이 가능한 상부 개방형 용기와, 상기 용기의 상부를 마감하는 캡이 형성되고, 상기 캡에는 스트로우를 꽂아 사용할 수 있도록 스토로우 홀이 구비된 용기가 사용되고 있다.
한편, 근래에는 여과생활의 증가에 따른 영화나 연극 등의 관람을 취미로 하는 인구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이러한 관람시에는 음료와 별도로 팝콘이나 과자 등의 간식을 음료와 더불어 섭취하며 관람을 즐기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상기 음료용기와는 별도로 특허등록출원 제10-2010-0036751호와 같은 용기에 팝콘 등을 수용하여 함께 휴대 섭취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음료용기 및 팝콘용기는 각각 종류의 음식을 섭취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각각의 용기를 휴대하여야 하는 것인바, 이에 따른 양손의 부자연스러운 불편함과, 관람 중 두 가지를 동시에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의 확보가 용이하지 못하는 등 그 사용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출원등록 제10-0954054호. 대한민국실용신안출원등록 제20-0449757호. 대한민국특허등록출원 제10-2010-003675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액상의 음료를 수용할 수 있는 음료용기와 고체형태의 과자 등을 수용할 수 있는 그릇이 착탈 사용이 가능하게 하되, 필요에 따라 스트로우를 이용한 섭취가 가능한 음료용기로의 사용이 가능하고, 또한 음료용기와 고체형 내용물의 수용이 가능한 그릇이 결합된 이중용기로의 사용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이에 따른 용기의 용기의 간편한 휴대 및 사용 관리가 매우 용이하게 하기 위한 이중용기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하부에는 음료의 수용이 가능한 몸체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상부에는 하부 둘레에 그릇 거치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부 둘레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된 병목이 형성된 음료용기;
상부가 개구되는 내용물 수용공간이 함몰 형성되고, 내용물 수용공간의 바닥면 중앙에는 상기 병목이 관통되는 병목 관통홀을 갖는 거치부가 형성된 그릇;
상부에는 스트로우 홀이 관통 형성되고, 하단 외둘레에는 가압부가 돌출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병목의 수나사부에 나사 결합 되도록 암나사부가 형성된 하부 개방형 마개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이중용기는, 액체형 음료의 수용이 가능한 음료용기와, 고체형 내용물의 수용이 가능한 그릇을 마개에 의해 결합 사용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음료용기로의 단일 사용은 물론, 음료용기와 그릇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어, 그릇의 간편한 휴대 및 보관 공간의 확보가 매우 용이하여 사용상 간편함과 그 활용도가 한층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이중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이중용기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이중용기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이중용기의 제1 사용 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 이중용기의 제2 사용 실시예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이중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이중용기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이중용기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이중용기(1)는, 음료용기(100)와, 그릇(200)과, 마개(3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음료용기(100)는, 통상의 PET 재질로 된 원통 형태로 된 몸체(110)를 이루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10)의 상부에는 상기 몸체(110)보다 좁은 형태로 음료의 진출입이 가능하도록 상부 개방형 관 형태의 병목(120)이 연장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병목(120)에는, 그 하부 둘레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그릇 거치턱(121)이 띠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 외둘레에는 수나사부(122)가 형성되게 구성된다.
상기 그릇(200)은, 내부에 고체형 내용물의 수용이 가능하도록 상부가 개구된 형태의 내용물 수용공간(210)이 함몰 형성된 반구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내용물 수용공간(210)의 바닥면에는 평면 형태의 거치부(220)가 형성된 것이며, 그 거치부(220)에는 상기 음료용기(100)의 병목(120)이 관통될 수 있도록 병목 관통홀(221)이 형성된다.
즉, 그릇(200)은, 거치부(220)에 형성된 병목 관통홀(221)을 통해 음료용기(100)의 병목(120)이 관통 및 거치부(220)에 의해 그릇 거치턱(121)의 상부에 거치 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그릇(200)의 거치부(220) 저면에는 그릇(200)이 그릇 거치턱(121)에 원활하게 거치될 수 있도록 거치홈(222)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마개(300)는, 상기 음료용기(100)의 병목(120)에 결합되어 음료용기(100)를 마감하는 한편, 상기 그릇(200)을 음료용기(100)에 결합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가 폐쇄되고 하부가 개방된 캡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이때, 마개(300)의 상부에는 음료의 섭취가 용이하도록 스트로우(도면중 미도시함)가 꽂아질 수 있도록 스트로우 홀(310)이 관통 형성되고, 하단 외둘레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압부(320)가 형성된다.
그리고, 내측에는 마개(300)를 병목(120)에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병목(120)의 수나사부(122)와 나삽되는 암나사부(330)가 형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이중용기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 이중용기(1)는, 필요에 따라 도 4의 도시와 같이 음료용기(100)로의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이때에는, 병목(120)을 통해 몸체(110)에 음료를 주입 수용시킨 상태에서 마개(300)를 이용하여 병목(120)에 나사 체결하여 폐쇄하면 되는 것이고, 이때, 음료를 섭취하기 위해 마개(300)의 스트로우 홀(310)에는 스트로우(10)를 꽂아 사용하면 된다.
즉, 상기와 같이 사용시에는 통상의 스트로우(10)를 이용한 음료용기(100) 단일의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 이중용기(1)는, 필요에 따라 도 3을 참조하여 도 5의 도시와 같이 음료용기(100)와 그릇(200)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에는, 음료용기(100)에 그릇(200)을 결합하여 사용하면 된다.
즉, 음료용기(100)의 상부 병목(120)에 그릇(200)을 결합하면 되는 것으로, 이는, 먼저 그릇(200)의 거치부(220)에 형성된 병목 관통홀(221)을 통해 음료용기(100)의 병목(120)이 관통되게 한 후, 거치부(220)가 병목(120)의 하부에 형성된 그릇 거치턱(121)의 상부에 거치되도록 한다.
이때, 거치부(220)의 저면에 거치홈(222)이 형성시에는 그 거치홈(222)에 그릇 거치턱(121)이 내입되도록 하면 그릇의 안정된 거치가 가능할 것이다.
이후, 음료용기(100)에 음료가 수용된 상태에서 마개(300)를 이용하여 음료용기(100)의 병목(120)을 마감 및 그릇(200)을 고정하면 되는 것으로, 마개(300)는 내측에 형성된 암나사부(330)를 통해 병목(120)의 수나사부(122)에 체결 결합하면 된다.
즉, 상기와 같이 마개(300)가 체결되면, 그 마개(300)의 하부에 형성된 가압부(320)는, 그릇(200)의 내용물 수용공간(210)의 바닥면 거치부(220) 상부를 가압하게 됨으로 거치부(220)는 병목(120)의 그릇 거치턱(121)과 마개(300)의 가압부(320) 사이에서 유동없는 가압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고, 마개(300)의 상부에 형성된 스트로우 홀(310)에는 스트로우(10)를 꽂아 사용하면 된다.
이후, 상기 그릇(200)의 내용물 수용공간(210)에는 팝콘이나 과자 등의 내용물을 수용하면 되는 것으로, 이에 본 발명 이중용기(1)는 음료가 수용된 음료용기(100)와 고체형 내용물이 수용된 그릇(200)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이중용기는 스트로우(10)를 통해 음료용기(100)에 수용된 음료의 섭취가 가능하고, 이와 동시에 그릇(200)에 수용된 팝콘이나 과자 등의 내용물을 동시에 섭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이중용기는 필요에 따라 음료용기로의 사용은 물론, 음료용기와 그릇을 일체화시켜 사용이 가능함으로, 각각의 음료용기와 그릇을 휴대할 필요가 없어 그 사용이 매우 간편하고 편리하여 그 활용도가 매우 우수한 것이다.
100 : 음료용기 110 : 몸체
120 : 병목 121 : 그릇 거치턱
122 : 수나사부
200 : 그릇 210 : 내용물 수용공간
220 : 거치부 221 : 병목 관통홀
222 : 거치홈
300 : 마개 310 : 스트로우 홀
320 : 가압부 330 : 암나사부

Claims (2)

  1. 하부에는 음료의 수용이 가능한 몸체(110)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10)의 상부에는 하부 둘레에 그릇 거치턱(121)이 돌출 형성되고 상부 둘레에는 수나사부(122)가 형성된 병목(120)이 형성된 음료용기(100);
    상부가 개구되는 내용물 수용공간(210)이 함몰 형성되고, 내용물 수용공간(210)의 바닥면 중앙에는 상기 병목(120)이 관통되는 병목 관통홀(221)을 갖는 거치부(220)가 형성된 그릇(200);
    상부에는 스트로우 홀(310)이 관통 형성되고, 하단 외둘레에는 가압부(320)가 돌출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병목(120)의 수나사부(122)에 나사 결합 되도록 암나사부(330)가 형성된 하부 개방형 마개(30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릇(200)의 거치부(220) 저면에는 상기 음료용기(100)의 그릇 거치턱(121)이 수용될 수 있도록 거치홈(222)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기.
KR1020130138302A 2013-11-14 2013-11-14 이중용기 KR201500558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8302A KR20150055824A (ko) 2013-11-14 2013-11-14 이중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8302A KR20150055824A (ko) 2013-11-14 2013-11-14 이중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5824A true KR20150055824A (ko) 2015-05-22

Family

ID=53391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8302A KR20150055824A (ko) 2013-11-14 2013-11-14 이중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582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235U (ko) 2019-04-03 2020-10-14 일 남 음료용기 결합장치
KR20200117220A (ko) 2019-04-03 2020-10-14 일 남 호환식 결합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235U (ko) 2019-04-03 2020-10-14 일 남 음료용기 결합장치
KR20200117220A (ko) 2019-04-03 2020-10-14 일 남 호환식 결합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97933C2 (ru) Колпачок для бутылок
US20090205506A1 (en) Bottle cap having filling function
JP2013533174A (ja) 液体容器
US9360248B1 (en) Beverage cooler with a separate, removable shaker receptacle
US20130220965A1 (en) Side-pressure type safety cap
US20080169265A1 (en) Bottle allowing connection in series
KR20150055824A (ko) 이중용기
KR101296093B1 (ko) 마개 장치
KR20130061060A (ko) 음료 및 주류 용기
JP2016097980A (ja) 多段ボトル
KR101546530B1 (ko) 캡 용기
KR20110137003A (ko)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
US20050155974A1 (en) Drinking vessel designed to incorporate an alcoholic beverage container
KR102092360B1 (ko) 액체, 고체 분리형 용기
KR101424381B1 (ko)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
JP3115142U (ja) 飲料用容器
KR200398052Y1 (ko) 복수의 음료 저장 공간을 갖는 음료수 병
KR102280945B1 (ko) 호환식 결합용기
RU2657225C2 (ru) Тара для смешивания компонентов в бутылке при открытии
CN221091973U (zh) 一种内置泡腾片的水瓶瓶盖
KR200328710Y1 (ko) 탄산가스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탄산 음료병용 컵
KR200386913Y1 (ko) 탈부착이 가능한 뚜껑을 갖는 용기
TWM557721U (zh) 容器及容器組合
CN207737786U (zh) 套件及包含所述套件的盖体与包含所述盖体的容器
KR20140005455U (ko) 주류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